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025B1 -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025B1
KR102490025B1 KR1020210060783A KR20210060783A KR102490025B1 KR 102490025 B1 KR102490025 B1 KR 102490025B1 KR 1020210060783 A KR1020210060783 A KR 1020210060783A KR 20210060783 A KR20210060783 A KR 20210060783A KR 102490025 B1 KR102490025 B1 KR 10249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longitudinal
transverse
drop panel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333A (ko
Inventor
최동섭
이지훈
김남주
한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콘텍
Priority to KR102021006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0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브래킷부재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STD 시스템을 활용하여, 종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기둥부재 양측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 사이에서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드롭패널형성부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슬래브를 무량판 구조로 구성하면서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부재; 상기 각 기둥부재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 상기 브래킷부재의 상부에 이웃하는 브래킷부재를 가로질러 거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의 상부에 이웃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연속으로 가로질러 거치되어 횡방향 가설 버팀보와 높이를 달리하는 것으로, 바닥 슬래브 타설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 및 상기 기둥부재의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부재 좌우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바닥 슬래브 하부의 드롭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드롭패널형성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Floor frame support system for flat slab in top-down method}
본 발명은 브래킷부재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STD 시스템을 활용하여, 종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기둥부재 양측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 사이에서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드롭패널형성부를 설치함으로써, 바닥 슬래브를 무량판 구조로 구성하면서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지하 부분의 굴착과 구축을 하향으로 진행하면서 지상 부분의 구축도 상향으로 동시에 실시하는 역타 공법(Top-down)은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인접 건물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지하 공사시 날씨의 영향이 적은데다 소음 및 진동이 적어 도심지 공사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 중 재래식 공법은 철근콘크리트 보와 슬래브 타설 전까지 스트럿과 가설 기둥을 설치하여 가설 흙막이를 지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공법은 스트럿 설치가 복잡하고, 스트럿 간섭으로 시공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SPS 공법(Strut as Permanent System)은 철골 본구조물 자체가 가설 흙막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법으로, 슬래브 타설 후 굴착 공사를 바로 진행할 수 있어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그러나 철골 자재비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BRD 공법(Bracket supported RC Downward)은 철근콘크리트 바닥 슬래브가 토압을 100% 지지하도록 하는 공법이다(등록특허 제10-0605514호). 상기 공법은 기둥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으로 바닥 슬래브 및 거더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을 하강시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거더 및 슬래브가 양생되어 토압을 지지하기 전까지는 터파기를 진행할 수 없어 공기 지연의 문제가 있다.
아울러 STD 공법(Strut Top Down)은 종래 SPS 공법이나 BRD 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가설 흙막이를 지지하는 가설 버팀보를 활용하여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한다(등록특허 제10-0912574호). 그리고 기둥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이 한 쌍의 가설 버팀보를 지지하도록 하고, 가설 버팀보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시킨다. 이에 따라 가설 버팀보 지지로 조기에 하부 굴착이 가능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역타 공법에서 지하 각 층에 시공되는 바닥 슬래브는 토압 및 수압에 대해 면내 강성에 의해 다이어프램 역할을 함으로써 수평버팀대 역할을 한다.
이때, 바닥 슬래브 하부에 보를 설치하여 바닥 슬래브의 하중을 기둥부재로 전달하도록 하는 라멘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래킷 상부에 거치되는 지지거더 상부에 멍에를 설치하고, 멍에 상부에 보와 바닥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바닥 슬래브 하면과 보 하면은 높이 차가 있기 때문에, 바닥 슬래브 거푸집 하부에는 별도의 동바리를 설치하여 바닥 슬래브 거푸집을 상부로 띄워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바닥 슬래브 거푸집과 지지거더 사이는 간격이 좁아 동바리 설치 및 해체 작업이 매우 곤란한다.
또한, 이러한 라멘조는 거푸집 형상이 복잡하고, 서로 단차가 있는 바닥 슬래브 거푸집과 보 거푸집을 슬래브 바닥 지지틀 상부에 바로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층고 증가로 터파기 물량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단면이 단순하여 거푸집 설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층고를 절감함으로써 터파기 물량을 줄일 수 있는 무량판 구조를 적용하는 현장이 늘고 있다.
바닥 슬래브를 무량판 구조로 시공하는 경우, 기둥부재 주변에서 바닥 슬래브의 뚫림 전단(punching shear)을 방지하기 위해 기둥 주위의 바닥 슬래브 하부에 드롭패널(drop panel)을 시공한다.
