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264B1 -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8264B1 KR101628264B1 KR1020160016541A KR20160016541A KR101628264B1 KR 101628264 B1 KR101628264 B1 KR 101628264B1 KR 1020160016541 A KR1020160016541 A KR 1020160016541A KR 20160016541 A KR20160016541 A KR 20160016541A KR 101628264 B1 KR101628264 B1 KR 1016282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support
- strut
- brace
- transver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타 공법에서 바닥 슬래브 시공을 위한 바닥 지지틀 시공시 기둥 부재의 열에 상관없이 가설 버팀보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시공성, 안전성 및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은 복수의 기둥 부재; 각 기둥 부재의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기둥 부재의 측면에 기둥 부재의 외측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어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지지하는 지지보, 마주보는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기둥 부재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 부재; 상기 브래킷 부재 상부에 브래킷 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슬래브 타설을 위한 바닥 거푸집을 지지하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은 복수의 기둥 부재; 각 기둥 부재의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기둥 부재의 측면에 기둥 부재의 외측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어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지지하는 지지보, 마주보는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기둥 부재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 부재; 상기 브래킷 부재 상부에 브래킷 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슬래브 타설을 위한 바닥 거푸집을 지지하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역타 공법에서 바닥 슬래브 시공을 위한 바닥 지지틀 시공시 기둥 부재의 열에 상관없이 가설 버팀보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시공성, 안전성 및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역타 공법(Top-down)은 도심지 공사 등 시공이 불리한 장소에서 지하구조물 시공시 지상에서 지하 방향으로 시공을 진행하는 공법이다.
역타 공법에서는 지하 바닥슬래브를 상부층부터 하부층의 순서로 거꾸로 시공하게 되는데, 지하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지보 및 바닥슬래브 시공을 위한 바닥 지지틀을 먼저 시공하고 바닥슬래브를 타설하며, 슬래브 콘크리트 경화 후 지보와 바닥 지지틀을 해체하여 1개 층 하부로 하강한 후 다시 하부층 바닥슬래브를 시공하는 순서로 시공이 진행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일본 특개평5-148837호,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 제10-0912574호 등 종래 기술에서는 바닥 지지틀을 구성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바닥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이면 가설 버팀보의 설치가 용이하나 바닥 평면이 비정형 형상이면 기둥의 열이 꺾이므로 횡방향 가설 버팀보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가 서로 수직을 이루지 않는 부분이 많아 이들 접합부의 시공이 어렵다.
한편, 콘크리트 타설 면적이 큰 경우에는 바닥슬래브를 분리 타설할 수밖에 없다. 아울러 콘크리트를 1회 타설하는 경우에도 양중 부담 등을 고려하여 지보 및 바닥 지지틀을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면서 자재를 부분적으로 하강시켜 바닥슬래브의 시공 작업을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복수의 지보 또는 바닥 지지틀이 상호 분절되는 부분에서 이들 각 부재의 플랜지 및 웨브 양측에 덧판을 대고 볼트로 결합하거나 볼트를 해체하여야 하므로, 소요 볼트의 개수가 많고 가설재의 해체 또는 결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아울러 이음부에서 양측 가설 버팀보의 중심을 맞추기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덧판 결합 전까지 가설 버팀보 단부가 고정되지 않아 가설 버팀보가 흔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등 작업 정밀도 및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 슬래브 시공을 위한 바닥 지지틀 시공시 종방향 가설 버팀보를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기둥 부재의 열에 상관없이 가설 버팀보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보 및 바닥 지지틀을 분할하여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하강시켜 가며 반복 시공할 때 시공성, 안전성 및 작업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 부재; 각 기둥 부재의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기둥 부재의 측면에 기둥 부재의 외측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어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지지하는 지지보, 마주보는 지지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기둥 부재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 부재; 상기 브래킷 부재 상부에 브래킷 부재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슬래브 타설을 위한 바닥 거푸집을 지지하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 로 구성되되,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 및 종방향 가설 버팀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로 경사지게 분절되어, 분절된 단부의 하부가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일측 가설 버팀보의 경사진 단부에 제1접합플레이트가 결합되고, 분절된 단부의 하부가 둔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타측 가설 버팀보의 경사진 단부에 제2접합플레이트가 결합되며,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와 제2접합플레이트는 볼트 결합되는 경사이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 및 제2접합플레이트는 평면상 단면이 V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제2접합플레이트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경사이음부의 