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977B1 -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977B1
KR101844977B1 KR1020160170304A KR20160170304A KR101844977B1 KR 101844977 B1 KR101844977 B1 KR 101844977B1 KR 1020160170304 A KR1020160170304 A KR 1020160170304A KR 20160170304 A KR20160170304 A KR 20160170304A KR 101844977 B1 KR101844977 B1 KR 10184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ir
frames
frame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철
Original Assignee
최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철 filed Critical 최명철
Priority to KR102016017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2Removable shuttering; Bearing or suppor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2Temporary supports for use during building;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 구조이고, 각 면에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중앙블록(10); 직육면체 구조이고, 상기 중앙블록(10)의 일면에 결합하는 결합면이 양측에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중앙블록(10)과 결합하도록, 상기 각 결합면에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연결블록(2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20)은 상기 중앙블록(10)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비계를 제시함으로써, 터널의 단면 크기에 맞추어 비계의 폭, 높이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고, 작업발판이 터널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작업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SCAFFOLDING FRAME FOR TUNNEL}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7은 한국등록특허 제10-0390303호(터널의 중앙벽체 시공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터널의 중앙에 타설/양생된 베이스(110) 상부에 중앙분리대인 중앙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베이스 상부에 좌우 일정 간격을 가지며 대칭되게 설치되는 받침 판넬부(12)와, 그 상부로 일정 높이의 벽체 판넬부(13) 및 그 상부로 좌우가 외측으로 확개되는 V형 판넬(141)로 연장되고, 그 상부로 측방 터널의 천장슬래브를 걸어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부(142)를 갖는 상부 지지 판넬(14)과, 이동 진행 방향쪽의 마구리부를 도립판(15)으로 마감 고정하여 일체로 형성된 거푸집(10)과; 상기 거푸집(10)을 지지 버팀하는 비계수단으로 형성된 구성을 취한다.
상기 비계수단은 거푸집(10)을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본체(20); 상기 본체(20)와 거푸집(10)과의 버팀 지지를 위해 상하 일정 간격과 좌우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연결 부재(21); 및 상기 본체(20)의 갱도 벽체 쪽에는, 상하부 및 좌우 일정간격으로 구비하여 갱도 내측면에 버팀되게 한 버팀부재(2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 하부에 상기 본체를 포함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전후 일정 간격으로 스크류잭(22B)과 유압잭(22C)을 구비하고, 전후 양측으로 롤러(22D, 22E)를 갖고, 상기 본체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110)와 본체(20) 사이에는 바닥에 깔린 레일(R3)을 따라 주행하는 대차(2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의 상부 일측에는 잭볼트(22A)를 세워 설치하여 거푸집(10)의 상부 V형 판넬(141)의 상부 저면에 연결버팀되게 한다.
상기 본체(20) 상부에는 벽체 판넬부(13)에 연결되는 일체형 거푸집(10)의 형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20)의 거푸집쪽 중간 높이 및 상부면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보도판(22F)을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의 좌우 양쪽으로 부설되는 본체(20)는 저부에 롤러(22D,22E) 및 스크류잭(22B), 유압잭(22C) 등을 부설하여 종설되는 수평 종빔(23,24)과, 이 수평 종빔의 일정 간격으로 세워 고정되는 수직빔(25,26)과, 이 수직빔 상하부에 횡설 되는 상,하 프레임(27,28) 및 상기 수직빔들간을 연결 보강하는 수평 찬넬(29A) 및 가새(29B, 29C)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의 후방에는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레일(R1)에 클램프(31)로 착탈되어 유압 잭(30)의 로딩/언로딩에 따라 거푸집(10) 및 이와 연결된 비계수단의 본체(20)가 이동한다.
한편 상기 형개수단은 상기 본체(20) 상부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외측 버팀대(25A)의 배면에 버팀부재(22)로 스크류잭을 고정하고, 전면에 유압잭(22G)을 구비함과 동시에 유압잭의 전방으로는 사각 파이프로드(22H)를 연결하여 거푸집(10)에 힌지결합하고, 상기 파이프로드는 본체(20) 상부에 고정되는 사 각관(22I)에 관통 가이드되게 한다.
