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908B1 -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9908B1 KR102459908B1 KR1020210078224A KR20210078224A KR102459908B1 KR 102459908 B1 KR102459908 B1 KR 102459908B1 KR 1020210078224 A KR1020210078224 A KR 1020210078224A KR 20210078224 A KR20210078224 A KR 20210078224A KR 102459908 B1 KR102459908 B1 KR 1024599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member
- rod
- coupler
- support
- construction meth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3—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outside contour of a bui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4—Flexible elements, with or without brackets, e.g. ropes, cables, cha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은, 제1 수직재(100)에 제1 연결재(400)를 연결하고 제1 연결재(400)에 제2 수직재(200)를 연결하여, 제1 수직재(100)보다 더 높은 위치에 제2 수직재(200)를 설치하는 제1 단계와, 브라켓(600)을 설치하는 제2 단계와, 브라켓(600) 상에 제2 수직재(200)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은, 제1 단계에 앞서, 제1 수직재(100)에 제2 연결재(800)를 연결하고 제2 연결재(800)에 수직재를 연결하여, 제1 수직재(100)보다 더 높은 위치에 제2 수직재(200)를 설치하는 단계와, 제1 단계와 제3 단계의 사이에 제2 연결재(800)를 해체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물은 시스템비계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재 및 지지재를 개발하여 윗부분의 구조물을 해체하지 않고 연결재의 해체만으로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비계는 건설 현장, 건축 공사 현장, 조선소 등의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이며, 작업자가 자재를 운반하거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비계는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발판 등을 포함하고, 이들 부재들은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 조립될 수 있다.
시스템비계는 높이 31m 이상 설치 시,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하여 설계도서를 작성하고 구조기술사의 안전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시스템비계의 허용 높이가 초과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윗부분의 높이를 계산하여 브라켓 등으로 보강을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20층의 건물의 시스템비계 구조 검토 결과, 예컨대 14층에 브라켓을 설치하여야 한다고 가정할 때, 종래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골조 공사의 진행을 위하여 예컨대 16층까지 비계를 설치한 뒤, 14층 콘크리트가 양생이 되었을 때 윗부분의 구조물, 즉 15층 및 16층의 구조물을 해체한 후 14층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다시 15층 ~ 20층에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이중의 비용과 시간이 발생하게 되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물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물의 목적은 비용과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인 시스템비계 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물은, 제1 수직재에 제1 연결재를 연결하고 제1 연결재에 제2 수직재를 연결하여, 제1 수직재보다 더 높은 위치에 제2 수직재를 설치하는 제1 단계와, 브라켓을 설치하는 제2 단계와, 브라켓 상에 제2 수직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지지부는 브라켓 상에 놓여지는 멍에와, 멍에와 제2 수직재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단계는, 지지 로드의 상단이 제2 로드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지지재를 위치시키는 것과, 멍에를 브라켓 상에 놓는 것과, 제3 스토퍼를 지지 로드의 제3 부위까지 지지 로드의 상단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 로드의 하단이 멍에에 접촉될 때까지 지지 로드를 내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은, 제1 연결재를 해체하는 제4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은, 제1 단계에 앞서, 제1 수직재에 제2 연결재를 연결하고 제2 연결재에 수직재를 연결하여, 제1 수직재보다 더 높은 위치에 제2 수직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제1 단계와 제3 단계의 사이에 제2 연결재를 해체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재를 해체하는 단계는, 하부 스토퍼를 제2 연결 로드의 상단을 향하여 이동시켜 제2 연결 로드를 내림으로써, 제2 연결재와 제2 수직재의 연결이 해체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개시물은 효율적인 시스템비계 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시스템비계 설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제1 연결재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지지재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2는 본 개시물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제2 연결재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우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1은 제1 연결재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지지재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2는 본 개시물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제2 연결재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우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비계는 수직재, 수평재, 가새재 및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비계도 마찬가지로 이들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전체적인 구조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비계의 구조와 다르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수평재, 가새재(미도시) 및 발판(미도시)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비계 시공방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수평재, 가새재 및 발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최소화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시스템비계는 다수의 수직선을 따라 다수의 수직재를 세워 설치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특정 높이에서 어느 특정 수직선을 따라 세워지는 수직재만을 설명한다. 