그런데 이 역시 드롭패널과 바닥 슬래브 단차 형성을 위해 바닥 슬래브 하부에 여전히 동바리가 필요하여, 시공성 개선에 한계가 있다.
특히, BRD 공법은 지지거더가 기둥부재와 인접하여 설치되고, 횡방향 지지거더와 종방향 지지거더가 모두 동일 높이에 설치되어 단부가 기둥부재에 설치된 브래킷 상면에 거치된다. 그러므로 기둥 주변에 공간 확보가 어려워 보나 드롭패널 설치를 위한 거푸집을 지지거더 상부에 설치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래킷부재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가 높이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종방향 가설 버팀보가 기둥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STD 시스템을 활용하여 바닥 슬래브를 무량판 구조로 구성하면서 시공성을 개선한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부재; 상기 각 기둥부재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 상기 브래킷부재의 상부에 이웃하는 브래킷부재를 가로질러 거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의 상부에 이웃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연속으로 가로질러 거치되어 횡방향 가설 버팀보와 높이를 달리하는 것으로, 바닥 슬래브 타설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 및 상기 기둥부재의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부재 좌우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바닥 슬래브 하부의 드롭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부재 전후의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거치되는 종방향 멍에와 상기 종방향 멍에 상부의 드롭패널의 외곽에 구비되는 평면상 사각형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부에서 종방향 멍에의 상부에 거치되어 드롭패널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패널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드롭패널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로 구성되는 드롭패널형성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드롭패널형성부 외부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의 상부에는 횡방향 멍에가 설치되고, 상기 드롭패널형성부의 측면 프레임 상단 외측에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의 상부에 거치되는 보강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측면 프레임은 종방향 멍에의 상부에 거치되는 하부수평바와 상기 하부수평바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수직바로 구성되는 하부모듈 및 상기 하부수평바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수평바와 상기 상부수평바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수직바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수직바로 구성되는 상부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측면 프레임은 평면상 ㄷ자 형상인 유닛모듈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래킷부재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STD 시스템을 활용하여, 종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이 구비되고, 기둥부재 양측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 사이에서 횡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드롭패널 형성을 위한 드롭패널형성부가 구비된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슬래브 하부로 돌출되는 드롭패널이 종방향 가설 버팀보 사이 공간에 수용되므로, 종방향 가설 버팀보 상부에 바닥 슬래브 거푸집을 바로 설치할 수 있어 바닥 슬래브 거푸집 지지를 위한 동바리 생략으로 시공성이 개선된다.
또한, 바닥 슬래브를 무량판 구조로 형성하여 거푸집을 단순화하고, 층고 절감으로 터파기 물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아울러 종방향 가설 버팀보가 기둥부재 양측에 연속 배치된 횡방향 가설 버팀보의 상부에 이웃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므로, 브래킷의 크기 증가 없이 종방향 가설 버팀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폭의 드롭패널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STD 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STD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기둥부재와 브래킷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가설 버팀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드롭패널형성부가 구비된 STD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드롭패널형성부의 측면 프레임과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드롭패널형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가설 버팀보 상부에 멍에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드롭패널형성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슬래브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높이 조절형 측면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분할형 측면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STD 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STD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기둥부재와 브래킷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가설 버팀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드롭패널형성부가 구비된 STD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은 복수의 기둥부재(2); 상기 각 기둥부재(2)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3); 상기 브래킷부재(3)의 상부에 이웃하는 브래킷부재(3)를 가로질러 거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의 상부에 이웃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연속으로 가로질러 거치되어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높이를 달리하는 것으로, 바닥 슬래브(6) 타설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61)을 지지하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및 상기 기둥부재(2)의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부재(2) 좌우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바닥 슬래브(6) 하부의 드롭패널(60)을 형성하기 위한 드롭패널형성부(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브래킷부재(3)의 상부에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종방향 가설 버팀보(4b)가 기둥부재(2)와 이격된 위치에서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STD 시스템을 활용하여 바닥 슬래브(6)를 무량판 구조로 구성하면서 시공성을 개선한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STD 시스템을 활용하여 지하 바닥 슬래브를 상부층에서 하부층으로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역타 공법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은 기둥부재(2), 브래킷부재(3),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및 드롭패널형성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재(2)는 지하 흙막이(1) 시공 후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지반에 근입된다.
상기 브래킷부재(3)는 각 기둥부재(2)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한 쌍 결합된다(도 3).
