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633B1 - 익스텐션유닛이 구비된 장폭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익스텐션유닛이 구비된 장폭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633B1
KR101301633B1 KR1020110096913A KR20110096913A KR101301633B1 KR 101301633 B1 KR101301633 B1 KR 101301633B1 KR 1020110096913 A KR1020110096913 A KR 1020110096913A KR 20110096913 A KR20110096913 A KR 20110096913A KR 101301633 B1 KR101301633 B1 KR 101301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xtension unit
locking bracket
bracket
loa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405A (ko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동우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특장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03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8Tipping body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폭 트레일러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빔으로 구성되며 리프팅 작동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을 통과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의 선단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지주봉의 측면에서 서로 대향 방향으로 배치되어 돌출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익스텐션유닛과,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인출정도가 다단계로 조절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다수개의 걸림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에 의해 지지되는 좌측 걸림브라켓과 우측 걸림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익스텐션유닛을 당기고 회전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익스텐션유닛의 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물을 적재한 상태에서는 물론이고 하물을 적재하지 않은 공차상태에서도 익스텐션유닛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Description

익스텐션유닛이 구비된 장폭 트레일러{Trailer with extension unit}
본 발명은 적재프레임 보다 큰 장폭판재 등을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익스텐션유닛이 구비된 장폭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방된 형태의 적재프레임에 하물을 적재하여 운송하는 이른바 평판트레일러는 적재프레임의 특성상 주로 대형의 관재, 판재 등을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편, 적재프레임의 폭을 넘는 크기의 이른바 장폭판재를 단순히 수평으로 평판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에 적재하게 되면 장폭판재가 적재프레임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므로 고정이 용이하지 못하고, 돌출된 장폭판재에 의해 주행 시 주변에 위협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평판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을 경사지게 리프팅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리프팅상태의 적재프레임에 장폭판재를 적재함으로써 장폭판재가 트레일러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른바 장폭트레일러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장폭 트레일러의 구성에 있어서, 적재프레임이 리프팅된 상태에서, 적재프레임의 아래쪽 측단에 단순히 장폭판재가 받쳐지는 형태로 적재된다면, 장폭판재를 포함하는 트레일러의 차고가 지나치게 높아지기 때문에 트레일러의 무게중심이 상향이동되어 주행안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육교 등의 도로시설물과 간섭될 우려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재프레임에 익스텐션유닛을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트레일러의 차고와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안출되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종래의 익스텐션유닛(5)은 적재프레임(2)에 삽입되는 지주대(6)와, 지주대(6)의 선단에 구비된 받침대(7)로 구성되며, 지주대(6)에는 다수개의 고정홀(6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익스텐션유닛(5)의 인출정도를 달리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성으로서 익스텐션유닛(5)의 지주대(6)와 접하는 적재프레임(2)의 지지빔(3)에 관통홀(3a)을 구성하고 지주대(6)의 고정홀(6a)과 지지빔(3)의 관통홀(3a)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이에 고정핀(8)을 끼워넣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적재되는 장폭판재(P)의 크기에 맞추어 익스텐션유닛(5)을 적재프레임(2)으로부터 필요량만큼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핀(8)을 지지빔(3)의 관통홀(3a) 및 이와 연통되는 지주대(6)의 특정 고정홀(6a)에 끼워넣음으로써 익스텐션유닛(5)이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익스텐션유닛(5)이 인출된 길이 만큼 적재되는 장폭판재(P)의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장폭판재(P) 적재시에 트레일러 전체의 차고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고정핀(8)이 익스텐션유닛(5)의 고정홀(6a)과 지지빔(3)의 관통홀(3a)에 단순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바, 이러한 특성상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유발된다.