일측 가설 버팀보 또는 타측 가설 버팀보의 하부플랜지 상면에는 자석 거치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기둥 부재의 양측에는 브래킷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버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버팀대는 브래킷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대 및 지지대는 기둥 부재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흙막이 시공 후 기둥 부재를 지반에 근입하는 단계; (b) 지반 터파기 후 기둥 부재에 브래킷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브래킷 부재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설치하고,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종방향 가설 버팀보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종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바닥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 배근 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e) 하부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 (f) 상기 브래킷 부재를 해체하는 한편 경사이음부의 체결을 해체하여 순차적으로 브래킷 부재, 횡방향 가설 버팀보 및 종방향 가설 버팀보를 하부층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b) 내지 (f) 단계를 일정 회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역타 공법에서 바닥 슬래브 시공을 위한 바닥 지지틀 시공시 종방향 가설 버팀보를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비정형 평면에도 기둥 부재의 열에 상관없이 가설 버팀보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둘째,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를 상하로 경사지게 분절하여 볼트 결합하는 경사이음부를 구성함으로써, 이웃하는 가설 버팀보의 결합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가설 버팀보의 플랜지와 웨브에 각각 덧판을 대고 볼트 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볼트 소요 개수를 줄여 공기 단축 및 시공성 향상이 가능하다.
셋째, 경사이음부의 일측 및 타측 가설 버팀보에 각각 평면상 단면이 V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 2접합플레이트를 결합함으로써, 이웃하는 가설 버팀보의 중심을 쉽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공 중 가설 버팀보의 이동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가설 버팀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가설 버팀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경사이음부의 측면도.
도 6은 경사이음부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V자 형상의 제1, 2접합플레이트가 구비된 경사이음부의 사시도.
도 8은 스토퍼가 구비된 경사이음부의 사시도.
도 9는 자석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이음부의 사시도.
도 10은 버팀대가 구비된 기둥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브래킷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된 브래킷 부재의 측면도.
도 13은 가압플레이트의 해체에 의한 브래킷 부재의 이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시공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지보 및 바닥 지지틀을 하강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지보 및 바닥 지지틀을 하강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가설 버팀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경사이음부의 측면도.
도 6은 경사이음부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V자 형상의 제1, 2접합플레이트가 구비된 경사이음부의 사시도.
도 8은 스토퍼가 구비된 경사이음부의 사시도.
도 9는 자석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이음부의 사시도.
도 10은 버팀대가 구비된 기둥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브래킷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된 브래킷 부재의 측면도.
도 13은 가압플레이트의 해체에 의한 브래킷 부재의 이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시공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지보 및 바닥 지지틀을 하강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지보 및 바닥 지지틀을 하강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은 복수의 기둥 부재(2); 각 기둥 부재(2)의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기둥 부재(2)의 측면에 기둥 부재(2)의 외측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31), 상기 지지플레이트(31)의 전면에 결합되어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지지하는 지지보(32), 마주보는 지지플레이트(31)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33)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31)와 기둥 부재(2)의 사이에 연결부재(33)를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34)로 구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 부재(3); 상기 브래킷 부재(3) 상부에 브래킷 부재(3)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슬래브 타설을 위한 바닥 거푸집을 지지하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로 구성되되,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및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로 경사지게 분절되어, 분절된 단부의 하부가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일측 가설 버팀보(4')의 경사진 단부에 제1접합플레이트(411)가 결합되고, 분절된 단부의 하부가 둔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타측 가설 버팀보(4")의 경사진 단부에 제2접합플레이트(412)가 결합되며,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411)와 제2접합플레이트(412)는 볼트(B) 결합되는 경사이음부(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은 지하 바닥슬래브를 상부층부터 하부층 순으로 진행하는 역타 공법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둥 부재(2)는 지하 흙막이(1) 시공 후 지반에 복수 개 근입된다.