그리고 내측 수직빔(25)은 콘크리트 베이스(110) 상의 레일(R2)에 지지 또는 주행되고, 외측 수직빔(26)은 갱도 바닥의 레일(R1)에 지지 또는 주행한다.
상기 받침 판넬부(12)와 벽체 판넬부(13)의 연결부 안쪽에는, 중앙벽체(100) 성형시, 받침부(120)와 벽체부(130)의 만남 모서리부를 형성하기 위해 모서리가 직각인 삼각 각목(121)을 덧댄다.
상기 상부 지지 판넬부(14)는, 상기 V형 판넬부(141)의 상단부의 길이방향 일정 간격으로 L형 브래킷(144)을 고정하고, 각목(143)을, 상기 L형 브래킷 사이에 횡으로 지지하게 덧대고, 또 수직으로 덧대는 것에 의해, 상기 일체형 거푸집(10)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의 연장된 단부가 상기 상부 지지 판넬부(14)의 단턱부로 관통되어 돌출되는 단턱부(142)로 된다.
상기 거푸집(10)의 도립판(15) 상,하부에는 앵글형 관의 개구가 위치되고, 관의 다른 개구가 거푸집(10)의 벽면 일측면에 위치되어 개도되는 엘보우형 콘크리트 펌프 게이트(16)를 매입 고정한다.
상기 거푸집(10)의 좌우 대칭한 양측 사이의 간격 유지를 위한 상하 전후 일정간격으로 간격재(17)를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10)의 양측 편면에 복수의 검사창(18)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터널의 중앙분리대인 중앙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중앙갱도를 형성한 후, 갱도의 중앙 바닥에 중앙벽체가 구축될 베이스(110)를 타설/양생한 후, 그 상부에 중앙벽체(100)를 형성할 일체형 거푸집(10)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은 비계틀수단에 의해 연결 지지되고, 이동되면서 콘크리트를 연속으로 타설/양생함으로써 중앙벽체(100)를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10)을 포함한 비계틀수단은 베이스의 양측 갱도 바닥 및 베이스의 상면 양측 각각에 설치된 레일(R1,R2)을 따라 상기 거푸집을 자동으로 탈거 및 정착시키면서 중앙벽체를 연속 성형하게 이동 전진한다.
도 8 내지 12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4102호(이동 가능한 터널공사용 조립식 가설재)에 관한 것이다.
이는 조립식 터널공사용 가설재를 터널 내벽면(1)과 터널의 시설 한계 라인(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바 형상 지지대(10)가 트러스트 구조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반구형 형상을 이루되, 상기 터널 내벽면(1)과 시설 한계 라인(2) 사이 공간에만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구형 트러스트 구조의 가설재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각형 트러스트 등 터널 내벽면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바 형상 지지대(10)는 원형의 강관이 주로 사용되나 이외에도 삼각형, 사각형, H 형 단면 구조를 가진 강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여기서, 트러스트 구조(Trust structure)라 함은 직선형 구조물을 된 여러 개의 뼈대 재료를 삼각형이나 오각형으로 얽어 짜서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도록 하는 토목 공법 중 하나로서 주로 교량 건설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이러한 트러스트 구조를 가설재 제작에 전용함으로써 시설 한계 라인(2)을 침범하지 아니하고도 터널 내벽면(1)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가설재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에는 반구형의 터널 내벽면을 따라 가로 2단으로 구성되고 상,하단 사이에 삼각형으로 얽어 짜여진 트러스트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단수와 얽임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트러스트 구조의 하단부에는 본 발명의 가설재를 터널 내벽면(1)을 따라 터널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이 설치된다.
터널의 길이는 보통 수십 내지 수백 m의 길이를 가지므로, 정기검진이나 보수공사가 터널 길이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는 때에도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설재를 터널 길이 전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가진 가설재로 설치한 후에 별도로 설치된 이동수단에 의해 가설재를 이동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수단의 일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타이어 휠(40)이 사용될 수 있다. 이 타이어 휠(40)은 차량의 타이어와 유사한 것으로서, 별도의 이동 보조수단(레일) 없이도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 면 상에 직접 접촉하여 굴러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지탱가능한 중량이 작아서 높은 중량의 가설재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 이동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50) 및 휠 바퀴(6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레일(50) 및 휠 바퀴(60)의 구성을 사용하면 중량체인 가설재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50)을 가설재 제조시에 별도로 설치하거나 터널 공사시에 레일(50)을 미리 설치해 놓을 수도 있다.
