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742B1 -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742B1
KR102316742B1 KR1020200023397A KR20200023397A KR102316742B1 KR 102316742 B1 KR102316742 B1 KR 102316742B1 KR 1020200023397 A KR1020200023397 A KR 1020200023397A KR 20200023397 A KR20200023397 A KR 20200023397A KR 102316742 B1 KR102316742 B1 KR 102316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handrail
safety
handrail
ceiling
inst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611A (ko
Inventor
이웅균
최승욱
김준경
김현지
Original Assignee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74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2Railings extensible or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하는 안전난간이 건물이 구조나 형상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의도한 형태로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건물의 구조나 형상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의도한 형태의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전난간을 신속하게 설치 또는 해체하거나, 기 설치된 난간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벽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안전난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SAFETY GUARD RAIL FOR EASY INSTALLATION}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하는 안전난간이 건물이 구조나 형상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의도한 형태로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안전난간은 건설현장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안전난간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기둥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기둥을 그물망이나 철근으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건물의 외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아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안전난간의 경우, 기둥에 설치된 브라켓에 철근을 삽입하고 체결수단으로 상기 철근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설치 및 해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부 안전난간의 경우 기둥과 기둥 사이에 그물망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작업자가 큰 충격으로 그물망에 부딪히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그물망이 손상되어 안전난간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안전난간들은 건물의 폭이 좁거나 코너 등의 구간에서는 철근의 길이를 재단하거나 건물의 외벽에 추가 홈을 형성하는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여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1576542호)에서는 절곡로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판체에 난간대를 체결하여 안전난간의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점이 기재되어 있으나, 기둥 사이의 간격이 넓거나 직사각형의 판체를 고정시킬 벽체가 없는 경우에는 안전도가 떨어지거나, 난간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구조나 형상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의도한 형태의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전난간을 신속하게 설치 또는 해체하거나, 기 설치된 난간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벽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안전난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설현장 또는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안전난간에 있어서,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 하측면에 설치되어 지면 또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고정부;와, 지지기둥에 형성되고, 지면과 천장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지지기둥의 높낮이를 조절시키는 높낮이조절부;와, 상기 지지기둥에 설치되고,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고정부는 지지기둥의 천장 면에 설치되어 천장에 압착되도록 구성되는 천장고정부;와, 지지기둥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바닥에 압착되도록 구성되는 바닥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장고정부는 평평한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부착판;과, 상기 천장부착판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돌기;와,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에 고정되어 천장고정부가 압착될 때 길이 방향으로 눌려 압축되는 천장 고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장 고정 스프링은 천장고정부가 천장에 접촉되어 압축되면, 천장 고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천장부착판과 지지기둥을 밀어 상기 지지기둥이 천장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고정부는 바닥면에 부착된 지지기둥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지지기둥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 홈;과, 지지기둥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어지도록 상기 높낮이 조절 홈에 삽입 고정되는 높낮이 고정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난간부는 지지기둥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안전난간 보관부;와, 상기 안전난간 보관부가 지지기둥에 연결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안전난간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난간 보관부는 안전난간 거치부에 거치되고, 안전난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안전난간 배출 홈이 형성되는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와, 상기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의 내측에 고정되는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와, 상기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에 권취 된 상태로 수납되는 안전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난간 거치부는 지지기둥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안전난간 거치대;와,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가 제2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안전난간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는 권취 스프링이 더 포함되어 안전난간이 권취된 상태로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전난간이 외측으로 당겨질 때, 권취 스프링이 내측으로 감겨지면서 안전난간을 상측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되어, 제2 안전난간 거치대에 거치된 안전난간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는 안전난간 보관부가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거치대 회동부재와 안전난간 보관부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난간 장착 확인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권취 스프링은 안전난간이 제2 안전난간 거치대로부터 탈착되면, 탄성력에 의해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난간 장착 확인부는 안전난간 보관부가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안전난간 장착 감지부와, 안전난간 보관부의 장착 여부를 알림으로 제공하는 알림제공부 및 경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림제공부는 안전난간 보관부가 제1 안전난간 거치대에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고, 제2 안전난간 거치대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알림을 경고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구조나 형상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의도한 형태의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을 신속하게 설치 또는 해체하거나, 기 설치된 난간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벽체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안전난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구조의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안전기둥 설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안전난간 거치대가 설치된 높낮이조절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천장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안전난간부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안전난간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안전기둥 설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안전난간 거치대가 설치된 높낮이조절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천장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안전난간부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의 안전난간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 또는 추락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안전난간에 대한 것으로,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지지기둥(100);과, 상기 지지기둥(100)의 상, 하측면에 설치되어 지면 또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지지고정부(200);와, 지지기둥(100)에 형성되고, 지면과 천장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지지기둥(100)의 높낮이를 조절시키는 높낮이조절부(300);와, 상기 지지기둥(100)에 설치되고,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난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고정부(200)는 지지기둥(100)의 천장 면에 설치되어 천장에 압착되도록 구성되는 천장고정부(210)와, 지지기둥(100)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바닥에 압착되도록 구성되는 바닥고정부(220)가 포함된다.
