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891B1 - 케이지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지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891B1
KR102198891B1 KR1020180173636A KR20180173636A KR102198891B1 KR 102198891 B1 KR102198891 B1 KR 102198891B1 KR 1020180173636 A KR1020180173636 A KR 1020180173636A KR 20180173636 A KR20180173636 A KR 20180173636A KR 102198891 B1 KR102198891 B1 KR 102198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rail
unit
fixing pi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748A (ko
Inventor
이범수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8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콘크리트 건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층부를 성형한 거푸집을 상층부로 안전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케이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케이지 승강장치는 구조물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되 레일고정공과 케이지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는 지지슈유닛과, 지지슈유닛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레일고정공과 연통되는 레일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승강레일유닛과, 지지슈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케이지고정공과 연통되는 케이지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케이지유닛과, 케이지유닛에 구비되고 승강레일유닛과 케이지유닛 사이의 상대 운동에 따라 구조물에서 승강레일유닛 또는 케이지유닛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과, 레일고정공과 레일결합홀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슈유닛에 승강레일유닛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공과 케이지결합홀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슈유닛에 케이지유닛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케이지고정핀 및 지지슈유닛에 구비되고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를 구속시키는 핀탈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지 승강장치{CAGE ELEVATOR}
본 발명은 케이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층 콘크리트 건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층부를 성형한 거푸집을 상층부로 안전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케이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일정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成形)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거푸집은 목제로 된 것을 많이 쓰고 있으나, 최근에는 강제(鋼製) 또는 알루미늄제로 이루어진 유로폼이 널리 쓰이고 있다. 유로폼은 목제에 비해 콘크리트 타설 후, 회수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로폼은 고층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하층부를 성형하고 탈형한 후, 상층부를 성형하기 위해 크레인 따위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동되는데, 이같이 반복되는 크레인 작업으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층부를 성형한 유로폼은 크레인에 의해 다시 하층부로 내려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 시 크레인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유로폼이 낙하될 경우, 유로폼의 손상과 함께 작업자의 상해로 이어져 안정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크레인 따위를 이용함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 제약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작업성의 저하에 따라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8359호 (발명의 명칭 : 거푸집 승강장치, 2011. 01. 13.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층 콘크리트 건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층부를 성형한 거푸집을 상층부로 안전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케이지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는 구조물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되,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슈고정편과,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슈고정편에서 돌출되고 레일고정공과 케이지고정공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지지편과, 한 쌍의 지지편 사이에 구비되는 레일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슈유닛; 상기 지지슈유닛의 상기 레일지지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레일고정공과 연통되는 레일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승강레일유닛; 상기 지지슈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케이지고정공과 연통되는 케이지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케이지유닛; 상기 케이지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레일유닛과 상기 케이지유닛 사이의 상대 운동에 따라 상기 구조물에서 상기 승강레일유닛 또는 상기 케이지유닛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레일유닛과 상기 케이지유닛 사이의 상대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서 상기 케이지유닛이 승강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레일결합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지지슈유닛에 상기 승강레일유닛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레일고정핀; 상기 승강레일유닛과 상기 케이지유닛 사이의 상대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서 상기 승강레일유닛이 승강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지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결합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지지슈유닛에 상기 케이지유닛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케이지고정핀; 및 상기 지지슈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를 구속시키는 핀탈착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레일유닛에는, 승강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케이지유닛에 설치되는 장착브라켓; 상기 승강레일유닛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버팀롤러; 상기 승강랙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레일버팀롤러에서 이격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웜휠기어; 상기 구동웜휠기어에서 이격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웜기어; 상기 구동웜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웜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웜휠기어에 전달하되,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달로드와, 상기 구동웜휠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전달로드에 나선 형태의 기어치가 구비되는 제1전달웜기어와, 상기 구동웜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전달로드와 동축으로 회전되는 제1전달웜휠기어를 포함하는 제1전달부재; 및 상기 제1전달부재에서 이격되어 상기 구동웜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웜휠기어에 전달하되, 상기 제1전달로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달로드와, 상기 구동웜휠기어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2전달로드에 나선 형태의 기어치가 구비되는 제2전달웜기어와, 상기 구동웜기어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2전달로드와 동축으로 회전되는 제2전달웜휠기어를 포함하는 제2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웜기어에는, 플랜지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에는, 상기 플랜지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지지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핀탈착유닛은, 상기 레일고정핀 또는 상기 케이지고정핀의 끼움 결합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되는 두 피벗바가 상기 지지슈유닛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을 폐쇄하고,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의 끼움 결합에 따라 두 피벗바가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와 걸림 결합되는 제1탈착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탈착유닛은, 상기 지지슈유닛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일측으로 제1-1편심부가 편심 돌출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1편심부와 원점 대칭을 이루어 타측으로 제1-2편심부가 편심 돌출되는 제1피벗바; 상기 제1피벗바의 피벗 운동량을 제한하는 제1피벗제한부; 상기 제1-1편심부와 상기 제1-2편심부가 각각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1피벗바를 탄성 가압하는 제1피벗탄성부; 상기 제1피벗바와 중첩되도록 상기 지지슈유닛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제1-1편심부와 마주보도록 타측으로 제2-1편심부가 편심 돌출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2-1편심부가 원점 대칭을 