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310A -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22310A KR20110122310A KR1020100041730A KR20100041730A KR20110122310A KR 20110122310 A KR20110122310 A KR 20110122310A KR 1020100041730 A KR1020100041730 A KR 1020100041730A KR 20100041730 A KR20100041730 A KR 20100041730A KR 20110122310 A KR20110122310 A KR 201101223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underground
- pillar
- support member
- construction metho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4—Driving tunnels or galleries through loos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69—We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벽체의 시공에 의해 지하구조물의 외벽체(100)를 형성하는 외벽체 설치단계; 지하구조물의 기둥을 형성하도록 기둥부재(200)를 근입하는 기둥 설치단계; 외벽체(100)의 내부 영역을 굴토하는 굴토단계; 외벽체(100)의 내면에 연장부재(110)를 설치하는 연장부재 설치단계; 연장부재(110)의 내측 단부에 횡방향을 따라 외벽체 지지부재(300)를 설치하는 외벽체 지지부재 설치단계; 외벽체 지지부재(300)와 기둥부재(200)의 사이에 보(400)를 설치하는 보 설치단계; 외벽체(100)와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사이 영역 및 보(400)의 상부 영역에 대하여, 철근 배근,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합벽(120) 및 슬래브(401)를 설치하는 합벽 및 슬래브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가시설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공정을 획기적으로 생략하여, 이에 소요되던 수고, 안전사고의 위험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은 크게 순타(順打)공법과 역타(逆打)공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순타공법은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공법으로서, 지상으로부터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버팀대, 앵커, 락볼트, 네일링, 레이커, 텐션 빔 등의 가설 지지수단에 의해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면서 기초계획고까지 굴착한 후, 기초구조물을 타설하고 최하단 흙막이 벽체 지지대를 철거하며 순차적으로 벽체 타설, 흙막이 벽체 지지대인 가시설 철거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공법을 말한다.
역타공법은 탑다운(Top-Down) 방식의 공법으로서, 흙막이 벽체와 이를 지지하는 버팀대, 앵커, 락볼트, 네일링, 레이커, 텐션빔 등 가설 지지수단을 설치하면서 굴착과 동시에 본 구조물 공사를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구축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로서 CIP, SCW, H-형강, 지중연속벽(Slurry Wall) 등에 의한 흙막이 가시설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순타공법 및 역타공법은 모두 가시설의 설치 및 해체를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흙막이 벽체에 미치는 횡토압에 저항하기 위하여 버팀대를 단계별로 설치하여야 하고, 구조물 완료 후 다시 철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공기가 지연되며, 공사비가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심한 경우, 가시설 공사비가 본 구조물공사비의 40%~50% 이상을 점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가시설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수고와 비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가시설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공정을 획기적으로 생략하여, 이에 소요되던 수고, 안전사고의 위험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벽체의 시공에 의해 지하구조물의 외벽체(100)를 형성하는 외벽체 설치단계; 상기 지하구조물의 기둥을 형성하도록 기둥부재(200)를 근입하는 기둥 설치단계; 상기 외벽체(100)의 내부 영역을 굴토하는 굴토단계; 상기 외벽체(100)의 내면에 연장부재(110)를 설치하는 연장부재 설치단계; 상기 연장부재(110)의 내측 단부에 횡방향을 따라 외벽체 지지부재(300)를 설치하는 외벽체 지지부재 설치단계;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와 상기 기둥부재(200)의 사이에 보(400)를 설치하는 보 설치단계; 상기 외벽체(100)와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사이 영역 및 상기 보(400)의 상부 영역에 대하여, 철근 배근,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합벽(120) 및 슬래브(401)를 설치하는 합벽 및 슬래브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지중벽체는 다수의 강관(130)의 근입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재(110)의 