또한, 트러스트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바 형상 지지대(10)는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널 내벽면(1)을 따라 터널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나의 가설재 만으로 터널 내측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어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하나의 가설재를 이용하여 동시에 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물론, 작업 대상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설재를 그 지점만을 커버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 형상 지지대(10) 중에서 수평 부분에 해당하는 것에는 작업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작업용 발판(30)이 설치된다. 이 작업용 발판(30)은 가설재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각각의 수평부분마다 설치되어 작업자의 작업 발판이나 위쪽 지지대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3 내지 18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83518호(터널용 입체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터널용 입체프레임 구조물(10)은 상부프레임(100), 높이조절부(200) 및 이동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작업발판부(400),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3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용 입체프레임 구조물(1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00)과,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양단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00) 및, 상기 높이조절부(200)에 제공되어, 터널용 입체프레임구조물(10)을 터널의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터널용 입체프레임 구조물(10)은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하부와 상기 높이조절부(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S)로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이 통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00)에는 4개의 수평주부재(110)가 상부프레임(100)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다.
도 14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주부재(11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멍에부재(12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고, 멍에부재(120)는 수평주부재(110)와 교차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주부재(110)와 멍에부재(120)는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은 수평주부재(110)와, 상기 수평주부재(110)에 교차되게 배치되는 멍에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주부재(110)의 상면에는 이격 형성된 제1 연결판(111)이 구비되고, 상기 멍에부재(120)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1 연결판(111)과 체결되는 제2 연결판(121)이 구비된다.
제1 연결판(111)과 상기 제2 연결판(121)은 볼트 체결되고, 상기 수평주부재(110)와 상기 멍에부재(120)의 볼트의 체결위치의 미세조정을 위하여, 상기 제1 연결판(111) 또는 제2 연결판(121)의 일측에는 가로방향의 장공(H)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판(111) 또는 제2 연결판(121)의 타측에는 세로방향의 장공(H)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주부재(110)와 상기 멍에부재(120)의 볼트의 체결위치의 미세조정을 위하여, 멍에 부재의 제2 연결판(121)의 일측에는 가로방향의 장공(H)이 형성되고, 멍에부재(120)의 제2 연결판(121)의 타측에는 세로방향의 장공(H)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판(121)의 양측에 세로방향의 장공(H)이 형성되는 형태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수평주부재(110)의 제1 연결판(111)의 일측에는 가로방향의 장공(H)이 형성되고, 수평주부재(110)의 제1 연결판(111)의 타측에는 세로방향의 장공(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0)은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중앙부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중앙에서 양단부방향으로 1°~ 3° 범위의 하향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중앙부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중앙에서 양단부방향으로 1°의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일 예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주부재(110)의 하부에는 높이조절부(200)와 결합되는 고정부(150)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프레임(100)의 중앙부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150)를 상부프레임(100)의 중앙방향에서 단부방향으로 1°~ 3° 범위의 하향 경사를 가지게 함으로써, 상부프레임(100)의 중앙에서 양단부방향으로 1°~ 3° 범위의 하향 경사가 형성된다.
또한, 수평주부재(110)를 고정부(15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수평주부재(110)와 고정부(150)의 접합부에는 복수의 보강리브(R)가 형성된다.
그런데 위 종래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첫째, 터널의 단면의 크기는 다양하므로, 이러한 다양한 단면의 터널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계의 폭, 높이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기술들은 변형이 불편하다는 점이다.
둘째, 터널의 벽면 하부(가장자리부)는 이물질이 쌓여 있거나 평탄성이 좋지 못하므로, 지지부재가 설치되기 어려운데, 종래기술들은 캔틸레버 구조가 아니므로, 작업발판이 터널의 벽면에서 너무 이격되거나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루지 못한다는 점이다.
위 종래기술의 도면부호는 당해 종래기술의 설명에 대하여만 한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90303호(터널의 중앙벽체 시공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시공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4102호(이동 가능한 터널공사용 조립식 가설재) 한국등록특허 제10-1483518호(터널용 입체프레임 구조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터널의 단면 크기에 맞추어 비계의 폭, 높이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고, 작업발판이 터널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비계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직육면체 구조이고, 각 면에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중앙블록(10); 직육면체 구조이고, 상기 중앙블록(10)의 일면에 결합하는 결합면이 양측에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중앙블록(10)과 결합하도록, 상기 각 결합면에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연결블록(2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20)은 상기 중앙블록(10)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비계를 제시한다.