예컨대, 이하에서 제1 수직재(100)만 및 제2 수직재(200)만을 언급하며 시스템비계를 설명하지만, 동일 높이에 다수의 제1 수직재(100)들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예컨대, 도 5 및 도 6에서는 4 개의 제1 수직재(10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 수직재(100)의 하단에 또 다른 수직재가 연결되고 제2 수직재(200)의 상단에 또 다른 수직재가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면에서 건물 벽면(W)을 바라보는 도면을 정면도로 기준 삼아 설명한다. 따라서 건물 벽면(W)을 수평으로 가로지는 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제1 연결재(400)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지지재(500)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1 연결재(400)와 지지부가 필요하다. 지지부는 멍에(700)와 지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제1 연결재(400)는 제1 연결 로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로드(410)는 대략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개시물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재(400)는 제1 연결 로드(4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포크(fork) 결합구(421)와 상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포크 결합구(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크 결합구(421)와 제2 포크 결합구(431)는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끝단이 분기된 형상을 갖는다. 제1 포크 결합구(421) 및 제2 포크 결합구(431)에는 각각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멍에(7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 참조).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멍에(700)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목재 보일 수 있으나, 본 개시물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재(500)는 멍에(700)와 제2 수직재(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지지재(500)는 지지 로드(510)와 제3 스토퍼(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로드(510)는 좌굴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지만, 본 개시물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지지 로드(510)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제3 스토퍼(520)는 지지 로드(5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지지 로드(5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 스토퍼(520)는 지지 로드(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 로드(510)에 결합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3 스토퍼(52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가져, 회전하면서 지지 로드(5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지지재(500)는 지지 로드(5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채널 결합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멍에(700)가 채널 결합구(530)에 삽입되어 지지재(500)의 하단이 멍에(7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직재(100)에 제1 연결재(400)를 연결하고 제1 연결재(400)에 제2 수직재(200)를 연결하여, 제1 수직재(100)보다 더 높은 위치에 제2 수직재(20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 수직재(100)는 제1 로드(110)와 제1 로드(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1 로드(110)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 결합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드(1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개시물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로드(110)는 적어도 상단에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랜지 결합구(120)는 제1 연결재(400)의 제1 포크 결합구(4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플랜지 결합구(120)는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공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랜지 결합구(120)가 제1 포크 결합구(421)에 삽입되어 제1 플랜지 결합구(120)의 관통공 및 제1 포크 결합구(421)의 관통들이 중첩된 상태에서 제1 플랜지 결합구(120)의 관통공 및 제1 포크 결합구(421)의 관통공들에 제1 연결핀(423)이 삽입되어, 제1 수직재(100)와 제1 연결재(400)가 연결될 수 있다. 안전을 위하여 제1 연결핀(423)은 제1 포크 결합구(42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수직재(200)는, 제2 로드(210)와 제2 로드(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2 로드(210)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 결합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로드(2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개시물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로드(210)는 적어도 하단에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랜지 결합구(220)는 제1 연결재(400)의 제2 포크 결합구(4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랜지 결합구(220)는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공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랜지 결합구(220)가 제2 포크 결합구(431)에 삽입되어 제2 플랜지 결합구(220)의 관통공 및 제2 포크 결합구(431)의 관통들이 중첩된 상태에서 제2 플랜지 결합구(220)의 관통공 및 제2 포크 결합구(431)의 관통공들에 제2 연결핀(433)이 삽입되어, 제2 수직재(200)와 제1 연결재(400)가 연결될 수 있다. 안전을 위하여 제2 연결핀(433)은 제2 포크 결합구(43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수직재(100)와 제2 수직재(200)가 가상의 선을 따라 기립되게 설치되고, 그 가상의 선을 기준선이라 부를 때,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 수직재(100), 지지재(500) 및 제2 수직재(200)는 기준선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멍에(700)는 좌우 방향을 따라 기준선을 지나도록 놓여질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재(400)는 멍에(700) 및 지지재(500)와 간섭되지 않도록 기준선보다 전방 및/또는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을 참조할 때, 앞쪽 제1 수직재(100)에 연결되는 제1 연결재(400)는 앞쪽 제1 수직재(100)의 기준선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뒤쪽 제1 수직재(100)에 연결되는 제1 연결재(400)는 뒤쪽 제1 수직재(100)의 기준선보다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600)을 설치한다. 