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249B1 -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249B1
KR101409249B1 KR1020140057144A KR20140057144A KR101409249B1 KR 101409249 B1 KR101409249 B1 KR 101409249B1 KR 1020140057144 A KR1020140057144 A KR 1020140057144A KR 20140057144 A KR20140057144 A KR 20140057144A KR 101409249 B1 KR101409249 B1 KR 101409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lab
steel
brackets
steel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무영아멕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무영아멕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무영아멕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05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SHG(Steel Hybrid Girder Concrete,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준층 슬래브로부터 하부의 지하층 슬래브를 순차적으로 시공하되, 상기 슬래브 시공시 철골기둥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 상에 철골보를 격자 형태로 배치한 후 상기 브라켓과 철골보 상에 철근 콘크리트 보와 슬래브를 시공 및 양생한 후 상기 브라켓을 하부로 하강시키는 과정을 통해 지하층을 시공하는 RC 타설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Top 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Method Of Steel Hybrid Girder Construction}
본 발명은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준층 슬래브로부터 하부의 지하층 슬래브를 순차적으로 시공하되, 상기 슬래브 시공시 철골기둥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 상에 철골보를 격자 형태로 배치한 후 상기 브라켓과 철골보 상에 철근 콘크리트 보와 슬래브를 시공 및 양생한 후 상기 브라켓만을 하부로 하강시키는 과정을 통해 지하층을 시공하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흙막이 공법에 의한 지하층 공사는 도심지 건물의 고층화로 지하부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토류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 및 수압이 증가하고, 굴착공사중 인접 건물의 침하가 발생하고, 가설 시설 및 작업공간의 확보가 미흡한 문제 등으로 인해 공사 지연 및 공사 중단사례가 급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심지의 지상골조와 지하골조 공사를 동시에 시공해 가는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의 하나로서 지하벽체 공사는 인근지반 및 건물의 침하방지, 지하매설물의 손상방지를 위해 지하연속벽을 시공하고, 이의 축조 후 지하구조물 구축을 위한 굴착은 지상 1층부터 아래로 굴착해가며 이와 동시에 지상골조 공사를 시공함으로써 지하공사 시공중의 안정성 및 전체공기의 단축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개발된 탑다운(Top down)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탑다운 방법 중 BRD(Bracket supported Reinforced concrete Downward) 공법은 브라켓 및 거더 거푸집 지지틀을 설치하여 동바리 없이 무지보 시공이 가능한 공법으로 거푸집 지지틀을 현수 하강함으로써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킨 공법이다.
그러나, 상기 BRD 공법은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의 층에 대한 시공이 끝나면 상기 브라켓을 기둥 형강으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거푸집 지지틀 전체를 하부로 현수 하강시켜야 하므로 거푸집 지지틀 하강 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브라켓과 중량의 거푸집 지지틀을 하부로 하강시키기 위한 현수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고, 상기 브라켓과 거푸집 지지틀을 하부로 하강 시킨 후 상기 거푸집 지지틀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한 규준 작업이 필요하며, 수평 유지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공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골 복합 보(Steel Hybrid Girder, SHG) 공법을 이용하여 브라켓만 하강시킴으로써 하강 공정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은 철골 기둥을 설치하고, 굴토와 슬래브 시공을 통해 지하층을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탑다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철골 기둥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브라켓 상에 철골보를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브라켓과 철골보 상에 철근 콘크리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기준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와, (d) 상기 기준층 하부의 제 1 지하층을 시공하기 위해 굴토하는 단계와, (e) 상기 브라켓을 분리하고, 철골 기둥의 제 1 지하층 영역으로 하강 이동시켜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b) 내지 (c)를 반복하여 제 1 지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제 N 지하층 슬래브까지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브라켓은 제 1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철골 기둥 외면과 접하고,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제 1 브라켓의 외면과 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철골 기둥과 제 1 및 2 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철골 기둥에 상기 제 1 및 2 브라켓을 일체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브라켓은 스틸 플레이트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브라켓은 H 형강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브라켓의 철골 기둥의 연결부는 상기 제 2 브라켓의 처짐이나 휨을 방지하고, 볼트의 내력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브라켓은 하부로부터 철골기둥의 측면까지 경사지게 연결된 보강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및 2 브라켓이 인접하는 철골 기둥의 제 1 및 2 브라켓과 각각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철골 기둥과 인접하는 철골 기둥의 제 1 및 2 브라켓 각각 사이에 철골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골보는 철골보 외부로 돌출되어 전단력을 지지하는 스터드와 상기 스터드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브라켓과 철골보 상에 보 및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기준층 슬래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층 슬래브 영역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층 슬래브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볼트를 풀어서 제 1 및 2 브라켓을 상기 철골 기둥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1 및 2 브라켓을 하강 이동시켜 상기 철골 기둥의 제 1 지하층 슬래브 영역에 정렬하고, 상기 볼트를 상기 철골 기둥과 제 1 및 2 브라켓의 관통공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브라켓을 하강이 아닌 상승이동시켜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탑다운 방법은 물론 지상층 시공과 같은 다운탑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은 종래의 BRD 방식에서 필요한 중량의 