상기 중앙블록(10)은 정육면체 구조이고, 상기 중앙블록(10)의 각 면과 상기 연결블록(20)의 결합면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블록(10)의 각 면과, 상기 연결블록(20)의 각 결합면에는, 마름모형 관통공(1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블록(10)의 각 면과, 상기 연결블록(20)의 각 결합면에는, 상기 마름모형 관통공(12)의 각 변의 외측 영역에 4개의 상기 체결공(11)이 방사대칭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블록(20)은, 상기 결합면을 형성하도록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결합판(21);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의 각 모서리에 양단이 결합한 연결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22)는 "ㄱ"자 형강 또는 사각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블록(20)은,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22)의 중앙부 사이에 양단이 결합한 구획부재(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23)와 그 양측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단위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재(23)는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제1 구획부재(23-1)와, 제2 구획부재(23-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20)은,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과 상기 제1 구획부재(23-1)를 구비한 제2 연결블록(20-2);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과 상기 제1 구획부재(23-1) 및 제2 구획부재(23-2)를 구비한 제3 연결블록(20-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판(21)과 상기 연결부재(22)의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결합판(21)에 결합하고, 타측이 만곡지게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한 스티프너(24)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재(23)와 상기 연결부재(22)의 사이에는 보강리브(25)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로서,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받침 프레임(100);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받침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상기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하부 전후방향 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전후방향 프레임(120);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 터널의 내부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상부에 설치된 작업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과, 상기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및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의 내부영역에는 작업차량의 통행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내부 경사 프레임(51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경사 프레임(510)은, 상기 중앙블록(10)의 일면에 결합한 힌지부재에 대하여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외부 경사 프레임(52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4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42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외측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지면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외측하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 및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 상기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11); 상기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2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21); 상기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연장 전후방향 프레임(130); 상기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 및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상부 연장 캔틸레버 프레임(4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11) 및 2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21)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및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12) 및 2열 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2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터널의 단면 크기에 맞추어 비계의 폭, 높이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고, 작업발판이 터널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비계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내지 7은 한국등록특허 제10-0390303호의 도면.
도 8 내지 12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4102호의 도면.
도 13 내지 18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83518호의 도면.
도 19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9는 중앙블록의 사시도.
도 20은 중앙블록의 정면도.
도 21은 연결블록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2는 연결블록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23은 연결블록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24는 연결블록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25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26은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27은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28은 거푸집 지지용 비계 구조물의 정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비계는 기본적으로, 직육면체 구조이고, 각 면에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중앙블록(10); 직육면체 구조이고, 중앙블록(10)의 일면에 결합하는 결합면이 양측에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중앙블록(10)과 결합하도록, 각 결합면에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연결블록(20);을 포함하고, 연결블록(20)은 상기 중앙블록(10)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은,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받침 프레임(100);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한 쌍의 받침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하부 전후방향 프레임(110);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전후방향 프레임(120);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 터널의 내부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상부에 설치된 작업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과,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및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의 내부영역에는 작업차량의 통행공간이 형성된다.
