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409B1 - 터널 작업용 대차 - Google Patents

터널 작업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409B1
KR102288409B1 KR1020210032736A KR20210032736A KR102288409B1 KR 102288409 B1 KR102288409 B1 KR 102288409B1 KR 1020210032736 A KR1020210032736 A KR 1020210032736A KR 20210032736 A KR20210032736 A KR 20210032736A KR 102288409 B1 KR102288409 B1 KR 10228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ork
width direction
coupl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승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승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승개발
Priority to KR1020210032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8Shifting conveyors or other transport devices from one location at the working face to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4Staff transpor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작업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폭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작업패널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휠과, 폭 방향 양측의 메인프레임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폭 방향 내향 연장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 연장된 제1작업지지프레임과,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작업프레임을 포함하며;
폭 방향 양측의 메인프레임부는 상기 제2프레임이 결합수단에 각각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널 작업용 대차{A Carrier For Tunnel Working}
본 발명은 터널 작업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하여 용이하게 터널 작업을 할 수 있는 터널 작업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로건설에 따른 주변 환경훼손 최소화를 위한 친환경적 도로건설 정책 추진으로 3km 이상의 장대터널 건설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터널 시공의 특성상 터널 길이의 증가는 곧 공기 증가로 이어지고 공기 증가는 다시 공사비 증가로 이어지므로, 장대터널의 건설에서 공기 단축은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터널시공방법에 있어서, 터널을 굴착하고, 소정 굴착이 이루어지고 나면, 굴착을 계속 진행함과 동시에 굴착 완료된 구간에 작업대차를 배치하여 방수공사를 실시하고 라이닝철근을 배근한다. 작업대차를 전진 이동시키면서 상기 방수공사를 실시하고 라이닝철근의 배근을 계속 진행함과 동시에, 라이닝철근이 배근 된 구간에 라이닝폼을 배치하여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다. 라이닝폼을 전진 이동시키면서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을 터널 시공구간에 걸쳐 반복 진행한다.
터널 시공과정에서 터널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장비차량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어야 원활한 작업 진행이 가능하므로, 작업대차, 라이닝폼, 양생대차를 굴착장비의 원활한 통행에 방해하지 않는 형태로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의 작업대차에 대한 도면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4779호에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작업대차(100)는 터널 굴착면을 따라 작업발판(110)이 마련되고, 작업발판(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120)이 마련되며, 아울러 작업자가 작업발판(110)에 올라가기 위한 계단이 마련된다. 특히 지지프레임(120)은 수직기둥, 수평보, 각종 브레이스 등의 철골부재의 조립으로 구성하면 되며, 이때 지지프레임(120)의 주요 골조는 소요내력을 큰 H형강으로 구성하여 터널 굴착장비의 이동통로를 충분히 확보하는 구조로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직 기둥을 H형강기둥(121)으로 구성함과 아울러 H형강기둥(121) 하단에 레일바퀴(122)를 장착하면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레일바퀴(122)는 H형강기둥(121)의 일부에만 장착하고 레일바퀴(122)를 장착하지 아니한 H형강기둥(121)에는 높이조절형 스크류잭(123)은 장착할 수 있다. 높이조절형 스크류잭(123)은 높이조절에 따라 작업대차(100)의 이동성을 부여하는 한편 작업대차(100)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터널 크기마다 크기에 맞는 터널 작업용 대차를 사용하여야 했으며, 터널 형태가 달라지는 경우 이에 맞추어 작업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특2001-0107829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터널 작업용 대차의 폭 조절이 가능하며, 터널 크기 및 터널 형태에 따라 터널 작업용 대차의 폭을 조절하여 터널 작업이 용이한 터널 작업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작업패널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휠과, 폭 방향 양측의 메인프레임부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폭 방향 내향 연장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 연장된 제1작업지지프레임과,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작업프레임을 포함하며;
폭 방향 양측의 메인프레임부는 상기 제2프레임이 결합수단에 각각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대차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일측이 제1작업프레임의 노출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향 경사 연장되어 타측은 제1작업지지프레임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작업지지프레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1지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작업프레임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 중 하나와 제1지지통공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작업프레임은 조절된 삽입 깊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메인프레임부는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 제3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 연장되며 제1작업지지프레임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제2작업지지프레임과,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2작업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일측이 제2작업프레임의 노출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향 경사 연장되어 타측은 제2작업지지프레임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조작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작업지지프레임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2지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작업프레임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제2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 중 하나와 제2지지통공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2작업프레임은 조절된 삽입 깊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터널 작업용 대차는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터널 작업용 대차의 전체적인 폭 조절이 가능하며,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작업프레임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터널 크기 및 터널 형태에 따라 터널 작업용 대차의 폭을 조절하여 터널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터널 작업용 대차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터널 작업용 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제2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제1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제3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제2프레임의 결합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1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터널 작업용 대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터널 작업용 대차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터널 작업용 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1의 "C"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제2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제1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제3프레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제2프레임의 결합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제1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볼트-너트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도 2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설명한다. 