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75Y1 - 갱폼의 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갱폼의 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75Y1
KR200490875Y1 KR2020180005254U KR20180005254U KR200490875Y1 KR 200490875 Y1 KR200490875 Y1 KR 200490875Y1 KR 2020180005254 U KR2020180005254 U KR 2020180005254U KR 20180005254 U KR20180005254 U KR 20180005254U KR 200490875 Y1 KR200490875 Y1 KR 200490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panel
gangform
side panel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우
한규동
Original Assignee
(주)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일 filed Critical (주)해일
Priority to KR2020180005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건물 외벽면에 후면이 밀착되고 앵커를 통해 건물 외벽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 베이스패널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됨으로써 베이스패널과 함께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측면패널 및 베이스패널과는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양측의 측면패널을 관통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제1슈; 및 후단부가 제1슈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결합봉에 걸림고정되어 제1슈와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전단부에는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파지부에는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위치된 삽입홈에 갱폼 레일의 양측 플랜지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제2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Description

갱폼의 슈 어셈블리 {SHOE ASSEMBLY FOR GANGFORM}
본 고안은 건축시공 분야에서, 슈 어셈블리가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갱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갱폼의 설치 또는 해체시에 작업미숙 및 바람에 의한 낙하사고와 충돌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갱폼의 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건축시공 분야에서 아파트 현장 또는 고층빌딩 건축현장에 주로 사용되는 갱폼 레일은 주로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되어 사용이 간편해 시공성 향상 및 공사기간 단축에 기여를 하였다.
한편, 갱폼 레일에 결합되는 슈 어셈블리는 갱폼 레일과 구조물의 외벽을 연결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람에 의한 갱폼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슈 어셈블리는 형상이 크고 중량이 무거워 시공자가 이를 설치 또는 해체하기 불편하였고, 이에 따라서 시공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갱폼의 설치 또는 해체시에 작업미숙에 따른 낙하사고와 충돌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슈 어셈블리라 하더라도 외벽에 결합되는 부분과 갱폼 레일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바람에 의한 갱폼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새로운 슈 어셈블리에 관한 구조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006402 B1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슈 어셈블리가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갱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갱폼의 설치 또는 해체시 작업미숙 및 바람에 의한 낙하사고와 충돌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갱폼의 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는 건물 외벽면에 후면이 밀착되고 앵커를 통해 건물 외벽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 베이스패널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됨으로써 베이스패널과 함께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측면패널 및 베이스패널과는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양측의 측면패널을 관통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제1슈; 및
후단부가 제1슈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결합봉에 걸림고정되어 제1슈와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전단부에는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파지부에는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위치된 삽입홈에 갱폼 레일의 양측 플랜지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제2슈;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봉의 상방에서 제1슈의 양측 측면패널 및 제2슈의 후단부 양측에는 각각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이 형성되고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은 제1슈와 제2슈가 체결된 상태에서 서로 정렬되어 연통되며, 제1구속홀 및 제2구속홀에는 열쇠핀이 삽입되고, 열쇠핀의 끝단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제1구속홀 및 제2구속홀에는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열쇠핀의 삽입 후 회전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1슈의 측면패널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체결되며, 