브라켓(600)은 예컨대 건물의 벽면(W)에 고정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브라켓(600)의 상면은 제1 수직재(100)와 제2 수직재(200)의 사이에 오도록 하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멍에(700)가 제1 수직재(100)와 제2 수직재(200)의 사이에 놓여지게 될 것이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브라켓(600)은 제1 수직재(100), 제1 연결재(400) 및 제2 수직재(200)와 간섭되지 않도록 기준선보다 좌측 및/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 참조) 도 6은, 좌측의 제1 수직재(100)의 우측과 우측의 제1 수직재(100)의 좌측에 각각 브라켓(600)이 설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600) 상에 제2 수직재(200)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지지 로드(510)의 상단이 제2 로드(210)의 하단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지지재(5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이 단계는 브라켓(600) 설치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멍에(700)를 브라켓(600) 위에 올려 놓는다. 도 5 및 도 6은, 2 개의 브라켓(600)의 위에 2 개의 멍에(700)가 놓여지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제3 스토퍼(520)를 지지 로드(510)의 제3 부위까지 지지 로드(510)의 상단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 로드(510)는 하강하여 지지 로드(510)의 하단이 멍에(700)에 접촉되게 된다. 지지 로드(510)가 멍에(7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 로드(510)의 제3 부위에 결합된 제3 스토퍼(520)는 제2 수직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재(400)를 해체할 수 있다. 물론, 도 5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에서는, 다른 부재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제1 연결재(400)를 반드시 해체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개시물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7은 제2 연결재(800)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시스템비계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우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앞서 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할 때, 제2 연결재(800)는 제2 연결 로드(810)와 하부 스토퍼(820)와 상부 스토퍼(8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로드(8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스토퍼(820)는, 제2 연결 로드(8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2 연결 로드(810)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스토퍼(820)는 제2 연결 로드(8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2 연결 로드(8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스토퍼(830)는 제2 연결 로드(8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2 연결 로드(8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스토퍼(830)는 제2 연결 로드(8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부 스토퍼(820)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2 연결 로드(810)에 결합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2 연결 로드(810)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가지고, 하부 스토퍼(820) 및 상부 스토퍼(830)는 각각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하부 스토퍼(820) 및 상부 스토퍼(830)는 회전하면서 제2 연결 로드(8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수직재(100), 제1 연결재(400) 및 제2 수직재(200)를 설치하기에 앞서, 제1 수직재(100)에 제2 연결재(800)를 연결하고 제2 연결재(800)에 수직재를 연결하여, 제1 수직재(100)보다 더 높은 위치에 제2 수직재(200)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연결 로드(810)의 하단이 제1 수직재(100)의 상단의 중공에 삽입되고, 하부 스토퍼(820)는 제2 연결 로드(810)의 제1 부위로 이동되어 제1 수직재(1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 연결재(800)는 제1 수직재(1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 로드(810)의 상단이 제2 수직재(200)의 하단의 중공에 삽입되고, 상부 스토퍼(830)는 제1 부위보다 높은 제2 연결 로드(810)의 제2 부위로 이동되어 제2 수직재(2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연결재(400)는 제2 연결재(400)를 대체하여, 시스템비계 설치 작업의 진행 중에 제2 수직재(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로드(410)가 대략 비직선 형상을 가지고 제2 연결 로드(810)가 대략 직선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2 연결재(800)는 제1 연결재(400)에 비하여 좌굴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예컨대 16층까지 비계를 설치한 뒤 14층 콘크리트가 양생이 되었을 때 14층에 브라켓(600)을 설치한다고 가정할 때,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공사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지부가 설치되기까지 제1 연결재(4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15층 및 16층의 발판에 올라 작업을 하는 경우, 제1 연결재(400)는 구조 상 좌굴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상대적으로 안전에 취약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연결재(800)가 해체될 때까지 작업자가 15층 및 16층의 발판에 올라 작업을 하더라도, 제2 연결재(800)는 구조 상 좌굴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2 연결재(800)는 지지부를 설치하기에 앞서 해체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2 연결재(800)를 대체하는 제1 연결재(400)를 설치한 후 브라켓(600)을 설치하기에 앞서, 제2 연결재(800)를 해체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물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라켓(600) 설치 후 지지부 설치 전에 제2 연결재(800)를 해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해체는 제1 수직재(100) 및 제2 수직재(200)와의 연결을 모두 해체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1 수직재(100) 및 제2 수직재(200) 중 어느 하나와의 연결을 해체하여 제2 연결재(800)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하부 스토퍼(820)를 제2 연결 로드(810)의 상단을 향하여 이동시켜 제2 연결 로드(810)를 하강시킴으로써, 제2 연결재(800)와 제2 수직재(200)의 연결이 해체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2 연결재(800)를 해체할 수 있다.
