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741A - 브라켓 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켓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9741A KR20200129741A KR1020190054597A KR20190054597A KR20200129741A KR 20200129741 A KR20200129741 A KR 20200129741A KR 1020190054597 A KR1020190054597 A KR 1020190054597A KR 20190054597 A KR20190054597 A KR 20190054597A KR 20200129741 A KR20200129741 A KR 202001297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scaffolding
- bracket device
- surface member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4—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는 슬라브의 상면에 위치하되, 상기 슬라브의 외측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되는 상면 부재, 상기 상면 부재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부재, 상기 상면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상면 부재의 상측 상에서 가해지는 무게에 의한 상기 상면 부재의 처짐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 상기 상면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부재,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브라켓 장치로 공사 중인 건축물 상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을 하거나 건축 자체를 올려 놓을 수 있는 발판 장치를 지지하는 브라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이나 교량 등의 각종 구조물을 축조하거나 조선소에서 선박을 건조할 때,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의 도색이나 배관을 비롯한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거나 재료 운반 통로 및 안전망을 치기 위해 임시 구조물인 비계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비계는 통상 수직재, 수평재와 가설 발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에는 지면에 이러한 비계를 높게 설치하였으나 최근에는 초고층 빌딩이 많이 건축됨에 따라 비계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고 작업자의 안전에 위협되어, 최근에는 빌딩, 아파트 등의 초 고층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브라켓 장치가 건축물의 외벽 등에 설치되고, 브라켓 장치의 상부에는 비계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복수의 발판을 옮겨 다니면서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브라켓 장치는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작업자의 무게와 브라켓 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 장치 그리고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한 자제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 및 설치되어야 한다.
다만, 빌딩의 디자인적 형상 및 시공사의 사정에 따라 브라켓 장치의 상부 상에 비계를 높게 설치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
위와 같은 상황에 의해 기존의 브라켓 장치를 그대로 고층에 설치할 경우, 브라켓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브라켓 장치가 기울어지거나 비틀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 장치를 다시 사용하지 못하거나 시공사의 유지보수 비용이 높이질 수 있다.
또한, 브라켓 장치는 건축물에 따라 높게 설치되어 있어, 브라켓 장치가 비틀리거나 골절이 될 경우, 발판위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의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층 빌딩을 시공함에 있어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기울어지거나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브라켓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는 작업자의 무게 및 복수의 발판 장치의 무게 등을 견디며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브라켓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브라켓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전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라켓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는 슬라브의 상면에 위치하되, 상기 슬라브의 외측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되는 상면 부재, 상기 상면 부재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부재, 상기 상면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상면 부재의 상측 상에서 가해지는 무게에 의한 상기 상면 부재의 처짐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 상기 상면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부재,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 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면에 상기 상면 부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상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 각각에는 채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복수의 제1 고정부 및 복수의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고정부에 형성된 제1홀은 상기 상면 부재가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고정부에 형성된 제2홀은 상기 상면 부재가 형성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보다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 보다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는 상면 부재와 보강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부재 및 측면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 작업자의 움직임 및 상면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처짐과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에 의하여 상면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발판 장치의 무게,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면 부재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상면 부재를 슬라브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지지 부재만 구비된 브라켓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발판 장치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발판 장치의 수직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발판 장치의 수평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수직 부재의 삽입부가 수평 부재의 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발판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수평 부재, 수직 부재 및 발판 부재가 결합된 발판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지지 부재만 구비된 브라켓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부재의 