상기 브래킷 부재(3)는 각 기둥 부재(2)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해당층 슬래브 콘크리트 양생 후 해체하여 하부층 시공을 위하여 하강시켜 재사용한다.
상기 브래킷 부재(3) 상부에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가 차례대로 시공된다.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는 브래킷 부재(3) 상부에 지지되며,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부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를 상하 높이를 달리하여 다른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경우, 바닥 슬래브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비정형 평면 등의 경우에도 기둥 부재(2)의 열에 상관없이 가설 버팀보(4a, 4b)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가 상호 접합되지 않으므로 이들 접합부 처리에 소요되는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부재(3)와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는 플랜지를 상호 볼트 결합한다.
상기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상부에는 바닥 거푸집 지지를 위한 멍에나 장선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도 해당층 슬래브 콘크리트 양생 후 해체하여 하부층 시공을 위하여 하강시켜 재사용한다.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및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로 경사지게 분절되어 볼트(B) 결합되는 경사이음부(4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가설 버팀보(4a, 4b)의 상하플랜지와 웨브에 덧판을 대고 일일이 볼트 결합할 필요없이, 경사이음부(41)의 볼트(B)만 체결 또는 해체하여 가설 버팀보(4a, 4b)를 결합 또는 해체할 수 있다.
따라서 지보 및 바닥 지지틀을 분할하여 하부층으로 하강시키면서 반복 시공할 때 시공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부재(2), 브래킷 부재(3) 및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는 각각 H 형강을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경사이음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경사이음부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이음부(41)는 분절된 단부의 하부가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일측 가설 버팀보(4')의 경사진 단부에 제1접합플레이트(411)가 결합되고, 분절된 단부의 하부가 둔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타측 가설 버팀보(4")의 경사진 단부에 제2접합플레이트(412)가 결합되며,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411)와 제2접합플레이트(412)는 볼트(B) 결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는 양측 가설 버팀보(4', 4")의 접합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뿐 아니라 토압에 의한 축력을 원활하게 전달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이음부(41)의 결합시 일측 가설 버팀보(4')를 먼저 설치한 후 타측 가설 버팀보(4")의 제2접합플레이트(412)가 일측 가설 버팀보(4')의 제1접합플레이트(411)의 대면하는 일면을 타고 하부로 미끄러지면서 타측 가설 버팀보(4")가 제자리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411)와 제2접합플레이트(412)를 볼트(B) 결합하여 이웃하는 가설 버팀보(4', 4")를 상호 결합한다.
반대로 경사이음부(41)의 해체시에는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에 체결된 볼트(B)를 해체한 다음 일측 가설 버팀보(4')를 먼저 하강하여 하부층으로 내린다. 이후 타측 가설 버팀보(4")를 하부층으로 하강시킨다.
상기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의 볼트(B) 결합을 위하여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에는 볼트 결합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결합공은 상하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구성하여 가설 버팀보(4', 4")의 길이 방향 시공 오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는 가설 버팀보(4', 4")의 상하부플랜지의 상하 및/또는 좌우로 각각 돌출되도록 사이즈를 크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는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가 가설 버팀보(4', 4")의 상부플랜지 상부로 돌출된 부분과 상부플랜지의 사이 또는 하부플랜지의 하부로 돌출된 부분과 하부플랜지의 사이에 스티프너(413)를 결합하여 보강할 수 있다.