우선, 고정핀(8)에 의해 익스텐션유닛(5)과 지지빔(3)이 결속된 상태에서 적재프레임(2)에 장폭판재(P)가 적재되면, 장폭판재 하중의 상당부분이 익스텐션유닛 (5)측으로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하중이 고정핀(8)에 대하여서는 전단응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핀(8)은 장폭판재(P)의 전단응력을 받는 특성상 장착위치에서 쉽게 이탈되지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트레일러가 주행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이로 인해 고정핀(8)에 가해지는 전단응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급격히 변화하게 되며, 고정핀(8)의 장착구조가 지지빔(3)의 관통홀(3a)과 익스텐션유닛(5)의 고정홀(6a)에 단순히 끼워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고정핀(8)이 빠지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더욱이, 하물을 적재하지 않은 공차상태에서는 고정핀(8)이 고정위치에서 쉽게 빠질 수 있으며, 고정핀(8)이 빠지게 되면, 익스텐션유닛(5)이 적재프레임(2)으로부터 갑자기 돌출되어 트레일러 운행상의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 또한 유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적재프레임과 직접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익스텐션유닛이 구비된 장폭 트레일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폭 트레일러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빔으로 구성되며 리프팅 작동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을 통과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의 선단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지주봉의 측면에서 서로 대향 방향으로 배치되어 돌출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익스텐션유닛과,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인출정도가 다단계로 조절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다수개의 걸림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에 의해 지지되는 좌측 걸림브라켓과 우측 걸림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수단의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과 우측 걸림브라켓은 패널형태로서,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의 하방과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의 상방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의 걸림슬롯은 하방으로 개구(開口)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의 걸림슬롯은 상방으로 개구(開口)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의 상단에는 상부지지판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은 상기 상부지지판이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의 하단에는 하부지지판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은 상기 하부지지판이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의 걸림슬롯과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의 걸림슬롯은 수직구간 및 상기 수직구간에서 만곡되어 이어지는 수평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과 우측 걸림브라켓의 배치간격은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지주봉의 직경을 초과함과 더불어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지주봉에서 서로 대향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간의 최대간격에는 못미치도록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익스텐션유닛의 작동이 용이하고, 익스텐션유닛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장폭 트레일러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폭 트레일러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폭 트레일러에 구비되는 익스텐션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폭 트레일러의 익스텐션유닛 장착구조를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장폭 트레일러에 구비되는 익스텐션유닛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장폭 트레일러에 구비되는 익스텐션유닛의 작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2부터 도 6b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폭 트레일러는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광폭판재와 같은 하물을 직접 받치는 상판(미도시)과, 격자형태로 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빔(12)으로 구성되는 적재프레임(10)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최외곽의 지지빔(12)에 홀을 형성하고 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지주봉(22) 및 상기 지주봉(22)의 선단에 구비되는 받침대(24)와, 상기 지주봉(22)의 측면에서 서로 대향 방향으로 배치되어 돌출된 한쌍의 걸림돌기(221)(221')로 이루어진 익스텐션유닛(20)과; 상기 익스텐션유닛(20)의 인출정도가 다단계로 조절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익스텐션유닛(20)은 원기둥 형태의 지주봉(22)과, 상기 지주봉(22)의 선단에 구비되는 받침대(24)와, 상기 지주봉(22)의 측면에서 각각 서로 대향 방향으로 배치되어 돌출 형성된 한쌍의 걸림돌기(221)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걸림수단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익스텐션유닛(20)의 걸림돌기(221)가 걸리도록 다수개의 걸림슬롯(32)(42)이 형성된 좌측 걸림브라켓(30)과 우측 걸림브라켓(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30)은 익스텐션유닛(20)의 받침대(24)측에서 적재프레임(10)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지주봉(22)의 좌측에 배치되며, 반대로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40)은 지주봉(22)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30)과 우측 걸림브라켓(40)은 일종의 패널형태로서,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30)의 하방과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40)의 상방에는 상기 걸림돌기(221)가 이동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데, 각 걸림브라켓(30)(40)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적재프레임(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판(미도시)과, 격자형태로 조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빔(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익스텐션유닛(20)의 지주봉(22)은 최외곽의 지지빔(12)에 홀을 형성하고, 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30)의 경우에는 그 상단에 상부지지판(34)(도 5a, 5b 참조)이 부착되고, 상기 상부지지판(34)이 상기 최외곽의 지지빔(12)의 상부 절곡단(121)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됨으로써 그 하방으로 걸림돌기(221)의 이동공간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40)의 경우에는 그 하단에 하부지지판(44)(도 5a, 5b 참조)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지지판(44)이 상기 최외곽 지지빔(12)의 하부 절곡단(122)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됨으로써 그 상방으로 적재프레임(10)의 상판(12)과의 사이에 걸림돌기(221')의 이동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이 같은 양 걸림브라켓(30)(40)의 설치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서 도 3와 도 4에 있어서는 적재프레임(10)의 상판(12)과 상부지지판(34) 및 하부지지판(44)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었음을 밝혀둔다.