즉, 직육면체 구조의 다수의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볼트 체결)에 의해 비계구조물을 형성하되, 연결블록(20)은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로 구성되도록 하고, 중앙블록(1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 전후방향, 좌우방향으로 연결블록(20)들이 결합하도록 하여 상술한 다양한 프레임 구조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다양한 길이의 연결블록(20)과 중앙블록(10)의 조합에 의해 비계 구조물의 폭, 높이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단면의 크기를 갖는 터널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상하방향 프레임(210,220)에서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이 터널의 벽면 측으로 연장형성되므로(캔틸레버 구조를 취하므로), 터널의 벽면 하부(가장자리부)에 이물질이 쌓여 있거나 평탄성이 좋지 못한 경우라도, 작업발판이 터널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상하방향 프레임(210,22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에 대하여 연결블록(20)들이 결합함으로써,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결합구조를 형성하므로, 캔틸레버 구조이면서도 구조적 안정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위와 같은 이유로, 기존의 철근대차에 비해 조립과정 및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비계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중앙블록(10)은 직육면체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정육면체 구조를 취하고, 중앙블록(10)의 각 면(6면)과 연결블록(20)의 결합면이 동일한 면적(정사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19,20).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은 복수의 체결공(11)에 대하여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하는데, 중앙블록(10)의 각 면과, 연결블록(20)의 각 결합면에, 마름모형 관통공(12)이 형성되는 경우, 그 마름모형 관통공(12)을 통해 채결부재의 체결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자재의 절감 및 시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중앙블록(10)의 각 면과, 연결블록(20)의 각 결합면에, 마름모형 관통공(12)의 각 변의 외측 영역에 4개의 체결공(11)이 방사대칭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연결블록(20)은 축부재 및 휨부재로 사용되는데, 결합면을 형성하도록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결합판(21); 한 쌍의 결합판(21)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한 쌍의 결합판(21)의 각 모서리에 양단이 결합한 연결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위 역할을 충분히 수행함과 아울러, 자재의 절감 및 우수한 시공성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21,22).
연결부재(22)는 "ㄱ"자 형강 또는 사각파이프를 적용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연결블록(20)은 중앙블록(10)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20-1,20-2,20-3)로 구성되므로, 다양한 길이의 연결블록(20)과 중앙블록(10)의 조합에 의해 비계 구조물의 폭, 높이를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25,27).
제1 연결블록(20-1)은 상술한 한 쌍의 결합판(21), 4개의 연결부재(22)에 의해 구성되는데, 여기서 한 쌍의 결합판(21) 사이의 거리를 단위거리라 할 때, 제2 연결블록(20-2)의 한 쌍의 결합판(21) 사이의 거리는 위 단위거리의 2배로 형성하고, 제3 연결블록(20-3)의 한 쌍의 결합판(21) 사이의 거리는 위 단위거리의 3배로 형성하는 것이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제2 연결블록(20-2) 및 제3 연결블록(20-3)은, 한 쌍의 결합판(21) 사이의 거리가 길게 형성되므로, 그 사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복수의 연결부재(22)의 중앙부 사이에 양단이 결합한 구획부재(23)를 더 포함하고, 구획부재(23)와 그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결합판(21)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단위거리인 구조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구획부재(23)는 단위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제1 구획부재(23-1)와, 제2 구획부재(23-2)를 포함하고, 연결블록(20)은, 한 쌍의 결합판(21)과 제1 구획부재(23-1)를 구비한 제2 연결블록(20-2); 한 쌍의 결합판(21)과 제1 구획부재(23-1) 및 제2 구획부재(23-2)를 구비한 제3 연결블록(20-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구획부재의 경우에도, "ㄱ"자 형강 또는 사각파이프를 적용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결합판(21)과 연결부재(22)의 사이에는 가장 큰 응력이 발생하는 지점이므로, 일측이 결합판(21)에 결합하고, 타측이 만곡지게 형성되며, 양측이 연결부재(22)에 결합한 스티프너(24)에 의해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부재(23)와 연결부재(22)의 사이에도 보강리브(25)의 설치에 의해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받침 프레임(100);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한 쌍의 받침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하부 전후방향 프레임(110);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전후방향 프레임(120);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 터널의 내부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복수의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상부에 설치된 작업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5).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과,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및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의 내부영역에는 작업차량의 통행공간이 형성된다.
받침 프레임(100)에 바퀴를 설치하거나, 받침 프레임(100)이 레일 위를 구동하도록 하는 구조 등에 의해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이 터널 내부를 향하여 인입하거나, 터널 외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내부 경사 프레임(510)이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의 지간(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과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 사이의 거리)이 긴 경우라도, 안정적인 작업차량의 통행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경사 프레임(510)은, 중앙블록(10)의 일면에 결합한 힌지부재에 대하여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이 유해응력의 발생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중앙블록(10)의 각 면에는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되므로, 힌지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위 체결공(11)에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하면 된다.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하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외부 경사 프레임(520)이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캔틸레버 구조인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다.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42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상부 영역인 터널의 벽면에 대한 작업을 더욱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42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외측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3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캔틸레버 구조인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42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하부에 상술한 외부 경사 프레임(520)이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420)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에 전달된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터널의 단면이 커짐에 따라,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420)의 규모가 커지는 경우,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지면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외측하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4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보강구조를 이룰 수 있다(도 27).