도 7은 V자 형상의 제1, 2접합플레이트가 구비된 경사이음부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411) 및 제2접합플레이트(412)는 평면상 단면이 V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를 V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면 절곡된 부분을 따라 이웃하는 일측 및 타측 가설 버팀보(4', 4")의 좌우 중심선의 위치가 저절로 맞춰져 시공이 편리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측 및 타측 가설 버팀보(4', 4")의 상하부플랜지를 V자 형상으로 커팅하여 제1, 2접합플레이트(411, 412)를 양측 가설 버팀보(4', 4")에 각각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도 8은 스토퍼가 구비된 경사이음부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411)의 하단에는 제2접합플레이트(412)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414)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414)는 제1접합플레이트(411)가 제2접합플레이트(412)와 대면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14)는 제2접합플레이트(412)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제2접합플레이트(412)와 결합된 타측 가설 버팀보(4")가 더는 하강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도 9는 자석 거치대가 구비된 경사이음부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이음부(41)의 일측 가설 버팀보(4') 또는 타측 가설 버팀보(4")의 하부플랜지 상면에는 자석 거치대(415)가 결합될 수 있다.
경사이음부(41) 해체시, 해체된 볼트나 너트 등 금속 부자재는 분실 또는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 등이 있어 작업자가 일일이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일측 가설 버팀보(4') 또는 타측 가설 버팀보(4")의 하부플랜지 상면에는 자석 거치대(415)를 설치하는 경우, 자석 거치대(415)에 금속 부자재를 부착시키고 가설 버팀보(4', 4")와 함께 하강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0은 버팀대가 구비된 기둥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 부재(2)의 양측에는 브래킷 부재(3)의 하부를 지지하는 버팀대(5)가 구비될 수 있다.
바닥 하중은 바닥슬래브의 자중, 지보 및 바닥 지지틀 하중뿐 아니라 작업자 및 장비 등 작업 하중이 매우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착탈 가능한 브래킷 부재(3)만으로는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부족할 수 있으므로, 브래킷 부재(3) 하부를 버팀대(5)로 지지하여 상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팀대(5)는 브래킷 부재(3)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51) 및 상기 받침대(51)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52)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대(51) 및 지지대(52)는 기둥 부재(2)와 용접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부재(3)는 비교적 크기가 큰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브래킷 부재(3)와 기둥 부재(2)를 용접으로 결합시 용접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그러나 브래킷 부재(3)의 용접 폭을 기둥 부재(2)의 폭 이상으로 할 수 없으므로, 브래킷 부재(3)의 받침대(51) 하부에 지지대(52)를 복수 개 결합하여 용접장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52)는 받침대(51) 하부에서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기둥 부재(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결합되었다.
도 11은 브래킷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부재(3)는 기둥 부재(2)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31)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31)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지지하는 지지보(32)로 구성되되, 상기 기둥 부재(2) 양측의 브래킷 부재(3)는 지지플레이트(31)를 복수의 연결부재(33)로 연결하여 기둥 부재(2) 외측에 구비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둥 부재(2)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브래킷 부재(3)는 기둥 부재(2)의 각 측면에 밀착되고 브래킷 부재(3)의 하부는 버팀대(5)에 지지된다.
그리고 기둥 부재(2)의 각 측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31)는 기둥 부재(2)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돌출된 부분을 연결부재(33)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1)에는 연결부재(33)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둘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는 전산볼트나 강봉 등에 너트를 결합하거나 해체하여 상호 결합 또는 해체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보(32)는 각 지지플레이트(31)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보(32)의 하부플랜지 하부와 지지플레이트(31)의 전면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브래킷 부재(3)를 해체하여 하부층으로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 기둥 부재(2)에 용접 결합된 버팀대(5)의 용접부를 산소 절단 등으로 절단하여 버팀대(5)를 제거하는 한편 연결부재(33)의 너트를 해체하여 브래킷 부재(3)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브래킷 부재(3)를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2는 가압플레이트가 구비된 브래킷 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가압플레이트의 해체에 의한 브래킷 부재의 이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 부재(3)의 지지플레이트(31)는 기둥 부재(2)의 외측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1)와 기둥 부재(2)의 사이에는 연결부재(33)를 따라 전후진 가능한 가압플레이트(34)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34)가 기둥 부재(2)에 밀착 시 가압플레이트(34)의 하부가 버팀대(5)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앞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플레이트(31)가 기둥 부재(2)의 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브래킷 부재(3) 해체시 매층마다 버팀대(5)를 제거하는 작업이 수반되어 번거롭다.