즉,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지지기둥을 천장과 바닥면에 고정시켜 미끄러지거나 지면으로부터 탈락되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평평한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부착판(211)과, 상기 천장부착판(21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돌기(212);와, 상기 스프링 고정돌기(212)에 고정되어 천장고정부(210)가 압착될 때 길이 방향으로 눌려 압축되는 천장 고정 스프링(21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천장 고정 스프링(213)은 천장고정부(210)가 천장에 접촉되어 압축되면, 천장 고정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해 천장부착판(211)과 지지기둥(100)을 밀어 상기 지지기둥(210)이 천장에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고정부(220)는 바닥면에 미끄럼 방지부재(221)가 형성되어 바닥면에 고정된 바닥고정부(22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지지기둥(100)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기둥의 천장고정부(210)에는 천장 고정 스프링(213)이 설치되고, 바닥고정부(220)에는 미끄럼 방지부재(221)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천장고정부(210)와 바닥고정부(220)는 각각 천장고정 회동부재와 바닥고정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장소에 경사가 있는 경우, 상기 천장고정 회동부재와 바닥고정 회동부재의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천장고정부(210)는 천장 고정 스프링(213)를 포함하지 않고 체결나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장소에 나사를 직접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부(300)는 지지기둥(10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 홈(310)과, 지지기둥(100)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어지도록 상기 높낮이 조절 홈(310)에 삽입 고정되는 높낮이 고정 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천장과 바닥의 높이에 맞게 지지기둥(10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천장과 바닥면이 2.5m인 경우, 2.5m에 대응하는 높낮이 조절 홈(310)에 높낮이 고정 핀(320)을 삽입하여 지지기둥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높낮이 조절 홈(310)은 5cm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고정하고자 하는 높이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높낮이 고정 핀(320)은 높낮이 조절 홈(310)에 볼트체결 방식으로 고정시키거나, 높낮이 조절 홈(310)을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높낮이 고정 너트(321)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높낮이 고정 핀(320)은 일자 형상, U자 형상 또는 삼지창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 홈(3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위치 또는 안전도에 따라 작업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천장과 바닥의 높이에 맞게 높낮이 고정 핀(320)을 높낮이 조절 홈(310)에 삽입하여 지지기둥을 설치하되, 천장고정부(210)에 형성된 천장 고정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기둥이 천장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바닥고정부(220)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재(221)에 의해 지지기둥(10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부(400)는 지지기둥(100)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안전난간 보관부(410)와, 상기 안전난간 보관부(410)이 지지기둥(100)에 연결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안전난간 거치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전난간 보관부(410)는 안전난간 거치부(420)에 거치되고, 안전난간(413)이 배출될 수 있도록 안전난간 배출 홈(411a)이 형성되는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와, 상기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의 내측에 고정되는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와, 상기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에 권취된 상태로 수납되는 안전난간(413)을 포함하며, 안전난간 거치부(420)는 지지기둥(100)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안전난간 거치대(421);와,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가 제2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안전난간 거치대(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는 권취 스프링(412a)이 더 포함되어 안전난간(413)이 권취 된 상태로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전난간(413)이 외측으로 당겨질 때, 권취 스프링(412a)이 내측으로 감겨지면서 안전난간(413)을 상측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되어, 제2 안전난간 거치대(422)에 거치된 안전난간(413)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방향은 상하좌우 그 어떠한 방향도 될 수 있다. 가령, 제1방향이 상측 방향인 경우, 제2방향은 하측 방향이 되고, 제1방향이 좌측 방향인 경우, 제2방향은 우측 방향이 된다. 다만, 제1방향과 제2방향이 반드시 반대되는 방향인 것은 아니다. 가령, 제1방향이 상측이고 제2방향이 우측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421, 422)에 거치되는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와 상기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의 내측에 고정되는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는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데, 가령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가 40d의 크기라면,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는 30d의 크기로 형성되어,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에는 권취 스프링(412a)이 더 설치된다. 상기 권취 스프링(412a)는 안전난간(413)이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설치되어, 안전난간(413)이 외측으로 당겨지면 탄성력에 의해 다시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는 제1 안전난간 거치대(421)에 설치되고, 제2 방향으로 안전난간(413)을 당겨 제2 안전난간 거치대(422)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권취 스프링(412a)에 탄성력이 작용되어 안전난간이 팽팽한 상태로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안전난간(413)은 평평한 판 또는 구멍이 형성된 판 또는 그물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421, 422)는 안전난간 보관부(410)가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거치대 회동부재(423)와 안전난간 보관부(410)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난간 장착 확인부(424)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 회동부재(423)은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421, 422)의 설치 각도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안전난간은 평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일부 경사가 진 곳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거치대 회동부재(423)의 각도를 조절하여 안전난간 보관부(410)를 설치한다.