외측 단부는 상기 강관(130)에 용접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재(110)는 판형 구조이고,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는 H 빔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재(110)의 내측 단부는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외측의 상하 플랜지(310,320) 및 웹(330)에 용접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관(130)은 일측에 설치된 차수용 돌부(131); 인접 강관(130)의 차수용 돌부(131)가 삽입되도록, 타측에 설치된 차수용 홈형성부재(132);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재(200)는 사각형 강관(21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사방 측면에는 판형 구조의 결합부재(220)가 용접결합하며, 상기 결합부재(220)는 상기 보(400)의 웹(430)에 결합하고, 하나의 상기 기둥부재(200)에는 4개의 상기 보(400)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220)와 상기 보(400)의 웹(430)은 볼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내측의 상하 플랜지(310,320) 및 웹(330)에는 접합부재(340)가 용접결합하고, 상기 접합부재(340)는 상기 보(400)의 웹(43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부재(340)는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내측의 상하 플랜지(310,320) 및 웹(330)에 용접결합하는 외벽체 지지부재 결합부(341);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 결합부(34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높이가 상기 보(400)의 상하 플랜지(410,420)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 보 결합부(3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부재(340)의 보 결합부(342)와 상기 보(400)의 웹(430)은 볼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재(200)의 둘레에 수직철근(201) 및 둘레철근(202)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수직철근(201) 및 둘레철근(202)을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기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체(100)를 형성하는 강관(130)의 외벽에 전단보강 스터드 및 거푸집 체결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벽체(100)의 내측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상기 합벽(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시설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공정을 획기적으로 생략하여, 이에 소요되던 수고, 안전사고의 위험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9는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10은 지하구조물의 평면도.
도 11은 외벽체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주요부 확대도.
도 13은 강관의 사시도.
도 14는 강관, 연장부재, 외벽체 지지부재, 보의 결합상태의 측단면도.
도 15는 기둥부재, 보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16은 기둥부재, 보의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도 17은 단면이 확대보강된 기둥부재의 종단면도.
도 1 내지 9는 일실시예의 공정도.
도 10은 지하구조물의 평면도.
도 11은 외벽체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주요부 확대도.
도 13은 강관의 사시도.
도 14는 강관, 연장부재, 외벽체 지지부재, 보의 결합상태의 측단면도.
도 15는 기둥부재, 보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16은 기둥부재, 보의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도 17은 단면이 확대보강된 기둥부재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구성된다.
지중벽체의 시공에 의해 지하구조물의 외벽체(100)를 형성하고(도 1,11), 지하구조물의 기둥을 형성하도록 기둥부재(200)를 근입한다(도 2,10).
외벽체(100)의 내부 영역을 굴토한다(도 3).
외벽체(100)의 내면에 연장부재(110)를 설치하고, 연장부재(110)의 내측 단부에 횡방향을 따라 외벽체 지지부재(300)를 설치하며, 외벽체 지지부재(300)와 기둥부재(200)의 사이에 보(400)를 설치한다(도 4,11,13,14)
지하 구조물이 복수의 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위 굴토 및 부재 설치과정을 반복한다(도 5).
외벽체(100)와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사이 영역 및 보(400)의 상부 영역에 대하여, 철근 배근,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합벽(120) 및 슬래브(401)를 설치한다(도 6).
지하구조물이 복수의 층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위 과정도 반복해야 하는데, 이는 순타 및 역타 방식 모두 가능하다.