따라서 브래킷 부재(3)에 가압플레이트(34)를 구비하여, 도 13의 (a)와 같이 브래킷 부재(3) 해체 시 가압플레이트(34)를 지지플레이트(31) 측 즉, 버팀대(5) 외측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브래킷 부재(3) 사이의 간격을 벌린 후, 도 13의 (b)와 같이 버팀대(5)의 유무에 상관없이 브래킷 부재(3)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래킷 부재(3) 하강시 별도로 버팀대(5)를 제거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이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플레이트(31)를 직접 기둥 부재(2) 외측에 밀착시킬 경우, 연결부재(33)의 고정을 해제한다 하더라도 지지플레이트(31)와 기둥 부재(2) 사이에 유격이 없어 브래킷 부재(3)를 하강시키는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가압플레이트(34)를 이용하여 한 쌍의 브래킷 부재(3) 사이의 간격을 충분하게 유지하면 브래킷 부재(3)의 하강이 용이하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1)는 연결부재(33)에 의하여 고정하고, 지지플레이트(31)와 가압플레이트(34) 사이의 연결부재(33)에는 조절너트를 결합하여 조절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압플레이트(34)를 기둥 부재(2) 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너트 외에 지지플레이트(31)와 가압플레이트(34)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가압플레이트(34)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시공 방법의 단계별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시공 방법은 앞서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서는 우선 (a) 흙막이(1) 시공 후 기둥 부재(2)를 지반에 근입한다(도 14의 (a)).
상기 흙막이(1)는 슬러리월, CIP, SCW 공법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들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토압, 수압과 함께 수직하중도 지지한다.
상기 지반에 근입된 기둥 부재(2)는 지반 굴착에 따라 순차적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구조물 자중, 작업 하중, 풍하중 등을 지지하며, 하부 기초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b) 지반 터파기 후 기둥 부재(2)에 브래킷 부재(3)를 결합한다(도 14의 (b)).
상기 브래킷 부재(3)는 각 기둥 부재(2)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시공을 진행함에 따라 기둥 부재(2)의 측면에 결합 및 해체를 반복한다.
그리고 (c) 상기 브래킷 부재(3)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설치하고,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부에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를 설치한다(도 14의 (c)).
즉,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부에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를 설치하므로, 가설 버팀보(4a, 4b)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아 이들 부재의 접합부 시공이 용이하고, 비정형 평면에서도 가설 버팀보(4a, 4b)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후, (d) 상기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상부에 바닥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S)를 타설하며(도 14의 (d)), (e) 하부 터파기를 실시한다(도 14의 (e)).
즉, 해당층의 시공을 완료한 후, 시공이 완료된 슬래브층의 하부층을 시공하기 위하여 하부 지반을 굴착한다.
그리고 (f) 상기 브래킷 부재(3)를 해체하는 한편 경사이음부(41)의 체결을 해체하여 순차적으로 브래킷 부재(3),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및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를 하부층으로 하강시킨다(도 14의 (f)).
이때, 상기 브래킷 부재(3)에 유압하강장치를 연결하여 브래킷 부재(3)와 가설 버팀보(4a, 4b)를 하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g) 상기 (b) 내지 (f) 단계를 일정 회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를 시공한다.