가령, 경사가 15도인 작업장에서는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를 각각 15도, 195도로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난간 장착 확인부(424)는 안전난간 보관부(410)이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421, 422)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는 안전난간 장착 감지부(425)와, 안전난간 보관부(410)의 장착 여부를 알림으로 제공하는 알림제공부(426) 및 경보부재(4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령, 안전난간 보관부(410)이 제대로 거치되지 않았거나, 외력에 의해 제1, 2안전난간 거치대(421, 422)로부터 탈락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안전난간 장착 감지부(425)는 눌림 스위치로 제작되어 안전난간 보관부(410)이 거치될 때, 상기 눌림 스위치를 누르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가 눌려진 상태일 때, 안전난간 보관부(410)이 제대로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고, 스위치가 떼어진 상태일 때, 안전난간 보관부(410)이 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난간 장착 감지부(425)는 금속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판은 제1, 2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금속판에는 전기가 흐르는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421, 422)에 안전난간 보관부(410)이 거치되면, 안전난간 보관부(410)에 의해 제1, 2 금속판이 도통되어 전기가 흐르게 된다. 가령, 제1, 2금속판에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면, 안전난간 보관부(410)이 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난간 장착 감지부(425)에 의해 안전난간 보관부(410)의 장착 상태가 감지되면, 관리자의 단말기로 안전난간의 상태를 전송하게 된다. 관리자는 단말기를 통해 안전난간의 설치상태를 확인하여, 탈착된 부분에 대해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지지기둥 200 : 지지고정부
210 : 천장고정부 220 : 바닥고정부
300 : 높낮이조절부 400 : 안전난간부
410 : 안전난간 보관부 420 : 안전난간 거치부

Claims (8)

  1.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지기둥(100); 지지기둥(100)의 상하측면에 설치되어 지면 또는 천장에 고정되는 지지고정부(200); 지지기둥(100)에 형성되어 지면과 천장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지지기둥(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300); 및 지지기둥(100)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난간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난간부(400)는
    지지기둥(100)과 직각되어 교차 배치되는 안전난간 보관부(410)와, 안전난간 보관부(410)가 거치되어 설치되도록 지지기둥(100)에 결합되는 안전난간 거치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난간 보관부(410)는
    안전난간 거치부(420)에 거치되고 안전난간 배출 홈(411a)이 형성되는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와,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와,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에 권취된 상태로 수납되며, 안전난간 배출 홈(411a)으로부터 배출되는 안전난간(413)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난간 거치부(420)는
    지지기둥(100)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가 제1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안전난간 고정 파이프(411)가 설치되는 제1 안전난간 거치대(421)와,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가 제2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어 안전난간(413)을 당겨 고정시키는 제2 안전난간 거치대(422)와,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421, 422)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거치대 회동부재(423)와, 안전난간 보관부(410)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안전난간 장착 확인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난간 장착 확인부(424)는
    눌림 스위치로 제작되어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421, 422)에 각각 구성되며, 안전난간 보관부(410)에 의해 눌림 스위치가 눌려 안전난간 보관부(410)가 제1, 2 안전난간 거치대(421, 422)에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안전난간 장착 감지부(425)와, 안전난간 보관부(41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으로 제공하는 알림제공부(426) 및 경보부재(4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부(200)는
    지지기둥(100)의 천장 면에 설치되어 천장에 압착되는 천장고정부(210)와,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지부재(221)가 구성되며, 지지기둥(100)의 바닥 면에 설치되어 바닥에 압착되는 바닥고정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천장고정부(210)는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천장에 부착되는 천장부착판(211)과,
    천장부착판(211)의 타측면에 구성되는 스프링 고정돌기(212)와,
    스프링 고정돌기(212)에 고정되어 천장고정부(210)가 압착되면,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는 천장고정 스프링(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부(300)는
    지지기둥(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높낮이 조절 홈(310)과,