상기 브래킷부재(3)는 상부의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당층 바닥 슬래브 콘크리트 양생 후 해체하여 하부층 시공을 위해 가설 버팀보(4a, 4b)와 함께 하강시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부재(3)의 상부에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가 차례대로 시공된다(도 4).
즉,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는 브래킷부재(3)의 상부에 지지되며,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의 상부에 지지된다.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는 이웃하는 브래킷부재(3)를 가로지르도록 브래킷부재(3)의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는 기둥부재(2) 양측의 기둥부재(2)와 이격된 위치에서 이웃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가로지르도록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의 상부에 거치된다.
이에 따라 기둥부재(2)의 양측에는 한 쌍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무량판 구조의 드롭패널(60)을 시공하기 위한 드롭패널형성부(5)가 수용된다.
상기 드롭패널형성부(5)는 기둥부재(2)의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부재(2) 좌우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바닥 슬래브(6) 하부의 드롭패널(60)을 형성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래브(6) 타설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61)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 설치되고, 드롭패널(60) 설치를 위한 드롭패널형성부(5)는 기둥부재(2) 양측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사이에서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의 상부에 설치 가능하다.
종래 BRD 시스템은 각 방향의 지지거더가 브래킷 상부에 거치되므로, 지지거더의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서 브래킷의 크기가 커져야 했다.
이와 달리 이건발명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가 기둥부재(2) 양측에 연속되도록 배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의 상부에서 이웃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브래킷의 크기 증가 없이도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둥부재(2) 양측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사이 간격을 드롭패널(60)의 폭과 대응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드롭패널형성부(5)가 양측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내에 수용되어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슬래브(6)의 하부로 돌출되는 드롭패널(60)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사이 공간에 수용된다. 이로써 바닥 슬래브(6)의 거푸집(61)을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 바로 설치할 수 있어, 슬래브 거푸집(61) 지지를 위한 동바리 설치 생략으로 시공성이 크게 개선된다.
아울러 바닥 슬래브(6)를 무량판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거푸집(61)을 단순화하고, 층고를 절감하여 터파기 물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다.
도 6은 도 5의 A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드롭패널형성부의 측면 프레임과 패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드롭패널형성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롭패널형성부(5)는 기둥부재(2) 전후의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부에 거치되는 종방향 멍에(51), 상기 종방향 멍에(51) 상부의 드롭패널(60)의 외곽에 구비되는 평면상 사각형의 측면 프레임(52),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내부에서 종방향 멍에(51)의 상부에 거치되어 드롭패널(6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패널(53) 및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내측에 구비되어 드롭패널(6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5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멍에(51)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직교하는 방향, 즉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한다.
상기 종방향 멍에(51)는 이웃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의 상부에 복수 열로 설치되어 드롭패널(6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패널(53)을 지지함으로써 하면패널(53)의 처짐을 방지한다.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는 기둥부재(2)의 양측에서 연속되도록 구비되므로, 드롭패널형성부(5)의 종방향 멍에(51)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의 상부에 자유롭게 배치 가능하다.
상기 기둥부재(2) 양측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사이 공간에는 평면상 사각형의 측면 프레임(52)이 삽입되어 종방향 멍에(51)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양측은 각각 외측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내측에 지지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내부에는 드롭패널(6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패널(53)이 종방향 멍에(51)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각 내측면에는 드롭패널(60)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패널(54)이 구비된다.
도 10은 가설 버팀보 상부에 멍에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드롭패널형성부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슬래브 거푸집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롭패널형성부(5) 외부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는 횡방향 멍에(62)가 설치되고, 상기 드롭패널형성부(5)의 측면 프레임(52) 상단 외측에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 거치되는 보강대(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는 슬래브 거푸집(61)의 하부를 지지하여 슬래브 거푸집(61)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횡방향 멍에(62)가 복수 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횡방향 멍에(62)는 드롭패널(60) 시공시 상호 간섭이 없도록 드롭패널형성부(5)의 외부에 설치한다.