도 2의 가로 방향이 터널의 길이 방향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는 터널(T)을 시공함에 있어 굴착이 일부 이루어지고 나면, 굴착을 계속 진행함과 동시에 굴착 완료된 구간에 터널 작업용 대차(100)를 배치하여 방수 공사를 실시하고 철근을 배근하는 작업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인 터널 작업용 대차(100)는 메인프레임부(110)와, 작업패널(120)과, 휠(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부(110)는 폭 방향으로 마주하여 구비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폭 방향으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메인프레임부(110)는 서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웃하는 메인프레임부(110)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결합부재(1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60)는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메인프레임부(11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60)는 단면이 'ㄷ'자인 막대 형태이며, 메인프레임부(110)를 이루는 제1프레임(111)의 폭 방향 외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60)는 제1프레임(111)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길이 방향으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제1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상기 터널 작업용 대차(100)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60)가 구비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메인프레임부(1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메인프레임부(110)는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3)과, 제3프레임(114)과, 제1작업지지프레임(115)과, 제1작업프레임(116)과, 제2작업지지프레임(117)과, 제2작업프레임(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프레임(11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H'자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메인프레임부(110)의 제1프레임(111)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베이스프레임(111-7)에 결합된다.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하는 메인프레임부(110)의 제1프레임(111)의 하단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상기 베이스프레임(111-7)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7)에는 복수의 휠(130)이 설치된다. 상기 휠(130)은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베이스프레임(111-7)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휠(130)은 지면(G)에서 터널 작업용 대차(100)를 터널(T)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1-7)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스크류잭(130-1)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잭(130-1)은 베이스프레임(111-7)의 적어도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된다. 터널(T) 작업시 스크류잭(130-1)을 회전시켜 지면(G)을 지지하도록 한 후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한다.
상기 제1프레임(111)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보강프레임(111-1)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11-1)은 하단이 제1프레임(111)에 결합되고 폭 방향 내향하며 상향 연장되어 상단은 제2프레임(113)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11-1)은 제1프레임(111)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프레임(111)과 보강프레임(111-1) 사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제1프레임(111)과 보강프레임(111-1)에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111)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1-3)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1프레임(111)의 하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보조프레임(111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111a)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H'자 형강으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프레임(111a)의 상단은 상기 제1프레임(111)의 하단과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111a)은 도 5의 "A"부와 같이 제2결합수단(200)을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제1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111a)은 제2결합수단(200)에 각각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11)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상하 방향 연장된 제1플랜지부(1111)와, 제1플랜지부(1111)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이 제1플랜지부(1111)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1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프레임(111a)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상하 방향 연장된 보조플랜지부(111a1)와, 보조플랜지부(111a1) 사이에 구비되어 양단이 보조플랜지부(111a1)에 연결되는 보조플랜지연결부(111a3)로 이루어진다.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1111)와 보조플랜지부(111a1)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1 및 보조플랜지결합공(1112, 111a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보조플랜지결합공(1112, 111a2)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제1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111a)의 단부에는 제1프레임연결판재(1116)와 보조프레임연결판재(111a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프레임연결판재(1116)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1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17)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연결판재(111a6)에는 상하로 관통된 보조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1a7)이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111a)은 제2결합수단(200)에 각각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수단(200)은 제4결합부재(201)와 제5결합부재(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111a)의 폭 방향 내측플랜지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판상의 제4결합부재(201)가 적층된다. 상기 제4결합부재(201)에는 폭 방향 내측플랜지에 형성된 제1 및 보조플랜지결합공(1112, 111a2)의 위치에 폭 방향으로 제4결합공(201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4결합공(2011)과 제1 및 보조플랜지결합공(1112, 111a2)에 볼트(180-1)와 너트(180-3)가 체결되어 폭 방향 내측 플랜지의 내측으로 제4결합부재(201)가 적층 결합된다.
상기 제1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111a)의 폭 방향 외측플랜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판상의 제5결합부재(202)가 적층된다. 상기 제5결합부재(202)에는 폭 방향 외측플랜지에 형성된 제1 및 보조플랜지결합공(1112, 111a2)의 위치에 폭 방향으로 제5결합공(202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5결합공(2021)과 제1 및 보조플랜지결합공(1112, 111a2)에 볼트(180-1)와 너트(180-3)가 체결되어 폭 방향 외측 플랜지의 외측으로 제5결합부재(202)가 적층 결합된다.