거푸집 지지틀을 하강 이동시키는 공정 없이, 브라켓 만을 하강 이동시키는 공정만으로 슬래브 시공이 가능하므로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거푸집 지지틀을 하강 이동시키는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거푸집 지지틀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현수 장치가 필요 없으며, 철골보가 상기 거푸집 지지틀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슬래브 시공을 위한 수평 규준 작업이 불필요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기둥에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방법의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설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층을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탑다운 방식 중 하나의 층에 대한 슬래브를 시공한 후 브라켓을 하부 층으로 하강시켜 하부 층에 대한 슬래브를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연속 슬래브 시공 방식에 특징이 있으며, 나머지 공정은 종래의 탑다운 방식과 동일하므로 차별화되는 공정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지하층 공사를 위한 흙막이벽을 시공하고, 지중에 철골 기둥이 설치된 공간을 천공하고, 상기 철골 기둥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S110)
그 후 지상 1층 슬래브(기준층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굴토작업을 수행한다. (S120)
상기 공정은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자명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탑다운 방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정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후, 상기 철골 기둥에 십자 형태로 브라켓을 설치한다. (S130)
여기서, 상기 도 2는 내부 기둥을 가정한 것이므로 철골 기둥의 4개 측면에서 연장되는 십자 형태인 브라켓을 도시한 것이지만, 외부와 면하는 외부 기둥인 경우에는 수직방향의 2개의 측면 또는 3개의 측면에서 연장된 형태로 브라켓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 기둥에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은 철골 기둥(10)에 제 1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브라켓(20)과 상기 제 1 방향과 동일 평면의 직각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 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표를 예를 들어, X-Y평면이라 가정할 경우 제 1 방향이 X축 방향인 경우, 제 2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으며, 반대로 제 1 방향이 Y축 방향인 경우, 제 2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20)은 상기 철골 기둥의 연결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브라켓(30)은 상기 제 1 브라켓(20)과 동일 평면의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철골 기둥의 연결부(A)의 상기 제 1 브라켓(20) 외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브라켓(30)은 H 형강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브라켓의 철골 기둥의 연결부(A)는 상기 제 2 브라켓의 처짐이나 휨을 방지하고, 볼트의 내력을 고려하여 충분한 개수의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강성을 확보할 수있다.
상기 제 1브라켓의 연결부(A)의 높이(Hp)는 강도 확보와 시공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브라켓의 높이(Hc)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2 브라켓은 강성을 확보하고, 상기 브라켓의 처짐 또는 휨에 저항하기 위해 각각 도 3 및 4와 같이 하부에 경사진 형태의 보강 브라켓(210, 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210, 310)은 제 1 및 2 브라켓(20, 30)의 하부와 철골 기둥(10) 측면사이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제 1 및 2 브라켓(20, 30)의 전단력과 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철골 기둥의 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과 철골 기둥이 결합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들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철골 기둥(10)과 브라켓을 일체로 결합한다.
상기 제 1 브라켓(20)과 제 2 브라켓(30)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철골 기둥의 브라켓 연결부에 상기 제 1 브라켓(20)을 배치한다. 상기 제 1 브라켓(20)이 스틸 플레이트로 구성된 경우 상기 철골 기둥의 외면을 맞닿아서 관통하는 형태로 제 1브라켓(20)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브라켓(30)을 상기 제 1 브라켓(20) 외면에 동일 평면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제 1 및 2 브라켓(20, 30)을 상기 철골 기둥(10)에 동시에 체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설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 제 1 브라켓의 중심에서 동일 평면의 수직 방향으로 제 2 브라켓을 배치시킨 후 제 1 및 2 브라켓을 일체로 용접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브라켓이 스틸 플레이트로 구성된 경우 2개의 철판(210)으로 분리되고, 각 철판에 상기 제 2 브라켓(30)을 각각 용접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브라켓(30)이 용접된 제 1 브라켓의 각 철판(210)을 철골 기둥(10)의 외면에 배치한 후, 상기 철골 기둥과 제 1 및 2 브라켓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한다. 상기 관통공은 제 1 및 2 브라켓 뿐만 아니라, 보강 브라켓에도 형성되어 볼트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되는 볼트의 수는 볼트의 내력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강도 및 안전을 위해 볼트의 내력에 마진을 반영하여 충분한 내력을 가지도록 충분한 개수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볼트가 체결되면, 상기 제 1브라켓의 2개의 철판 사이에 일정 간격마다 연결 철판(220)을 용접하거나, ㄷ형강(미도시)을 볼팅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철골 기둥과 제 1 및 2 브라켓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철골 기둥과 제 1 및 2 브라켓을 용접과 볼트 결합에 의해 체결시키는 것이지만, 탈착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결합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철골 기둥(10)에 제 1 및 2 브라켓(20, 30)이 일체로 결합되면, 도 6b와 같이 상기 제 2 브라켓(30) 상에 철골보(40)를 연결시킨다. (S140)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2 브라켓(30) 상에 철골보(40)를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보가 십자보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브라켓(20)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철골보(40)가 배치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철골 기둥은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므로, 상기 제 2 브라켓은 인접하는 철골 기둥의 제 2 브라켓과 각각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철골 기둥과 인접하는 철골 기둥의 제 1 및 2 브라켓 사이에 철골보를 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철골보(40)를 배치하게 되면 도 6c와 같이 기둥 전체에 격자 형태로 철골보(40)가 배치되게 된다.
