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384B1 - 플라잉 테이블 폼 - Google Patents
플라잉 테이블 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5384B1 KR101215384B1 KR1020100101009A KR20100101009A KR101215384B1 KR 101215384 B1 KR101215384 B1 KR 101215384B1 KR 1020100101009 A KR1020100101009 A KR 1020100101009A KR 20100101009 A KR20100101009 A KR 20100101009A KR 101215384 B1 KR101215384 B1 KR 1012153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support
- panel
- formwork
- suppor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콘크리트를 직접 지지하는 거푸집 패널을 모듈화함으로써 가변적인 평면에서도 적용성이 우수하고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가 스위블 가능한 구조로서 거푸집의 탈형 후 내부 이동 및 발코니 난간의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거푸집 탈형 후 일정 기간 존치되는 휠라서포트 처리가 간편하여 골조공사의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특히 골조형식의 공동주택에서 적용성이 뛰어난 새로운 형식의 시스템화된 슬래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잉 테이블 폼은, 길이방향을 따라 슬래브 콘크리트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의 양쪽에 배치되어 보와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 사이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및 서포트 강관과, 서포트 강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거푸집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멍에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위블 가능하게 멍에와 서포트 강관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플라잉 테이블 유닛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서포트를 포함하며,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이를 지지하는 서포트는 슬래브 콘크리트 경화 후에도 일정 기간 존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잉 테이블 폼은, 길이방향을 따라 슬래브 콘크리트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의 양쪽에 배치되어 보와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 사이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및 서포트 강관과, 서포트 강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거푸집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멍에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위블 가능하게 멍에와 서포트 강관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플라잉 테이블 유닛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서포트를 포함하며,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이를 지지하는 서포트는 슬래브 콘크리트 경화 후에도 일정 기간 존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스템화된 슬래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직접 지지하는 거푸집 패널을 모듈화함으로써 가변적인 평면에서도 적용성이 우수하고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가 스위블 가능한 구조로서 거푸집의 탈형 후 내부 이동 및 발코니 난간의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거푸집 탈형 후 일정 기간 존치되는 휠라서포트 처리가 간편하여 골조공사의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특히 골조형식의 공동주택에서 적용성이 뛰어난 새로운 형식의 플라잉 테이블 폼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Formwork)이란 형틀이라고도 부르는 가설물의 일종으로서 콘크리트가 응결, 경화하는 동안 일정한 형태와 치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동시에 콘크리트가 경화하는데 필요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고 외기의 영향을 차단하여 콘크리트가 적절하게 양생되도록 한다. 거푸집은 표면마감에 요구되는 품질, 필요한 강도, 경제성, 안전성 등의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거푸집은 크게 콘크리트 표면에 직접 맞닿는 널재와 널재를 제 위치에 고정시켜주는 지지재로 대별할 수 있다. 널재는 거푸집널(면판), 거푸집널을 지지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압력으로 인하여 거푸집널이 휘어지거나 밀려나는 일이 없도록 거푸집널의 외측에서 버텨주는 장선과 멍에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재 중에서 특히 슬래브나 보 등의 하부를 지탱해주는 부재를 동바리라 하는데 강관 지주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거푸집은 판의 재료에 따라 합판형틀, 강재형틀, 유로폼, 알루미늄형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로폼은 철재의 틀에 합판을 붙여 만든 패널폼의 일종으로서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시스템화 거푸집이다. 패널폼은 원래 모듈식 거푸집으로도 불리우며 거푸집의 모듈화를 통하여 현장제작에 소요되는 인력을 줄이고 자재의 전용 횟수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거푸집 조립은 품이 많이 드는 작업으로서 동일한 작업이 되풀이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시공과정을 간략화하기 위해 구조물의 형상에 적합한 다양한 거푸집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수평, 수직적으로 반복된 구조물을 시공 이음 없이 균일한 형상으로 시공하기 위한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또는 슬립 폼(Slip form)), 벽체 전용 거푸집으로서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 바닥 전용 거푸집으로서 플라잉 폼(Flying form, 또는 테이블 폼(Table form)), 벽식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시공할 때 벽과 바닥의 콘크리트를 한 번에 타설하기 위한 터널 폼(Tunnel form) 등이 있다.
