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315Y1 -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 Google Patents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315Y1
KR200372315Y1 KR20-2004-0028675U KR20040028675U KR200372315Y1 KR 200372315 Y1 KR200372315 Y1 KR 200372315Y1 KR 20040028675 U KR20040028675 U KR 20040028675U KR 200372315 Y1 KR200372315 Y1 KR 200372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support bracket
fixe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용
황기수
강병수
Original Assignee
박무용
황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용, 황기수 filed Critical 박무용
Priority to KR20-2004-0028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3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315Y1/ko
Priority to JP2005133430A priority patent/JP4060323B2/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골조용 지지기둥에 고정되어, 지지 거더를 지지하는 이동 조립식 지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지지 거더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접합(또는 분할)면을 따라 접합 또는 분할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각 서브 프레임은 승강용 현수재가 고정될 수 있으면서 상기 지지 거더의 단부를 지지하는 수평의 상부 보강패널과, 결합 상태의 중심 위치에서 각각 상하로 배치되어 지지기둥의 상측 및 하측 외부면을 압착하는 링패널과, 상기 상부 보강패널의 각 내측면과 상기 상부 링패널을 연결 지지하는 상부 수직패널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 링패널을 연결하여 역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앵글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 링패널을 연결하는 수직구조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을 일체구조로 하여 구성된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진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Moving-fabricated supporting bracket structure of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본 고안은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구조물 구축시 시공층의 보 및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가타설되는 동안 그 콘크리트의 하중을, 골조용 지지기둥에 고정 지지되는 이동 조립식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이 지지수단에 지지 거더의 하중을 포함하여 지지시키는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진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즉, 지하구조물이 축조되는 지반에 흙막이 공사를 한 다음 지반을 굴착하면서 흙막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가시설물을 설치하고 토사를 전부 반출한 뒤 맨 아래층에서부터 구조물을 축조해 올라가는 순타설공법과, 흙막이를 시공하고 1층 구조물을 축조한 뒤 그 구조물을 흙막이용 버팀대로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지반을 굴착하면서 구조물을 축조해 내려가는 역타설공법이 그것이다.
최근에는 토지 이용의 극대화 차원에서 지하공사가 고심도화 되어 가고 있고, 특히 순타설공법에 의한 시공시에는 흙막이 붕괴의 위험이나 주변 건물들의 침하 등으로 인한 균열 발생 등의 문제와 더불어 시각상으로도 불안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근래에는 역타설공법이 많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역타설공법의 경우, 지하구조물 축조시에 지상 1층으로부터 지하층을 향하여 시공하여 나가는 방식이므로, 지하구조물과 지상구조물의 시공이 동시에 진행 가능하고, 지상 1층의 바닥을 작업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복공판이 불필요하며, 후술하는 무지보 거푸집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역타설공법으로는 지반을 정지한 상태에서 지반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보를 타설하는 방법(Concrete on Grade)과, 지반을 어느 정도 굴착하고 지반을 고른 뒤 동바리를 세우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Form on Supporting) 등이 통상 이용되어지고 있다.
이중 동바리를 이용하는 공법은 상대 밀도가 비교적 높은 지층에 적용하는 공법으로서, 지반을 선 굴착하고 동바리와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동바리의 이용시에는 연약지반상에서의 지지가 불안정하고, 또한 위층의 콘크리트 강도가 일정 한도 이상으로 보양되지 않으면 해체가 불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중 동바리의 존치로 인하여 아래층의 굴토공사가 진행될 수 없다.