즉, 기둥 부재(2)에 하부층 시공을 위하여 하강된 브래킷 부재(3)를 결합하고, 브래킷 부재(3) 상부에 하강된 횡방향 및 종방향 가설 버팀보(4a, 4b)를 설치하며, 바닥 거푸집 설치 및 철근 배근 후 슬래브 콘크리트(S)를 타설하여 하부층을 시공한다. 그리고 시공된 하부층 하부의 지반을 터파기한 후 재사용된 브래킷 부재(3),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및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를 다시 해체한 후 아래로 하강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순차적으로 슬래브 시공을 진행한다.
도 15는 지보 및 바닥 지지틀을 하강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6은 지보 및 바닥 지지틀을 하강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슬래브 콘크리트(S)를 1회 타설하여 바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양중 부담 등에 따라 가설 버팀보(4a, 4b)를 경사이음부(41)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하부층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6은 바닥 면적이 상당한 경우 등 슬래브 콘크리트(S)를 분리 타설하여 바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6에서와 같이 선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S) 하부의 가설 버팀보에 제1경사이음부(41')를 형성하고, 후타설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의 경계면에 제2경사이음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콘크리트를 분리 타설하는 경우에는 선타설 슬래브 콘크리트(S)의 양생 후 제1경사이음부(41')를 해체하여 브래킷 부재(3), 지보 및 가설 버팀보(4a, 4b)를 하강한다.
이 경우 토압은 선타설된 슬래브 콘크리트(S)와 남아 있는 하부의 지보 및 가설 버팀보(4a, 4b)가 연계되어 지지한다.
이후 나머지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제2경사이음부(41")를 해체하며, 브래킷 부재(3), 지보 및 가설 버팀보(4a, 4b)를 하강한다.
1: 흙막이 2: 기둥 부재
3: 브래킷 부재 31: 지지플레이트
32: 지지보 33: 연결부재
34: 가압플레이트 4': 일측 가설 버팀보
4": 타측 가설 버팀보 4a: 횡방향 가설 버팀보
4b: 종방향 가설 버팀보 41: 경사이음부
41': 제1경사이음부 41": 제2경사이음부
411: 제1접합플레이트 412: 제2접합플레이트
413: 스티프너 414: 스토퍼
415: 자석 거치대 5: 버팀대
51: 받침대 52: 지지대
B: 볼트 S: 슬래브 콘크리트
3: 브래킷 부재 31: 지지플레이트
32: 지지보 33: 연결부재
34: 가압플레이트 4': 일측 가설 버팀보
4": 타측 가설 버팀보 4a: 횡방향 가설 버팀보
4b: 종방향 가설 버팀보 41: 경사이음부
41': 제1경사이음부 41": 제2경사이음부
411: 제1접합플레이트 412: 제2접합플레이트
413: 스티프너 414: 스토퍼
415: 자석 거치대 5: 버팀대
51: 받침대 52: 지지대
B: 볼트 S: 슬래브 콘크리트
Claims (10)
- 복수의 기둥 부재(2);
각 기둥 부재(2)의 양측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기둥 부재(2)의 측면에 기둥 부재(2)의 외측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31), 상기 지지플레이트(31)의 전면에 결합되어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지지하는 지지보(32), 마주보는 지지플레이트(31)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33)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31)와 기둥 부재(2)의 사이에 연결부재(33)를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플레이트(34)로 구성되는 한 쌍의 브래킷 부재(3);
상기 브래킷 부재(3) 상부에 브래킷 부재(3)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것으로 바닥슬래브 타설을 위한 바닥 거푸집을 지지하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로 구성되되,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및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로 경사지게 분절되어, 분절된 단부의 하부가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일측 가설 버팀보(4')의 경사진 단부에 제1접합플레이트(411)가 결합되고, 분절된 단부의 하부가 둔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타측 가설 버팀보(4")의 경사진 단부에 제2접합플레이트(412)가 결합되며,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411)와 제2접합플레이트(412)는 볼트(B) 결합되는 경사이음부(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411) 및 제2접합플레이트(412)는 평면상 단면이 V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 제3항에서,
상기 제1접합플레이트(411)의 하단에는 제2접합플레이트(412)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41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 제1항에서,
상기 경사이음부(41)의 일측 가설 버팀보(4') 또는 타측 가설 버팀보(4")의 하부플랜지 상면에는 자석 거치대(41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 제1항에서,
상기 기둥 부재(2)의 양측에는 브래킷 부재(3)의 하부를 지지하는 버팀대(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 제6항에서,
상기 버팀대(5)는 브래킷 부재(3)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51) 및 상기 받침대(51)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52)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대(51) 및 지지대(52)는 기둥 부재(2)와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흙막이(1) 시공 후 기둥 부재(2)를 지반에 근입하는 단계;