    높낮이 조절 홈(310)에 삽입 고정되어 지지기둥(100)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는 높낮이 고정 핀(320)을 포함하며,
    상기 높낮이 고정핀(320)은 볼트체결 또는 일자형상 또는 U자 형상 또는 삼지창 형상 중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는 권취 스프링(412a)을 더 포함하며,
    안전난간 배출 홈(411a)으로부터 배출되는 안전난간(413)이 제2 안전난간 거치대(422)에 거치되면, 내측으로 감겨지는 권취 스프링(412a)에 의해 안전난간(413)은 상측으로 당겨짐으로써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며, 안전난간(413)이 제2 안전난간 거치대(422)로부터 탈착되면 권취 스프링(412a)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난간(413)이 안전난간 권취 파이프(412)로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 장착 감지부(425)는
    눌림 스위치를 대체하여 전기가 인가되는 제1, 2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제1, 2 금속판이 도통되어 전기가 흐르거나, 또는 제1, 2 금속판이 분리되어 전기가 흐리지 않는 것으로 인해 안전난간 보관부(410) 장착 또는 탈착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 장착 감지부(425)에 의해 안전난간 보관부(410)의 장착 상태가 감지되면, 관리자 단말기로 안전난간의 설치상태를 전송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7. 삭제
  8. 삭제
KR1020200023397A 2020-02-26 2020-02-26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KR102316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97A KR102316742B1 (ko) 2020-02-26 2020-02-26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97A KR102316742B1 (ko) 2020-02-26 2020-02-26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611A KR20210108611A (ko) 2021-09-03
KR102316742B1 true KR102316742B1 (ko) 2021-10-26

Family

ID=7778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397A KR102316742B1 (ko) 2020-02-26 2020-02-26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678Y1 (ko) 2021-10-08 2022-07-22 오목조경산업 주식회사 안전 난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5227B2 (ja) * 1993-04-26 2001-10-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の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JP2005337323A (ja) * 2004-05-25 2005-12-08 Kobayashi Byora Kk 板体取付け用フック装置
KR101679542B1 (ko) * 2016-09-05 2016-12-06 송재구 가설난간용 지주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41Y1 (ko) * 1993-07-05 1996-08-26 백승목 실린더용 장력유지판
KR20120121601A (ko) * 2011-04-27 2012-11-06 고용복 비산먼지 발생 방지 겸용 난간대
JP3215227U (ja) * 2017-12-21 2018-03-08 株式会社錦 介護用ポ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5227B2 (ja) * 1993-04-26 2001-10-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の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JP2005337323A (ja) * 2004-05-25 2005-12-08 Kobayashi Byora Kk 板体取付け用フック装置
KR101679542B1 (ko) * 2016-09-05 2016-12-06 송재구 가설난간용 지주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611A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60320A1 (en) Safety rail system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CA2739414A1 (en) Telescopic safety post
KR102316742B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난간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100855758B1 (ko)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KR200425806Y1 (ko)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KR20190022287A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20200098233A (ko) 신축건물 공사용 추락방지 안전지지대
KR102127867B1 (ko)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101879679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101808505B1 (ko) 추락방지망 고정구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JP5170557B2 (ja) 仮設足場用階段枠
CN211736475U (zh) 一种用于阳台的临边防护栏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102641483B1 (ko) 추락 방지 수단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발판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KR200303831Y1 (ko) 건축공사장용 안전선반
KR20200100306A (ko) 갱폼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안전기구
KR20190134299A (ko)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KR101085324B1 (ko) 안전난간 지주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난간 공법
JP5963829B2 (ja) 仮設足場用階段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