더구나, 거푸집, 동바리 등 가설자재를 굴토작업장 외부로 반출한 뒤 굴토 후 다시 아래층으로 이동하여 설치해야 하고, 이를 각 층의 시공시마다 반복해야 하는 바, 이러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데 있어서 번잡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뒤 충분한 양생기간을 거쳐 구조체가 제강도를 발현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작업대기 시간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동바리나 거푸집의 소운반 및 재조립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과다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모든 작업이 인력에 의존하므로 노동집약적이어서 기능공의 인력 부족이 심화되는 현실에서 원가 절감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구조물을 축조할 때 지상 1층부터 지하 최저층을 향하여 구축해 나가는 무지보 역타설 거푸집 공법(Non SupportingFormwork System for Top Down construction)으로서, 거푸집 지지용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는 대신 선시공한 위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거푸집을 현수시키는 무지보 역타설 현수 거푸집 공법이 제시된 바 있다.
이 무지보 역타설 현수 거푸집 공법은 선시공된 상층 슬래브에 현수재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현수시킨 상태에서 이 거푸집을 이용하여 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각 층의 지하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층 슬래브를 선시공한 후 이 상층 슬래브의 시공시에 이용된 거푸집을 상층 슬래브 상측에 위치시킨 현수하강장치를 이용하여 하강시키고 이 하강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하층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을 반복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현수식 공법은, 슬래브 하부에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선시공한 층의 슬래브에 거푸집을 매달아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장 확보 및 작업자의 안전 보장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고, 거푸집 작업과 상관 없이 지하터파기를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충분한 양생기간의 확보로 우수한 콘크리트 품질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공기 단축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현수식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층 슬래브에 현수된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달아내리는 지하 골조공사, 하부에서의 굴토공사, 그리고 지상부 구조물 축조공사의 3단계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무지보 공법으로 기개발된 상기 현수식 공법에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현수재 지지 방식의 공법에서는 거푸집 하강 작업시 동력원인 현수하강장치 및 현수재가 모두 선시공한 상층 콘크리트 슬래브에 지지된 상태에서 현수재에 매달린 거푸집을 하강시켜 하층 높이에 맞게 재설치한 후 하층 슬래브의 콘크리트 시공이 이루어진다.
즉, 하층 슬래브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이 거푸집 및 현수재를 통해 선시공한 상층 슬래브에 의해 지지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푸집에 타설되는 하층 콘크리트의 하중이 전적으로 상층 슬래브에 작용하면서 상층 슬래브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고, 결국 구조적 안정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하층 슬래브의 콘크리트 시공은 필연적으로 상층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된 후라야 가능하다.
이에, 선시공 슬래브의 양생기간에 따른 공기지연의 문제가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거푸집을 상층 슬래브에 지지시키는 것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지하구조물 구축시 시공층의 보 및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동안 그 콘크리트의 하중을, 골조용 지지기둥에 고정 지지되는 이동 조립식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이 지지수단에 지지 거더의 하중을 포함하여 지지시키는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지지수단은 지지 거더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접합(또는 분할)면을 따라 접합 또는 분할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각 서브 프레임은 승강용 현수재가 고정될 수 있으면서 상기 지지 거더의 단부를 지지하는 수평의 상부 보강패널과, 결합 상태의 중심 위치에서 각각 상하로 배치되어 지지기둥의 상측 및 하측 외부면을 압착하는 링패널과, 상기 상부 보강패널의 각 내측면과 상기 상부 링패널을 연결 지지하는 상부 수직패널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 링패널을 연결하여 역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앵글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 링패널을 연결하는 수직구조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을 일체구조로 하여 구성되어진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각형 지지 