상하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제1프레임연결판재(1116)와 보조프레임연결판재(111a6)는 제1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17)과 보조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1a7)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수단(200)은 제6결합부재(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6결합부재(203)의 폭 방향 내측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2개의 제4결합부재(201)가 구비되고, 폭 방향 외측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2개의 제5결합부재(202)가 구비된다.
상기 제6결합부재(203)는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프레임연결판재(1116)와 보조프레임연결판재(111a6)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6결합부재(203)는 상하로 연장된 'H'자 형강이며, 상하 방향 양단부에 별도의 연결판재가 용접되어 결합구비된다. 상기 제6결합부재(203)는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인 제6결합부재플랜지부(2031)와, 제6결합부재플랜지부(2031)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인 제6결합부재연결부와, 상기 제6결합부재플랜지부(2031)의 상하 방향 양단부에 구비되는 판상인 제6결합부재연결판재(20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6결합부재연결판재(2033)는 상기 제1프레임연결판재(1116) 및 보조프레임연결판재(111a6)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폭 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제6결합부재플랜지부(2031)에는 상하 양단에 폭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제6결합부재플랜지결합공(2036)이 형성된다. 상기 제6결합부재플랜지결합공(2036)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하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6결합부재연결판재(2033)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6결합부재연결부결합공(2034)이 형성된다.
상기 제6결합부재(203)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사각형의 중공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6결합부재(203)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111a) 사이에 위치한다. 상하로 위치하는 상기 제6결합부재연결부결합공(2034)은 각각 상기 제1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17) 및 보조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1a7)과 볼트-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폭 방향 내측에서 상기 제1프레임(111)과 제6결합부재(203)의 내측플랜지에 폭 방향 내측으로 제4결합부재(201)가 적층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11a)과 제6결합부재(203)의 내측플랜지에 폭 방향 내측으로 제4결합부재(201)가 적층된다. 상기 제4결합공(2011)과 제1 및 보조플랜지결합공(1112, 111a2)에 볼트(180-1)와 너트(180-3)가 체결되어 폭 방향 내측 플랜지의 내측으로 제4결합부재(201)가 적층 결합된다.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1프레임(111)과 제6결합부재(203)의 외측플랜지에 폭 방향 외측으로 제5결합부재(202)가 적층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11a)과 제6결합부재(203)의 외측플랜지에 폭 방향 외측으로 제5결합부재(202)가 적층된다. 상기 제5결합공(2021)과 제1 및 보조플랜지결합공(1112, 111a2)에 볼트(180-1)와 너트(180-3)가 체결되어 폭 방향 외측 플랜지의 외측으로 제5결합부재(202)가 적층 결합된다.
상기에서 제4결합부재(201)와 제5결합부재(202) 및 제6결합부재(203)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의 제1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111a)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하 방향 양측의 제1프레임(111)과 보조프레임(111a)은 제2결합수단(200)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다. 제2결합수단(200)을 이루는 제6결합부재(203)의 길이가 길고 짧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의 높이가 가변되어 터널의 높이에 맞추어 제6결합부재(203)를 선택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113)은 상기 제1프레임(111)의 상부에 결합되며 폭 방향 내향 연장된다. 폭 방향 양측 메인프레임부(110)의 제2프레임(113)은 단부가 서로 마주하여 구비된다. 폭 방향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프레임(113)은 도 6과 같이 제1결합수단(190)을 매개로 결합된다. 폭 방향 양측의 메인프레임부(110)는 상기 제2프레임(113)이 제1결합수단(190)에 각각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113)은 'H'자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프레임(113)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연장된 제2플랜지부(1131)와 제2플랜지부(1131) 사이에서 구비되는 제2연결부(1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플랜지부(1131)는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진다.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제2프레임(113)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플랜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2상부플랜지결합공(1132)이 형성되고, 하부플랜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2하부플랜지결합공(1136)이 형성된다. 상기 제2상,하부플랜지결합공(1132, 1136)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상하 관통 형성된다.
상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프레임(113)의 단부에는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에는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37)이 형성된다.
상기 제2프레임(113)은 제1결합수단(190)에 각각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수단(190)은 제1결합부재(191)와 제3결합부재(19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프레임(113)의 상부플랜지에는 상부로 판상의 제1결합부재(191)가 적층된다. 상기 제1결합부재(191)에는 상부플랜지에 형성된 제2상부플랜지결합공(1132)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제1결합공(1911)이 관통 형성된다. 제1결합공(1911)과 제2상부플랜지결합공(1132)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상부플랜지의 상부로 제1결합부재(191)가 적층 결합된다.
상기 제2프레임(113)의 하부플랜지에는 하부로 판상의 제3결합부재(195)가 적층된다. 상기 제3결합부재(195)에는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제2하부플랜지결합공(1136)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제3결합공(1951)이 관통 형성된다. 제3결합공(1951)과 제2하부플랜지결합공(1136)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하부플랜지의 하부로 제3결합부재(195)가 적층 결합된다.