상기 철골보(40)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구조체인 보 역할을 담당하지만, 슬래브 시공시 거푸집 지지틀 역할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철골보(40)가 브라켓 상에 배치되면 수평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규준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철골보(40)는 상기 철골 기둥의 제 1 브라켓과 인접 철골 기둥의 제 1 브라켓 상에 형성되는 제 1 철골보와 상기 철골 기둥의 제 2 브라켓과 인접 철골 기둥의 제 2 브라켓 상에 형성되는 제 2 철골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철골보(40)의 양단에는 임베디드 플레이트 유닛(410)이 형성된다.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 유닛(410)은 철골보 외부로 돌출되어 전단력을 지지하는 스터드(411)와 상기 스터드를 지지하는 플레이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 유닛(410)은 상기 제 2 브라켓 상의 보 부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50)와 상기 철골보(40) 사이의 결합을 일체화하고, 전단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와 같이 인접 브라켓 상에 철골보가 배치되면 상기 브라켓 상에 보 거푸집을 설치한다.(S150)
도 6d는 도 6b의 평면도이고, 브라켓 상에 보 거푸집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d는 1방향 보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지만, 내부 기둥인 경우 십자형태의 2방향 보 형태로 보 거푸집이 형성될 수 있다.상기 작업은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공정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보와 슬래브 일체형으로 기준층 슬래브 시공을 완료한다. (S160)
여기서, 상기 기준층 슬래브는 탑다운 방식을 시작하는 층으로 1층부터 시공이 시작되는 경우 1층 바닥이 기준층 슬래브가 된다.
상기와 같이, 완료된 기준층 슬래브는 도 6e와 같이 철골보와 철근 콘크리트가 결합된 철골복합보(Steel Hybrid Girder, SHG)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보 거푸집 설치시 도 7과 같이 상기 철골보의 높이보다 거푸집의 높이를 높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보 영역과 슬래브 영역의 콘크리트 타설시 강도가 서로 다른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고층 건물의 경우 기둥은 슬래브보다 높은 강도를 요구하므로 슬래브보다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상기 보 영역은 기둥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는 영역이므로 상기와 같이 보 거푸집을 슬래브 거푸집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하여 보 영역과 슬래브 영역에 대해 콘크리트 타설을 분리타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 영역을 고강도 콘크리트로 타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준층 슬래브 시공이 완료되면, 지하 1층 슬래브 시공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굴토 작업을 수행한다.(S170)
상기와 같이 굴토가 완료되면, 도 6f와 같이 상기 철골 기둥에 결합된 제 1 및 2 브라켓을 하부로 이동시킨다.(S180)
이후, 상기 S130 단계로 피드백되어 상기 S160 단계를 반복하여 지하 1층 슬래브 시공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지하층 슬래브 시공을 수행하게 되고, 모든 지하층 슬래브에 대한 시공이 완료되면 기초 바닥면을 굴착한다.(S190)
그리고 기초 시공을 수행하여(S200) 지하층에 대한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시공은 브라켓을 하부로 하강 이동시켜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반대로 상부로 상승 이동시켜 시공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은 종래의 BRD 방식에서 반드시필요한 무거운 거푸집 지지틀을 하강 이동시키는 공정 없이, 브라켓 만을 하강 이동시키는 공정만으로 슬래브 시공이 가능하므로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거푸집 지지틀을 하강 이동시키는 공정이 필요없으므로 거푸집 지지틀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현수 장치가 필요없으며, 철골보가 상기 거푸집 지지틀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슬래브 시공을 위한 수평 규준 작업이 불필요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철골 기둥 20 : 제 1 브라켓
30 : 제 2 브라켓 40 : 철골보
50 : 철근 콘크리트

Claims (8)

  1. 철골 기둥을 설치하고, 굴토와 슬래브 시공을 통해 지하층을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탑다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철골 기둥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철골 기둥과 인접하는 철골 기둥의 브라켓 상에 철골보를 설치하되, 상기 철골보 양단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상기 철골보를 일체화하고 전단력을 지지하는 임베디드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여 설치하는 브라켓 상에 철골보를 설치하는 단계와;
    (c) 상기 브라켓과 철골보 상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성하여 상기 철골보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일체형 기준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철골보는 슬래브 시공시에는 거푸집 지지틀 역할을 수행하고, 슬래브 시공 완료시 철근 콘트리트와 함께 일체형 기준충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조체인 보 역할을 담당하고,
    (d) 상기 기준층 하부의 제 1 지하층을 시공하기 위해 굴토하는 단계와;
    (e) 상기 브라켓 만을 분리하고, 철골 기둥의 제 1 지하층 영역으로 하강 이동시켜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b) 내지 (c)를 반복하여 제 1 지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제 N 지하층 슬래브까지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브라켓은