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각형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각각 상측 및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각형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그 상측에 지지 거더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각형 지지 브라켓을 지지기둥에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원형 지지 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각각 상측 및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그 상측에 지지 거더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지지 브라켓을 지지기둥에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지지 브라켓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지지 브라켓 11,21 : 서브 프레임
12,22 : 상부 링패널 13,23 : 하부 링패널
14,24 : 상부 수직패널 15,25 : 하부 수직패널
16,26 : 앵글 프레임 17,27 : 지지 프레임
18,28 : 접합면 19,29 : 접합면
30,40 : 스토퍼 플레이트 50,51 : 필러 플레이트
60 : 보강 CT-형강 70 : 현수재
500,510 : 필러 플레이트 501,511 : 슬롯홈
600,610 : 스토퍼 풀러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는, 승강용 현수재가 고정되는 동시에, 지지기둥에 고정되어 지지 거더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접합(또는 분할)면을 따라 접합 또는 분할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과;
결합 상태의 중심 위치에서 각각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기둥의 상측 및 하측 외부면을 압착하는 링패널과;
상기 상부 보강패널의 각 내측면과 상기 상부 링패널을 연결 지지하는 상부 수직패널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 링패널을 연결하여 역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앵글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의 내측 단부에서 하부 링패널을 연결하는 수직구조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을 일체구조로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은 골조용 지지기둥에 고정 지지되는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 브라켓(10)이 지지되는 지지기둥은 CFT 기둥(100) 또는 H-형강 기둥(200)을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지지 브라켓(10)이 지지되는 골조용 지지기둥(100,200)에 따라 그 구현예를 달리 적용하는 한편, 상기 지지 브라켓(10)의 형상에 따라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지지기둥(100,200)에 본 고안의 지지 브라켓(10)이 층별 보 및 슬래브의 높이에 맞게 미리 정해진 높이에서 위치 고정되고, 이 지지 브라켓(10)에 거푸집 지지틀을 지지하는 지지 거더(300)가 그 상측에 지지되며, 이 지지 거더(300)는 보 거푸집 및 이 보 거푸집에 의해 지지되는 기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구조체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10)은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될 경우, 그 하층의 다른 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지지기둥(100,200)을 따라 하강하게 되며, 이는 지지 브라켓(10) 위에 고정된 승강 용도의 현수재(7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10)은 해당 지지기둥(100,200)의 둘레면을 압착한 상태에서 지지기둥(100,200)의 둘레면 상에 돌출되게 설치한 스토퍼 수단에 의해 지지기둥(100,200) 상의 정해진 높이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10)은 지지기둥(100,200)에서 해체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지지기둥(100,200)으로부터 해체된 상태에서, 현수하강장치(미도시)로 현수재(70)를 하강시킬 경우, 이 현수재(70)가 보 주변의 슬래브에 마련된 슬리브(sleeve)를 통해 슬래브 밑으로 원활하게 하강하면서 상기 지지 브라켓(10)도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의 지지 브라켓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각형 지지 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각형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각각 상측 및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각형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그 상측에 지지 거더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각형 지지 브라켓을 지지기둥에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 부호 100, 200은 콘크리트가 충전된 CFT 기둥 및 H-형강 기둥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300은 주변 다른 지지기둥과의 사이에 연결 배치된 지지 거더를 나타낸다.