상면에 구비되는 발판 장치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발판 장치의 수직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발판 장치의 수평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수직 부재의 삽입부가 수평 부재의 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발판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수평 부재, 수직 부재 및 발판 부재가 결합된 발판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 해고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1)는 상면 부재(10), 측면 부재(20), 보강 부재(30),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부재(40),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 부재(10)는 특정 건설사에서 시공되고 이는 슬라브(A) 상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면 부재(10)는 슬라브(A)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슬라브(A)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브(A)는 시공되고 있는 교량, 건축물 등 구조물에서 수평인 부분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바닥 천장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공되고 있는 건축물이 빌딩일 경우, 각 층마다 슬라브(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브(A)는 주로 콘크리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면 부재(20)는 상면 부재(10)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슬라브(A)의 단부인 측면에 접촉 형성될 수 있다. 즉, 시공되고 있는 건축물의 측벽에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부재(20)의 상하길이는 슬라브의 측면의 상하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 부재(20)의 위치도 상면 부재(10)의 중심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면 부재(10)가 슬라브(A)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측면 부재(20)의 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브라켓 장치(1)의 상부에 설치될 발판 장치(100)의 높이 및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면 부재(10)가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측면 부재(20)의 위치가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30)는 상면 부재(10)와 측면 부재(20)를 연결하여 상면 부재(10)의 상측 상에서 가해지는 무게에 의한 상면 부재(10)의 처짐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 부재(40)는 상면 부재(10)와 보강 부재(3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2 지지 부재(50)는 측면 부재(20)와 보강 부재(30)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판 장치(100)가 상면 부재(10)의 상면에서 높게 설치되더라도 보강 부재(30)와 제1 지지 부재(40)에 의하여 상면 부재(10)의 처짐, 골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제1 지지 부재(40)만 구비된다면 상면 부재(10)의 처짐에 따라 브라켓 장치(1)의 전단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의 상황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부재(10)에 하중이 가해진다면, 상면 부재(10)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면 부재(10)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진다면, 상면 부재(10)에 연결된 보강 부재(30)와 측면 부재(20)도 같이 휘어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측면 부재(20)와 부강 부재(30)가 이루는 제1 각도(a)가 제2 각도(b)로 작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40)만 구비될 경우, 상면 부재(10)의 상부에 구비된 발판 장치(100)가 기울어져 사고로 이어질 수 있고, 브라켓 장치(1)의 전단이 변형되어 추후 재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과 같이 제1 지지 부재(40)와 제2 지지 부재(50)가 동시에 구비된다면, 상면 부재(10)의 상면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2 지지 부재(50)가 보강 부재(30)와 측면 부재(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강 부재(30)가 휘어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면 부재(10)를 제1 지지 부재(40)와 함께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상면 부재(10)의 상면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제2 지지 부재(50)에 의하여 제1 각도(a)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브라켓 장치(1)의 전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부재(20)에 연결되는 제2 지지 부재(50)의 일측 위치가 슬라브(A)의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 부재(50)의 일측은 측면 부재(20)의 중심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제2 지지 부재(50)가 슬라브(A)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제2 지지 부재(50)가 보다 효율적으로 상면 부재(10)와 보강 부재(30)를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제2 지지 부재(50)의 일측이 측면 부재(20) 상에서 너무 높은 지점에 형성될 경우, 하중에 따라 제2 지지 부재(50)가 골절되거나 휘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부재(20)와 수직하게 형성된 가상선(L)이 구비된다면 가상선(L)과 제2 지지 부재(50)가 이루는 제3 각도(c)는 가상선(L)과 보강 부재(30)가 이루는 제4 각도(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발판 장치(100) 상에서 움직이는 작업자 및 상공에서 형성되는 바람에 의해 발판 장치(100)가 흔들리더라도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50)에 의하여 상면 부재(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30)에 연결된 제1 지지 부재(40)의 타측과 보강 부재(30)에 연결된 제2 지지 부재(50)의 타측은 보강 부재(30)의 일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지지 부재(40)와 제2 지지 부재(5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40)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다르게 기울어져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지지 부재(40)가 구비될 경우, 복수의 제1 지지 부재(40) 중 일부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나머지는 기울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브라켓 장치(1) 상부에 구비되는 발판 장치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은 발판 장치의 수직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는 발판 장치의 수평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수직 부재의 삽입부가 수평 부재의 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발판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수평 부재, 수직 부재 및 발판 부재가 결합된 발판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발판 장치(100)는 시스템 비계라고도 한다.