손잡이의 하단부는 측면패널을 관통하고 손잡이의 상단부는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손잡이가 하단부를 통해 제1슈 상에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제2슈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패널로 구성되고, 사이드패널의 후단부가 결합봉에 걸림고정되며, 양측 사이드패널은 힌지봉으로 연결되고, 양측 사이드패널의 사이 공간에는 제어멤버가 배치되며, 제어멤버는 후단부가 힌지봉에 관통되어 회전되고 전단부가 갱폼 레일의 걸림바를 상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결합봉의 상방에서 제1슈의 양측 측면패널 및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 후단부에는 각각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이 형성되고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은 제1슈와 제2슈가 체결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며, 제1구속홀 및 제2구속홀에는 열쇠핀이 삽입되어 제2슈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제1슈 및 제2슈는, 베이스패널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상방에는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이 형성되고 하방에 결합봉이 배치되며, 제1구속홀 및 제2구속홀과 결합봉의 사이 지점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힌지봉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멤버의 하방에 배치되며,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에 결합되고, 제2슈의 제어멤버의 하방으로의 회전을 구속하는 받침패널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패널은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하며, 받침패널에 하단에 받침멤버가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받침멤버의 양측은 각각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에 결합되며, 받침멤버의 상단부는 받침패널에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슈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패널로 구성되고, 사이드패널의 후단부가 결합봉에 걸림고정되며, 양측 사이드패널은 힌지봉으로 연결되고, 양측 사이드패널의 사이 공간에는 제어멤버가 배치되며, 제어멤버는 후단부가 힌지봉에 관통되어 회전되고 전단부가 갱폼 레일의 걸림바를 상방으로 지지하며, 파지부는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는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의 전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패널, 양측 날개패널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패널 및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패널로 구성되고 지지패널의 내측에 결합된 구속패널로 구성되고, 한 쌍의 구속패널의 이격된 공간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양측에 위치된 삽입홈에 갱폼 레일의 양측 플랜지가 각각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지지멤버는 힌지봉의 상방 또는 하방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지지멤버의 일측이 양측 사이드패널의 외측에 결합되고, 지지멤버의 타측이 날개패널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날개패널은 제2슈의 사이드패널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지지패널은 날개패널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구속패널은 상단에서 중단까지 이격거리가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면을 가지며 중단에서 하단까지 이격거리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진 면을 가짐으로써, 갱폼 레일의 양측 플랜지가 각각의 구속패널의 중단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건축시공 분야에서, 슈 어셈블리가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갱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갱폼의 설치 또는 해체시 작업미숙 및 바람에 의한 낙하사고와 충돌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갱폼 레일의 구조를 수정하지 않고도 바로 새로운 슈 어셈블리를 적용할 수 있고, 새로운 슈 어셈블리 구조를 통해 돌풍 등에 의한 갱폼 레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갱폼 레일 자체의 수직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가 앵커 및 갱폼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제1슈 및 제2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제1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제2슈의 후단부가 결합봉에 걸림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지지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가 앵커 및 갱폼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제1슈 및 제2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제1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제2슈의 후단부가 결합봉에 걸림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지지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갱폼 레일에 결합되는 슈 어셈블리는 갱폼 레일과 구조물의 외벽을 연결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람에 의한 갱폼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슈 어셈블리는 형상이 크고 중량이 무거워 시공자 1인만으로는 이를 설치 및 해체하기 불편하였고, 이에 따라서 시공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갱폼의 설치 또는 해체시에 작업미숙에 따른 낙하사고와 충돌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2 