외국에서는 바닥 거푸집으로서 시스템화된 테이블 폼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벽식구조의 공동주택이 대부분인 실정상 테이블 폼에 대한 기술개발은 미미한 수준이다. 외국에서 개발된 테이블 폼의 경우 슬래브를 지지하고 있던 대형 플라잉 폼을 인양하기 위해 해체할 경우 슬래브 콘크리트의 양생 기간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슬래브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슬래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확인 후 해체하며, 해체된 슬래브 콘크리트에 동바리(이하 '휠라서포트'라함) 존치가 필요하다. 휠라서포트 설치는 거푸집을 전부 해체하고 휠라서포트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슬래브 콘크리트가 일정 강도를 확보했을 때 가능하며, 강도확보 전에 실시하게 되면 슬래브 콘크리트에 영구적인 처짐과 균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슬래브 콘크리트의 거푸집 탈형은 골조공사의 주공정으로 넓은 면적의 슬래브를 지지하는 대규모 플라잉 폼의 해체 시기는 특히 휠라서포트 설치방법에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전체 공기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공기지연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잉 폼은 주로 기둥 및 보로 구성된 골조구조물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규모의 플라잉 폼이 기둥과 기둥 사이로 상부층으로 이동시 개구부에 있는 턱 또는 난간이 있을 경우 상부층으로 이동시 동바리가 일체화된 상태로 인양할 때 간섭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해외 테이블 폼은 동바리 상부에 별도의 부착철물을 고안하여 스위블 형태로 인양시에는 동바리를 접어서 인양하거나 또는 서포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최소길이로 만든 상태에서 플라잉 폼을 인양하고 있다. 그런데 해외 플라잉 폼 제품에 적용되는 동바리의 스위블 구조는 별도의 부착철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품 자체가 모듈화된 자사 제품에만 사용되도록 고안됨으로써 적용성이 떨어진다.
한편 리모델링이 편리한 건축구조에 대한 정부의 건축법(용적율) 완화조치에 따라 라멘골조를 적용한 공동주택의 건설이 진행되고 있고 이때 기존 재래식 거푸집 시스템을 적용하여 라멘골조 적용시 공사비가 증대됨으로 경제성 확보를 위한 새로운 거푸집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골조형식의 공동주택에서 적용성이 뛰어난 새로운 형식의 플라잉 테이블 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변적인 평면에 취약한 테이블 폼 부재를 모듈화함으로써 가변적인 평면에서도 적용성이 우수하고 탈형 후 내부 이동 및 발코니 난간의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플라잉 테이블 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휠라서포트 처리가 간편한 슬래브 거푸집을 개발함으로써 골조공사의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플라잉 테이블 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플라잉 테이블 폼은, 길이방향을 따라 슬래브 콘크리트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의 양쪽에 배치되어 보와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 사이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및 서포트 강관과, 서포트 강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거푸집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멍에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위블 가능하게 멍에와 서포트 강관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플라잉 테이블 유닛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서포트를 포함하며,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이를 지지하는 서포트는 슬래브 콘크리트 경화 후에도 일정 기간 존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라잉 테이블 유닛과 보 사이 그리고 플라잉 테이블 유닛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 사이의 틈새에는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플라잉 테이블 유닛의 해체시 인접하는 보와 그리고 인접하는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고정판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볼트 안내홈이 형성되고 제2 고정볼트가 볼트 안내홈에 삽입되어 서포트 강관과 마주보는 다른 고정판의 볼트 안내홈을 관통하고 너트가 체결되어 한 쌍의 고정판에 서포트 강관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는 멍에는 제3 고정볼트에 의해 한 쌍의 고정판과 결합되어, 거푸집 해체시 서포트 강관의 자중에 의해 제2 고정볼트가 볼트 안내홈을 따라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서포트 강관이 제3 고정볼트를 축으로 스위블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포트 강관의 하단에 결합되어 서포트 강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철물을 더 포함하며, 받침철물은, 서포트 강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가공된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의 하단에 결합된 바닥판, 내주면에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의 외주면에 가공된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가공되고 외주면에 핸들이 설치된 하부 핸들 커플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포트 강관의 상단에는 서포트 강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가공된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과, 내주면에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의 외주면에 가공된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가공되고 