이루어 일측으로 제2-2편심부가 편심 돌출되는 제2피벗바; 상기 제2피벗바의 피벗 운동량을 제한하는 제2피벗제한부; 및 상기 제2-1편심부와 상기 제2-2편심부가 각각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2피벗바를 탄성 가압하는 제2피벗탄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1편심부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1-1삽입경사부;가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1-2편심부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 중 다른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1-2삽입경사부;가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제2-1편심부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2-1삽입경사부;가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2편심부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 중 다른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2-2삽입경사부;가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1삽입경사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1-2삽입경사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피벗바가 피벗 운동되고,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1삽입경사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2-2삽입경사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2피벗바가 피벗 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1편심부에서 상기 제1피벗바의 일단부 타측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구속홈과의 걸림 결합을 위한 제1-1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2편심부에서 상기 제1피벗바의 타단부 일측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구속홈과의 걸림 결합을 위한 제1-2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1편심부에서 상기 제2피벗바의 일단부 일측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구속홈과의 걸림 결합을 위한 제2-1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2편심부에서 상기 제2피벗바의 타단부 타측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의 삽입 지지를 위한 제2-2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 따르면, 고층 콘크리트 건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층부를 성형한 거푸집을 상층부로 안전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수단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정지 상태에서 승강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사이의 백래시를 방지하고, 승강레일유닛 또는 케이지유닛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지유닛이 밸런스조인트로 연결되므로, 케이지유닛의 승강 이동시 좌우 수평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웜기어의 결합 구조를 통해 구동웜기어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구동웜기어가 장착브라켓에서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탈착유닛을 통해 지지슈유닛에서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이 모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슈유닛에서 다양한 형태로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탈착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피벗바와 제2피벗바 사이의 연계 동작으로 지지슈유닛에서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걸림 결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탈착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고정핀을 레일고정공과 케이지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더라도 케이지고정핀을 레일고정공과 케이지고정공 중 다른 하나에 삽입할 수 있고,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 사이의 결합 위치 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경사부들을 통해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의 끼움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끼움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는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의 끼움 결합을 제한하여 지지슈유닛에서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이 임의로 탈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홈부들을 통해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의 걸림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걸림 결합을 위한 접촉 부위를 확장시켜 임의로 걸림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승강수단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승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핀탈착유닛 중 제1핀탈착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핀탈착유닛 중 제1핀탈착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핀탈착유닛 중 제1핀탈착유닛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핀탈착유닛 중 제1핀탈착유닛의 제1피벗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핀탈착유닛 중 제1핀탈착유닛의 제2피벗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에서 레일고정핀과 케이지고정핀 사이의 교체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는 지지슈유닛(10)과, 승강레일유닛(20)과, 케이지유닛(40)과, 승강수단(30)과,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과, 핀탈착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슈유닛(10)은 구조물(C)에 높이 방향으로 둘 이상이 이격 설치된다. 또한, 지지슈유닛(10)은 구조물(C)의 수평 방향으로 둘 이상이 이격 설치된다. 여기서, 구조물(C)은 하층부와 상층부를 구획하는 슬라브(S)와 상호 인접한 슬라브(S)를 연결하여 구조물(C)의 외벽을 형성하는 벽체(W)로 구분할 수 있다.
지지슈유닛(10)은 구조물(C)에 고정되는 슈고정편(11)과,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슈고정편(11)에서 돌출되는 슈지지편과, 한 쌍의 슈지지편(12) 사이에 구비되는 레일지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슈고정편(11)은 지지앵커(13)를 매개로 구조물(C)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슈지지편(12)에는 레일고정핀(50a)의 끼움 결합을 위한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을 위한 케이지고정공(122)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고정공(121)은 구조물(C) 측으로 편심 설치되고, 케이지고정공(122)은 케이지유닛(40) 측으로 편심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고정공(121)은 케이지유닛(40) 측으로 편심 설치되고, 케이지고정공(122)은 구조물(C) 측으로 편심 설치될 수 있다.
슈지지편(12)에는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관하기 위한 핀보관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지지부(14)는 승강레일유닛(20) 중 후면레일(21)의 후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슈지지편(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롤러(151)를 포함하고, 승강레일유닛(20) 중 후면레일(21)의 전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제1지지롤러(151)에서 이격되어 슈지지편(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롤러(152)와, 승강레일유닛(20) 중 연결레일(23)의 측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제1지지롤러(151)에서 이격되어 슈지지편(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지지롤러(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레일유닛(20)은 지지슈유닛(10)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승강레일유닛(20)은 구조물(C)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슈유닛(10)에 대응하여 둘 이상이 상호 이격 배치된다. 승강레일유닛(20)은 지지슈유닛(10)의 레일지지부(14)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승강레일유닛(20)은 구조물(C)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둘 이상의 지지슈유닛(10)에 구비된 레일지지부(14)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승강레일유닛(20)은 H 형상 또는 I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기설정된 길이로 길게 형성된다. 승강레일유닛(20)의 길이는 구조물(C)의 2층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지만,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승강레일유닛(20)은 한 쌍의 슈지지편(12) 사이를 통과하면서 구조물(C) 측에 배치되는 후면레일(21)과, 후면레일(21)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케이지유닛 측에 배치되는 전면레일(22)과, 후면레일(21)과 전면레일(22)을 연결하는 연결레일(23)과, 전면레일(22)의 전방에서 구조물(C)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승강랙기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면레일(21)의 후면은 제1지지롤러(151)에 지지되고, 후면레일(21)의 전면은 제2지지롤러(152)에 지지되며, 연결레일(23)의 양측면은 각각 제3지지롤러(153)에 지지된다.
승강레일유닛(20) 중 연결레일(23)에는 레일고정공(121)과 연통되는 레일결합홀(231)이 관통 형성된다. 레일결합홀(231)은 다수 개가 구조물(C)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한다.