상기 슬래브 거푸집(61)은 횡방향 멍에(62)의 두께만큼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보다 상부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드롭패널형성부(5) 역시 상단이 슬래브 거푸집(61)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측면 프레임(52)의 상부를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드롭패널형성부(5)의 측면 프레임(52) 상단 외측이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측면 프레임(52)의 상단 외측에는 보강대(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대(55)의 상면에 슬래브 거푸집(61)이 거치될 수 있도록 보강대(55)의 높이는 횡방향 멍에(6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방향 가설 버팀보(4b)는 기둥부재(2)의 양측에서 각각 연속 설치되므로, 종방향 가설 버팀대(4b)의 상부에 횡방향 멍에(62)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구체적인 시공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의 상부에 종방향 멍에(51)를 설치한다(도 10). 그리고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 횡방향 멍에(62)를 설치하는 한편, 종방향 멍에(51)의 상부에 측면 프레임(52)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측면 프레임(52)은 보강대(55)가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설치한다(도 10, 도 11). 이후, 상기 종방향 멍에(51) 상부의 측면 프레임(52) 내측에 드롭패널(60) 시공을 위한 하면패널(53)과 측면패널(54)을 설치하는 한편, 횡방향 멍에(62)의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61)을 설치한다(도 11, 도 12).
기존에는 보 거푸집을 지지하고, 슬래브 거푸집의 동바리를 지지하기 위해 가설 버팀보의 상부 전체 면적에 횡방향으로 멍에를 설치하고, 횡방향 멍에의 상부에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종방향으로 멍에를 슬래브 면적 전체에 걸쳐 설치하였다. 이에 멍에가 이중으로 소요되어 비경제적이고, 공기가 많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 멍에(51)가 드롭패널(60)의 하부 위치에만 설치되고, 횡방향 멍에(62)는 바닥 슬래브(6)의 하부 위치에만 설치된다. 그러므로 종방향 멍에(51)와 횡방향 멍에(62)가 서로 중첩되지 않아 멍에 소요량을 기존보다 절반 가까이 절감할 수 있어, 공기 및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도 13은 높이 조절형 측면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프레임(52)은 종방향 멍에(51)의 상부에 거치되는 하부수평바(521)와 상기 하부수평바(521)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수직바(522)로 구성되는 하부모듈(52a) 및 상기 하부수평바(521)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수평바(523)와 상기 상부수평바(523)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수직바(522)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수직바(524)로 구성되는 상부모듈(5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높이는 드롭패널(60)의 두께에 따라 변경된다.
이에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측면 프레임(52)을 하부모듈(52a)과 상부모듈(52b)로 분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모듈(52a)은 종방향 멍에(51)의 상부에 거치되는 하부수평바(521)와 상기 하부수평바(521)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수직바(52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모듈(52b)은 하부수평바(521)와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상부수평바(523)와 상기 상부수평바(523)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상부수직바(524)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수직바(522)와 상부수직바(5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일측이 개방된 파이프로 형성하여 타측 수직바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하부수직바(522)와 상부수직바(524)의 중첩되는 길이에 따라 측면 프레임(5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에는 하부수직바(522)의 내부에 상부수직바(524)가 삽입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수직바(522) 또는 상부수직바(524) 중 어느 하나에 상하로 이격되는 복수의 관통공(H)을 형성하고, 타측 수직바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H)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프레임(52)의 높이에 따라 상하부수직바(522, 524)의 관통공(H) 중 어느 하나에 볼트 등의 고정핀(525)을 삽입하여 측면 프레임(52)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4는 분할형 측면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프레임(52)은 평면상 ㄷ자 형상인 유닛모듈(52', 52")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52)은 각 층 슬래브 시공시 반복 사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드롭패널(60) 양생 후 측면 프레임(52)을 해체하여야 한다.
그런데 사각형의 폐단면으로 구성된 측면 프레임(52)은 내부에 드롭패널(60) 시공 후 해체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측면 프레임(52)의 중앙을 분할하여 ㄷ자 형상의 유닛모듈(52', 52")을 형성하고, 한 쌍의 유닛모듈(52', 52")을 조립하여 측면 프레임(52)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닛모듈(52', 52")은 개방된 단부 측에 상하부수직바(522, 524)가 위치되도록 하고, 이웃하는 유닛모듈(52', 52")의 상하부수직바(522, 524)에 고정핀(525)을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유닛모듈(52', 52")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드롭패널(60)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고정핀(525)을 제거하여 유닛모듈(52', 52")을 서로 분리, 해체할 수 있다.