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30)의 걸림슬롯(32)은 하방의 이동공간과 연결되도록 하방으로 개구(開口)되는 형태로서 수직구간(321) 및 이로부터 만곡되어 이어지는 수평구간(322)으로 이루어지고, 반대로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40)의 걸림슬롯(42)은 상방으로 개구(開口)되어 상방의 이동공간과 연결되는 형태로서 역시 수직구간(421) 및 이로부터 만곡되어 이어지는 수평구간(422)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양 걸림브라켓(30)(40)은 그 형태가 동일한 반면, 배치구조만이 상하 대칭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양 걸림브라켓(30)(40)의 각 걸림슬롯(32)(42) 역시 상하 대칭 배치되며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30)과 우측 걸림브라켓(40)의 배치간격은 상기 익스텐션유닛(20)의 지주봉(22)의 직경을 초과함과 더불어 상기 지주봉(22)에서 서로 대향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21)(221')간의 최대간격에는 못미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폭 트레일러에 있어서, 익스텐션유닛(2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폭판재를 적재하기 위하여 익스텐션유닛(20)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도 5a와 도 6a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받침대(24)를 잡고 돌리는 등의 방법으로 지주봉(22)의 각도를 조절하여 일측 걸림돌기(221)가 좌측 걸림브라켓(30) 하방의 이동공간에 위치되고, 타측 걸림돌기(221)는 우측 걸림브라켓(40) 상방의 이동공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221)가 각각의 이동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걸림돌기(221)와 양 걸림브라켓(30)(40)이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익스텐션유닛(20)을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익스텐션유닛(20)을 필요한 만큼 인출한 다음에는, 도 5b와 도 6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익스텐션유닛(20)의 지주봉(22)에 구비된 양 걸림돌기(221)가 각 걸림브라켓(30)(40)의 걸림슬롯(32)(42)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익스텐션유닛(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양 걸림브라켓(30)(40)의 간격이 양 걸림돌기(221)의 최대 간격에 못미치고, 양 걸림브라켓(30)(40)에 형성된 걸림슬롯(32)(42)이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 특성상 상기 걸림돌기(221)가 선택된 걸림슬롯의 수직구간에 도달한 위치에서 익스텐션유닛(20)을 결속방향으로 돌림으로써 걸림돌기(221)가 걸림슬롯(32)(42)의 수직구간(321)(421)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걸림슬롯(32)(42)의 수직구간(321)(421)으로 인입된 걸림돌기(221)는 수직구간(321)(421)과 만곡되어 이어진 수평구간(322)(422)으로 이끌려 들어가게 됨으로써 걸림슬롯(32)(42)에 완전히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양 걸림돌기(221)가 각 걸림슬롯(32)(42)에 완전히 걸린 상태에서는 트레일러의 주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진동이 걸림돌기(221)에 전달되어도 수직구간(321)(421)에서 수평구간(322)(422)으로 이어지는 걸림슬롯(32)(42)의 형태특성상 걸림돌기(221)가 걸림슬롯(32)(4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익스텐션유닛(20)이 걸림브라켓(30)(40)과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걸림돌기(221)가 걸림슬롯(32)(42)에서 완전히 이탈되기 위해서는 익스텐션유닛(20)이 먼저 직선 이동되어 걸림돌기(221)가 걸림슬롯(32)(42)의 수평구간(322)(422)을 따라 이동한 다음, 다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걸림돌기(221)가 수직구간(321)(421)을 따라 이동하는 현상이 순차적으로 발생해야 하는 바, 현실적으로는 트레일러의 주행진동에 의하여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은 극히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익스텐션유닛(20)을 당기고 회전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익스텐션유닛(20)의 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물을 적재한 상태에서는 물론이고 하물을 적재하지 않은 공차상태에서도 익스텐션유닛(20)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10: 적재프레임 12: 지지빔
20: 익스텐션유닛 22: 지주봉
221: 걸림돌기 24: 받침대
30: 좌측 걸림브라켓 32: 걸림슬롯
321: 수직구간 322: 수평구간
40: 우측 걸림브라켓 42: 걸림슬롯
421: 수직구간 422: 수평구간

Claims (5)

  1. 상판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빔으로 구성되며 리프팅 작동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을 통과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의 선단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지주봉의 측면에서 서로 대향 방향으로 배치되어 돌출된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익스텐션유닛과,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인출정도가 다단계로 조절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다수개의 걸림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에 의해 지지되는 좌측 걸림브라켓과 우측 걸림브라켓
    으로 이루어지는 장폭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의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과 우측 걸림브라켓은 패널형태로서,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의 하방과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의 상방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의 걸림슬롯은 하방으로 개구(開口)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의 걸림슬롯은 상방으로 개구(開口)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의 상단에는 상부지지판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은 상기 상부지지판이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의 하단에는 하부지지판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은 상기 하부지지판이 상기 적재프레임의 지지빔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폭 트레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의 걸림슬롯과 상기 우측 걸림브라켓의 걸림슬롯은
    수직구간 및 상기 수직구간에서 만곡되어 이어지는 수평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폭 트레일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걸림브라켓과 우측 걸림브라켓의 배치간격은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지주봉의 직경을 초과함과 더불어
    상기 익스텐션유닛의 지주봉에서 서로 대향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간의 최대간격에는 못미치도록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폭 트레일러.