    제 1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 브라켓과 상기 제 1 브라켓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라켓은 상기 철골 기둥 외면과 접하고, 상기 제 2 브라켓은 상기 제 1 브라켓의 외면과 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철골 기둥과 제 1 및 2 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철골 기둥에 상기 제 1 및 2 브라켓을 일체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라켓은 스틸 플레이트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브라켓은 H 형강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보 거푸집을 슬래브 거푸집의 높이만큼 높게 설치하여 보 영역과 슬래브 영역에 대해 콘크리트 타설을 분리타설여 보영역과 슬래브 영역의 콘크리트의 강도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및 2 브라켓이 인접하는 철골 기둥의 제 1 및 2 브라켓과 각각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철골 기둥과 인접하는 철골 기둥의 제 1 및 2 브라켓 각각 사이에 철골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보는
    철골보 외부로 돌출되어 전단력을 지지하는 스터드와 상기 스터드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브라켓과 철골보 상에 보 및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기준층 슬래브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층 슬래브 영역에 철근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층 슬래브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볼트를 풀어서 제 1 및 2 브라켓을 상기 철골 기둥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1 및 2 브라켓을 하강 이동시켜 상기 철골 기둥의 제 1 지하층 슬래브 영역에 정렬하고, 상기 볼트를 상기 철골 기둥과 제 1 및 2 브라켓의 관통공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KR1020140057144A 2014-05-13 2014-05-13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KR101409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144A KR101409249B1 (ko) 2014-05-13 2014-05-13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144A KR101409249B1 (ko) 2014-05-13 2014-05-13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891 Division 2013-0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249B1 true KR101409249B1 (ko) 2014-06-23

Family

ID=5113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144A KR101409249B1 (ko) 2014-05-13 2014-05-13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477B1 (ko) 2015-07-03 2016-03-07 광일종합건설 주식회사 개선된 강관말뚝 매립 공정을 통해 안정성을 향상시킨 탑다운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07Y1 (ko) 2004-09-06 2004-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0372315Y1 (ko) 2004-10-11 2005-01-10 박무용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KR20060112504A (ko) * 2005-04-27 2006-11-01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100694493B1 (ko) 2005-07-27 2007-03-16 황기수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07Y1 (ko) 2004-09-06 2004-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0372315Y1 (ko) 2004-10-11 2005-01-10 박무용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KR20060112504A (ko) * 2005-04-27 2006-11-01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100694493B1 (ko) 2005-07-27 2007-03-16 황기수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477B1 (ko) 2015-07-03 2016-03-07 광일종합건설 주식회사 개선된 강관말뚝 매립 공정을 통해 안정성을 향상시킨 탑다운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JP5405337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KR101107567B1 (ko)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58648B1 (ko)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JP4060323B2 (ja) ブラケット支持タイプの下向骨組打設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下向骨組打設方法
KR200417438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2316A (ko)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20110122310A (ko)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201120249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の構築方法
CN111218983A (zh) 一种格构式结构混凝土框架房屋
JP2011006849A (ja) 基礎工法
JP5503408B2 (ja) 建物の施工方法
KR100605514B1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하향 골조 타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하향 골조 타설 방법
KR101727518B1 (ko) 역타공법용 층고 절감형 바닥 구조 및 층고 절감형 바닥 구조를 이용한 역타 공법
KR101409249B1 (ko)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KR20200107332A (ko)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및 바닥 슬래브 동시 시공방법
JP6855296B2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50120779A (ko) 철골 일방향 수평구조 프레임용 브라켓
JP6083788B2 (ja) 基礎の仮支持方法
JP2003003690A (ja) 免震建物および既存建物の免震化工法
JP2008255636A (ja) Rc大梁の施工方法
JP5479213B2 (ja) 床下点検構造
JP6710064B2 (ja) 免震レトロフィットにおける建物の取り合い部分の施工方法と建物
KR101692151B1 (ko) 측압지지보 겸용 데크 지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