및 도 6에서와 같이, 건물 외벽면에 후면이 밀착되고 앵커(A)를 통해 건물 외벽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150), 베이스패널(15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됨으로써 베이스패널과 함께 내부공간(330)을 구성하는 측면패널(300) 및 베이스패널(150)과는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양측의 측면패널(300)을 관통하는 결합봉(350)을 포함하는 제1슈(200); 및 후단부(360)가 제1슈(200)의 내부공간(330)에 삽입되며 결합봉(350)에 걸림고정되어 제1슈(200)와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전단부(450)에는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파지부(460)가 일체로 형성되며, 파지부(460)에는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삽입홈(465)이 형성되고, 양측에 위치된 삽입홈(465)에 갱폼 레일(G)의 양측 플랜지(G1)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제2슈(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슈 어셈블리를 제1슈(200) 및 제2슈(400)로 분리하여 별도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제1슈(200)와 제2슈(4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슈(200) 및 제2슈(400)의 시공을 분리하여 각각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제1슈(200) 및 제2슈(400)는 각각 결합된 상태에 비해 형상이 작고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시공자가 1인이더라도 양 손에 각각 제1슈(200)와 제2슈(400)를 잡고 작업을 할 수 있어 갱폼의 슈 어셈블리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슈(200) 및 제2슈(400)가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1슈(200)와 건물 외벽면에 앵커(A)를 통한 결합공정 및 제2슈(400)와 갱폼 레일(G)의 삽입공정을 별도로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관리자가 작업자에게 작업 업무 부여를 명확하게 할 수 있어 건설공정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슈(400)의 삽입홈(465)의 갱폼 레일(G)의 플랜지(G1)가 삽입되어 걸리기 때문에 제1슈(200)와 제2슈(400)의 결합 후에는 돌풍 등에 의한 바람으로 인해서 갱폼 레일(G)이 건물 외벽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건물 외벽면, 슈 어셈블리 및 갱폼 레일(G)이 연결되기 때문에 건물 외벽면이 갱폼 레일(G)의 이탈 하중을 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2 및 4와 같이, 결합봉(350)의 상방에서 제1슈(200)의 양측 측면패널(300) 및 제2슈(400)의 후단부(360) 양측에는 각각 제1구속홀(310)과 제2구속홀(370)이 형성되고, 제1구속홀(310)과 제2구속홀(370)은 제1슈(200)와 제2슈(4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서로 정렬되어 연통되며, 제1구속홀(310) 및 제2구속홀(370)에는 열쇠핀(P)이 삽입된다. 위와 같은 슈 어셈블리가 결합봉(350)에 걸림고정만 되는 경우에는 제2슈(400)가 제1슈(20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열쇠핀(P)을 삽입함으로써 걸림고정 및 열쇠핀(P)이 회전 저지대 역할을 함으로써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먼저 제1슈(200)를 벽면측을 향하게 고정하고, 도 5 내지 6에서와 같이, 제2슈(400)의 패여진 홈(502)을 통해 제2슈(400)를 결합봉(350)에 걸쳐 가고정을 한다. 이 상태에서 한 손으로는 제2슈(400)를 들고 각도를 조정하며 나머지 손으로는 열쇠핀(P)을 삽입함으로써 제1슈(200)와 제2슈(400)의 착탈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열쇠핀(P)의 끝단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P1)가 형성되고 제1구속홀(310) 및 제2구속홀(370)에는 돌기(P1)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열쇠핀(P)의 삽입 후 회전시에는 열쇠핀(P)이 제1슈(200)의 양측 측면패널(300) 및 제2슈(400)의 후단부(36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1내지 4와 같이, 제1슈(200)의 측면패널(300)의 상단에는 손잡이(H)가 체결되며, 손잡이(H)의 하단부는 측면패널(300)을 관통하고 손잡이(H)의 상단부는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손잡이(H)가 하단부를 통해 제1슈(200)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H)를 형성함으로써, 슈 어셈블리의 작업 및 해체시에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2 및 5 내지 6과 같이, 제2슈(40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패널(500)로 구성되고, 사이드패널(500)의 후단부(360)가 결합봉(350)에 걸림고정되며, 양측 사이드패널(500)은 힌지봉(550)으로 연결되고, 양측 사이드패널(500)의 사이 공간에는 제어멤버(560)가 배치되며, 제어멤버(560)는 후단부가 힌지봉(550)에 관통되어 회전되고 전단부가 갱폼 레일(G)의 걸림바(G2)를 상방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멤버(560)를 통해서 갱폼 레일(G)이 수직으로 낙하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멤버(560)가 갱폼 레일(G)의 걸림바(G2)를 상방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갱폼 레일(G)의 낙하를 방지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멤버(560)는 상방으로는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2슈(4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걸림바(G2)가 걸리지 않게 함으로써, 제2슈(400)를 갱폼 레일(G)의 하방으로 이탈시켜, 슈 어셈블리의 해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결합봉(350)의 상방에서 제1슈(200)의 양측 측면패널(300) 및 제2슈(400)의 양측 사이드패널(500) 후단부(360)에는 각각 제1구속홀(310)과 제2구속홀(370)이 형성되고 제1구속홀(310)과 제2구속홀(370)은 제1슈(200)와 제2슈(4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며, 