(b) 지반 터파기 후 기둥 부재(2)에 브래킷 부재(3)를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브래킷 부재(3)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설치하고,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부에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상부에 바닥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 배근 후 슬래브 콘크리트(S)를 타설하는 단계;
(e) 하부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
(f) 상기 브래킷 부재(3)를 해체하는 한편 경사이음부(41)의 체결을 해체하여 순차적으로 브래킷 부재(3),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및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를 하부층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b) 내지 (f) 단계를 일정 회 반복하여 지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6541A KR101628264B1 (ko) | 2016-02-12 | 2016-02-12 |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6541A KR101628264B1 (ko) | 2016-02-12 | 2016-02-12 |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8264B1 true KR101628264B1 (ko) | 2016-06-08 |
Family
ID=5619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6541A KR101628264B1 (ko) | 2016-02-12 | 2016-02-12 |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8264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9126B1 (ko) * | 2016-08-30 | 2017-06-08 | (주)삼호언더폼이엔지 |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
KR20190066754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충규 |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KR20190116624A (ko) | 2018-04-05 | 2019-10-15 | (주)대우건설 | 공기단축형 가설 스트럿 지지 구조 |
KR102035995B1 (ko) * | 2019-02-25 | 2019-10-24 | 삼호쏘일텍(주) |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CN112942677A (zh) * | 2021-01-26 | 2021-06-11 | 上海绿地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装配式双侧板全螺栓钢连梁 |
KR102353188B1 (ko) | 2021-05-20 | 2022-01-18 | 이승원 | 버팀보 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 |
KR102360372B1 (ko) * | 2021-02-17 | 2022-02-09 | 주식회사 유앤씨 | 승하강 이동식 트러스체를 이용한 탑다운공법 |
KR20220153333A (ko) * | 2021-05-11 | 2022-11-18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RU216492U1 (ru) * | 2022-09-12 | 2023-02-09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ибстрин)" | Узел монтаж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несущих элементов двутаврового сеч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растяжение с применением неконтактирующих фланцев |
KR102539931B1 (ko) * | 2022-06-29 | 2023-06-05 | 박창석 | 각도조절이 가능한 띠장설치용 보걸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26073A (ja) * | 1995-06-02 | 1996-12-10 | Ohbayashi Corp | 地下構造物の構築法 |
KR200372315Y1 (ko) * | 2004-10-11 | 2005-01-10 | 박무용 |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
KR20060071525A (ko) * | 2004-12-22 | 2006-06-27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보 이음용 절곡판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 |
JP2012107416A (ja) * | 2010-11-17 | 2012-06-07 | Naito House Corp | 梁接合構造 |
-
2016
- 2016-02-12 KR KR1020160016541A patent/KR1016282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26073A (ja) * | 1995-06-02 | 1996-12-10 | Ohbayashi Corp | 地下構造物の構築法 |
KR200372315Y1 (ko) * | 2004-10-11 | 2005-01-10 | 박무용 |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
KR20060071525A (ko) * | 2004-12-22 | 2006-06-27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보 이음용 절곡판재를 구비한 철골 구조물 |
JP2012107416A (ja) * | 2010-11-17 | 2012-06-07 | Naito House Corp | 梁接合構造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9126B1 (ko) * | 2016-08-30 | 2017-06-08 | (주)삼호언더폼이엔지 |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