이러한, 발판 장치(100)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할 때 최대한 안전한 작업공간과 위치확보를 위해 작업용 발판 등을 가설하는 기능을 갖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 장치(100)는 복수의 프레임(110), 복수의 유헤드(U-HEAD) 부재(120), 복수의 수직 부재(130), 복수의 수평 부재(140), 복수의 발판 부재(150)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1)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슬라브(A)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비록, 도면 상에는 2개의 브라켓 장치(1)가 슬라브(A)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건축물의 측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슬라브(A)에 더 많은 브라켓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브라켓 장치 상부에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11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 프레임(110)은 상면 부재(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면 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프레임(110)은 각 파이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및 도 8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유헤드 부재(120)가 설치되고, 유헤드 부재(120)의 상부에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부재(130)와 복수의 수평 부재(140) 및 복수의 발판 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발판 부재(150)에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발판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직 부재(1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132)과 수직 프레임(132)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134)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 프레임(132)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연결부(134)는 복수의 슬롯(1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슬롯(136)은 간격 유지하며 수직 프레임(132)의 외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하나의 수직 프레임(132)에 복수의 연결부(134)가 구비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연결부(132)가 구비된 복수의 수직 프레임(132)이 서로 연결되어 수직 부재(130)를 형성할 수 있다.
수평 부재(14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42)과 복수의 삽입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42) 양단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복수의 삽입부(144)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부재(140)는 복수의 삽입부(144)의 상면이 수평 프레임(42) 양단부의 상다면과 일치하도록 복수의 삽입부(144)가 수평 프레임 양단부의 상단면과 하단면의 홈에 삽입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형상에 따라,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부재(140)의 삽입부(144)가 수직 부재(130)의 복수의 슬롯(136) 중 어느 한 곳에 삽입됨에 따라 수평 부재(140)와 수직 부재(13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44)는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게 삽입부(144)의 일측면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슬롯(136)의 홀은 삽입부(144)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되거나 슬롯(136)이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144)가 슬롯(136)의 홀에 삽입 시, 삽입부(144)의 타측면은 슬롯(136)의 홀의 형상에 따라 수직 프레임(132)에 접촉될 수 있다.
발판 부재(15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위에서 돌아다닐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 발판(152)과 발판(152)의 양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고리(15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걸고리(154)는 발판(152)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복수의 걸고리(154)는 발판(152)의 양 측면 중간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걸고리(154)가 수평 부재(140)에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걸고리(154)에는 수평 부재(140) 형상에 대응되는 걸고리 홈(15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걸고리(154)가 복수의 수평 부재(140)에 걸림에 따라 복수의 수평 부재(140)와 발판 부재(1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수평 부재(140) 사이에 발판 부재(150)가 위치되도록, 네 개의 수평 부재(140)와 4개의 수직 부재(130)가 연결됨에 따라 발판 장치(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수직 부재(130)의 복수의 슬롯(136)에 복수의 수평 부재(140)의 삽입부(144)를 삽입함에 따라 별도의 장치나 용접이 필요 없이 쉽게 발판 장치(100)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 및 발판 장치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수직 부재(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직 