제1구속홀(310) 및 제2구속홀(370)에는 열쇠핀(P)이 삽입되어 제2슈(40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6과 같이, 제1슈(200) 및 제2슈(400)는, 베이스패널(15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상방에는 제1구속홀(310)과 제2구속홀(370)이 형성되고 하방에 결합봉(350)이 배치되며, 제1구속홀(310) 및 제2구속홀(370)과 결합봉(350)의 사이 지점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힌지봉(55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하여 제어멤버(560)가 상하로 회전하는 경우에 열쇠핀(P)과 결합봉(350)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슈 어셈블리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에 제어멤버(56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과 같이, 제어멤버(560)의 하방으로의 회전 반경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멤버(560)의 하방에 배치되며, 제2슈(400)의 양측 사이드패널(500)에 결합되고, 제2슈(400)의 제어멤버(560)의 하방으로의 회전을 구속하는 받침패널(51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받침패널(510)은 제2슈(400)의 양측 사이드패널(500)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하며, 받침패널(510)에 하단에 받침멤버(520)가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받침멤버(520)의 양측은 각각 제2슈(400)의 양측 사이드패널(500)에 결합되며, 받침멤버(520)의 상단부는 받침패널(510)에 하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받침패널(510)이 형성되게 됨으로써, 제어멤버(560)가 하방으로 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갱폼 레일(G)의 수직 하강시에 제어멤버(560)의 전단부가 갱폼 레일(G)의 걸림바(G2)를 상방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받침패널(510)만으로는 갱폼 레일(G) 자체의 하중 및 낙하하중을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받침패널(510)에 하단에 받침멤버(520)가 결합됨으로써, 받침패널(510)과 받침멤버(520)가 중첩적으로 제어멤버(560)의 하방으로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2, 5 및 7과 같이, 제2슈(40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패널(500)로 구성되고, 사이드패널(500)의 후단부가 결합봉(350)에 걸림고정되며, 양측 사이드패널(500)은 힌지봉(550)으로 연결되고, 양측 사이드패널(500)의 사이 공간에는 제어멤버(560)가 배치되며, 제어멤버(560)는 후단부가 힌지봉(550)에 관통되어 회전되고 전단부가 갱폼 레일(G)의 걸림바(G2)를 상방으로 지지하며, 파지부(460)는 제2슈(400)의 양측 사이드패널(5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파지부(460)는 제2슈(400)의 양측 사이드패널(500)의 전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패널(470), 양측 날개패널(470)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패널(480) 및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패널로 구성되고 지지패널(480)의 내측에 결합된 구속패널(490)로 구성되고, 한 쌍의 구속패널(490)의 이격된 공간에는 삽입홈(46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파지부(460)의 구성을 각각 별도의 패널로 구성함으로써, 슈 어셈블리 제작시에 파지부(460) 구조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파지부(460) 구조를 통해 갱폼 레일(G)의 양측 플랜지(G1)를 감싸는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써 갱폼 레일(G)이 상방 또는 하방 방향 이외에는 이탈이 저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지지멤버(600)는 힌지봉(550)의 상방 또는 하방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지지멤버(600)의 일측이 양측 사이드패널(500)의 외측에 결합되고, 지지멤버(600)의 타측이 날개패널(470)의 후면에 결합된다. 갱폼 레일(G)이 건물 외측면 바깥 방향으로 이탈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갱폼 레일(G)의 플랜지(G1)가 구속패널(490)에 의해 지지되기는 하지만, 이와 같은 이탈 하중은 최종적으로는 제2슈(400)의 사이드패널(500)과 날개패널(470)의 결합력으로만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양측 사이드패널(500)의 외측과 날개패널(470)의 후면에 지지멤버(600)를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이탈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구조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날개패널(470)은 제2슈(400)의 사이드패널(50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지지패널(480)은 날개패널(47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패널이 면 대 면으로 결합되는 것에 비해서 삽입되어 결합하는 경우 패널과 패널 간에 결합력이 증대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각각의 구속패널(490)은 상단(492)에서 중단(494)까지 이격거리가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면을 가지며 중단(494)에서 하단(496)까지 이격거리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진 면을 가짐으로써, 갱폼 레일(G)의 양측 플랜지(G1)가 각각의 구속패널(490)의 중단(494)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이퍼진 면을 가짐으로써, 갱폼 레일(G)의 양측 플랜지(G1)가 구속패널(490)의 중단(494)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구속패널(490)에 중단(494)에 가해지는 하중이 날개패널(470) 및 지지패널(480)에 고르게 분산되어 구속패널(490)과 날개패널(470) 및 지지패널(480)의 결합된 특정 부위에서 단위 전단력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결합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슈 어셈블리가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갱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갱폼의 설치 또는 해체시 작업미숙 및 바람에 의한 낙하사고와 충돌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갱폼 레일의 구조를 수정하지 않고도 바로 새로운 슈 어셈블리를 적용할 수 있고, 새로운 슈 어셈블리 구조를 통해 돌풍 등에 의한 갱폼 레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갱폼 레일 자체의 수직 낙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50 : 베이스패널 200 : 제1슈