폭 방향으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는 제2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37)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수단(190)은 제2결합부재(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결합부재(193)의 상하부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의 제1결합부재(191)와 제3결합부재(195)가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193)는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19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H'자 형강이며, 폭방향 양단부에 별도의 연결판재가 용접되어 결합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193)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연장된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와,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인 제2결합부재연결부와, 상기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의 폭 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연결부(1933)로 이루어진다.
상하로 위치하는 상기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에는 폭 방향 양단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제2결합부재플랜지결합공(1936)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플랜지결합공(1936)은 전후 및 폭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연결부(1933)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결합부재연결부결합공(19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재(193)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사각형의 중공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프레임(113)의 사이로 제2결합부재(193)가 위치한다. 상기 제2결합부재연결부결합공(1934)과 제2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37)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113)의 폭 방향 내측 단부와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의 상부플랜지에 상부로 제1결합부재(191)가 적층된다. 상기 제1결합공(1911)과 제2플랜지결합공(1132)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고, 제1결합공(1911)과 제2결합부재플랜지결합공(1936)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상부플랜지의 상부로 제1결합부재(191)가 적층 결합된다.
하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113)의 폭 방향 내측 단부와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의 하부플랜지에 하부로 제3결합부재(195)가 적층된다. 상기 제3결합공(1951)과 제2플랜지결합공(1132)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고, 제3결합공(1951)과 제2결합부재플랜지결합공(1936)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하부플랜지의 하부로 제3결합부재(195)가 적층 결합된다.
상기에서 제1결합부재(191)와 제2결합부재(193) 및 제3결합부재(195)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의 제2프레임(113)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폭 방향 양측의 제2프레임(113)은 제1결합수단(190)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다. 제1결합수단(190)을 이루는 제2결합부재(193)의 길이가 길고 짧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의 폭이 가변되어 터널의 폭에 맞추어 제1결합수단(190)을 선택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폭 방향으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제2프레임(113)이 제1결합수단(190)을 매개로 결합되면, 상기 제2프레임(113)의 하부로 양측 메인프레임부(110) 사이에는 작업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113)의 상부에는 상향 연장된 연결프레임(113-1)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13-1)의 상단에는 폭 방향 내향 연장된 제3프레임(114)이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113-1)은 제2프레임(113)과 제3프레임(114) 사이에서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폭 방향 내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13-1)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13-1)은 제1연결프레임(113-1a)과 제2연결프레임(113-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프레임(113-1a)과 제2연결프레임(113-1b)은 'H'자 형강이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상향 연장된 플랜지부와 플랜지부 사이에서 구비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프레임(113-1a)과 제2연결프레임(113-1b)의 상하 방향 양단부에는 판상의 연결판재(113-1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판재(113-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연결프레임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프레임(113-1a)과 제2연결프레임(113-1b)은 각각 상하 방향 길이가 다르게 구비되어 터널(T)의 높이에 따라 제1연결프레임(113-1a) 또는 제2연결프레임(113-1b)만 구비되거나, 제1연결프레임(113-1a)과 제2연결프레임(113-1b)이 결합되어 동시에 구비된다.
상기 제2프레임(113)과 제3프레임(114) 사이에 제1연결프레임(113-1a) 또는 제2연결프레임(113-1b)만 구비되는 경우, 제1연결프레임(113-1a) 또는 제2연결프레임(113-1b)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재(113-11)와 제2프레임(113)의 플랜지부(1131)의 결합공에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되고, 제1연결프레임(113-1a) 또는 제2연결프레임(113-1b)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재(113-11)와 제3프레임(114)의 플랜지부(114-1)의 결합공에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된다.
제1연결프레임(113-1a)과 제2연결프레임(113-1b)이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 제1연결프레임(113-1a)과 제2연결프레임(113-1b)의 연결판재(113-11)가 서로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되고, 제2연결프레임(113-1b)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재(113-11)와 제2프레임(113)의 플랜지부(1131)의 결합공에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되며, 제1연결프레임(113-1a)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판재(113-11)와 제3프레임(114)의 플랜지부(114-1)의 결합공에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13-1)의 상단에는 폭 방향 내향 연장된 제3프레임(114)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폭 방향 양측 메인프레임부(110)의 제3프레임(114)의 단부는 서로 마주하여 구비된다. 폭 방향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3프레임(114)은 도 8과 같이 제3결합수단(114a)을 매개로 결합된다. 폭 방향 양측의 메인프레임부(110)는 상기 제3프레임(114)이 제3결합수단(114a)에 각각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3프레임(114)은 상기 제2프레임(113)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프레임(114)은 'H'자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프레임(114)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연장된 제3플랜지부(114-1)와 제3플랜지부(114-1) 사이에서 구비되는 제3연결부(114-3)로 이루어지며, 상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3프레임(114)의 단부에는 제3프레임연결판재(114-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3플랜지부(114-1)는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프레임연결판재(114-5)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3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4-51)이 형성된다.
