KR20090112820A -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820A
KR20090112820A KR1020080038536A KR20080038536A KR20090112820A KR 20090112820 A KR20090112820 A KR 20090112820A KR 1020080038536 A KR1020080038536 A KR 1020080038536A KR 20080038536 A KR20080038536 A KR 20080038536A KR 20090112820 A KR20090112820 A KR 20090112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unit
fire
hin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태
Original Assignee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820A/ko
Publication of KR2009011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4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against dr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사람들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화재 발생시 하강하여 방화셔터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화재 상황 종료후 방화셔터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여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를 제공한다.
셔터, 화재, 셔터기둥

Description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MOBILE SHUTTER POST APPARATUS FOR FIRE SHUTTER}
본 발명은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사람들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화재 발생시 하강하여 방화셔터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화재 상황 종료후 방화셔터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여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화셔터는 화재시에 자동으로 셔터가 작동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연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처 피난하지 못한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철재로 구성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방화셔터는 건축물의 좁은 통로나 비상계단 또는 건물 내의 에스컬레이터 등 주변 여건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상기 방화셔터는 평상시에는 건물의 천장 공간에 설치되는 권취드럼에 두루 마리형태로 감겨져 있다가 화재 발생시에 권취드럼으로부터 풀림하강되어 수직으로 펼쳐지면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기둥을 따라 내려와 출입구나 계단 등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방화셔터의 구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화셔터의 셔터기둥 구성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화셔터는 평상시에는 건물 천장(13)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권취드럼(미도시)에 두루마리형태로 감겨져 있고, 바닥(19)과 천장(13) 사이에 가이드 홈(17)이 형성된 셔터기둥(11)이 세워져 있다.
한편, 화재가 발생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3)의 내부 공간에 감겨져 있던 셔터(15)가 풀리면서 셔터기둥(11)에 형성된 가이드 홈(17)을 따라 내려와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방화셔터를 건물 내에 설치하기 위하여 기존 기둥에 가이드 홈을 설치할 수 없는 곳에서는 전술한 셔터기둥(11)이 항상 복도 상에 세워져 있어야 한다. 상기 셔터기둥(11)은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의 복도나 에스컬레이터 주변에 세워져 있는 경우, 고객 및 직원들의 이동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시야를 가리는 불편함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셔터기둥(11)의 폭을 줄이는 시도가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여전히 복도 상에 위치해 있을 수밖에 없어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에 부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사람들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하강하여 방화셔터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화재 상황 종료후 방화셔터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여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는 하부 개체가 상부 개체 내측으로 삽입되어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사각통 형상을 갖는 각 단위 개체에는 셔터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는 복수개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지는 접철식 기둥; 상기 접철식 기둥의 최상부 개체를 지지하여 평상시 상기 접철식 기둥이 천장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셔터의 하강시 상기 셔터의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접철식 기둥의 최하부 개체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의 하강에 따라 상기 접철식 기둥이 함께 하강되도록 하는 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개체 중 최상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의 측벽 상부에는 경첩 유동홀이 마련되고, 최하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의 측벽 하부에는 걸림홀이 마련되며, 상기 단위 개체 중 최상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는 상기 경첩 유동홀의 상단 측벽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경첩편; 및 상기 고정 경첩편과 힌지연결되고 스프링의 탄성작용으로 회동하여 상기 경첩 유동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상기 각 단위 개체를 연결하는 가동 경첩편으로 구성되는 연결용 경첩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각 단위 개체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용 경첩 및 경첩 유동홀은 상기 단위 개체 중 최상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걸림홀은 상기 단위 개체 중 최하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는 화재 상황 종료에 따라 상기 셔터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접철식 기둥의 최하부 개체를 끌어올려 상기 접철식 기둥을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풀리; 일단이 상기 풀리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에 감겨지되, 타단이 상기 걸림판에 고정되는 강선; 및 일단이 상기 지지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강선의 풀림작용을 위한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강선의 감김작용을 위한 탄성력을 축세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단위 개체의 상단에는 보강판이 마련되고, 그 경우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강선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최하부 개체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셔터의 상승시, 상기 셔터와 상기 최하부 개체를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한 쌍의 셔터 체결 유닛이 상기 최하부 개체의 가이드 레일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셔터 체결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인접한 상기 최하부 개체의 내측벽에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최하부 개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에 마련된 작동 버튼; 상기 셔터의 하단이 상기 걸림판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르도록 상기 셔터의 일면에 설치되는 누름판; 복수개의 링크를 통해 상기 작동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의 지지를 받으면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선단이 상기 최하부 개체의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작동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선단은 상기 최하부 개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작동 로드; 상기 누름판이 설치된 상기 셔터의 일면의 반대면에 설치되어 상기 최하부 개체의 외부로 돌출된 작동 로드가 걸리도록 마련된 걸쇠; 및 상기 작동 로드와 연결된 링크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핀에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지지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링크에 지지고정되어 상기 작동 로드의 선단이 상기 최하부 개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에 의하면, 평상시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에 위치하되, 화재 발생시 하강하여 방화셔터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화재 진압후 방화셔터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여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람들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2a의 B-B 절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셔터 체결 유닛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도 2a의 A-A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하강 상태도, 도 8은 도 2b의 C-C 절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상승 상태도이다.