프레임은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1 수직 프레임 상측에 구비되는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수직 프레임의 복수의 슬롯 중 일부에 복수의 수평 프레임의 삽입부가 삽입되고 이 수평 프레임에 발판이 연결될 경우, 제2 수직 프레임의 복수의 슬롯은 발판 방향으로 향하지 않도록 복수의 슬롯이 제2 수직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 프레임에는 4개의 슬롯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수직 프레임에는 발판 방향을 제외한 3개의 슬롯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수직 프레임으로 형성될 때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2 수직 프레임의 복수의 슬롯이 발판 방향을 제외한 부분에만 형성되는 이유는 작업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발판 부재(150) 위에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제2 수직 프레임의 슬롯이 발판을 향해 형성될 경우, 이동하는 작업자의 옷에 걸리거나 작업자가 운반하고 있는 자재가 걸릴 수 있으므로 작업에 영향을 주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수직 프레임 상부에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제3 수직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수직 프레임 상부에 제2 수직 프레임이 연결되거나 다시 제1 수직 프레임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유헤드 부재(120)에도 복수의 슬롯으로 형성된 연결부가 구비되어 복수의 수평 부재(140)가 유헤드 부재(120)에 연결되고 이 수평 부재(140)에 발판 부재(15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에도 유헤드 부재(120)의 상부에는 제2 수직 부재 또는 제3 수직 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발판 장치(100)가 복수의 상면 부재(10)의 상부에 높이 설치되고, 작업자가 발판 위에서 움직이며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작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1)의 보강 부재(30), 제1 지지 부재(40) 및 제2 지지 부재(50)에 의하여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부재(10)의 상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110)이 일부분이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면 부재(10)에 홀이 형성되고 지지 프레임(110)에 홀이 형성되어 별도의 채결 장치가 상면 부재(10)의 홀과 프레임 홀에 삽입됨에 따라 지지 프레임(110)이 상면 부재(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장치(1)은 고정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0)는 상면 부재(10)에서 돌출되어 슬라브(A)의 상면에 상면 부재(10)를 고정하도록 슬라브(A)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부(60) 각각에는 채결 부재(62)가 관통하도록 홀(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결 부재(64)는 홀(62)을 통과하고 슬라브(A)에 고정되어 상면 부재(10)를 슬라브(A)에 고정시킬 수 있다. 채결 부재(64)는 홀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앙카볼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복수의 고정부(60)는 복수의 제1 고정부(66) 및 복수의 제2 고정부(6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66)에 형성된 제1홀은 상면 부재(10)가 형성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의 제2 고정부(68)에 형성된 제2홀은 상면 부재(10)가 형성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부(66)의 제1홀과 제2 고정부(68)의 제2홀에는 각각 복수의 채결 부재(64)가 관통되어 슬라브(A)에 고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 및 제2홀의 형상에 따라 제1 고정부(66)는 상면 부재(10)의 상부에 설치된 발판 장치의 하중을 견디면서 슬라브(A)의 상면에 상면 부재(10)를 고정 역할을 하고, 제2 고정부(68)는 상면 부재(10)의 비틀림을 방지하며 슬라브(A)의 상면에 상면 부재(10)를 고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면 부재(10)의 상면에 발판 장치(100)의 하중이 가해지면,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상면 부재(10) 중 슬라브(A)의 측면 근처에 위치한 부분보다 슬라브(A)의 측면에서 이격된 부분에 벤딩 하중이 더 가해질 수 있다. 또한, 발판 장치(100)의 하중에 의해 상면 부재(10) 중 슬라브(A)의 측면 근처에 위치한 부분에는 비틀림이 발생 수 있다.
따라서, 상면 부재(10)를 효율적으로 슬라브(A)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부재(10)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2 고정부(68)의 위치를 슬라브(A)의 측면에 근접하게 형성하고, 제2 고정부(66)의 위치는 슬라브(A)의 측면에서 이격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고정부(68)의 위치가 제1 고정부(66)의 위치 보다 슬라브(A)의 측면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부재(10)의 상면에 설치된 발판 장치(100)의 무게, 건축물의 환경에 따라 제1 고정부(66)의 위치는 제2 고정부(68)의 위치 보다 슬라브의 측면(A)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브라켓 장치 10: 상면 부재
20: 측면 부재 30: 보강 부재
40: 제1 지지 부재 50: 제2 지지 부재
60: 고정부 62: 홀
64: 채결 부재 66: 제1 고정부
68: 제2 고정부 100: 발판 장치
120: 유헤드 부재 130: 수직 부재
132: 수직 프레임 134: 연결부
136: 슬롯 140: 수평 부재
142: 수평 프레임 144: 삽입부
150: 발판 부재 152: 발판
154: 걸고리 156: 걸고리홈
20: 측면 부재 30: 보강 부재
40: 제1 지지 부재 50: 제2 지지 부재