상기 제3프레임(114)은 제3결합수단(114a)에 각각 볼트-너트 체결되어 폭 방향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수단(114a)은 'H'자 형강이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폭 방향 연장된 제3결합플랜지부(114a-1)와 제3결합플랜지부(114a-1) 사이에서 구비되는 제3결합연결부(114a-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결합수단(114a)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판상의 제3결합수단연결판재(114a-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3결합수단연결판재(114a-5)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3결합수단결합공(114a-51)이 형성된다. 상기 제3결합수단(114a)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사각형의 중공체로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면에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3결합수단결합공(114a-5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결합수단(114a)은 상기 제3프레임(114)의 제3프레임연결판재(114-5) 사이로 삽입되고, 제3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4-51)과 제3결합수단결합공(114a-51)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에서 제3결합수단(114a)은 서로 마주하는 양측의 제3프레임(114)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폭 방향 양측의 제3프레임(114)은 제3결합수단(114a)을 매개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2프레임(113)의 제1결합수단(190)과 같이 제3결합수단(114a)의 길이가 길고 짧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의 폭이 가변되어 터널의 폭에 맞추어 제3결합수단(114a)을 선택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114)은 상기 연결프레임(113-1)이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폭 방향 내향 위치하여, 제2프레임(113)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제3프레임(114)의 폭 방향 외측으로 제2프레임(113)의 상부에 작업패널(120)이 설치된다. 상기 제3프레임(114)의 상부에는 별도의 작업패널(120)이 설치되어 제2프레임(113)에 설치된 작업패널(120)보다 상향 이격된다. 따라서 대개 원호형인 터널 내부의 철근 결속 작업을 더 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작업패널(1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프레임(114)의 폭 방향 외측에서 제2프레임(1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업패널(120)은 제2프레임(113)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ㄷ'자인 제2프레임설치부재(113-2)가 폭 방향을 이격되어 복수 설치되고, 제2프레임설치부재(113-2)의 상부에 나사못으로 체결되어 작업패널(120)이 설치된다.
상기 폭 방향 양측의 제3프레임(114)의 상부로 설치되는 작업패널(120)은 제3프레임(114)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ㄷ'자인 제3프레임설치부재(114-2)가 폭 방향을 이격되어 복수 설치되고, 제3프레임설치부재(114-2)의 상부에 나사못으로 체결되어 작업패널(120)이 설치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113-3과 114-3은 클램프인 프레임결합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제2프레임설치부재(113-2)와 제3프레임설치부재(114-2)는 각각 제2프레임(113)과 제3프레임(114)의 상부플랜지에 클램핑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은 상기 제1프레임(111)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 연장된다.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은 단면이 4각형인 중공체로서 폭 방향 내측 단부가 볼트와 너트 체결로 제1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은 제1프레임(111)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 개구된다.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의 내측 단부에 4각형의 패널을 용접 결합하고, 패널이 제1프레임(111)의 플랜지부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의 하부로 제1작업지지프레임(115)과 제1프레임(111) 사이에는 지지보강프레임(111-5)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보강프레임(111-5)은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폭 방향 외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다. 상기 지지보강프레임(111-5)의 일측 단부는 제1프레임(111)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보강프레임(111-5)은 제1작업지지프레임(115)과 제1작업프레임(116)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제1작업프레임(116)은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작업프레임(116)은 'H'자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작업프레임(116)의 플랜지부에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제1통공(116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통공(1161)은 제1작업프레임(1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1지지통공(1151)이 형성된다.
상기 제1통공(1161)이 제1지지통공(1151)에 맞춘 위치에서 고정핀(115-3)이 제1통공(1161)과 제1지지통공(1151)에 삽입되어 맞춘 위치에서 고정된다. 복수의 제1통공(1161) 중 하나에 고정핀(115-3)이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제1작업프레임(116)의 돌출된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과 제1작업프레임(116)의 상부로 설치되는 판상의 작업패널(120)은, 도 4에서와 같이, 제1작업프레임(116)의 프레임결합수단(116-3)을 풀고, 제1작업프레임(116)의 돌출된 길이를 조정하고, 고정핀(115-3)으로 고정한 후, 제1작업지지설치부재(115-2)와 제1작업프레임설치부재(116-2)의 상부로 그 길이에 맞춘 작업패널(120)을 설치한다.