도 2a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100)는 복수개의 단위 개체(120,130,140,150)로 이루어지는 접철식 기둥(110)과;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천장(13)의 내부 공간(20)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170)과; 셔터(15)의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접철식 기둥(110)의 최하부 개체(150)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15)의 하강에 따라 상기 접철식 기둥(110) 이 함께 하강되도록 하는 걸림판(160)과; 상기 접철식 기둥(110)의 최하부 개체(150)를 끌어올려 상기 접철식 기둥(110)을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철식 기둥(110)은 하부 개체가 상부 개체 내측으로 삽입되어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사각통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단위 개체(120,130,140,1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단위 개체(120,130,140,150)에는 셔터(15)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21,122,131,132,141,142,151,15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각 단위 개체(120,130,140,150)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형성되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셔터(15)의 승하강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각 단위 개체(120,130,140,150)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일 측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철식 기둥(110)은 4개의 단위 개체(120,130,140,150)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증감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접철식 기둥(110)을 구성하는 각 단위 개체(120,130,140,150)의 연결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단위 개체(120,130,140,150) 중 최상부 개체(120)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130,140,150)의 측벽 상부에는 각각 경첩 유동홀(134,144,154)이 마련되고, 최하부 개체(150)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120,130,140)의 측벽 하부에는 걸림홀(125,135,14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첩 유동홀(134,144,154) 각각은 후술할 가동 경첩편(233,243,253)이 회동가능하게 하는 홀이며, 상기 걸림홀(125,135,145) 각각은 상기 가동 경첩편(233,243,253)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홀이다.
한편, 상기 단위 개체(120,130,140,150) 중 최상부 개체(120)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130,140,150)는 상기 경첩 유동홀(134,144,154)의 상단 측벽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경첩편(231,241,251); 및 상기 고정 경첩편(231,241,251)과 힌지연결되고 스프링(235,245,255)의 탄성작용으로 회동가능한 가동 경첩편(233,243,253)으로 구성되는 연결용 경첩(230,240,250)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연결용 경첩(230,240,250) 및 경첩 유동홀(134,144,154)은 상기 단위 개체(120,130,140,150) 중 최상부 개체(120)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130,140,150)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걸림홀(125,135,145)은 상기 단위 개체(120,130,140,150) 중 최하부 개체(150)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120,130,140)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용 경첩(230,240,250)을 통한 각 단위 개체(120,130,140,150)의 연결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2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천장(13)의 내부 공간(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각 가동 경첩편(233,243,253)은 각각이 설치된 단위 개체(130,140,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각 단위 개체(120,130,140)의 측벽 내측면에 걸려있되, 스프링(235,245,255)의 탄성작용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려는 힘이 작용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화재가 발생하여 셔터(15)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최하부 개체(150)에 마련된 걸림판(160)을 누름에 따라 상기 각 단위 개체(120,130,140,150)가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되면, 도 2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경첩 편(233,243,253) 각각은 최하부 개체(150)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120,130,140)의 측벽 하부에 형성된 걸림홀(125,135,145)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걸림홀(125,135,145)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각 연결용 경첩(230,240,250)이 설치된 각 단위 개체(130,140,150)는 상대적으로 그 상부에 배치되는 각 단위 개체(120,130,1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된다.