60: 고정부 62: 홀
64: 채결 부재 66: 제1 고정부
68: 제2 고정부 100: 발판 장치
120: 유헤드 부재 130: 수직 부재
132: 수직 프레임 134: 연결부
136: 슬롯 140: 수평 부재
142: 수평 프레임 144: 삽입부
150: 발판 부재 152: 발판
154: 걸고리 156: 걸고리홈
Claims (5)
- 슬라브의 상면에 위치하되, 상기 슬라브의 외측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되는 상면 부재;
상기 상면 부재에서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부재;
상기 상면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상면 부재의 상측 상에서 가해지는 무게에 의한 상기 상면 부재의 처짐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
상기 상면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부재;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부재에서 돌출되어 상기 슬라브의 상면에 상기 상면 부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슬라브의 상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부 각각에는 채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는 브라켓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부는 복수의 제1 고정부 및 복수의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고정부에 형성된 제1홀은 상기 상면 부재가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고정부에 형성된 제2홀은 상기 상면 부재가 형성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브라켓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보다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 보다 상기 슬라브의 측면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597A KR20200129741A (ko) | 2019-05-10 | 2019-05-10 | 브라켓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597A KR20200129741A (ko) | 2019-05-10 | 2019-05-10 | 브라켓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741A true KR20200129741A (ko) | 2020-11-18 |
Family
ID=7369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4597A KR20200129741A (ko) | 2019-05-10 | 2019-05-10 | 브라켓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974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5087B1 (ko) * | 2021-06-14 | 2021-11-11 | (주)금문이엔씨 | 조립식 시스템 비계 |
KR102459908B1 (ko) * | 2021-06-16 | 2022-10-31 | (주)대명이십일 |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4483B1 (ko) | 2015-11-19 | 2016-09-09 | 조성주 |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
-
2019
- 2019-05-10 KR KR1020190054597A patent/KR2020012974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4483B1 (ko) | 2015-11-19 | 2016-09-09 | 조성주 |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5087B1 (ko) * | 2021-06-14 | 2021-11-11 | (주)금문이엔씨 | 조립식 시스템 비계 |
KR102459908B1 (ko) * | 2021-06-16 | 2022-10-31 | (주)대명이십일 |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202064A1 (en) | Bracket and method for supoprting a platform from concrete form tabs | |
JP2000328777A (ja) | エレベータ据付用足場構造 | |
KR101246665B1 (ko) |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 |
WO2014080998A1 (ja) | 足場または支保工の支柱用鋼管 | |
KR20130001947A (ko) |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 |
KR100731315B1 (ko) |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 |
KR20200129741A (ko) | 브라켓 장치 | |
JP2015124599A (ja) | 仮設風防ユニット | |
KR102127867B1 (ko) |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 |
JP6525198B2 (ja) | 既存建屋の耐震補強工法及び補強装置 | |
KR100999176B1 (ko) | 갱폼 어셈블리 | |
KR102614750B1 (ko) | 건축용 슬라브 패널 빔 지지가이드 | |
KR102425363B1 (ko) | 클라이밍 시스템 일체식 낙하물방지망 설치구조 및 그의 설치방법 | |
JP6520533B2 (ja) |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 |
JP2013144873A (ja) | 屋根上で命綱を固定するためのリードロープの布設システム | |
JP2022076945A (ja) | 吊り足場 | |
KR101134360B1 (ko) |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 |
JP7414769B2 (ja) | 設置具、及び、設置具を用いた載置台又は足場 | |
JP6464459B2 (ja) | 柱脚金具及び柱脚金具を備える建物ユニット並びにその設置方法 | |
JP7121381B2 (ja) | 落下物飛散防止装置 | |
JP7436341B2 (ja) | 構造物のリフトアップ工法およびその装置構成 | |
KR102374870B1 (ko) |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 |
KR102259942B1 (ko) |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 |
JP5383613B2 (ja) | 仮設足場用階段枠 | |
JP6120711B2 (ja) | ユニット構造物における吊下部材の掛止構造および吊下部材の掛止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