어떠한 실시예들에서, 제1 수직재(100), 제2 연결재(800) 및 제2 수직재(200)는 기준선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1 연결재(400)는 제2 연결재(800)와 간섭되지 않도록 기준선보다 전방 및/또는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600)은 제1 수직재(100), 제1 연결재(400), 제2 연결재(800) 및 제2 수직재(200)와 간섭되지 않도록 기준선보다 좌측 및/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Claims (17)
- 제1 수직재에 제1 연결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재에 제2 수직재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수직재보다 더 높은 위치에 상기 제2 수직재를 설치하는 제1 단계와,
브라켓을 설치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브라켓 상에, 상기 제1 수직재에 연결된 상기 제1 연결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수직재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2 수직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브라켓 상에 놓여지는 멍에와,
상기 멍에와 상기 제2 수직재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재를 포함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는 하단에 채널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멍에가 상기 채널 결합구에 삽입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멍에는 상기 제1 수직재 및 상기 제2 수직재의 사이에 놓여지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재는,
적어도 하단에 중공을 갖는 제2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재는
지지 로드와
상기 지지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 로드에 결합되는 제3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은 상기 제2 로드의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3 스토퍼는 상기 지지 로드의 제3 부위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로드를 지지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2 로드의 상기 중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재를 위치시키는 것과,
상기 멍에를 상기 브라켓 상에 놓는 것과,
상기 제3 스토퍼를 상기 지지 로드의 상기 제3 부위까지 상기 지지 로드의 상단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 로드의 하단이 상기 멍에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지지 로드를 내리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갖고,
상기 제3 스토퍼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가져,
상기 스토퍼는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재, 상기 지지재 및 상기 제2 수직재는 기준선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멍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기준선을 지나도록 놓여지고,
상기 제1 연결재는 상기 멍에 및 상기 지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기준선보다 전방 및/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수직재, 상기 제1 연결재 및 상기 제2 수직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기준선보다 좌측 및/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재는
제1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 로드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재는,
제2 로드와
상기 제2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 로드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재는
상기 제1 플랜지 결합구와 연결되는 제1 포크 결합구와
상기 제2 플랜지 결합구와 연결되는 제2 포크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 결합구와 상기 제1 포크 결합구는 각각 관통공을 갖고, 상기 제1 플랜지 결합구가 상기 제1 포크 결합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플랜지 결합구 및 상기 제1 포크 결합구의 상기 관통공들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플랜지 결합구 및 상기 제1 포크 결합구의 상기 관통공들에 제1 연결 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수직재와 상기 제1 연결재가 연결되고,
상기 제2 플랜지 결합구와 상기 제2 포크 결합구는 각각 관통공을 갖고, 상기 제2 플랜지 결합구가 상기 제2 포크 결합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플랜지 결합구 및 상기 제2 포크 결합구의 상기 관통공들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플랜지 결합구 및 상기 제2 포크 결합구의 상기 관통공들에 제2 연결 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2 수직재와 상기 제2 연결재가 연결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재를 해체하는 제4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앞서, 상기 제1 수직재에 제2 연결재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연결재에 상기 수직재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수직재보다 더 높은 위치에 상기 제2 수직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사이에 상기 제2 연결재를 해체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재, 상기 제2 연결재 및 상기 제2 수직재는 기준선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재는 상기 제2 연결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기준선보다 전방 및/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수직재, 상기 제1 연결재, 상기 제2 연결재 및 상기 제2 수직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기준선보다 좌측 및/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재는,