상기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10)은 지지 거더(300)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접합(또는 분할)면을 따라 접합 또는 분할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11)으로 구성되는 바, 이 두 서브 프레임(11)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중앙의 상부 및 하부로 위치되는 한 쌍의 링패널(12,13)이 지지기둥(100)의 둘레면을 상측 및 하측에서 동시에 압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각 서브 프레임(11)은 승강용 현수재(70)가 고정될 수 있으면서, 상기 지지 거더(300)의 단부를 지지하는 'ㄷ'자 형상의 수평의 상부 보강패널(11a)과, 결합 상태의 중심 위치에서 각각 상하로 배치되어 지지기둥(100)의 상측 및 하측 외부면을 압착하는 반원형 링패널(12,13)과, 상기 상부 보강패널(11a)의 각 모서리변과 상기 상부 링패널(12)을 연결 지지하는 상부 수직패널(14)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14)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 링패널(13)을 연결하여 역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앵글 프레임(16)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14)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하부 링패널(13)을 연결하는 수직구조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17)을 일체구조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링패널(13)에는 별도의 하부 수직패널(15)이 설치되어 각 하부 수직패널(15)에 해당 앵글 프레임(16)의 하단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앵글 프레임(16)은 그 상단이 해당 상부 수직패널(14)에 고정되면서 그 하단이 해당 하부 수직패널(15)에 각각 고정된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서브 프레임(11)은 수직 단면이 H-빔 형태로서, 브라켓 구조체가 전체적으로 변형 없이 지지 거더(30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서브 프레임(11)의 접합(또는 분할)면은 그 서브 프레임(11)의 접합 및 분할이 원활하도록 상기 상,하부 수직패널(14,15)과 간섭되지 않는 형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각 형태의 접합면(18)은 그 전체 둘레를 따라 체결공(18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체결공(18a)을 통해 체결수단인 볼트 등이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그 저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하부 링패널(12,13)도 또한 그 접합면(19)에 형성된 체결공(19a)을 통해 체결수단인 볼트 등이 체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지지기둥(100)에 지지 브라켓(10)을 조립시 지지기둥(100)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상기 링패널(12,13)의 내측에 필러 플레이트(50)를 추가하여 지지기둥(100)의 크기에 상관없이 지지 브라켓(10)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기둥(100)의 크기가 과도하게 크거나 작은 상태에서, 상기 필러 플레이트(50)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지지 브라켓(10)의 접합 관련 주요 구조체 부분, 즉 상부 수직패널(14) 및 앵글 프레임(16)만 별도로 제작하여 이미 제작된 지지 브라켓(1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끔 각 주요 구조체의 연결 방식을체결수단을 통한 접합 방식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필러 플레이트(50)는 CFT 기둥(100)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상측의 돌출부(50a)가 상기 링패널(12,13)의 상단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형 지지 브라켓(10)과 비교하여, 그 내부 공간이 넓어 SRC기둥의 철근 배근시 유리한 다른 구현예인 원형 지지 브라켓(20)은, 첨부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각형 지지 브라켓(10)과 마찬가지로, 지지 거더(300)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접합(또는 분할)면을 따라 접합 또는 분할되는 한 쌍의 원형 서브 프레임(21)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접합면은 그 서브 프레임(21)의 접합 및 분할이 원활하도록 상기 상,하부 수직패널(24,25)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각 형태의 접합면(28)은 그 전체 둘레를 따라 체결공(28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체결공(28a)을 통해 체결수단인 볼트 등이 체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CFT 기둥(100)을 지지하는 다른 주요 구성은 상기 각형 지지 브라켓(10)의 구성과 동일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와 같은 원형 형상의 서브 프레임(21)으로 이루어지되, 고정 지지되는 지지기둥이 원형의 CFT 기둥(100)이 아닌, H-형강 기둥(200)일 경우, 상기 원형 지지 브라켓(20)의 지지 관련 부분이 달리 형성된다.
즉, 상기 H-형강 기둥(200)에 압착 지지되는 상기 원형 지지 브라켓(20)의 링패널(22,23) 형상을 달리하여 구성되는 바, 첨부한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원형 지지 브라켓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측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각각 상측 및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지지 브라켓 구조로서, 그 상측에 지지 거더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지지 브라켓을 지지기둥에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원형 지지 브라켓(20)이 지지 고정되는 H-형강 기둥(200)은 횡하중 작용시 횡좌굴 현상에 대응 가능하도록 그 지지기둥의 구조를 달리하는 바, 외측으로 상기 지지 브라켓(20)이 지지 고정되는 부위의 내측에 H-형강 기둥(200)을 반 자른 한 쌍의 보강 CT-형강(60)으로 보강하게 된다.