터널의 벽면 중 상부 영역에 대한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프레임 구조를 추가할 수 있다(도 25).
즉,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 및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11);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2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21);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연장 전후방향 프레임(130);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 및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의 상단에 설치된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상부 연장 캔틸레버 프레임(430);을 더 포함하는 구조가 그것이다.
1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11) 및 2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21)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과,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및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의 심부에 설치된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중앙블록(10)과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12) 및 2열 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22);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 1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11) 및 2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21)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다.
터널의 단면이 커짐에 따라, 터널의 벽면 상부 영역과의 거리가 더 커지는 경우, 1열 상부 추가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12), 2열 상부 추가연장 좌우방향 프레임, 한 쌍의 1열 추가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a), 한 쌍의 2열 추가연장 상하방향 프레임, 1열 상부 추가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12a) 및 2열 상부 추가보강 상하방향 프레임을 추가로 설치하여 터널의 벽면 상부 영역에 대한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도 27).
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비계가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에 적용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중앙블록(10), 연결블록(20-2,20-3), 경사부재(30), 거푸집(40) 등의 조립에 의한 거푸집 지지용 비계 구조물 등의 용도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중앙블록 11 : 체결공
12 : 마름모형 관통공 20,20-1,20-2,20-3 : 연결블록
21 : 결합판 22 : 연결부재
23 : 구획부재 24 : 스티프너
25 : 보강리브 100 : 받침 프레임
110 : 하부 전후방향 프레임 120 : 상부 전후방향 프레임
130 : 상부 연장 전후방향 프레임 210 : 1열 상하방향 프레임
211 :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 212 : 1열 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
220 : 2열 상하방향 프레임 221 :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
222 : 2열 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 230 : 외측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
240 : 외측하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 310 :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
311 : 1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 320 :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
321 : 2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 410 :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
420 :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 430 : 상부 연장 캔틸레버 프레임
510 : 내부 경사 프레임 520 : 외부 경사 프레임

Claims (19)

  1. 직육면체 구조이고, 각 면에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중앙블록(10);
    직육면체 구조이고, 상기 중앙블록(10)의 일면에 결합하는 결합면이 양측에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중앙블록(10)과 결합하도록, 상기 각 결합면에 복수의 체결공(11)이 형성된 연결블록(2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20)은 상기 중앙블록(10)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종류로 구성된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로서,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받침 프레임(100);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받침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된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상기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하부 전후방향 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전후방향 프레임(120);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
    터널의 내부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복수의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상부에 설치된 작업발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 및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
    상기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11);
    상기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2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21);
    상기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한 쌍의 상부 연장 전후방향 프레임(130);
    상기 한 쌍의 1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11) 및 한 쌍의 2열 연장 상하방향 프레임(221)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상부 연장 캔틸레버 프레임(43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과, 상기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및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의 내부영역에는 작업차량의 통행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블록(10)은 정육면체 구조이고, 상기 중앙블록(10)의 각 면과 상기 연결블록(20)의 결합면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블록(10)의 각 면과, 상기 연결블록(20)의 각 결합면에는, 마름모형 관통공(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블록(10)의 각 면과, 상기 연결블록(20)의 각 결합면에는, 상기 마름모형 관통공(12)의 각 변의 외측 영역에 4개의 상기 체결공(11)이 방사대칭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20)은,
    상기 결합면을 형성하도록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결합판(21);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의 각 모서리에 양단이 결합한 연결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2)는 "ㄱ"자 형강 또는 사각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20)은,