한편, 도 3 및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식 기둥(110)을 구성하는 각 단위 개체(120,130,140,150)의 상단에는 보강판(127,137,147,157)이 마련된다. 상기 보강판(127,137,147,157) 각각은 사각통 형상을 갖는 각 단위 개체(120,130,140,15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강판(127,137,147,157) 각각에는 후술할 엘리베이터(180)의 강선(185)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강선 관통홀(128,138,148,158)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접철식 기둥(110)의 최하부 개체(150) 저면에는 걸림판(160)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판(160)은 셔터(15)의 하강시 상기 셔터(15)의 하단에 의해 눌림작용을 받도록 마련되어 상기 셔터(15)의 하강에 따라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함께 하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셔터(15)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셔터(15)의 하단이 상기 걸림판(160)을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걸림판(160)과 연결된 상기 접철식 기둥(110)의 최하부 개체(150)가 하강하면서 전술한 연결용 경첩(240,250)을 통해 그 상부 개체(130,140)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걸림판(160)의 크기는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승강가능하도록 천장 바닥(13)에 형성되는 개구부(미도시)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천장 내부 공간(2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다.
상기 지지 브라켓(170)은 그 상단이 천장 내부 공간(20)의 상단(23)에 볼트 체결됨으로써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접철식 기둥(110)의 최상부 개체(12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천장 내부 공간(20)에 배치되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브라켓(170)이 천장 내부 공간(20)의 상단(23)에 고정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그 형상의 변경을 통해 셔터(15)가 권치되는 드럼(미도시)을 지지하는 브라켓(미도시)에 함께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18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엘리베이터(180)는 상기 지지 브라켓(17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81)와; 상기 샤프트(181)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풀리(183)와; 일단이 상기 풀리(183)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183)에 감겨지되, 타단이 상기 걸림판(160)에 고정되는 강선(185); 및 일단이 상기 지지 브라켓(17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샤프트(181)에 고정되어 상기 강선(185)의 풀림작용을 위한 상기 샤프트(181)의 회전시 상기 강선(185)의 감김작용을 위한 탄성력을 축세하는 스프링(187)으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181) 및 상기 스프링(187)의 크기 및 길이는 필요에 따라 증감가능하고,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181)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 브라켓(170)의 형상 및 크기도 그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화재 상황 종료에 따라 상기 셔터(15)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걸림판(160)에 작용하던 상기 셔터(15)의 누름작용이 해제되고, 탄성력을 축세한 스프링(187)의 작용에 의해 상기 샤프트(181)가 회전하면서 강선(185)이 감겨지게 된다. 상기 강선(185)의 감김작용에 따라 상기 걸림판(160)이 끌어올려지면서 그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접철식 기둥(110)의 최하부 개체(150)를 끌어올리고,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보강판(157)은 그 상부에 배치되는 단위 개체(140)의 연결용 경첩(240)의 힌지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판(160) 역시 상기 단위 개체(140)의 하단을 밀어올리게 된다. 동일한 작용이 상기 단위 개체(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단위 개체(130)에 진행됨으로써 순차적으로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상승하게 된다.
한편, 도 2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셔터(15)의 상승시, 상기 셔터(15)와 상기 최하부 개체(150)를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한 쌍의 셔터 체결 유닛(310)이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가이드 레일(152)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셔터 체결 유닛(310)은 전술한 엘리베이터(180)의 역할, 즉 화재 상황 종료에 따라 상기 셔터(15)가 상승하는 경우, 접철식 기둥(110)을 끌어올려 천장 내부(20)에 수용하는 역할을 보완한다.