지하구조물의 상부에 별도의 지상구조물이 시공되지 않는 경우, 토사(10) 등에 의해 되메우기를 실시한다(도 9).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벽체가 시공 중에는 흙막이 기능과 차수 기능을 수행하고, 시공 후에는 합벽에 의해 방수 기능 및 본 구조물의 지중벽체 기능을 수행하므로, 종래 공법과 같이 가시설 흙막이의 해체작업이 필요 없어, 공사 기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둘째, 기둥부재가 시공 중에는 보에 의해 외벽체를 횡토압에 대하여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시공 후에는 본 구조물의 기둥 역할을 수행하므로, 공사 기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흙막이 구조를 이루어 안전한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즉, 종래의 공법의 경우, 흙막이 벽체를 띠장, 스트럿, 레이커 등의 가시설이 지지함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의 경우, 흙막이 벽체에 해당하는 외벽체를 본 구조물의 구조인 외벽체 지지부재(300), 보(400), 기둥부재(200)가 지지하므로, 훨씬 안정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종래의 공법의 경우, 본 구조물의 기둥, 보의 설치작업이 공중에서 가시설의 해체작업과 함께 실시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컸으나,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의 경우, 단계별 굴착 후 흙바닥에서 본 구조물의 외벽체 지지부재(300), 보(400), 기둥부재(200)의 설치작업이 실시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외벽체(100)는 흙막이 기능 및 차수 기능을 가져야 하므로, CIP, SCW, 슬러리월, 쉬트파일 등의 지중벽체 공법에 의해 시공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의 경우, 외벽체 지지부재(300)와의 결합 및 합벽(120)의 설치를 위한 공간확보를 위하여, 외벽체(100)에 연장부재(110)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외벽체(100)는 CIP 공법 등에 의해 다수의 강관(130)의 근입에 의해 형성되고, 연장부재(110)의 외측 단부는 강관(130)에 용접결합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시공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11 내지 14).
외벽체 지지부재(300)와 연장부재(110)의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이루기 위해서는, 연장부재(110)는 판형 구조이고, 외벽체 지지부재(300)는 H 빔에 의해 형성되며, 연장부재(110)의 내측 단부는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외측의 상하 플랜지(310,320) 및 웹(330)에 용접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내지 14).
상술한 바와 같이, 외벽체(100)는 본 구조물의 지중벽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바 우수한 차수기능을 가져야 하므로, 일측에 설치된 차수용 돌부(131); 인접 강관(130)의 차수용 돌부(131)가 삽입되도록, 타측에 설치된 차수용 홈형성부재(132);를 구비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12).
강관(130) 내부에는 콘크리트 속채움 등을 실시하여, 외벽체(100)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벽체(100)와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합벽(120)을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외벽체(100)를 형성하는 강관(130)의 외벽에 전단보강 스터드 및 거푸집 체결구를 결합한 후, 외벽체(100)의 내측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합벽(1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재(200)는 사각형 강관(210)에 의해 형성되고, 기둥부재(200)의 사방 측면에는 판형 구조의 결합부재(220)가 용접결합하며, 결합부재(220)는 보(400)의 웹(430)에 결합하고, 하나의 기둥부재(200)에는 방사상(放射狀)으로 4개의 상기 보(400)가 결합하는 구성(격자형 구조)을 취하는 경우, 각각의 기둥부재(200)가 사방의 외벽체(100)의 횡토압에 저항하는 이상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15,16).
결합부재(220)와 보(400)의 웹(430)은 상호 정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위하여 볼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벽체 지지부재(300)는 외벽체(100)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종래 흙막이 공법의 띠장과 유사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공법에서 띠장은 스트럿, 레이커 등의 가시설이 지지함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의 경우, 외벽체 지지부재(300)를 본 구조물의 구조인 보(400), 기둥부재(200)가 지지하므로, 훨씬 안정적인 구조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내측의 상하 플랜지(310,320) 및 웹(330)에는 접합부재(340)가 용접결합하고, 접합부재(340)는 보(400)의 웹(430)에 결합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4).
여기서 접합부재(340)는 구체적으로,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내측의 상하 플랜지(310,320) 및 웹(330)에 용접결합하는 외벽체 지지부재 결합부(341); 외벽체 지지부재 결합부(34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높이가 보(400)의 상하 플랜지(410,420)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 보 결합부(34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4).
현실적으로, 외벽체 지지부재(300) 및 보(400)는 동일한 단면을 갖는 H 빔에 의해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인데, 이를 전제로 볼 때 접합부재(340)가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이 작업의 편의성 및 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좋기 때문이다.