적어도 상단에 중공을 갖는 제1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재는,
적어도 하단에 중공을 갖는 제2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재는
제2 연결 로드와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연결 로드에 결합되는 하부 스토퍼와,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 스토퍼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 로드에 결합되는 상부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하단이 상기 제1 수직재의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 스토퍼는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제1 부위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수직재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상단이 상기 제2 수직재의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스토퍼는 상기 제1 부위보다 높은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제2 부위로 이동되어 상기 제2 수직재를 지지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재를 해체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스토퍼를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상단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제2 연결 로드를 내림으로써, 상기 제2 연결재와 상기 제2 수직재의 연결이 해체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로드는 외주면에 수나사산을 갖고,
상기 하부 스토퍼 및 상기 상부 스토퍼는 각각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가져,
상기 하부 스토퍼 및 상기 상부 스토퍼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2 연결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224A KR102459908B1 (ko) | 2021-06-16 | 2021-06-16 |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224A KR102459908B1 (ko) | 2021-06-16 | 2021-06-16 |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9908B1 true KR102459908B1 (ko) | 2022-10-31 |
Family
ID=8380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8224A KR102459908B1 (ko) | 2021-06-16 | 2021-06-16 |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90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56965A2 (de) * | 2018-04-19 | 2019-10-23 | ALTRAD plettac assco GmbH | Reduzierhülse, rohrverbinder, verbindungssystem, gerüstbauteil, gerüstsyste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rüstbauteils |
KR20200129741A (ko) * | 2019-05-10 | 2020-11-18 | 정병학 | 브라켓 장치 |
KR102215637B1 (ko) * | 2019-09-19 | 2021-02-16 | (주)장원피앤에이치 | 가변 횡지지대를 구비한 파이프 서포팅장치 |
-
2021
- 2021-06-16 KR KR1020210078224A patent/KR1024599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56965A2 (de) * | 2018-04-19 | 2019-10-23 | ALTRAD plettac assco GmbH | Reduzierhülse, rohrverbinder, verbindungssystem, gerüstbauteil, gerüstsyste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rüstbauteils |
KR20200129741A (ko) * | 2019-05-10 | 2020-11-18 | 정병학 | 브라켓 장치 |
KR102215637B1 (ko) * | 2019-09-19 | 2021-02-16 | (주)장원피앤에이치 | 가변 횡지지대를 구비한 파이프 서포팅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389419B (zh) | 悬挑支模平台安装结构及施工方法 | |
KR101711614B1 (ko) |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 |
KR102459908B1 (ko) | 시스템비계 시공방법 | |
JP2005264569A (ja) | 既存建物の下層階増築工法 | |
KR101215384B1 (ko) | 플라잉 테이블 폼 | |
KR102255700B1 (ko) |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 |
CN209907886U (zh) |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 |
CN210084690U (zh) | 加装电梯的井道 | |
CN113431313A (zh) | 外架结构及其施工方法 | |
JP2009030259A (ja) | 立体駐車場鉄骨を利用した躯体構築方法 | |
RU2282700C1 (ru) | Универсальная система модульной опалубки | |
JP3209201B2 (ja) | 工事用エレベータの取込みステージ | |
KR101514891B1 (ko) | 슬래브 거푸집 구조 | |
JP2542029Y2 (ja) | 組立式作業足場 | |
KR20180079696A (ko) | 시스템 비계용 단관 연결구 및 단관 연결구조 | |
JP7335769B2 (ja) | コーナーカバー取り付け金具及びコーナーカバー取り付け方法 | |
CN219471224U (zh) | 一种建筑钢架连接安装结构 | |
JPH0874412A (ja) | 建築用足場及びその構築方法 | |
KR102564036B1 (ko) | 폴딩형 레일 갱폼 시스템 | |
KR101474469B1 (ko) | 시스템 동바리를 이용한 비계 발판 가새부재 | |
KR200418150Y1 (ko) | 용이한 조립구조를 갖는 호이스트 방호울 | |
JP6990946B1 (ja) | 仮設手摺及びその設置方法 | |
CN221298551U (zh) | 一种包含整体伸缩内模的电梯井工作平台 | |
CN115162823B (zh) | 尖顶钢构件的拼装方法 | |
KR101216734B1 (ko) | 표준규격 안전발판 설치용 서포트모듈 및 상기 모듈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서포트모듈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