외주면에 핸들이 설치된 상부 핸들 커플러를 포함하는 헤드철물이 결합되고, 한 쌍의 고정판은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 패널이 모듈화됨으로서 가변적인 평면에서도 적용성이 우수하여 골조형식의 공동주택에서 적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서포트가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탈형 후 내부 이동 및 발코니 난간의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휠라서포트 설치는 거푸집을 전부 해체한 후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휠라서포트 처리가 간편하여 골조공사의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잉 테이블 폼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포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작동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거푸집 패널을 지지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거푸집 철거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분해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잉 테이블 폼에서 플라잉 테이블 유닛을 작업대차를 활용하여 해체하고 개구부로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이 해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잉 테이블 폼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포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작동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거푸집 패널을 지지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거푸집 철거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분해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잉 테이블 폼에서 플라잉 테이블 유닛을 작업대차를 활용하여 해체하고 개구부로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이 해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잉 테이블 폼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잉 테이블 폼은 구조상 크게 모듈화된 거푸집 패널(10)과 이를 지지하는 스위블 가능한 서포트(2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거푸집 패널(10)은 기둥(2) 및 보(3) 상부에 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크게 플라잉 테이블 유닛(11)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단변방향으로 설치되는 길이조절용 패널(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라잉 테이블 유닛(11),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 그리고 길이조절용 패널(13)은 모두 기존 거푸집과 동일하게 면판, 장선 및 멍에가 공장에서 제작되어 소요의 폭과 길이로 모듈화되어 조립되는 기성 패널이다. 이들은 유로폼과 동일한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면판은 기존 거푸집의 경우 코팅합판을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재질의 면판으로 코팅합판의 낮은 전용성과 작은 손상의 문제점을 개선한 면판을 사용한다.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은 지지해야 할 슬래브의 면적, 효율적인 인양방법 및 하중에 따라 기본적으로 2개에서 다수 개의 플라잉 테이블 유닛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일정 정도의 면적에서는 도 1의 (가)에서와 같이 2개 또는 (나)에서와 같이 4개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은 슬래브 콘크리트가 일정 강도에 도달된 후 탈형되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11)과 달리 일정 기간 존치된다. 즉, 일반적으로 국내 건설현장의 경우 거푸집을 모두 해체한 후 휠라서포트를 설치하여 슬래브 처짐과 균열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 패널(10)을 구성할 때 휠라서포트가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중앙부에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를 배치하여 이를 휠라서포트가 지지하도록 한다(도 2에서 휠라서포트는 도면부호 '20(201)'로 지시되고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을 지지하는 서포트는 도면부호 '20(202)'로 지시된다).
본 발명에서 거푸집 패널(10)은 기본적으로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을 가운데 두고 그 양쪽에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이 배치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은 길이방향을 따라 슬래브 콘크리트의 중앙부 즉, 단면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은 보와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 사이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플라잉 테이블 유닛(11)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은 서로 결속되지 않고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사이의 틈새에는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가 설치되어 수밀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도 1의 (나)에서와 같이 4개의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이 배치되는 경우 단변방향으로 길이조정용 패널(13)이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10)에서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은 정형화된 치수로 모듈화되고 치수 범위를 벗어난 크기에 대해서 폭은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으로 그리고 길이는 길이조절용 패널(13)에 의해 조절되는 구조가 된다.