상기 셔터 체결 유닛(310)의 구체적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셔터 체결 유닛(310)은 상기 가이드 레일(152)과 인접한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내측벽에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외부로 돌출되는 브라켓(311); 상기 브라켓(311)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에 마련된 작동 버튼(312); 상기 셔터(15)의 하단이 상기 걸림판(160)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작동 버튼(312)을 누르도록 상기 셔 터(15)의 일면에 설치되는 누름판(322); 복수개의 링크(314,315)를 통해 상기 작동 버튼(312)과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311)의 지지를 받으면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선단이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작동 버튼(312)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선단은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내부로 인입되는 작동 로드(313); 상기 누름판(322)이 설치된 상기 셔터(15)의 일면의 반대면에 설치되어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외부로 돌출된 작동 로드(313)가 걸리도록 마련된 걸쇠(323); 및 상기 작동 로드(313)와 연결된 링크(314)를 상기 브라켓(3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핀(316)에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브라켓(311)에 지지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링크(314)에 지지고정되어 상기 작동 로드(313)의 선단이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317)을 포함한다. 상기 걸쇠(323)는 도면상 그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나, 그 수직 단면이 대략 'ㄴ'자 형상을 가지며, 수평부 말단이 상기 셔터(15)의 일면에 고정된다. 다만, 상기 걸쇠(323)는 전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작동 로드(313)가 끼워지는 장홀이 형성되어 상기 셔터(15)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판재 일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 체결 유닛(310)은 한 쌍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브라켓(311)의 일단에는 작동 버튼(312)이 배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317)의 탄성 작용 및 작동 버튼(312)의 눌림 작용에 의해 상기 브라켓(311) 및 최하부 개체(15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는 작동 로드(313)의 선단이 배치된다. 상기 셔터 체결 유닛(310)은 평상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31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 로드(313)의 선단 및 상기 작동 버튼(312)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셔터(15)의 하단이 상기 걸림판(160)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셔터(15)의 일면에 설치되는 누름판(322)에 의해 상기 작동 버튼(312)이 눌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링크(314)가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 로드(313)를 직선운동시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셔터 체결 유닛(310)은 화재 상황 종료에 따라 상기 셔터(15)가 상승하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상기 셔터(15)에 작용하여 상기 셔터(15)와 상기 최하부 개체(150)가 체결되도록 한다. 즉, 최초 상기 셔터 체결 유닛(310)의 작동 버튼(312)이 상기 셔터(15)의 누름판(322)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 로드(313)가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셔터(15)에 대해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재 상황 종료에 따라 상기 셔터(15)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작동 버튼(312)에 대한 상기 누름판(322)의 눌림작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작동 로드(313)가 돌출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셔터(15)에 설치된 걸쇠(323)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걸쇠(323)에 의해 끌려올려져 상기 최하부 개체(150)가 상기 셔터(15)와 함께 상승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평상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100)는 도 2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3)의 내부 공간(20)에 배치되어 있다.
만일, 화재가 발생하여 화염을 차단하기 위해 셔터(15)가 하강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15)의 하단이 상기 접철식 기둥(110)의 최하부 개체(150)에 설치된 걸림판(160)을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걸림판(160)과 연결된 최하부 개체(150)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최하부 개체(150)에 설치된 연결용 경첩(250)의 가동 경첩편(253)이 스프링(255)의 탄성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상부에 배치된 단위 개체(140)의 걸림홀(14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동 경첩편(253)은 그 상면이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경첩 유동홀(154)의 상단에 지지되어 회전각도가 제한되고, 그 하면은 상기 걸림홀(145)의 하단에 지지된다.
상기 셔터(15) 및 최하부 개체(150)가 계속 하강함에 따라 상기 가동 경첩편(253)은 상기 걸림홀(145)의 하단을 누르게 되고, 따라서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상부에 배치된 단위 개체(140) 역시 하강하게 된다.