즉, 한 쌍의 상기 보강 CT-형강(60)을 H-형강 기둥(200)의 빈 공간 내에 수직으로 세워 보강 CT-형강(60)의 수평 단부가 H-형강 기둥(200)의 양측 단부에 밀착되어 4각형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므로, 횡하중에 취약한 H-형강 기둥(200)의 빈 공간을 매꿔 줌으로써, 횡좌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갖는 H-형강 기둥(200)에 링패널(22,23)의 고정을 통해 지지되는 원형 지지 브라켓(20)에 있어서, 상기 링패널(22,23)은, 그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에는 경사진 형태의 접합면(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합면(29)에는 체결공(29a)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체결공(29a)을 통해 체결수단인 볼트 등이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각형 지지 브라켓(10)의 링패널(12,13)과 마찬가지로, 상기 링패널(22,23)의 내측에 필러 플레이트(51)를 추가하여 지지기둥(200)의 크기에 상관없이 지지 브라켓(20)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H-형강 기둥(200)에 지지 고정되는 원형 지지 브라켓(20)은, 모서리 방향으로 지지되어 구조적으로 취약한 각형 지지 브라켓(10)에 비하여 상기 H-형강 기둥(200)의 수평면과 직각 방향으로 지지되어 구조적으로 지지상세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첨부한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각형 또는 원형으로 서브 프레임(11,21)이 하나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10,20)이 지지기둥(100,200) 상에서 견고히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기둥(100,200)의 둘레에는 스토퍼 수단인 스토퍼 플레이트(30,40)가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소정 두께를 갖는 스토퍼 플레이트(30,40)가 CFT 기둥(100) 상의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용접 설치되거나, H-형강 기둥(200) 상의 각 둘레면에 용접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30,40)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하부 링패널(13,23)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되어 있는 필러 플레이트(500,510)에는 그 상,하부에 각각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롯홈(501,6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홈(501,601)은 상기 지지 브라켓(10,20)을 지지기둥(100,2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걸림턱 역할을 하는 스토퍼 풀러(600,61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스토퍼 풀러(600,610)의 상,하 돌출부(601,611)가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홈 간격이 그 돌출부(601,611)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하 슬롯홈(501,601) 사이의 스토퍼 풀러(600,610)에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체결공(602,603,612,6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체결공(602,603,612,613)은 스토퍼 풀러(600,610)가 상기 필러 플레이트(500,510)의 슬롯홈(501,601)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필러 플레이트(500,510)의 체결공(502,512)을 거쳐 지지기둥(100,200) 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조임 볼트(700,800)가 체결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 볼트(700,800)가 체결되는 체결공(602,612) 사이에 상기 체결공(602,612)보다 직경이 작은 또 다른 체결공(603,613)이 배치되어 있는 바, 그 체결공(603,613)은 상기 필러 플레이트(500,510)면까지만 관통 형성되어 있고, 삽입되는 볼트(710,810)는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볼트(710,810)를 체결한 상태에서 그 볼트(710,810)를 회전시켜 상기 스토퍼 풀러(600,610)가 후방으로 밀려 나오도록 하는 동시에, 슬롯홈(501,601)에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수재(70)를 통해 상기 지지 브라켓(10,20)을 하방으로 손쉽게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본 고안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10,20)은 지지기둥(100,200)을 중앙에 끼고 조립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역 피라미드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기둥(100,200)의 둘레면 상에 견고히 고정되며,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지지 거더(300)를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두 서브 프레임(11,21)에서 지지 거더(300)를 지지하게 되는각 상부 보강패널(11a,21a)은 서로 조합된 상태에서 중앙이 개구된 형태의 각형 또는 원형의 상부 보강패널(11a,21a)을 형성하는 바, 이 개구부(900)를 통해 철근의 배근이 가능하고, 또한 지지기둥(100,200)의 주위가 개구부(900) 형태임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거푸집 작업 및 철근 작업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양측의 상부 보강패널(11a,21a)이 형성하게 되는 개구부(900)의 면적은 지지기둥(100,200) 주위에 철근 시공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축되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적에 비해 크게 함이 마땅하다.