플라잉 테이블 유닛(11)과 접하는 보(3, 일반 보일 경우에는 보 측면 거푸집) 및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 사이에는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14a,14b)가 설치된다.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는 그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보와의 사이에는 ㄱ자형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14a)가 그리고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 사이에는 T자형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14b)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 사이에도 ㄱ자형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14a)가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플라잉 테이블 유닛이 해체된 후 T자형을 적용했을 때와 달리 어느 한쪽이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없다.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14a,14b)는 틈새를 매울 뿐 접착되거나 별도로 패널에 고정되지는 않는다. 거푸집 설치시에 발생되는 미소한 길이 및 폭의 불균질성과 패널 제품이 가지는 제품의 허용차를 고무의 탄성을 이용해 틈새를 효율적으로 막음과 동시에 면판 위에 얇게 깔리는 T자 또는 ㄱ자 형상으로 인해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 자중에 의해 면판에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다.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14a14b)는 패널과 패널 사이, 패널과 PC보 사이로 삽입되는 쪽의 끝단의 두께(t1)를 그 반대쪽 끝단의 두께(t2)보다 더 두껍게 구성하여 삽입되면서 반대쪽 끝단 부분이 압축되면서 틈새를 메우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밀실하게 틈새를 메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14a,14b)를 패널과 패널 사이, 패널과 PC보 사이에 간편하게 길이방향으로 소요의 길이로 제작된 고무를 설치함으로서 슬래브 거푸집의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 해체 시 플라잉 테이블 유닛을 수직으로 낙하시킬 때 기존 패널의 경우 패널끼리 결속되거나 맞닿아 있어 해체시 접촉으로 인해 불편하지만 틈새 막이용 고무(14a,14b)가 중간에 삽입되어 있어 본 발명에서는 수직낙하가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10)은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구조의 서포트(20)에 의해 지지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포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작동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거푸집 패널을 지지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거푸집 철거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가)는 측면도이고 (나)는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포트(20)는 기존 서포트를 개량한 것으로, 구조적으로 크게 서포트 강관(21)과 헤드철물(22)로 구성된다.
서포트 강관(21)은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직경, 두께 및 길이는 하나의 서포트가 지지해야 할 하중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기존 파이프 서포트의 경우 광범위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되고 내관은 10cm 간격마다 11Φ 정도의 지지핀 체결용 홀이 있다. 또한 외관에는 수나사에 지지핀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장홀이 있어 구조적으로 수직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최대하중 발현에 최적화된 제품이 아니다. 또한 기존 파이프 서포트 최대의 구조적 문제점은 이동, 운반 및 적재를 위해 내관 48.6Φ, 외관 63.5Φ 강관을 사용하는데 강관두께가 2mm 정도로서 내관과 외관의 접합부에 상당한 유격이 발생되고 이러한 유격이 지지핀 체결구조의 힌지접합에 의해 서포트가 거푸집 지지시 약 5도 내외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러한 경사로 인해 파이프 서포트는 편심에 의한 수직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좌굴하중에 의해 성능이 상당히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구조물의 기준층 층고는 3m 내외로 상하 높이조절의 범위는 600mm 정도인 점을 감안하여 기존 파이프 서포트와 같이 내관과 외관으로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강관을 사용하고 강관 그 자체를 지지부재로 활용함으로써 얇은 두께의 내, 외관으로 분리됨으로써 발생되는 기존 파이프 서포트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서포트 강관(21)의 상단 또는 하단에 높이 조절형 철물(헤드철물과 받침철물)을 적용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특히 서포트 강관(21)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철물(22)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스위블이 가능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별도의 부착철물 없이 견고한 스위블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서포트 강관(21)의 상부에는 고정판(224)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 체결공(21a)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바닥판(211)이 결합된다. 바닥판(211)은 서포트 강관(21)의 하단에 수직하게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서포트 강관(21)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되는 바닥에 넓게 분포시킨다. 이를 위해 바닥판(211)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서포트 강관(21)의 상단에는 헤드철물(22)이 결합된다. 헤드철물(22)은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의 상단 마구리면에 결합된 상부판(222),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에 나사결합되는 상부 핸들 커플러(223) 및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된 한 쌍의 고정판(224,224)으로 구성된다.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은 서포트 강관(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서포트 강관(21)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고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가공되며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볼트 삽입홀(221a,221a)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볼트 삽입홀(221a)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어 서포트 강관(21)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21a)을 통해 결합되는 제1 고정볼트(b1)가 볼트 삽입홀(221a)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부판(222)은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의 상단 마구리면에 수직하게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높이 조절용 상부강판(221)의 마구리판으로 기능하며 멍에(24)에 면접촉하게 된다. 상부판(222)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금속재로 구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판재가 될 수 있다.