판상의 작업패널(120)은 제1작업지지프레임(115)과 제1작업프레임(116)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제1작업지지설치부재(115-2)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1작업프레임(116)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제1작업프레임설치부재(116-2)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제1작업지지설치부재(115-2)는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의 상부에 볼트 또는 나사못으로 체결되어 설치되고, 제1작업프레임설치부재(116-2)는 클램프인 프레임결합수단(116-3)을 이용하여 제1작업프레임(116)의 상부플랜지에 클램핑 결합하여 볼트 또는 나사못으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작업패널(120)은 상기 제1작업지지설치부재(115-2)와 제1작업프레임설치부재(116-2)의 상부에 나사못으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작업프레임(116)과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의 하부로 위치하는 제1프레임(111) 사이에는 제1조작수단(140-1)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1조작수단(140-1)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작수단(140-1)은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폭 방향 외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다. 상기 제1조작수단(140-1)은 일측이 제1작업프레임(116)의 노출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향 경사 연장되어 타측은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조작수단(140-1)은 하단은 힌지부(145)로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조작수단(140-1)의 상단은 상기 제1작업프레임(116)의 하부플랜지에 설치브라켓(1451)이 결합되어 제1작업프레임(1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조작수단(140-1)은 막대 형태의 지지본체(141)와, 지지본체(141)의 하단이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부(145)와, 지지본체(141)의 상단이 제1작업프레임(1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브라켓(14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브라켓(1451)은 단면이 'ㄷ'자 형태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451)은 폭 방향 및 전후 방향 일측으로 개구되어 브라켓홈(1451a)을 형성한다. 상기 설치브라켓(1451)의 상단에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설치볼트결합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451)은 상기 브라켓홈(1451a)이 제1작업프레임(116)의 하부플랜지에 삽입되고, 설치브라켓(1451)의 설치볼트결합공으로 설치볼트(1453)가 체결되어 제1작업프레임(116)을 가압하며 고정 결합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451)의 하부에는 하향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판상인 브라켓설치부(1451b)가 더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설치부(1451b)는 요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설치부(1451b)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141)의 상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141)의 상단은 마주하여 구비되는 브라켓설치부(1451b)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설치부(1451b)와 지지본체(141)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설치핀(1452)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은 상기 제1프레임(111)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 연장된다.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은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은 단면이 4각형인 중공체로서 폭 방향 내측 단부가 볼트와 너트 체결로 제1프레임(111)에 결합된다.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은 제1프레임(111)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 개구된다.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의 내측 단부에 4각형의 패널을 용접 결합하고, 패널이 제1프레임(111)의 플랜지부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의 하부로 제2작업지지프레임(117)과 제1프레임(111) 사이에는 지지보강프레임(111-5)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보강프레임(111-5)은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폭 방향 외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다. 상기 지지보강프레임(111-5)의 일측 단부는 제1프레임(111)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보강프레임(111-5)은 제2작업지지프레임(117)과 제2작업프레임(118)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제2작업프레임(118)은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작업프레임(118)은 'H"자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작업프레임(118)의 플랜지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제2통공(118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통공(1181)은 제2작업프레임(1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2지지통공(1171)이 형성된다.
상기 제2통공(1181)이 제2지지통공(1171)에 맞춘 위치에서 고정핀(117-3)이 제2통공(1181)과 제2지지통공(1171)에 삽입되어 맞춘 위치에서 고정된다. 복수의 제2통공(1181) 중 하나에 고정핀(117-3)이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제2작업프레임(118)의 돌출된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작업프레임(118)의 상부로 설치되는 판상의 작업패널(120)은, 클램프인 프레임결합수단(118-3)을 풀고, 제2작업프레임(118)의 돌출된 길이를 조정하고, 고정핀(117-3)으로 고정한 후, 제2작업프레임설치부재(118-2)의 상부로 그 길이에 맞춘 작업패널(120)을 설치한다.
판상의 작업패널(120)은 제2작업프레임(118)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작업프레임(118)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제2작업프레임설치부재(118-2)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 제2작업프레임설치부재(118-2)는 클램프인 프레임결합수단(118-3)을 이용하여 제2작업프레임(118)의 상부플랜지에 클램핑 결합되어 볼트 또는 나사못으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작업패널(120)은 상기 제2작업프레임설치부재(118-2)의 상부에 나사못으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2작업프레임(118)과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의 하부로 위치하는 제1프레임(111) 사이에는 제2조작수단(140-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2조작수단(140-2)은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조작수단(140-2)은 제1프레임(111)으로부터 폭 방향 외향하며 상향 경사 구비된다. 상기 제2조작수단(140-2)은 일측이 제2작업프레임(118)의 노출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향 경사 연장되어 타측은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조작수단(140-2)은 상단은 힌지부(146)로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으로부터 돌출된 폭 방향 외측의 제2작업프레임(118)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은 힌지부(146)로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조작수단(140-2)은 하단은 힌지부(146)로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조작수단(140-2)의 상단은 상기 제2작업프레임(118)의 하부플랜지에 설치브라켓(1461)이 결합되어 제2작업프레임(11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조작수단(140-2)은 막대 형태의 지지본체(142)와, 지지본체(142)의 하단이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부(146)와, 지지본체(142)의 상단이 제2작업프레임(11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브라켓(146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브라켓(1461)은 단면이 'ㄷ'자 형태인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461)은 폭 방향 및 전후 방향 일측으로 개구되어 브라켓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상기 설치브라켓(1461)의 상단에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설치볼트결합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461)은 상기 브라켓홈이 제2작업프레임(118)의 하부플랜지에 삽입되고, 설치브라켓(1461)의 설치볼트결합공으로 설치볼트(1463)가 체결되어 제2작업프레임(118)을 가압하며 고정 결합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461)의 하부에는 하향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판상인 브라켓설치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설치부는 요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설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142)의 상단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142)의 상단은 마주하여 구비되는 브라켓설치부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설치부와 지지본체(142)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설치핀(1462)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50은 사다리를 도시한 것으로, 지면(G)에서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으로 올라가는 부분과, 제1작업지지프레임(117)에서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으로 올라가는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설치될 수 있다.