한편, 상기 각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10,20)은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2등분 분할면을 따라 상호 분리가 가능한 바, 두 서브 프레임(11,21)을 서로 체결하고 있던 볼트들을 푼 후 지지 브라켓(10,20) 전체를 지지기둥(100,200)에서 해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에 의하면, 지하구조물 구축시 시공 층의 보 및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동안 그 콘크리트의 하중을, 종래와 같이 선시공한 상층 슬래브에 현수재(70)를 이용하여 현수 및 지지시키는 방식이 아닌, 지지기둥에 고정 지지되는 이동식 지지 브라켓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게 된다.
1) 본 고안은 하층 슬래브의 콘크리트 하중이 기둥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시스템으로, 종래와 같이 상층 슬래브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2) 본 고안에서 현수재는,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하중을 직접 지지하기 위한 용도가 아닌, 브라켓 및 지지 거더의 단순 승강용도로만 이용하는 바, 상층 슬래브의 시공상태와 상관 없이 하층의 보 및 슬래브 시공이 가능하고,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기 전이라도 하층의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3) H-형강 기둥에 원형 지지 브라켓이 지지 고정된 경우, 상기 H-형강 기둥에 보강 CT-형강이 보강되어 횡하중 작용시 황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4) 각형 및 원형 지지 브라켓 모두 접합면의 위치를 브라켓의 지지점으로 하지 않고, 지지점에 간섭되지 않게 설치되어 분할 접합이 용이하다.
5) 스토퍼 플레이트와 스토퍼 풀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지지 브라켓을 아랫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승강용 현수재가 고정되는 동시에, 지지기둥에 고정되어 지지 거더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접합(또는 분할)면을 따라 접합 또는 분할되며 접합 및 분할이 원활하도록 상,하부 수직패널과 간섭되지 않는 형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과;
    결합 상태의 중심 위치에서 각각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기둥의 상측 및 하측 외부면을 압착하는 링패널과;
    상기 상부 보강패널의 각 내측면과 상기 상부 링패널을 연결 지지하는 상부 수직패널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 링패널을 연결하여 역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앵글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직패널의 내측 단부에서 하부 링패널을 연결하는 수직구조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을 일체구조로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앵글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하부 수직패널의 내측으로의 배치 위치를 달리하여 원형 또는 각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지지기둥의 크기에 상관없이 지지 브라켓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기둥 및 링패널 사이에는 필러 플레이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크기가 과도하게 크거나 작은 상태에서, 그 필러 플레이트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지지 브라켓의 접합 관련 주요 구조체 부분인 상부 수직패널 및 앵글 프레임만 별도로 제작하여 이미 제작된 지지 브라켓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각 주요 구조체의 연결 방식은 체결수단을 통한 접합 방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고정 설치되어 지지 브라켓 전체가 하측으로 걸리면서 상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기둥의 둘레 및 필러 플레이트 상에는스토퍼 수단이 별도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CFT 기둥 상의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용접 설치되거나, H-형강 기둥 상의 각 둘레면에 용접 설치되는 스토퍼 플레이트와;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의 직상방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상기 링패널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되어 있는 필러 플레이트의 상,하부에 각각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롯홈이 형성되되, 상기 슬롯홈에 상,하 돌출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홈 간격이 그 돌출부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정면부에 상기 지지기둥 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필러 플레이트의 체결공과 볼트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 사이에, 일정 길이 돌출된 볼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볼트를 회전시켜 후방으로 밀려 나오도록 하여 슬롯홈에서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스토퍼 풀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H-형강 기둥에는 횡하중 작용시 횡좌굴 현상에 대응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상기 지지 브라켓이 지지 고정되는 부위의 내측에 H-형강 기둥을 반 자른 한 쌍의 보강 CT-형강이 서로 대응되게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KR20-2004-0028675U 2004-10-11 2004-10-11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KR200372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75U KR200372315Y1 (ko) 2004-10-11 2004-10-11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JP2005133430A JP4060323B2 (ja) 2004-10-11 2005-04-28 ブラケット支持タイプの下向骨組打設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下向骨組打設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675U KR200372315Y1 (ko) 2004-10-11 2004-10-11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315Y1 true KR200372315Y1 (ko) 2005-01-10