상부 핸들 커플러(223)는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과 서포트 강관(21)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에 나사결합된다.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을 서포트 강관(21)에 일정 깊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 핸들 커플러(22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과 서포트 강관(21)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강관(21)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21a)을 관통하여 상부강관(221)의 볼트 삽입홀(221a)에 삽입된 제1 고정볼트(b1)에 안내되어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이 상하로 이동되므로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의 회전이 방지된다. 상부 핸들 커플러(223)를 충분히 회전시킴으로써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과 서포트 강관(21)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높이 조절용 상부강판(221)의 상단 외주면에는 한 쌍의 고정판(224,224)이 결합된다. 고정판(224)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볼트 안내홈(224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볼트(b2)가 안내홈(224a)과 높이 조절용 상부강판(221) 및 마주보는 다른 고정판(224)을 관통하고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판(224)을 높이 조절용 상부강판(221)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2 고정볼트(b2)는 고정판(224)에 형성된 안내홈(224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임력으로 체결된다. 한 쌍의 고정판(224,224) 사이에는 멍에(24)가 삽입되고 제3 고정볼트(b3)에 의해 한 쌍의 고정판(224,224)과 멍에(24)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3 고정볼트(b3)는 제3 고정볼트(b3)를 축으로 하여 고정판(224)에 대해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임력으로 체결된다. 멍에(24)는 나사못이나 피스 등을 이용해 거푸집 패널(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20)가 거푸집 패널(10)을 지지할 때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221)이 수직으로 이동하여 상부판(222)이 멍에(24)에 맞닿게 되어 상부 수직하중에 대해 회전(스위블)이 구속되는 조건이 되며, 해체시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거푸집 패널(10)의 하부에 서포트가 매달리는 상태가 되어 서포트 자체의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20)는 내, 외관으로 분리된 기존 파이프 서포트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며 공동주택의 일정한 층고 높이에 최적화된 별도의 부착철물이 필요 없이 견고한 스위블이 가능한 서포트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20)는 하나의 강관을 사용하고 강관 그 자체를 지지부재로 활용함으로써 기존 파이프 서포트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서포트 강관(21)의 상단 또는 하단에 높이 조절형 철물(헤드철물과 받침철물)을 적용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서포트 강관(21)의 상단에만 높이 조절형 철물(헤드철물)이 결합되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하단에도 높이 조절형 철물(받침철물)을 결합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분해한 정면도이다.
도 6a,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는 서포트 강관(21)의 하단에도 높이 조절형 철물의 하나인 받침철물(23)이 결합되어 있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서포트 강관(21)과 헤드철물(22)에 대해서는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받침철물(23)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트 강관(21)는 하단에 받침철물(23)이 결합되어야 하므로 바닥판(211)은 생략되고 하부에는 상부와 마찬가지로 받침철물(23)과 서포트 강관(21)을 볼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체결공(21b)이 형성된다.
받침철물(23)은 외주면에 수나사가 가공된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의 하단에 결합된 바닥판(232), 내주면에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의 외주면에 가공된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가공되고 외주면에 핸들이 설치된 하부 핸들 커플러(233)로 구성된다.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21)은 서포트 강관(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서포트 강관(21)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지고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가공되며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볼트 삽입홀(231a,231a)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볼트 삽입홀(231a)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어 서포트 강관(21)의 볼트 체결공(21b)을 통해 결합되는 제4 고정볼트(b4)가 볼트 삽입홀(221a)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21)을 보다 견고하게 서포트 강관(21)에 결합시킨다.
바닥판(232)은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의 하단에 수직하게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받침철물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되는 바닥에 넓게 분포시킨다. 이를 위해 바닥판(232)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금속재로 구성되는 사각형 형상의 판재가 될 수 있다.