승강레일유닛(20)은 하단부에 구비되고 승강랙기어(24)를 따라 이동되는 케이지유닛(40)이 걸림 지지되는 브레이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유닛(40)은 지지슈유닛(1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지유닛(40)은 승강수단(30)을 매개로 승강레일유닛(2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케이지유닛(40)에는 하층부의 거푸집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지유닛(40)은 하층부의 거푸집이 수용되는 제1케이지(41)를 포함하고, 제1케이지(4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층부와 연결되는 제2케이지(42)와, 제1케이지(41)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층부의 하층과 연결되는 제3케이지(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지(42)에서는 상층부의 작업을 위한 안전휀스 역할을 수행하고, 제3케이지(43)에서는 하층부의 하층 작업을 위한 작업발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케이지유닛(40)에는 승강 이동에 따라 지지슈유닛(10)과 중첩되는 결합브라켓(44)이 돌출 형성된다. 케이지유닛(40)에서 결합브라켓(44)에는 케이지고정공(122)과 연통되는 케이지결합홀(441)이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브라켓(44)은 한 쌍의 슈지지편(12) 사이로 통과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브라켓(44)은 지지슈유닛(10)의 외측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지유닛(40)은 구조물(C)의 수평 방향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는 수평프레임과, 구조물(C)의 높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어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발판을 더 포함하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수평 밸런스를 조절하도록 연결하는 밸런스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런스조인트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강수단(30)에 의해 케이지유닛(40)이 승강 이동될 때,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수평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케이지유닛(40)에는 결합브라켓(44)에서 이격되고, 승강레일유닛(20)의 전면레일(22)에 구름 이동 가능한 아이들롤러(4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이들롤러(45)는 전면레일(22)의 전면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케이지유닛(40)이 승강레일유닛(20)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레일유닛(20)과 케이지유닛(40)의 수직프레임이 실질적으로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대 운동을 통한 승강레일유닛(20)과 케이지유닛(40) 중 어느 하나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레일유닛(20)과 케이지유닛(40) 중 다른 하나의 간섭을 방지하므로, 승강레일유닛(20)과 케이지유닛(40) 사이의 상대 운동에 따른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승강수단(30)은 케이지유닛(40)에 구비된다. 승강수단(30)은 승강레일유닛(20)과 케이지유닛(40) 사이의 상대 운동에 따라 구조물(C)에서 승강레일유닛(20) 또는 케이지유닛(40)을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승강수단(30)은 케이지유닛(40)에 설치되는 장착브라켓(31)과, 승강레일유닛(20)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버팀롤러(32)와, 승강랙기어(24)와 치합되도록 레일버팀롤러(32)에서 이격되어 장착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33)와, 피니언기어(33)와 동축으로 결합되도록 장착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웜휠기어(34)와, 구동웜휠기어(34)에서 이격되어 장착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웜기어(37)와, 구동웜기어(37)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8)와, 구동웜휠기어(34)의 일측에서 구동웜기어(37)의 회전력을 구동웜휠기어(34)에 전달하는 제1전달부재(35)와, 제1전달부재(35)에서 이격되어 구동웜휠기어(34)의 타측에서 구동웜기어(37)의 회전력을 구동웜휠기어(34)에 전달하는 제2전달부재(36)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브라켓(31)에는 제1전달부재(35)와 제2전달부재(3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달기어지지부(311)가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장착브라켓(31)에는 구동웜기어(37)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웜기어지지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버팀롤러(32)는 승강레일유닛(20)의 전면레일(22) 후면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레일버팀롤러(32)는 구조물(C)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레일유닛(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장착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피니언기어(33)와 구동웜휠기어(34)는 연동축(33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구동웜휠기어(34)의 회전력으로 피니언기어(33)가 회전되도록 한다. 피니언기어(33)와 구동웜휠기어(34)는 장착브라켓(31)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어 제1전달부재(35)와 제2전달부재(36)가 피니언기어(33)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33)와 장착브라켓(31) 사이, 구동웜휠기어(34)와 장착브라켓(31) 사이에는 연동부시(332)가 구비되어 피니언기어(33)와 구동웜휠기어(34)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고, 연동축(33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전달부재(35)는 양단부가 각각 장착브라켓(31)에 구비된 전달기어지지부(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달로드(351)와, 구동웜휠기어(34)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제1전달로드(351)에 나선 형태의 기어치가 구비되는 제1전달웜기어(352)와, 구동웜기어(37)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제1전달로드(351)와 동축으로 회전되는 제1전달웜휠기어(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달부재(36)는 제1전달로드(351)에서 이격되어 양단부가 각각 장착브라켓(31)에 구비된 전달기어지지부(3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달로드(361)와, 구동웜휠기어(34)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제2전달로드(351)에 나선 형태의 기어치가 구비되는 제2전달웜기어(362)와, 구동웜기어(37)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제2전달로드(361)와 동축으로 회전되는 제2전달웜휠기어(3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호 이격된 제1전달웜기어(352)와 제2전달웜기어(362) 사이에는 구동웜휠기어(34)가 배치되므로, 구동웜휠기어(34)의 양측에 각각 제1전달웜기어(352)와 제2전달웜기어(362)가 치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호 이격된 제1전달웜휠기어(353)와 제2전달웜휠기어(363) 사이에는 구동웜기어(37)가 배치되므로, 구동웜기어(37)의 양측에 각각 제1전달웜휠기어(353)와 제2전달웜휠기어(363)가 치합되도록 한다.