Family

ID=3638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675U KR200372315Y1 (ko) 2004-10-11 2004-10-11 역타설 시스템의 이동 조립식 지지 브라켓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60323B2 (ko)
KR (1) KR200372315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503B1 (ko) * 2005-04-27 2007-03-13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100775767B1 (ko) * 2006-08-14 2007-11-12 깨뱉시스템주식회사 Src골조의 기둥용 수직철근을 이용한 역타설 축조공법
KR101215398B1 (ko) * 2012-02-27 2012-12-26 관악산업 주식회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해상 자켓 구조물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1409249B1 (ko) 2014-05-13 2014-06-23 주식회사무영아멕스건축사사무소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KR101628264B1 (ko) * 2016-02-12 2016-06-08 삼호쏘일텍(주)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74771B1 (ko) * 2018-01-10 2018-07-05 (주)건국 전주용 근가
KR20190084633A (ko) * 2018-01-09 2019-07-17 유병훈 강관파일지중벽체와 전단지지플레이트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CN110512866A (zh) * 2019-08-14 2019-11-29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支撑梁的施工结构及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5074B2 (ja) * 2011-10-19 2016-05-11 株式会社大林組 地上交通路の下に地下空間を形成する方法
CN103015458B (zh) * 2012-12-19 2015-11-25 绍兴县明煌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室胎模及施工方式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503B1 (ko) * 2005-04-27 2007-03-13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100775767B1 (ko) * 2006-08-14 2007-11-12 깨뱉시스템주식회사 Src골조의 기둥용 수직철근을 이용한 역타설 축조공법
KR101215398B1 (ko) * 2012-02-27 2012-12-26 관악산업 주식회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해상 자켓 구조물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1409249B1 (ko) 2014-05-13 2014-06-23 주식회사무영아멕스건축사사무소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KR101628264B1 (ko) * 2016-02-12 2016-06-08 삼호쏘일텍(주) 역타 공법용 가설 버팀보를 이용한 지보 및 바닥 지지틀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90084633A (ko) * 2018-01-09 2019-07-17 유병훈 강관파일지중벽체와 전단지지플레이트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KR102076969B1 (ko) * 2018-01-09 2020-02-13 유병훈 강관파일지중벽체와 전단지지플레이트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KR101874771B1 (ko) * 2018-01-10 2018-07-05 (주)건국 전주용 근가
CN110512866A (zh) * 2019-08-14 2019-11-29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支撑梁的施工结构及施工方法
CN110512866B (zh) * 2019-08-14 2024-04-26 中交二航局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支撑梁的施工结构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12213A (ja) 2006-04-27
JP4060323B2 (ja) 200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0694503B1 (ko)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JP4060323B2 (ja) ブラケット支持タイプの下向骨組打設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下向骨組打設方法
JP2018505981A (ja) Pcトラス壁体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20090094971A (ko)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KR200417438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JP3249789B2 (ja) 柱状構造物の補強方法
KR100694493B1 (ko)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KR100605514B1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하향 골조 타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하향 골조 타설 방법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KR101631447B1 (ko) 콘크리트 충진 강관기둥과 합성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역타공법
KR200398231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일방향 지지 브라켓
KR101006411B1 (ko) Cft 기둥을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 방법
JPH09209451A (ja) 上下柱と梁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KR200385376Y1 (ko)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0646178B1 (ko) 강관 가시설 공법
JP6849491B2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855296B2 (ja) 建物基礎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1329700A (ja) ジャッキシステムによる建物解体時に於ける柱仮接合方法
KR200418842Y1 (ko) 딥 데크의 연결부간 고정구조
JP3470246B2 (ja) 鋼製脚柱の補強方法及びその補強脚柱
KR200402363Y1 (ko) 기둥 콘크리트 타설 구조
KR200358247Y1 (ko) 고정식 브라켓 지지를 이용한 하향 골조타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