하부 핸들 커플러(233)는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과 서포트 강관(21)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에 나사결합된다.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을 서포트 강관(21)에 일정 깊이로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 핸들 커플러(23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과 서포트 강관(21)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강관(21)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21b)을 관통하여 하부강관(231)의 볼트 삽입홀(231a)에 삽입된 제4 고정볼트(b4)에 안내되어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이 상하로 이동되므로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의 회전이 방지된다. 하부 핸들 커플러(233)를 충분히 회전시켜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과 서포트 강관(21)을 결합시킨 다음 제4 고정볼트(b4)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231)과 서포트 강관(21)은 더욱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받침철물(23)의 구성은 헤드철물(22)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고정판(224)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헤드철물이 높이 조절 기능을 가지는 것이었으나 서포트 강관(21)의 하단에 결합된 받침철물(23)만으로 요구되는 높이 조절 폭에 대응할 수 있는 경우 높이 조절용 헤드철물(22)은 불필요하고 멍에(24)에 대해 파이프 강관(21)이 스위블할 수 있는 구조만을 제공하면 된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구조의 서포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20b)는 서포트 강관(21)의 하단에는 도 6a, 6b에서 제시된 받침철물(23)이 결합되어 있고 상단에는 한 쌍의 고정판(224)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철물(23)을 이용해 서포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고정판(224)을 서포트 강관(21)에 결합시키는 제3 고정볼트(b3)를 축으로 하여 서포트 강관(21)이 멍에(2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 3과 도 4 그리고 도 6a와 도 6b에 제시된 실시예에서는 헤드철물(22)에 높이 조절 기능이 있는데 비해 도 7에 제시된 실시예에서는 높이 조절 기능이 없고 스위블이 가능한 구조만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는 이상에서 제시된 서포트(20,20a,20b)가 모두 적용될 수 있지만, 높이 조절형 받침철물(23)이 서포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거푸집 해체시 작업자가 서포트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거푸집 시스템의 해체 및 이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거푸집 시스템에서 플라잉 테이블 유닛을 작업대차를 활용하여 해체하고 개구부로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가)에서와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4)가 소정의 강도에 도달하면 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해 작업 대차(30)를 이동시킨다. 작업 대차(30)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을 체인 블럭 또는 유압장비에 의해 서서히 낙하시키면서 서포트(20a)를 접는 용도로 활용된다. 다음으로, (나)에서와 같이 서포트 강관(21)의 하단에 결합된 받침철물(23)을 이용해 서포트의 길이를 줄이고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을 체인 블럭 또는 유압장비에 의해 서서히 낙하시킨다.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을 해체할 때 기존 패널의 경우 패널끼리 결속되거나 맞닿아 있어 접촉으로 인해 불편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틈새 막이용 고무가 중간에 삽입되어 있어 해체가 용이하다. 다음으로, (다)에서와 같이 서포트 강관(21)을 멍에(2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접은 다음 와이어(40) 등을 이용해 멍에(24)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라)와 (마)에서와 같이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에 접힌 서포트(20a)를 고정한 상태에서 실내에서 개구부로 플라잉 테이블 유닛(11)을 운반한다. 그 후에는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 층으로 인양하게 된다.
도 9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이 해체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4)의 나머지 부분을 지지하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11)과 이를 지지하는 서포트(20(202))는 해체되며 이때, 슬래브 콘크리트(4)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12)은 서포트(20) 즉, 휠라서포트(201)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거푸집 해체 후 휠라서포트 재설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거푸집 패널
11: 플라잉 테이블 유닛
12: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
13: 길이조절용 패널
14a, 14b: 틈새 막이용 고무
20: 서포트
21: 서포트 강관
22: 헤드철물
221: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
223: 상부 핸들 커플러
224: 고정판
23: 받침철물
231: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
233: 하부 핸들 커플러
11: 플라잉 테이블 유닛
12: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
13: 길이조절용 패널
14a, 14b: 틈새 막이용 고무
20: 서포트
21: 서포트 강관
22: 헤드철물
221: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
223: 상부 핸들 커플러
224: 고정판
23: 받침철물
231: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
233: 하부 핸들 커플러
Claims (5)
- 길이방향을 따라 슬래브 콘크리트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의 양쪽에 배치되어 보와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 사이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플라잉 테이블 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및