구동웜기어(37)에는 나선 형태의 기어치가 구비된다. 구동웜기어(37)는 장착브라켓(31)를 통과하도록 하고, 구동웜기어(37)의 단부에는 플랜지날개(371)가 돌출되어 장착브라켓(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플랜지날개(371)는 웜기어지지부(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면, 추력에 의해 구동웜기어(37)가 축 방향으로 전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수단(30)은 구동웜기어(37)와 구동모터(38) 사이에서 구동모터(38)의 회전축 방향을 구동웜기어(37)의 축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3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수단(30)은 구동모터(38)를 장착브라켓(3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모터브라켓(3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38)와 모터브라켓(382) 사이에는 방지패드(383)를 삽입하여 구동모터(38)와 모터브라켓(382) 사이에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레일고정핀(50a)은 상호 연통되는 레일고정공(121)과 레일결합홀(231)에 끼움 결합된다. 레일고정핀(50a)은 지지슈유닛(10)에 승강레일유닛(2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레일고정핀(50a)에 의해 지지슈유닛(10)에 승강레일유닛(20)이 고정되는 경우, 승강레일유닛(20)과 케이지유닛(40) 사이의 상대 운동에 대응하여 승강수단(30)에 의해 케이지유닛(40)은 구조물(C)에서 승강 이동될 수 있다. 레일고정핀(50a)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레일핀파지부(51)와, 레일핀파지부(51)에서 연장되어 상호 연통되는 레일고정공(121)과 레일결합홀(231)을 통과하는 레일핀로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고정핀(50b)은 상호 연통되는 케이지고정공(122)과 케이지결합홀(441)에 끼움 결합된다. 케이지고정핀(50b)은 지지슈유닛(10)에 케이지유닛(4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킨다. 케이지고정핀(50b)에 의해 지지슈유닛(10)에 케이지유닛(40)이 고정되는 경우, 승강레일유닛(20)과 케이지유닛(40) 사이의 상대 운동에 대응하여 승강수단(30)에 의해 승강레일유닛(20)은 구조물(C)에서 승강 이동될 수 있다. 케이지고정핀(50b)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케이지핀파지부(53)와, 케이지핀파지부(53)에서 연장되어 상호 연통되는 케이지고정공(122)과 케이지결합홀(441)을 통과하는 케이지핀로드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고정핀(50a)의 레일핀로드부(52)와 케이지고정핀(50b)의 케이지핀로드부(54) 중 어느 하나에는 핀탈착유닛(100) 중 제1탈착유닛(60)의 제1피벗바(61)에 구비된 제1-1편심부(611)와 제2피벗바(64)에 구비된 제2-1편심부(641)가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제1구속홈(521)이 링 형태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고정핀(50a)의 레일핀로드부(52)와 케이지고정핀(50b)의 케이지핀로드부(54) 중 다른 하나에는 핀탈착유닛(100) 중 제1탈착유닛(60)의 제1피벗바(61)에 구비된 제1-2편심부(614)가 걸림 결합되는 제2구속홈(541)이 링 형태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고정핀(50a)의 레일핀로드부(52)와 케이지고정핀(50b)의 케이지핀로드부(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탄성돌부(5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돌부(523)는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고, 외력에 의해 단부에서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레일고정핀(50a)을 이용하여 지지슈유닛(10)에 승강레일유닛(20)이 고정되는 경우, 승강수단(30)은 승강레일유닛(20)에서 케이지유닛(40)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지고정핀(50b)을 이용하여 지지슈유닛(10)에 케이지유닛(40)이 고정되는 경우, 승강수단(30)은 지지슈유닛(10)에서 승강레일유닛(20)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핀탈착유닛(100)은 지지슈유닛(10)에 구비된다. 핀탈착유닛(100)은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어느 하나를 구속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핀탈착유닛(100)은 제1탈착유닛(60)을 포함한다.
제1탈착유닛(60)은 레일고정핀(50a) 또는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되는 두 피벗바(61, 64)가 지지슈유닛(1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을 폐쇄한다.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어느 하나의 끼움 결합에 따라 제1탈착유닛(60)의 두 피벗바(61, 64)가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어느 하나와 걸림 결합되므로, 지지슈유닛(10)에서 승강레일유닛(20) 또는 케이지유닛(4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탈착유닛(60)은 제1피벗바(61)와, 제1피벗제한부(62)와, 제1피벗탄성부(63)와, 제2피벗바(64)와, 제2피벗제한부(65)와, 제2피벗탄성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벗바(61)는 지지슈유닛(10)의 슈지지편(12)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피벗바(61)는 제1피벗축(601)을 매개로 지지슈유닛(10)의 슈지지편(12)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피벗바(61)는 제1피벗탄성부(63)에 의해 탄성 가압되므로, 초기 상태에서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을 폐쇄한다. 제1피벗바(61)의 일단부에는 일측으로 제1-1편심부(611)가 편심 돌출되고, 제1피벗바(61)의 타단부에는 제1-1편심부(611)와 원점 대칭을 이루어 타측으로 제1-2편심부(614)가 편심 돌출된다.
그러면, 제1피벗바(61)의 일단부에서 일측에는 제1-1편심부(611)가 돌출되고, 제1피벗바(61)의 일단부에서 타측에는 마주보는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어느 하나가 연통된다. 또한, 제1피벗바(61)의 타단부에서 타측에는 제1-2편심부(614)가 돌출되고, 제1피벗바(61)의 타단부에서 일측에는 마주보는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다른 하나가 연통된다.