접합부재(340)의 보 결합부(342)와 보(400)의 웹(430)은 상호 정착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위하여 볼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부재(200)인 사각형 강관(210)의 내부에도 콘크리트 속채움 등에 의해 강성을 증대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서는 본 구조물의 기둥으로서의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 기둥부재(200)의 둘레에 수직철근(201) 및 둘레철근(202)을 배근한 후, 그 수직철근(201) 및 둘레철근(202)을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기둥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넓은 단면으로 보강된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도 17).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외벽체 110 : 연장부재
120 : 합벽 130 : 강관
131 : 차수용 돌부 132 : 차수용 홈형성부재
200 : 기둥부재 201 : 수직철근
202 : 둘레철근 210 : 사각형 강관
220 : 결합부재 300 : 외벽체 지지부재
310,320 : 상하 플랜지 330 : 웹
340 : 접합부재 341 : 외벽체 지지부재 결합부
342 : 보 결합부 400 : 보
401 : 슬래브 410,420 : 상하 플랜지
430 : 웹
120 : 합벽 130 : 강관
131 : 차수용 돌부 132 : 차수용 홈형성부재
200 : 기둥부재 201 : 수직철근
202 : 둘레철근 210 : 사각형 강관
220 : 결합부재 300 : 외벽체 지지부재
310,320 : 상하 플랜지 330 : 웹
340 : 접합부재 341 : 외벽체 지지부재 결합부
342 : 보 결합부 400 : 보
401 : 슬래브 410,420 : 상하 플랜지
430 : 웹
Claims (11)
- 지중벽체의 시공에 의해 지하구조물의 외벽체(100)를 형성하는 외벽체 설치단계;
상기 지하구조물의 기둥을 형성하도록 기둥부재(200)를 근입하는 기둥 설치단계;
상기 외벽체(100)의 내부 영역을 굴토하는 굴토단계;
상기 외벽체(100)의 내면에 연장부재(110)를 설치하는 연장부재 설치단계;
상기 연장부재(110)의 내측 단부에 횡방향을 따라 외벽체 지지부재(300)를 설치하는 외벽체 지지부재 설치단계;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와 상기 기둥부재(200)의 사이에 보(400)를 설치하는 보 설치단계;
상기 외벽체(100)와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사이 영역 및 상기 보(400)의 상부 영역에 대하여, 철근 배근,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합벽(120) 및 슬래브(401)를 설치하는 합벽 및 슬래브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벽체는 다수의 강관(130)의 근입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재(110)의 외측 단부는 상기 강관(130)에 용접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110)는 판형 구조이고,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는 H 빔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재(110)의 내측 단부는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외측의 상하 플랜지(310,320) 및 웹(330)에 용접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130)은
일측에 설치된 차수용 돌부(131);
인접 강관(130)의 차수용 돌부(131)가 삽입되도록, 타측에 설치된 차수용 홈형성부재(1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200)는 사각형 강관(21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200)의 사방 측면에는 판형 구조의 결합부재(220)가 용접결합하며, 상기 결합부재(220)는 상기 보(400)의 웹(430)에 결합하고, 하나의 상기 기둥부재(200)에는 4개의 상기 보(400)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20)와 상기 보(400)의 웹(430)은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내측의 상하 플랜지(310,320) 및 웹(330)에는 접합부재(340)가 용접결합하고, 상기 접합부재(340)는 상기 보(400)의 웹(43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340)는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300)의 내측의 상하 플랜지(310,320) 및 웹(330)에 용접결합하는 외벽체 지지부재 결합부(341);
상기 외벽체 지지부재 결합부(34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높이가 상기 보(400)의 상하 플랜지(410,420)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 보 결합부(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340)의 보 결합부(342)와 상기 보(400)의 웹(430)은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200)의 둘레에 수직철근(201) 및 둘레철근(202)을 배근하는 단계;
상기 수직철근(201) 및 둘레철근(202)을 감싸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기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체(100)를 형성하는 강관(130)의 외벽에 전단보강 스터드 및 거푸집 체결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벽체(100)의 내측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상기 합벽(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1730A KR101221970B1 (ko) | 2010-05-04 | 2010-05-04 |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1730A KR101221970B1 (ko) | 2010-05-04 | 2010-05-04 |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2310A true KR20110122310A (ko) | 2011-11-10 |
KR101221970B1 KR101221970B1 (ko) | 2013-01-15 |
Family
ID=4539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1730A KR101221970B1 (ko) | 2010-05-04 | 2010-05-04 |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1970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4371B1 (ko) * | 2013-10-02 | 2014-12-24 | (주)천마엔지니어링 | 거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무가시설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524302B1 (ko) * | 2013-10-02 | 2015-05-29 | (주)천마엔지니어링 |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