전술한 작용이 상기 단위 개체(140) 및 그 상부에 배치된 단위 개체(130)에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도 2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상기 셔터(15) 및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셔터(15)를 통한 화염차단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재 상황 종료에 따라 상기 셔터(15)가 상승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걸림판(160)에 작용하던 상기 셔터(15)의 누름작용이 해제되고, 탄성력을 축세한 스프링(187)의 작용에 의해 상기 샤프 트(181)가 회전하면서 강선(185)이 감겨지게 된다. 상기 강선(185)의 감김작용에 따라 상기 걸림판(160)이 끌어올려지면서 그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접철식 기둥(110)의 최하부 개체(150)를 끌어올린다. 이때, 상기 최하부 개체(150)에 설치된 연결용 경첩(250)의 가동 경첩편(253)은 눌려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단위 개체(140)의 측벽 내측면에 걸려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최하부 개체(150)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보강판(157)은 그 상부에 배치되는 단위 개체(140)의 연결용 경첩(240)의 힌지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판(160) 역시 상기 단위 개체(140)의 하단을 밀어올리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최하부 개체(150)의 상부에 배치되는 단위 개체(140) 역시 상승하게 된다. 동일한 작용이 상기 단위 개체(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단위 개체(130)에 진행됨으로써 순차적으로 상기 접철식 기둥(110)이 상승하여 최종적으로 도 2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화재 상황 종료에 따라 상기 셔터(15)가 상승하는 경우, 도 2b에 도시된 좌측 셔터(15)와 우측 셔터(15)의 상승 시점이 다를 수 있다. 만일, 도 2b 상의 좌측 셔터(15)가 먼저 상승하는 경우, 도 2b 상의 좌측 접철식 기둥(110)은 전술한 엘리베이터(180)의 작용으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도 2b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도 2b 상의 좌측 셔터(15)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셔터(15)에 마련된 누름판(322)의 누름 작용이 해제됨으로써 도 2b 상의 중앙측 접철식 기둥(110)의 최하부 개체(150)에 마련된 셔터 체결 유닛(310)의 작동 로드(313)가 돌출하여, 도 2b 상의 우측 셔터(15)에 마련된 걸쇠(323)에 걸려지 게 된다. 이후, 도 2b 상의 우측 셔터(15)가 상승함에 따라 도 2b 상의 중앙측 접철식 기둥(110)은 전술한 엘리베이터(180)의 작용으로 상승할 뿐만 아니라, 상기 셔터 체결 유닛(310)의 작용, 즉 도 2b 상의 우측 셔터(15)에 마련된 걸쇠(323)가 상기 셔터 체결 유닛(310)의 작동 로드(313)를 끌어올리게 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승하여 최종적으로 도 2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는 평상시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에 위치하되, 화재 발생시 하강하여 방화셔터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화재 상황 종료후 방화셔터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여 건물의 천장 내부 공간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람들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화셔터의 셔터기둥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2a의 B-B 절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셔터 체결 유닛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도 2a의 A-A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하강 상태도,
도 8은 도 2b의 C-C 절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의 상승 상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접철식 기둥 120,130,140,150 : 단위 개체
121,122 : 가이드 레일 125, 135,145 : 걸림홀
134,144,154 : 경첩 유동홀 127,137,147,157 : 보강판
128,138,148,158 : 강선 관통홀 160 : 걸림판
180 : 엘리베이터 181 : 샤프트
183 : 풀리 185 : 강선
187 : 스프링 230,240,250 : 연결용 경첩
231,241,251 : 고정 경첩편 233,243,253 : 가동 경첩편
310 : 셔터 체결 유닛 311 : 브라켓
312 : 작동 버튼 313 : 작동 로드
314, 315 : 링크 316 : 핀
317 : 코일 스프링 322 : 누름판
323 : 걸쇠

Claims (6)

  1. 하부 개체가 상부 개체 내측으로 삽입되어 승강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사각통 형상을 갖는 각 단위 개체에는 셔터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는 복수개의 단위 개체로 이루어지는 접철식 기둥;
    상기 접철식 기둥의 최상부 개체를 지지하여 평상시 상기 접철식 기둥이 천장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셔터의 하강시 상기 셔터의 하단이 걸리도록 상기 접철식 기둥의 최하부 개체 저면에 마련되어 상기 셔터의 하강에 따라 상기 접철식 기둥이 함께 하강되도록 하는 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개체 중 최상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의 측벽 상부에는 경첩 유동홀이 마련되고, 최하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의 측벽 하부에는 걸림홀이 마련되며,
    상기 단위 개체 중 최상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는 상기 경첩 유동홀의 상단 측벽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경첩편; 및 상기 고정 경첩편과 힌지연결되고 스프링의 탄성작용으로 회동하여 상기 경첩 유동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상기 각 단위 개체를 연결하는 가동 경첩편으로 구성되는 연결용 경첩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각 단위 개체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경첩 및 경첩 유동홀은 상기 단위 개체 중 최상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걸림홀은 상기 단위 개체 중 최하부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각 단위 개체의 대향하는 양 측벽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화재 상황 종료에 따라 상기 셔터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접철식 기둥의 최하부 개체를 끌어올려 상기 접철식 기둥을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지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풀리;