  5. 삭제
KR1020110096913A 2011-03-11 2011-09-26 익스텐션유닛이 구비된 장폭 트레일러 KR101301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837 2011-03-11
KR20110021837 2011-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405A KR20120103405A (ko) 2012-09-19
KR101301633B1 true KR101301633B1 (ko) 2013-08-29

Family

ID=4711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913A KR101301633B1 (ko) 2011-03-11 2011-09-26 익스텐션유닛이 구비된 장폭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612B1 (ko) 2016-02-29 2017-01-19 세진트레일러 주식회사 광폭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틸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643A (ja) * 1998-08-19 2000-02-29 Dainichi Company:Kk 伸縮フレームを有するセミトレーラ
JP2001180535A (ja) * 1999-12-28 2001-07-03 Oshima Jikou Kk 拡幅機構付き車体
KR200451373Y1 (ko) * 2008-08-07 2010-12-10 김경구 적재 프레임의 추가 연결이 가능한 저상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643A (ja) * 1998-08-19 2000-02-29 Dainichi Company:Kk 伸縮フレームを有するセミトレーラ
JP2001180535A (ja) * 1999-12-28 2001-07-03 Oshima Jikou Kk 拡幅機構付き車体
KR200451373Y1 (ko) * 2008-08-07 2010-12-10 김경구 적재 프레임의 추가 연결이 가능한 저상 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612B1 (ko) 2016-02-29 2017-01-19 세진트레일러 주식회사 광폭 트레일러의 적재프레임 틸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405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751B1 (ko) 낙하추를 이용한 가속 내충격 시험 장치
KR101301633B1 (ko) 익스텐션유닛이 구비된 장폭 트레일러
CN212257671U (zh) 一种稳定型抗倾覆式天线基站
KR101439101B1 (ko) 수직벽용 지지 장치
CN106067044A (zh) 一种卡箱及发卡装置
KR101962321B1 (ko)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JP6016741B2 (ja) エレベータ釣合おもり枠用連結部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CN209799323U (zh) 一种绿色环保的吊篮
CN218647588U (zh) 一种基于ito薄膜的透明led显示屏
CN201795255U (zh) 一种平板电视支架
CN211010674U (zh) 壁挂支架
CN204251161U (zh) 一种无机房电梯的曳引机安装结构
CN208843516U (zh) 一种可用于不同圈梁间距的电梯导轨支架
CN207609188U (zh) 一种防尘帘装置
CN104100817B (zh) 双立柱可移动电视机架
CN214994728U (zh) 钢结构梁柱连接结构
KR101357219B1 (ko) 모니터 승강장치
CN202144382U (zh) 一种断带保护装置联体式制动机架
CN210527308U (zh) 一种用于放置晶硅组件的架子
CN205046503U (zh) 一种新型护栏拉紧固定结构
CN216836902U (zh) 一种钢丝绳托架装置
CN205840001U (zh) 一种轻钢房屋连接结构
CN217200386U (zh) 一种多设备牵引运输平台
CN205524173U (zh) 支腿锁止装置和混凝土泵车
CN103896134A (zh) 电梯的平衡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