제1-1편심부(611)에는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어느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어느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1-1삽입경사부(612)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1-1편심부(611)에는 레일고정핀(50a) 또는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 방향을 따라 제1-1삽입경사부(612)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1-1삽입경사부(612)는 레일고정핀(50a) 또는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제1피벗바(61)의 일단부 일측에서 제1피벗바(61)의 일단부 타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제1-1편심부(611)에서 제1피벗바(61)의 일단부 타측에는 레일고정핀(50a)의 레일핀로드부(52)와 케이지고정핀(50b)의 케이지핀로드부(5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구속홈(521)과의 걸림 결합을 위한 제1-1걸림홈부(61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2편심부(614)에는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다른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다른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1-2삽입경사부(614)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1-2편심부(614)에는 레일고정핀(50a) 또는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 방향을 따라 제1-2삽입경사부(614)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1-2삽입경사부(614)는 레일고정핀(50a) 또는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제1피벗바(61)의 타단부 타측에서 제1피벗바(61)의 타단부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제1-2편심부(614)에서 제1피벗바(61)의 타단부 일측에는 레일고정핀(50a)의 레일핀로드부(52)와 케이지고정핀(50b)의 케이지핀로드부(54)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구속홈(541)과의 걸림 결합을 위한 제1-2걸림홈부(616)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어느 하나가 레일고정공(121) 또는 케이지고정공(122)을 통과할 때, 제1-1삽입경사부(612)를 가압하거나,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다른 하나가 제1-2삽입경사부(614)를 가압함에 따라 제1피벗바(61)가 피벗 운동된다.
제1피벗제한부(62)는 제1피벗바(61)의 피벗 운동량을 제한한다. 제1피벗제한부(62)는 지지슈유닛(10)의 슈지지편(12)에 결합되어 제1피벗바(61)의 피벗 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피벗제한부(62)는 제1피벗축(6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슈유닛(10) 중 일측의 슈지지편(12)에 결합된다. 제1피벗제한부(62)에는 제1피벗바(61)의 제1-1편심부(611)와 제1-2편심부(614)가 각각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을 폐쇄한 상태로 걸림 지지되도록 제1피벗축(601)에서 편심되어 제1바고정돌부(6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바고정돌부(621)는 제1피벗축(601)에서 편심되어 지지슈유닛(10) 중 일측의 슈지지편(12)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피벗탄성부(63)는 제1-1편심부(611)와 제1-2편심부(614)가 각각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을 폐쇄하도록 제1피벗바(61)를 탄성 가압한다. 제1피벗탄성부(63)는 제1피벗축(601)에서 편심되어 제1피벗제한부(62)로부터 제1피벗바(61)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피벗탄성부(63)는 제1피벗축(601)에 권취된 상태에서 지지슈유닛(10) 중 일측의 슈지지편(12)으로부터 제1피벗바(61)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제2피벗바(64)는 제1피벗바(61)와 중첩된다. 제2피벗바(64)는 지지슈유닛(10)의 슈지지편(12) 또는 제1피벗제한부(62)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피벗바(64)는 제2피벗축(602)을 매개로 지지슈유닛(10)의 슈지지편(12) 또는 제1피벗제한부(62)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피벗바(64)는 제2피벗탄성부(66)에 의해 탄성 가압되므로, 초기 상태에서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을 폐쇄한다. 제2피벗바(64)의 일단부에는 제1-1편심부(611)와 마주보도록 타측으로 제2-1편심부(641)가 편심 돌출되고, 제2피벗바(64)의 타단부에는 제2-1편심부(641)와 원점 대칭을 이루어 일측으로 제2-2편심부(644)가 편심 돌출된다. 그러면, 제2피벗바(64)의 일단부에서 타측에는 제2-1편심부(641)가 돌출되고, 제2피벗바(64)의 일단부에서 일측에는 마주보는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어느 하나가 연통된다. 또한, 제2피벗바(64)의 타단부에서 일측에는 제2-2편심부(644)가 돌출되고, 제2피벗바(64)의 타단부에서 타측에는 마주보는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다른 하나가 연통된다.
제2-1편심부(641)에는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어느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어느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2-1삽입경사부(642)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2-1편심부(641)에는 레일고정핀(50a) 또는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 방향을 따라 제2-1삽입경사부(642)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2-1삽입경사부(642)는 레일고정핀(50a) 또는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제2피벗바(64)의 일단부 타측에서 제2피벗바(64)의 일단부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제2-1편심부(641)에서 제2피벗바(64)의 일단부 일측에는 레일고정핀(50a)의 레일핀로드부(52)와 케이지고정핀(50b)의 케이지핀로드부(5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구속홈(521)과의 걸림 결합을 위한 제2-1걸림홈부(64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2편심부(644)에는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다른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다른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2-2삽입경사부(644)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2-2편심부(644)에는 레일고정핀(50a) 또는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 방향을 따라 제2-2삽입경사부(644)가 경사지게 구비된다. 제2-2삽입경사부(644)는 레일고정핀(50a) 또는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제2피벗바(64)의 타단부 일측에서 제2피벗바(64)의 타단부 타측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제2-2편심부(644)에서 제2피벗바(64)의 타단부 타측에는 레일고정공(121) 또는 케이지고정공(122)을 통과하는 레일고정핀(50a)의 레일핀로드부(52)와 케이지고정핀(50b)의 케이지핀로드부(54) 중 다른 하나의 지지를 위한 제2-2걸림홈부(646)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어느 하나가 레일고정공(121) 또는 케이지고정공(122)을 통과할 때, 제2-1삽입경사부(642)를 가압하거나,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다른 하나가 제2-2삽입경사부(644)를 가압함에 따라 제2피벗바(64)가 피벗 운동된다.