    복수의 상기 연결부재(22)의 중앙부 사이에 양단이 결합한 구획부재(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23)와 그 양측에 설치된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단위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23)는 상기 단위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된 제1 구획부재(23-1)와, 제2 구획부재(23-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20)은,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과 상기 제1 구획부재(23-1)를 구비한 제2 연결블록(20-2);
    상기 한 쌍의 결합판(21)과 상기 제1 구획부재(23-1) 및 제2 구획부재(23-2)를 구비한 제3 연결블록(2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21)과 상기 연결부재(22)의 사이에는,
    일측이 상기 결합판(21)에 결합하고, 타측이 만곡지게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연결부재(22)에 결합한 스티프너(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재(23)와 상기 연결부재(22)의 사이에는 보강리브(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내부 경사 프레임(5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경사 프레임(510)은, 상기 중앙블록(10)의 일면에 결합한 힌지부재에 대하여 힌지거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외부 경사 프레임(5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1열 상하방향 프레임(210) 및 한 쌍의 2열 상하방향 프레임(220)의 상단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에 결합함과 아울러, 외측으로 돌출된 캔틸레버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복수의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상부 캔틸레버 프레임(42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외측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캔틸레버 프레임(41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지면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외측하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11) 및 2열 상부 연장 좌우방향 프레임(321)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1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10) 및 2열 상부 좌우방향 프레임(320)의 심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블록(10)의 사이에, 상기 중앙블록(10)과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 또는 상기 연결블록(20)의 조립에 의해 설치된 1열 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12) 및 2열 상부 보강 상하방향 프레임(2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KR1020160170304A 2016-12-14 2016-12-14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KR101844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04A KR101844977B1 (ko) 2016-12-14 2016-12-14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04A KR101844977B1 (ko) 2016-12-14 2016-12-14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977B1 true KR101844977B1 (ko) 2018-04-03

Family

ID=6197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304A KR101844977B1 (ko) 2016-12-14 2016-12-14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9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5730A (zh) * 2018-10-15 2018-11-30 中铁六局集团广州工程有限公司 一种明挖隧道矩形结构衬砌模板台车系统
CN108952770A (zh) * 2018-09-30 2018-12-07 中铁六局集团广州工程有限公司 一种放坡明挖隧道矩形结构衬砌外模台车
KR102288409B1 (ko) * 2021-03-12 2021-08-10 주식회사 대승개발 터널 작업용 대차
CN115726805A (zh) * 2022-10-19 2023-03-03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可变台车及其安装变换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73B1 (ko) * 2005-11-10 2007-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널 지보재 설치구조
KR200461507Y1 (ko) * 2012-02-02 2012-07-19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이동식 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73B1 (ko) * 2005-11-10 2007-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널 지보재 설치구조
KR200461507Y1 (ko) * 2012-02-02 2012-07-19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을 이용한 이동식 대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2770A (zh) * 2018-09-30 2018-12-07 中铁六局集团广州工程有限公司 一种放坡明挖隧道矩形结构衬砌外模台车
CN108915730A (zh) * 2018-10-15 2018-11-30 中铁六局集团广州工程有限公司 一种明挖隧道矩形结构衬砌模板台车系统
KR102288409B1 (ko) * 2021-03-12 2021-08-10 주식회사 대승개발 터널 작업용 대차
CN115726805A (zh) * 2022-10-19 2023-03-03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可变台车及其安装变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977B1 (ko)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KR101628264B1 (ko)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876546B1 (ko) 아치형 강재거푸집
CN108561156B (zh) 分离式隧道换拱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60104258A (ko)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5405337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KR20200032316A (ko)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01216A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2035995B1 (ko)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40139272A (ko) 보 거푸집과 이를 운반 및 지지하는 새들
KR200298104Y1 (ko) 토목공사에서 박스형태로 설계되는 콘크리트 구체 성형용이동식 거푸집
KR200385376Y1 (ko)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CN100529274C (zh) 具有纵向插槽的条形基础的快速建造方法
JP3042310B2 (ja) 既存建屋の改築システム及び改築方法
CN116378711A (zh) 一种浅埋暗挖隧道分离式台车装置及施工方法
CN111172819B (zh) 一种用于盾构拖车拼装与行走的平台及其施工方法
JP4964528B2 (ja) 鉄骨造建物の床架構および同床架構の建築構法
JP4455370B2 (ja) Pcルーフ桁とそのpcルーフ桁を用いた路盤下横断構造物
KR101148546B1 (ko) 장스팬용 조립 철골 보 및 그를 이용한 철골 골조
KR101692151B1 (ko) 측압지지보 겸용 데크 지지프레임
JP4872301B2 (ja) Rc構造体の構築工法
KR102490025B1 (ko)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KR101483939B1 (ko) 세그멘트식 콘크리트지하구조물 구축용 굴착추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