300 : 측면패널 310 : 제1구속홀
350 : 결합봉 370 : 제2구속홀
400 : 제2슈 450 : 전단부
460 : 파지부 490 : 구속패널
500 : 사이드패널 550 : 힌지봉
560 : 제어멤버 A : 앵커
G : 갱폼 레일 G1 : 플랜지
G2 : 걸림바

Claims (13)

  1. 건물 외벽면에 후면이 밀착되고 앵커를 통해 건물 외벽면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 베이스패널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각각 돌출됨으로써 베이스패널과 함께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측면패널 및 베이스패널과는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양측의 측면패널을 관통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제1슈; 및
    후단부가 제1슈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결합봉에 걸림고정되어 제1슈와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전단부에는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파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파지부에는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위치된 삽입홈에 갱폼 레일의 양측 플랜지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제2슈;를 포함하고,
    제2슈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패널로 구성되고, 사이드패널의 후단부가 결합봉에 걸림고정되며, 양측 사이드패널은 힌지봉으로 연결되고, 양측 사이드패널의 사이 공간에는 제어멤버가 배치되며, 제어멤버는 후단부가 힌지봉에 관통되어 회전되고 전단부가 갱폼 레일의 걸림바를 상방으로 지지하며,
    결합봉의 상방에서 제1슈의 양측 측면패널 및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 후단부에는 각각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이 형성되고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은 제1슈와 제2슈가 체결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며, 제1구속홀 및 제2구속홀에는 열쇠핀이 삽입되어 제2슈의 회전이 구속되고,
    제어멤버의 하방에 배치되며, 패널 형상으로써 양단이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 하부에 결합되고, 제2슈의 제어멤버의 하방으로의 회전을 구속하는 받침패널이 형성되며, 양측 사이드패널의 사이 공간은 상방으로 개방되고,
    제어멤버는 하면이 평면 형상으로써 갱폼 레일의 걸림바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받침패널의 상면과 면착되어 지지되고, 제어멤버의 상면은 하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결합봉의 상방에서 제1슈의 양측 측면패널 및 제2슈의 후단부 양측에는 각각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이 형성되고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은 제1슈와 제2슈가 체결된 상태에서 서로 정렬되어 연통되며, 제1구속홀 및 제2구속홀에는 열쇠핀이 삽입되고, 열쇠핀의 끝단에는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제1구속홀 및 제2구속홀에는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열쇠핀의 삽입 후 회전시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제2슈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제1슈의 측면패널의 상단에는 손잡이가 체결되며, 손잡이의 하단부는 측면패널을 관통하고 손잡이의 상단부는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손잡이가 하단부를 통해 제1슈 상에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제1슈 및 제2슈는, 베이스패널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상방에는 제1구속홀과 제2구속홀이 형성되고 하방에 결합봉이 배치되며, 제1구속홀 및 제2구속홀과 결합봉의 사이 지점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 힌지봉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받침패널은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위치하며, 받침패널에 하단에 받침멤버가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받침멤버의 양측은 각각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에 결합되며, 받침멤버의 상단부는 받침패널에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9. 제 1항에 있어서,
    제 2슈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패널로 구성되고, 사이드패널의 후단부가 결합봉에 걸림고정되며, 양측 사이드패널은 힌지봉으로 연결되고, 양측 사이드패널의 사이 공간에는 제어멤버가 배치되며, 제어멤버는 후단부가 힌지봉에 관통되어 회전되고 전단부가 갱폼 레일의 걸림바를 상방으로 지지하며, 파지부는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10. 제 9항에 있어서,
    파지부는 제2슈의 양측 사이드패널의 전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패널, 양측 날개패널에서 전방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패널 및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패널로 구성되고 지지패널의 내측에 결합된 구속패널로 구성되고, 한 쌍의 구속패널의 이격된 공간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양측에 위치된 삽입홈에 갱폼 레일의 양측 플랜지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11. 제 10항에 있어서,