제2피벗제한부(65)는 제2피벗바(64)의 피벗 운동량을 제한한다. 제2피벗제한부(65)는 지지슈유닛(10)의 슈지지편(12) 또는 제1피벗제한부(62)에 결합되어 제2피벗바(64)의 피벗 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피벗제한부(65)는 제2피벗축(602)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슈유닛(10) 중 타측의 슈지지편(12)에 결합된다. 제2피벗제한부(65)에는 제2피벗바(64)의 제2-1편심부(641)와 제2-2편심부(644)가 각각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을 폐쇄한 상태로 걸림 지지되도록 제2피벗축(602)에서 편심되어 제2바고정돌부(6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바고정돌부(651)는 제2피벗축(602)에서 편심되어 지지슈유닛(10) 중 타측의 슈지지편(12) 또는 제1피벗제한부(62)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피벗탄성부(66)는 제2-1편심부(641)와 제2-2편심부(644)가 각각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을 폐쇄하도록 제2피벗바(64)를 탄성 가압한다. 제2피벗탄성부(66)는 제2피벗축(602)에서 편심되어 제2피벗제한부(65)로부터 제2피벗바(64)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피벗탄성부(66)는 제2피벗축(602)에 권취된 상태에서 지지슈유닛(10) 중 타측의 슈지지편(12) 또는 제1피벗제한부(62)로부터 제2피벗바(64)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고정공(121)에는 제1-1편심부(611)와 제2-1편심부(641)가 노출되고, 케이지고정공(122)에는 제1-2편심부(614)와 제2-2편심부(644)가 노출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레일고정공(121)에는 레일고정핀(50a)이 삽입되고, 케이지고정공(122)에는 케이지고정핀(50b)을 삽입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지지슈유닛(10)에서 제1피벗바(61)와 제2피벗바(64)의 배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레일고정공(121)에 케이지고정핀(50b)을 삽입하고, 케이지고정공(122)에 레일고정핀(50a)을 삽입할 수 있다.
<지지슈유닛(10)과 승강레일유닛(20)의 결합>
지지슈유닛(10)에서 승강레일유닛(20)을 정위치시키면, 레일결합홀(231) 중 하나가 레일고정공(121)과 연통된다. 그러면, 레일고정핀(50a)은 레일고정공(121)과 레일결합홀(231)을 통과하면서 제1피벗바(61)를 피벗 운동시키고, 다음으로 제2피벗바(64)를 피벗 운동시키므로, 지지슈유닛(10)에 승강레일유닛(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레일고정핀(50a)을 인출하는 경우, 제2-1편심부(641)가 제1구속홈(521)에 걸림 지지되므로, 레일고정핀(50a)을 인출하지 못한다.
<지지슈유닛(10)과 케이지유닛(40)의 결합>
지지슈유닛(10)에서 케이지유닛(40)을 정위치시키면, 케이지결합홀(441)이 케이지고정공(122)과 연통된다. 그러면, 케이지고정핀(50b)은 케이지고정공(122)과 케이지결합홀(441)을 통과하면서 제1피벗바(61)를 피벗 운동시키고, 다음으로 제2피벗바(64)를 피벗 운동시키므로, 지지슈유닛(10)에 케이지유닛(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케이지고정핀(50b)을 인출하는 경우, 제1-2편심부(614)가 제2구속홈(541)에 걸림 지지되므로, 케이지고정핀(50b)을 인출하지 못한다.
<레일고정핀(50a)에서 케이지고정핀(50b)으로의 교체>
레일고정핀(50a)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슈유닛(10)에 케이지유닛(40)이 정위치되면, 케이지결합홀(441)과 케이지고정공(122)이 연통되고, 케이지고정핀(50b)은 케이지고정공(122)과 케이지결합홀(441)을 통과하면서 제1피벗바(61)를 피벗 운동시키고, 다음으로 제2피벗바(64)를 피벗 운동시키므로, 지지슈유닛(10)에 케이지유닛(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케이지고정핀(50b)을 통한 제2피벗바(64)의 피벗 운동에 따라 제2-1편심부(641)와 제1구속홈(521)의 걸림 지지가 해제되므로, 레일고정핀(50a)을 인출하면, 제1-1편심부(611)와 제1구속홈(521)이 걸림 지지된다. 다음으로, 케이지고정핀(50b)을 추가 삽입하면, 제1-2편심부(614)와 제2구속홈(541)의 걸림 지지가 해제되면서 제1-1편심부(611)와 제1구속홈(521)의 걸림 지지가 해제되므로, 레일고정핀(50a)은 레일고정공(121)과 레일결합홀(231)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지고정핀(50b)을 인출하는 경우, 제1-2편심부(614)가 제2구속홈(541)에 걸림 지지되므로, 케이지고정핀(50b)을 인출하지 못한다.
<케이지고정핀(50b)으로부터 레일고정핀(50a)으로의 교체>
케이지고정핀(50b)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슈유닛(10)에 승강레일유닛(20)이 정위치되면, 레일결합홀(231) 중 하나와 레일고정공(121)이 연통되고, 레일고정핀(50a)은 레일고정공(121)과 레일결합홀(231)을 통과하면서 제1피벗바(61)를 피벗 운동시키고, 다음으로 제2피벗바(64)를 피벗 운동시키므로, 지지슈유닛(10)에 승강레일유닛(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레일고정핀(50a)은 제1피벗바(61)를 피벗 운동시키므로, 제1-2편심부(614)와 제2구속홈(541)의 걸림 지지가 해제되므로, 케이지고정핀(50b)은 케이지고정공(122)과 케이지결합홀(441)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고정핀(50a)을 인출하는 경우, 제2피벗바(64)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므로, 제2-1편심부(641)와 제1구속홈(521)이 걸림 지지되어 레일고정핀(50a)을 인출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사이의 교체 작업에 따르면,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을 각각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에 모두 삽입할 수 있으나,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에 모두 삽입된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을 순차적으로 인출하는 경우,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어느 하나는 인출하지 못한다.