100: 터널 작업용 대차 110: 메인프레임부
120: 작업패널 130: 휠
140-1: 제1조작수단 140-2: 제2조작수단
150: 사다리 160: 프레임결합부재
180-1: 볼트 180-3: 너트
190: 제1결합수단 200: 제2결합수단

Claims (6)

  1. 폭 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메인프레임부(110)와, 상기 메인프레임부(110)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작업패널(12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휠(130)과, 폭 방향 양측의 메인프레임부(110)에 결합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프레임결합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111)과, 상기 제1프레임(111)의 상부에 결합되며 폭 방향 내향 연장된 제2프레임(113)과, 상기 제1프레임(111)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 연장된 제1작업지지프레임(115)과,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작업프레임(116)을 포함하며;
    폭 방향 양측의 메인프레임부(110)는 중심부에서 제2프레임(113)이 제1결합수단(190)에 각각 볼트-너트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2프레임(113)은 'H'자 형강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연장된 제2플랜지부(1131)와 제2플랜지부(1131) 사이에서 구비되는 제2연결부(1133)를 포함하고,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프레임(113)의 단부에는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가 더 구비되며;
    제2프레임(113)의 단부의 상기 상하 제2플랜지부(1131)에는 각각 제2상부플랜지결합공(1132)과 제2하부플랜지결합공(1136)이 폭 방향으로 이격되고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고,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에는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37)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수단(190)은 제1 및 제3 결합부재(191, 19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재(191)에는 상부플랜지에 형성된 제2상부플랜지결합공(1132)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제1결합공(1911)이 관통 형성되어 제1결합공(1911)과 제2상부플랜지결합공(1132)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상부플랜지의 상부로 제1결합부재(191)가 적층 결합되고;
    상기 제3결합부재(195)에는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제2하부플랜지결합공(1136)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제3결합공(1951)이 관통 형성되어 제3결합공(1951)과 제2하부플랜지결합공(1136)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하부플랜지의 하부로 제3결합부재(195)가 적층 결합되며;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는 제2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37)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의 하부로 제1작업지지프레임(115)과 제1프레임(111) 사이에는 일측 단부는 제1프레임(111)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의 하부에 고정되어 지지보강프레임(111-5)이 경사 설치되며;
    일측이 제1작업프레임(116)의 노출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향 경사 연장되어 타측은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작수단(140-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조작수단(140-1)은 막대 형태의 지지본체(141)와, 지지본체(141)의 하단이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부(145)와, 지지본체(141)의 상단이 제1작업프레임(1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브라켓(1451)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브라켓(1451)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구비되어 제1작업프레임(116)의 하부플랜지가 삽입되는 브라켓홈(1451a)이 형성되어 제1작업프레임(116)의 하부플랜지가 삽입되고 설치브라켓(1451)의 설치볼트결합공으로 설치볼트(1453)가 체결되어 제1작업프레임(116)이 가압 고정 결합되며, 하부에는 하향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는 요크 형태의 브라켓설치부(1451b)가 더 구비되어 지지본체(141)의 상단이 마주하여 구비되는 브라켓설치부(1451b) 사이로 삽입되고, 브라켓설치부(1451b)와 지지본체(141)의 상단에 형성된 홀을 차례로 관통하는 설치핀(145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190)은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 사이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19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193)의 상하부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의 제1결합부재(191)와 제3결합부재(195)가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부재(19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H'자 형강으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며 연장된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와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인 제2결합부재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의 폭 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2프레임연결판재(1138)와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2결합부재연결부(19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에는 폭 방향 양단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제2결합부재플랜지결합공(1936)이 전후 및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결합부재연결부(1933)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폭 방향으로 관통된 제2결합부재연결부결합공(1934)이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제2프레임(113)의 사이에 제2결합부재(193)가 위치하여, 제2결합부재연결부결합공(1934)과 제2프레임연결판재결합공(1137)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되며;