서포트 강관과, 서포트 강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거푸집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멍에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위블 가능하게 멍에와 서포트 강관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플라잉 테이블 유닛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서포트를 포함하며,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이를 지지하는 서포트는 슬래브 콘크리트 경화 후에도 일정 기간 존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테이블 폼. -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라잉 테이블 유닛과 보 사이 그리고 플라잉 테이블 유닛과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 사이의 틈새에는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플라잉 테이블 유닛의 해체시 인접하는 보와 그리고 인접하는 길이조절 및 휠라서포트용 패널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패널 틈새 막이용 고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테이블 폼. -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판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볼트 안내홈이 형성되고 제2 고정볼트가 볼트 안내홈에 삽입되어 서포트 강관과 마주보는 다른 고정판의 볼트 안내홈을 관통하고 너트가 체결되어 한 쌍의 고정판에 서포트 강관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는 멍에는 제3 고정볼트에 의해 한 쌍의 고정판과 결합되어, 거푸집 해체시 서포트 강관의 자중에 의해 제2 고정볼트가 볼트 안내홈을 따라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서포트 강관이 제3 고정볼트를 축으로 스위블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테이블 폼. - 청구항 1에 있어서,
서포트 강관의 하단에 결합되어 서포트 강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철물을 더 포함하며, 받침철물은, 서포트 강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가공된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의 하단에 결합된 바닥판, 내주면에 높이 조절용 하부강관의 외주면에 가공된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가공되고 외주면에 핸들이 설치된 하부 핸들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테이블 폼. - 청구항 1에 있어서,
서포트 강관의 상단에는 서포트 강관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며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가공된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과, 내주면에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의 외주면에 가공된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가공되고 외주면에 핸들이 설치된 상부 핸들 커플러를 포함하는 헤드철물이 결합되고, 한 쌍의 고정판은 높이 조절용 상부강관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 테이블 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1009A KR101215384B1 (ko) | 2010-10-15 | 2010-10-15 | 플라잉 테이블 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1009A KR101215384B1 (ko) | 2010-10-15 | 2010-10-15 | 플라잉 테이블 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9346A KR20120039346A (ko) | 2012-04-25 |
KR101215384B1 true KR101215384B1 (ko) | 2012-12-26 |
Family
ID=4613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1009A KR101215384B1 (ko) | 2010-10-15 | 2010-10-15 | 플라잉 테이블 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538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6261A (ko) * | 2018-10-24 | 2020-05-07 | 김상모 |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3769B1 (ko) * | 2016-09-29 | 2018-11-02 | 금강공업 주식회사 | 테이블 폼 |
CN110725565A (zh) * | 2019-08-29 | 2020-01-24 | 广州市快易模板工程有限公司 | 梁板支撑立杆定位护砼地面可调节底座 |
RU197923U1 (ru) * | 2020-01-24 | 2020-06-05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ибстрин)" | Опалубка перекрытий |
-
2010
- 2010-10-15 KR KR1020100101009A patent/KR1012153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6261A (ko) * | 2018-10-24 | 2020-05-07 | 김상모 |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
KR102177979B1 (ko) | 2018-10-24 | 2020-11-12 | 김상모 | 와플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9346A (ko) | 2012-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96172C2 (ru) |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стро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 |
US8291676B2 (en) | Mold-concrete 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A2683033C (en) | Ceiling joist formwork with automatic stripping of the inner board | |
KR20180045140A (ko) |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 |
KR101766807B1 (ko) |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 |
JP2019526004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床システム、および建築方法 | |
KR100924652B1 (ko) | 허니콤부재를 이용한 토건용 거푸집 패널 | |
KR102079703B1 (ko) | 모듈형 계단실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215384B1 (ko) | 플라잉 테이블 폼 | |
SG187296A1 (en) | A multi-storey building with prefabricated members and a semi-prefabricat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80089806A (ko) | 보 바닥 형성용 거푸집 패널 | |
KR20120085641A (ko) |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1844977B1 (ko) |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 |
KR20100100711A (ko) |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슬래브시공방법 | |
KR101941942B1 (ko) |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 |
RU2707117C1 (ru) |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 |
AU2014336964A1 (en) | Building method and system | |
KR102255700B1 (ko) |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 |
KR102249476B1 (ko) | 거푸집 동바리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 |
CN112727083A (zh) | 一种预留洞口的支模方法 | |
CN111844426A (zh) | 预埋有三角悬挑安装结构的预制外墙及其制造、安装方法 | |
KR101634934B1 (ko) | 피에스씨 빔 연결용 크로스빔 시공장치 | |
KR101625593B1 (ko) | 분할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의 시공방법 | |
RU2775265C2 (ru) |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перекрытий (варианты) и подвижное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KR102437398B1 (ko) | 시공성이 용이한 일체형 슬라브 유로폼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