상술한 케이지 승강장치에 따르면, 고층 콘크리트 건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층부를 성형한 거푸집을 상층부로 안전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수단(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정지 상태에서 승강랙기어(24)와 피니언기어(33) 사이의 백래시를 방지하고, 승강레일유닛(20) 또는 케이지유닛(4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지유닛(40)이 밸런스조인트로 연결되므로, 케이지유닛(40)의 승강 이동시 좌우 수평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웜기어(37)의 결합 구조를 통해 구동웜기어(37)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구동웜기어(37)가 장착브라켓(31)에서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핀탈착유닛(100)을 통해 지지슈유닛(10)에서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이 모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슈유닛(10)에서 다양한 형태로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탈착유닛(6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1피벗바(61)와 제2피벗바(64) 사이의 연계 동작으로 지지슈유닛(10)에서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중 어느 하나의 걸림 결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탈착유닛(6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고정핀(50a)을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더라도 케이지고정핀(50b)을 레일고정공(121)과 케이지고정공(122) 중 다른 하나에 삽입할 수 있고,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 사이의 결합 위치 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삽입경사부들(612, 615, 622, 625)을 통해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끼움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에서는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의 끼움 결합을 제한하여 지지슈유닛(10)에서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이 임의로 탈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홈부들(613, 616, 623, 626)을 통해 레일고정핀(50a)과 케이지고정핀(50b)의 걸림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걸림 결합을 위한 접촉 부위를 확장시켜 임의로 걸림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C: 구조물 W: 벽체 S: 슬라브
10: 지지슈유닛 101: 핀보관부 11: 슈고정편
12: 슈지지편 121: 레일고정공 122: 케이지고정공
13: 지지앵커 14: 레일지지부 151: 제1지지롤러
152: 제2지지롤러 153: 제3지지롤러 20: 승강레일유닛
21: 후면레일 22: 전면레일 23: 연결레일
231: 레일결합홀 24: 승강랙기어 25: 브레이크
30: 승강수단 31: 장착브라켓 311: 전달기어지지부
312: 웜기어지지부 32: 레일버팀롤러 33: 피니언기어
331: 연동축 332: 연동부시 34: 구동웜휠기어
35: 제1전달부재 351: 제1전달로드 352: 제1전달웜기어
353: 제1전달웜휠기어 36: 제2전달부재 361: 제2전달로드
362: 제2전달웜기어 363: 제2전달웜휠기어 37: 구동웜기어
371: 플랜지날개 38: 구동모터 381: 방향전환부
382: 장착브라켓 383: 방진패드 40: 케이지유닛
41: 제1케이지 42: 제2케이지 43: 제3케이지
44: 결합브라켓 441: 케이지결합홀 45: 아이들롤러
50a: 레일고정핀 51: 레일핀파지부 52: 레일핀로드부
521: 제1구속홈 522: 제1레버걸림홈 523: 탄성돌부
527: 연동돌부 528: 가이드돌부 50b: 케이지고정핀
53: 케이지핀파지부 54: 케이지핀로드부 541: 제2구속홈
542: 제2레버걸림홈 60: 제1탈착유닛 601: 제1피벗축
602: 제2피벗축 61: 제1피벗바 611: 제1-1편심부
612: 제1-1삽입경사부 613: 제1-1걸림홈부 614: 제1-2편심부
615: 제1-2삽입경사부 616: 제1-2걸림홈부 62: 제1피벗제한부
621: 제1바고정돌부 63: 제1피벗탄성부 64: 제2피벗바
641: 제2-1편심부 642: 제2-1삽입경사부 643: 제2-1걸림홈부
644: 제2-2편심부 645: 제2-2삽입경사부 646: 제2-2걸림홈부
65: 제2피벗제한부 651: 제2바고정돌부 66: 제2피벗탄성부

Claims (7)

  1. 구조물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되,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슈고정편과,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슈고정편에서 돌출되고 레일고정공과 케이지고정공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지지편과, 한 쌍의 지지편 사이에 구비되는 레일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슈유닛;
    상기 지지슈유닛의 상기 레일지지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레일고정공과 연통되는 레일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승강레일유닛;
    상기 지지슈유닛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케이지고정공과 연통되는 케이지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케이지유닛;
    상기 케이지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레일유닛과 상기 케이지유닛 사이의 상대 운동에 따라 상기 구조물에서 상기 승강레일유닛 또는 상기 케이지유닛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레일유닛과 상기 케이지유닛 사이의 상대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서 상기 케이지유닛이 승강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레일결합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지지슈유닛에 상기 승강레일유닛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레일고정핀;
    상기 승강레일유닛과 상기 케이지유닛 사이의 상대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구조물에서 상기 승강레일유닛이 승강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지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결합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지지슈유닛에 상기 케이지유닛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케이지고정핀; 및
    상기 지지슈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를 구속시키는 핀탈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핀탈착유닛은, 상기 레일고정핀 또는 상기 케이지고정핀의 끼움 결합 방향을 따라 상호 중첩되는 두 피벗바가 상기 지지슈유닛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을 폐쇄하고,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의 끼움 결합에 따라 두 피벗바가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와 걸림 결합되는 제1탈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레일유닛에는, 승강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케이지유닛에 설치되는 장착브라켓;
    상기 승강레일유닛에서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버팀롤러;
    상기 승강랙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레일버팀롤러에서 이격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동축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웜휠기어;
    상기 구동웜휠기어에서 이격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웜기어;
    상기 구동웜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웜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웜휠기어에 전달하되,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전달로드와, 상기 구동웜휠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전달로드에 나선 형태의 기어치가 구비되는 제1전달웜기어와, 상기 구동웜기어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전달로드와 동축으로 회전되는 제1전달웜휠기어를 포함하는 제1전달부재; 및