    지지멤버는 힌지봉의 상방 또는 하방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며, 지지멤버의 일측이 양측 사이드패널의 외측에 결합되고, 지지멤버의 타측이 날개패널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12. 제 10항에 있어서,
    날개패널은 제2슈의 사이드패널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지지패널은 날개패널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13. 제 10항에 있어서,
    각각의 구속패널은 상단에서 중단까지 이격거리가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면을 가지며 중단에서 하단까지 이격거리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진 면을 가짐으로써, 갱폼 레일의 양측 플랜지가 각각의 구속패널의 중단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슈 어셈블리.
KR2020180005254U 2018-11-16 2018-11-16 갱폼의 슈 어셈블리 KR200490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54U KR200490875Y1 (ko) 2018-11-16 2018-11-16 갱폼의 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254U KR200490875Y1 (ko) 2018-11-16 2018-11-16 갱폼의 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875Y1 true KR200490875Y1 (ko) 2020-01-15

Family

ID=6915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254U KR200490875Y1 (ko) 2018-11-16 2018-11-16 갱폼의 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06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세이프티 클라이밍 갱폼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484Y1 (ko) * 2006-04-20 2006-07-04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KR101006402B1 (ko) 2008-10-13 2011-01-10 권종규 경량의 레벨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
KR20120010406A (ko) * 2010-07-26 2012-02-03 서갑수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KR20130009217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근하기공 윈치 및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KR20180076608A (ko) * 2016-12-28 2018-07-06 이경화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484Y1 (ko) * 2006-04-20 2006-07-04 삼목정공주식회사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KR101006402B1 (ko) 2008-10-13 2011-01-10 권종규 경량의 레벨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
KR20120010406A (ko) * 2010-07-26 2012-02-03 서갑수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KR20130009217A (ko)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근하기공 윈치 및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KR20180076608A (ko) * 2016-12-28 2018-07-06 이경화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306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세이프티 클라이밍 갱폼 시스템
KR102530076B1 (ko) * 2021-02-23 2023-05-09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Iot 융합기술을 활용한 세이프티 클라이밍 갱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9364C2 (ru) Система опалубки для бетонных плит
KR20190114731A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819858B1 (ko) 클라이밍 시스템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이동을 위한 개선된 형태의 클라이밍 시스템용 클라이밍 슈
AU2019284413A1 (en) Individual scaffolding post
KR200490875Y1 (ko) 갱폼의 슈 어셈블리
KR101310595B1 (ko) 갱폼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CN108699847A (zh) 侧护板、具有至少一个这种侧护板的天花板模板系统及用于架设这种侧护板的方法
KR20120008002U (ko) 건축물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구비된 비계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AU2021424267A1 (en) Arrangement of scaffolding components
KR101969434B1 (ko) 갱폼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P2518239B1 (en) A climbing head for hoisting a self-climbing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KR102327935B1 (ko)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100619466B1 (ko)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측면 보강시설
KR20200129741A (ko) 브라켓 장치
KR100835613B1 (ko) 매립형 갱폼 추락 방지 장치
KR102316742B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KR102276294B1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KR102002579B1 (ko) 가이드레일 인양 장치
US20170030094A1 (en) Re-positionable floor guide system and tool for use in the same
KR100931532B1 (ko) 갱폼시스템의 고정장치
KR0131396Y1 (ko) 낙하물 차단용 안전장치
GB2533141A (en) Hydraulic lift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