1: 흙막이 2: 기둥부재
3: 브래킷부재 4a: 횡방향 가설 버팀보
4b: 종방향 가설 버팀보 5: 드롭패널형성부
51: 종방향 멍에 52: 측면 프레임
52', 52": 유닛모듈 52a: 하부모듈
52b: 상부모듈 521: 하부수평바
522: 하부수직바 523: 상부수평바
524: 상부수직바 525: 고정핀
53: 하면패널 54: 측면패널
55: 보강대 6: 바닥 슬래브
60: 드롭패널 61: 슬래브 거푸집
62: 횡방향 멍에 H: 관통공

Claims (5)

  1. 복수의 기둥부재(2);
    상기 각 기둥부재(2)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브래킷부재(3);
    상기 브래킷부재(3)의 상부에 이웃하는 브래킷부재(3)를 가로질러 거치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기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의 상부에 이웃하는 횡방향 가설 버팀보(4a)를 연속으로 가로질러 거치되어 횡방향 가설 버팀보(4a)와 높이를 달리하는 것으로, 바닥 슬래브(6) 타설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61)을 지지하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및
    상기 기둥부재(2)의 주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부재(2) 좌우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바닥 슬래브(6) 하부의 드롭패널(6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부재(2) 전후의 횡방향 가설 버팀보(4a) 상부에 거치되는 종방향 멍에(51)와 상기 종방향 멍에(51) 상부의 드롭패널(60)의 외곽에 구비되는 평면상 사각형의 측면 프레임(52)과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내부에서 종방향 멍에(51)의 상부에 거치되어 드롭패널(6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패널(53)과 상기 측면 프레임(52)의 내측에 구비되어 드롭패널(6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54)로 구성되는 드롭패널형성부(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드롭패널형성부(5) 외부의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는 횡방향 멍에(62)가 설치되고, 상기 드롭패널형성부(5)의 측면 프레임(52) 상단 외측에는 종방향 가설 버팀보(4b)의 상부에 거치되는 보강대(5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52)은 종방향 멍에(51)의 상부에 거치되는 하부수평바(521)와 상기 하부수평바(521)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수직바(522)로 구성되는 하부모듈(52a) 및 상기 하부수평바(521)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부수평바(523)와 상기 상부수평바(523)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수직바(522)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수직바(524)로 구성되는 상부모듈(5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52)은 평면상 ㄷ자 형상인 유닛모듈(52', 52")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KR1020210060783A 2021-05-11 2021-05-11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KR10249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83A KR102490025B1 (ko) 2021-05-11 2021-05-11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83A KR102490025B1 (ko) 2021-05-11 2021-05-11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333A KR20220153333A (ko) 2022-11-18
KR102490025B1 true KR102490025B1 (ko) 2023-01-17

Family

ID=8423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83A KR102490025B1 (ko) 2021-05-11 2021-05-11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0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264B1 (ko) 2016-02-12 2016-06-08 삼호쏘일텍(주)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87495B1 (ko) * 2015-10-01 2016-12-16 박광호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1739126B1 (ko) 2016-08-30 2017-06-08 (주)삼호언더폼이엔지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2035995B1 (ko) 2019-02-25 2019-10-24 삼호쏘일텍(주)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82B1 (ko) * 2010-06-14 2013-04-03 (주)엠씨에스에스티기술사사무소 와이어와 거푸집 지지프레임을 이용한 지하바닥판 시공방법
KR20120096605A (ko) * 2011-02-23 2012-08-31 (주)한국건설공법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40689B1 (ko) * 2019-09-04 2021-04-15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하향식 피난사다리 설치를 위한 바닥 개구부 형성용 거푸집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495B1 (ko) * 2015-10-01 2016-12-16 박광호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1628264B1 (ko) 2016-02-12 2016-06-08 삼호쏘일텍(주)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39126B1 (ko) 2016-08-30 2017-06-08 (주)삼호언더폼이엔지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2035995B1 (ko) 2019-02-25 2019-10-24 삼호쏘일텍(주)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333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344B1 (ko)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JP5405337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11252B1 (ko)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
KR20200032316A (ko)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20070013680A (ko)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JP5503408B2 (ja) 建物の施工方法
JP2011006849A (ja) 基礎工法
KR200385376Y1 (ko)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2490025B1 (ko) 역타 공법용 플랫 슬래브 바닥 지지틀 지보 시스템
KR101908943B1 (ko) Rc 벽체 역타 구조
KR100747665B1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170066193A (ko)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JP6855296B2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JPH11172710A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地下部分の施工方法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JP3644606B2 (ja) 逆打工法における型枠支保工の設置方法
KR101483865B1 (ko) 합성구조의 띠장을 이용한 지하구조물시공방법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KR100679986B1 (ko) 무량판 데크 설치용 현수식 지지 거더의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역타설 공법
KR101409249B1 (ko)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KR102111883B1 (ko) 아파트와 지하주차장 접합부에서의 트랜스퍼 거더 pc화 공법
KR102330771B1 (ko) 브라켓을 이용한 더블 거더 역타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