    폭 방향 양측 상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113)의 폭 방향 내측 단부와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의 상부플랜지에 상부로 제1결합부재(191)가 적층되고 제1결합공(1911)과 제2플랜지결합공(1132)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고, 제1결합공(1911)과 제2결합부재플랜지결합공(1936)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상부플랜지의 상부로 제1결합부재(191)가 적층 결합되고;
    폭 방향 양측 하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113)의 폭 방향 내측 단부와 제2결합부재플랜지부(1931)의 하부플랜지에 하부로 제3결합부재(195)가 적층되고, 제3결합공(1951)과 제2플랜지결합공(1132)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고, 제3결합공(1951)과 제2결합부재플랜지결합공(1936)에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하부플랜지의 하부로 제3결합부재(195)가 적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1지지통공(115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작업프레임(116)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제1통공(116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1161) 중 하나와 제1지지통공(1151)에 고정핀(115-3)이 삽입되어; 상기 제1작업프레임(116)은 조절된 삽입 깊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부(110)는 상기 제2프레임(113)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 제3프레임(114)과, 상기 제1프레임(111)에 결합되어 폭 방향 외향 연장되며 제1작업지지프레임(115)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제2작업지지프레임(117)과,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2작업프레임(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
  5. 제4 항에 있어서, 일측이 제2작업프레임(118)의 노출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향 경사 연장되어 타측은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제1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조작수단(140-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업지지프레임(117)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제2지지통공(117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작업프레임(118)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의 제2통공(1181)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공(1181) 중 하나와 제2지지통공(1171)에 고정핀(117-3)이 삽입되어; 상기 제2작업프레임(118)은 조절된 삽입 깊이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대차(100).
KR1020210032736A 2021-03-12 2021-03-12 터널 작업용 대차 KR10228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36A KR102288409B1 (ko) 2021-03-12 2021-03-12 터널 작업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36A KR102288409B1 (ko) 2021-03-12 2021-03-12 터널 작업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409B1 true KR102288409B1 (ko) 2021-08-10

Family

ID=7731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736A KR102288409B1 (ko) 2021-03-12 2021-03-12 터널 작업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4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29A (ko) 2001-10-26 2001-12-07 안경모 다기능 승강 대기소
KR101288370B1 (ko) * 2013-01-24 2013-07-22 (주)대한하이텍건설 터널용 작업대차
KR101844977B1 (ko) * 2016-12-14 2018-04-03 최명철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KR102166828B1 (ko) * 2018-04-03 2020-10-16 (주)의조산업 발판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29A (ko) 2001-10-26 2001-12-07 안경모 다기능 승강 대기소
KR101288370B1 (ko) * 2013-01-24 2013-07-22 (주)대한하이텍건설 터널용 작업대차
KR101844977B1 (ko) * 2016-12-14 2018-04-03 최명철 조립식 비계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용 비계 구조물
KR102166828B1 (ko) * 2018-04-03 2020-10-16 (주)의조산업 발판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4303A (ko) 경사구간 시공이 가능한 터널용 콘크리트 라이닝 거푸집장치
CN101280625B (zh) 无焊接组拼式模板体系
JP2016008406A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CN114396176B (zh) 一种钢梁梁柱连接节点的加固装置及其加固方法
CN111379424A (zh) 一种平面结构滑移施工的抗倾覆装置及方法
KR102288409B1 (ko) 터널 작업용 대차
CN207792414U (zh) 片状式旧楼加装电梯的钢结构井架
KR200283076Y1 (ko) 상부 거푸집 위치조정장치를 구비한 이동식 터널거푸집
CN114856290B (zh) 一种拔除式废旧电杆拆除装置
KR100495730B1 (ko) 터널형 방음벽 설치용 작업장치
CN109630175B (zh) 一种可移动式预应力支撑系统及其使用方法
JP4136959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架設桁」
CN115628066A (zh) 大盾构密闭空间过站始发基座与反力架组合结构及方法
JP2002070313A (ja) トラベリング工法
CN113279393A (zh) 一种预应力型钢支护桩及安装方法
KR20020001480A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222611Y1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JP3351927B2 (ja) エレベータの構造
CN217105635U (zh) 一种建筑工程结构的减震装置
CN220849680U (zh) 一种隧道开挖台车高度调节装置
CN214944312U (zh) 一种钢箱装配式模筑台车
CN220364873U (zh) 一种盖梁钢筋骨架预制胎架
CN216766222U (zh) 一种异型桁架节点
JP3351926B2 (ja) エレベータの構造
CN219316962U (zh) 仰拱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