    일단이 상기 풀리에 고정되어 상기 풀리에 감겨지되, 타단이 상기 걸림판에 고정되는 강선; 및
    일단이 상기 지지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강선의 풀림작용을 위한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강선의 감김작용을 위한 탄성력을 축세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개체의 상단에는 보강판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판에는 상기 강선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 개체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셔터의 상승시, 상기 셔터와 상기 최하부 개체를 선택적으로 체결시키는 한 쌍의 셔터 체결 유닛이 상기 최하부 개체의 가이드 레일을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셔터 체결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인접한 상기 최하부 개체의 내측벽에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최하부 개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에 마련된 작동 버튼;
    상기 셔터의 하단이 상기 걸림판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작동 버튼을 누르도록 상기 셔터의 일면에 설치되는 누름판;
    복수개의 링크를 통해 상기 작동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의 지지를 받으면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선단이 상기 최하부 개체의 외부로 돌출되되, 상기 작동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상기 선단은 상기 최하부 개체의 내부로 인입되는 작동 로드;
    상기 누름판이 설치된 상기 셔터의 일면의 반대면에 설치되어 상기 최하부 개체의 외부로 돌출된 작동 로드가 걸리도록 마련된 걸쇠; 및
    상기 작동 로드와 연결된 링크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핀에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브라켓에 지지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링크에 지지고정되어 상기 작동 로드의 선단이 상기 최하부 개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KR1020080038536A 2008-04-25 2008-04-25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KR20090112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536A KR20090112820A (ko) 2008-04-25 2008-04-25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536A KR20090112820A (ko) 2008-04-25 2008-04-25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820A true KR20090112820A (ko) 2009-10-29

Family

ID=4155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536A KR20090112820A (ko) 2008-04-25 2008-04-25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8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2650A1 (es) * 2009-11-20 2012-06-12 Talleres Mateu Sucesores, S.L. Dispositivo de cerramiento por guias moviles para puertas, ventanas y elementos de separacion.
CN103867084A (zh) * 2014-02-19 2014-06-18 沈阳理工大学 一种遇火自触发串联式防火卷帘门
CN108506095A (zh) * 2018-04-12 2018-09-07 郑丽 一种燃机压气机及送风机入口除冰、除霜及除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2650A1 (es) * 2009-11-20 2012-06-12 Talleres Mateu Sucesores, S.L. Dispositivo de cerramiento por guias moviles para puertas, ventanas y elementos de separacion.
CN103867084A (zh) * 2014-02-19 2014-06-18 沈阳理工大学 一种遇火自触发串联式防火卷帘门
CN108506095A (zh) * 2018-04-12 2018-09-07 郑丽 一种燃机压气机及送风机入口除冰、除霜及除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3750A1 (en) Transport equipment
KR20090112820A (ko)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KR101464627B1 (ko) 방화문의 문턱 승강장치
KR101897093B1 (ko) 승강 개폐형 창문 구조체
KR101945325B1 (ko) 비계용 화물 승강기
KR100859074B1 (ko)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KR20090118141A (ko) 긴급 피난설비
JP5430682B2 (ja) エレベータ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2377324B1 (ko) 창호용 수직 승강장치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200395107Y1 (ko) 폴드업 셔터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169895B1 (ko) 안전 피난장치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100088440A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0751085B1 (ko) 건물의 옥외용 비상 계단 구조물
KR20180076608A (ko)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200355684Y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KR100730799B1 (ko) 고층건물의 창문용 펜스 설치구조
KR200188212Y1 (ko) 교량 점검용 슬라이드 방식의 출입장치
KR100450453B1 (ko) 내리닫이문
KR102169898B1 (ko) 안전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