KR20190084633A (ko) * | 2018-01-09 | 2019-07-17 | 유병훈 | 강관파일지중벽체와 전단지지플레이트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
KR20200122030A (ko) * | 2019-04-17 | 2020-10-27 |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20200122850A (ko) * | 2019-04-19 | 2020-10-2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공사 중 인근 지반의 굴착으로 파일의 노출이 예상되는 구역의 기초 시공 방법 |
KR20210034190A (ko)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 합벽식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KR20220094844A (ko) * | 2020-12-29 | 2022-07-06 | 양숙경 | 중간거더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2635B1 (ko) | 2023-05-16 | 2023-11-16 | 김지민 | 띠장에 대한 내력 휨모멘트 보강구조를 가지는 흙막이 벽체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2840A (ko) * | 2004-08-04 | 2006-02-09 | 백경재 | 채널바가 부착된 강관 |
KR100531385B1 (ko) * | 2004-09-17 | 2005-11-29 |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0876853B1 (ko) * | 2007-05-04 | 2008-12-31 |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 테두리보용 데크판을 이용한 무지주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KR101006411B1 (ko) * | 2008-04-16 | 2011-01-10 | 박무용 | Cft 기둥을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 방법 |
-
2010
- 2010-05-04 KR KR1020100041730A patent/KR10122197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4371B1 (ko) * | 2013-10-02 | 2014-12-24 | (주)천마엔지니어링 | 거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무가시설의 구조물 시공방법 |
KR101524302B1 (ko) * | 2013-10-02 | 2015-05-29 | (주)천마엔지니어링 |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
KR20190084633A (ko) * | 2018-01-09 | 2019-07-17 | 유병훈 | 강관파일지중벽체와 전단지지플레이트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
KR20200122030A (ko) * | 2019-04-17 | 2020-10-27 |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 버팀보를 이용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KR20200122850A (ko) * | 2019-04-19 | 2020-10-28 | 삼성물산 주식회사 | 공사 중 인근 지반의 굴착으로 파일의 노출이 예상되는 구역의 기초 시공 방법 |
KR20210034190A (ko) * | 2019-09-20 | 2021-03-30 |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 합벽식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KR20220094844A (ko) * | 2020-12-29 | 2022-07-06 | 양숙경 | 중간거더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1970B1 (ko) | 2013-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1970B1 (ko) |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687495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 |
JP5619646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 |
KR20090094971A (ko) |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 |
JP5579635B2 (ja) |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0634726B1 (ko) |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 |
KR101054696B1 (ko) | 슬러리 월에서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토압 지지가이루어지도록 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구축 공법 | |
JP5764245B2 (ja) |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構造物 | |
KR101267565B1 (ko) | 지하 역타 시공시 코어부 구조물 시공 방법 | |
JP4060323B2 (ja) | ブラケット支持タイプの下向骨組打設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下向骨組打設方法 | |
KR20200136127A (ko) |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 |
KR101618719B1 (ko) | Cfτ 기둥의 이음구조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 |
KR20100062395A (ko) | 피씨부재를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시공방법 | |
KR20200104534A (ko) |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 |
KR100856723B1 (ko) | 캔틸레버형 지지거더를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방법 | |
JP5619647B2 (ja) |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JP5875651B2 (ja) |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JP2004027609A (ja) | 地中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構造物 | |
JP6368584B2 (ja) | 基礎の施工方法 | |
KR20120028637A (ko) |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지지공법용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 |
JP5679849B2 (ja) | 地下構造物 | |
JP5559075B2 (ja) | 地下構造物 | |
KR101545713B1 (ko) | 합성형 강가시설 차수벽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200383309Y1 (ko) | 슬러리 벽이 적용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구조체 | |
KR101217078B1 (ko) | Η 빔의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