KR20190066754A (ko) * | 2017-12-06 | 2019-06-14 | 이충규 |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2089758B1 (ko) * | 2017-12-06 | 2020-04-28 | 이충규 |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
KR20190116624A (ko) | 2018-04-05 | 2019-10-15 | (주)대우건설 | 공기단축형 가설 스트럿 지지 구조 |
KR102035995B1 (ko) * | 2019-02-25 | 2019-10-24 | 삼호쏘일텍(주) |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CN112942677A (zh) * | 2021-01-26 | 2021-06-11 | 上海绿地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装配式双侧板全螺栓钢连梁 |
KR102360372B1 (ko) * | 2021-02-17 | 2022-02-09 | 주식회사 유앤씨 | 승하강 이동식 트러스체를 이용한 탑다운공법 |
KR102490025B1 (ko) | 2021-05-11 | 2023-01-17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KR20220153333A (ko) * | 2021-05-11 | 2022-11-18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KR102353188B1 (ko) | 2021-05-20 | 2022-01-18 | 이승원 | 버팀보 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 |
KR102539931B1 (ko) * | 2022-06-29 | 2023-06-05 | 박창석 | 각도조절이 가능한 띠장설치용 보걸이 |
KR102718378B1 (ko) | 2022-08-11 | 2024-10-17 |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 토압 미지지 역타 공법을 위한 바닥 지지 시스템 |
RU216492U1 (ru) * | 2022-09-12 | 2023-02-09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ибстрин)" | Узел монтаж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несущих элементов двутаврового сеч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растяжение с применением неконтактирующих фланцев |
RU220161U1 (ru) * | 2023-04-10 | 2023-08-3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ибстрин)" | Рамный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ригеля и колонны двутаврового сечения с применением не контактирующих фланцев и возможностью регулировать изгибающие моменты в раме |
RU220192U1 (ru) * | 2023-04-10 | 2023-08-31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ибстрин)" | Узел монтаж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несущих элементов двутаврового сеч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растяжение, состыкованных торцами профилей с применением не контактирующих фланцевых листов, прикрепленных к стенке и полка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8264B1 (ko) |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
US10836080B2 (en) | Concrete forming systems and methods | |
KR101687495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 |
KR20070107250A (ko) |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 |
KR101665482B1 (ko) | 무지보 연속화를 통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경간 교량 시공방법 | |
JP2011157720A (ja) |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 |
CN109881702B (zh) | 塔吊基础及其施工方法 | |
KR101844977B1 (ko) |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 |
KR102035995B1 (ko) |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6664699B2 (ja) | 山留め工法及び支保工システム | |
JP6032625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杭頭部接合方法及び杭頭部支持構造 | |
KR101954387B1 (ko) |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 |
JP2020079496A (ja) | 地下構造物の頂版の構築方法 | |
JP7185567B2 (ja) | 橋脚の改修方法 | |
JP2764894B2 (ja) | 筒体の構築方法 | |
JP7225356B2 (ja) |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プレスバーおよびストラット | |
KR101249660B1 (ko) | 비개착 지하구조물의 시공에 적용되는 벽체 트렌치 토압 지지 방법 | |
KR20150120779A (ko) | 철골 일방향 수평구조 프레임용 브라켓 | |
JP7093714B2 (ja) | ピット構造及びそれの構築方法 | |
JP2017203302A (ja) | 複合基礎構造の構築方法 | |
JP5437876B2 (ja) |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工程における支持部材の解体撤去方法 | |
KR101884453B1 (ko) | 코어 슬래브 선시공 역타 공법 | |
CN113700024B (zh) | 采用对接卡扣加固加气混凝土预制板模板的施工方法 | |
KR101703946B1 (ko) | 영구보 지지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 |
JP6372681B2 (ja) | 仮設柱を活用した本設架構の構築方法、及び仮設柱と仮設桁の接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