    상기 제1전달부재에서 이격되어 상기 구동웜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웜휠기어에 전달하되, 상기 제1전달로드에서 이격되어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전달로드와, 상기 구동웜휠기어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2전달로드에 나선 형태의 기어치가 구비되는 제2전달웜기어와, 상기 구동웜기어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2전달로드와 동축으로 회전되는 제2전달웜휠기어를 포함하는 제2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웜기어에는, 플랜지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에는, 상기 플랜지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승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착유닛은,
    상기 지지슈유닛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일측으로 제1-1편심부가 편심 돌출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1편심부와 원점 대칭을 이루어 타측으로 제1-2편심부가 편심 돌출되는 제1피벗바;
    상기 제1피벗바의 피벗 운동량을 제한하는 제1피벗제한부;
    상기 제1-1편심부와 상기 제1-2편심부가 각각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1피벗바를 탄성 가압하는 제1피벗탄성부;
    상기 제1피벗바와 중첩되도록 상기 지지슈유닛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제1-1편심부와 마주보도록 타측으로 제2-1편심부가 편심 돌출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2-1편심부가 원점 대칭을 이루어 일측으로 제2-2편심부가 편심 돌출되는 제2피벗바;
    상기 제2피벗바의 피벗 운동량을 제한하는 제2피벗제한부; 및
    상기 제2-1편심부와 상기 제2-2편심부가 각각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2피벗바를 탄성 가압하는 제2피벗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승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1편심부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1-1삽입경사부;가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1-2편심부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 중 다른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1-2삽입경사부;가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제2-1편심부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2-1삽입경사부;가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2편심부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의 끼움 결합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레일고정공과 상기 케이지고정공 중 다른 하나에서 노출되는 제2-2삽입경사부;가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1삽입경사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1-2삽입경사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피벗바가 피벗 운동되고,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1삽입경사부를 가압하거나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2-2삽입경사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2피벗바가 피벗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승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1편심부에서 상기 제1피벗바의 일단부 타측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구속홈과의 걸림 결합을 위한 제1-1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1-2편심부에서 상기 제1피벗바의 타단부 일측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제2구속홈과의 걸림 결합을 위한 제1-2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1편심부에서 상기 제2피벗바의 일단부 일측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구속홈과의 걸림 결합을 위한 제2-1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2편심부에서 상기 제2피벗바의 타단부 타측에는, 상기 레일고정핀과 상기 케이지고정핀 중 다른 하나의 삽입 지지를 위한 제2-2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승강장치.
KR1020180173636A 2018-12-31 2018-12-31 케이지 승강장치 KR102198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36A KR102198891B1 (ko) 2018-12-31 2018-12-31 케이지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36A KR102198891B1 (ko) 2018-12-31 2018-12-31 케이지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48A KR20200082748A (ko) 2020-07-08
KR102198891B1 true KR102198891B1 (ko) 2021-01-05

Family

ID=71601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36A KR102198891B1 (ko) 2018-12-31 2018-12-31 케이지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8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865B1 (ko) 2008-06-16 2008-12-19 이송복 건축용 갱폼 인양장치
KR101223614B1 (ko) 2010-07-26 2013-01-17 서갑수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KR101254501B1 (ko) 2010-06-23 2013-04-12 주식회사 근하기공 안전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359B1 (ko) * 2008-06-30 2011-01-13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승강장치
KR101053798B1 (ko) * 2008-12-31 2011-08-03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자동승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자동승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865B1 (ko) 2008-06-16 2008-12-19 이송복 건축용 갱폼 인양장치
KR101254501B1 (ko) 2010-06-23 2013-04-12 주식회사 근하기공 안전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KR101223614B1 (ko) 2010-07-26 2013-01-17 서갑수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48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352B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상승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01457990B1 (ko) 모빌랙
JP6430569B2 (ja) 乗客コンベア
KR102198891B1 (ko) 케이지 승강장치
DE2404713A1 (de) Mehrstufige kraftfahrzeug-parkvorrichtung
WO1988001672A1 (en) Flooring apparatus of pool or the like
KR102101779B1 (ko)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KR20100096471A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의 하강속도 감속구조
KR102099306B1 (ko)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JP5686282B2 (ja) 足場装置
JP3957484B2 (ja) 先行手摺の支持装置
KR102387167B1 (ko) 갱폼 클라이밍 시스템
KR200463126Y1 (ko) 모터를 이용하여 발판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계단
KR101206931B1 (ko) 거푸집 판넬 리프트
JP4467476B2 (ja) 床用目地装置
KR101934753B1 (ko) 갱폼 인양장치
DE2521622A1 (de) Kletterschalung
CN109203219A (zh) 一种箱梁内模自动纵移装置
JP7100899B2 (ja) セントルにおける天フォームの移動装置
JP2019042159A (ja) 避難装置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2272103B1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DE2512521A1 (de) Fahrbares regalfoerderzeug
CN214995992U (zh) 一种便于快速拆装的建筑横梁施工用合金模板
CN211396529U (zh) 建筑工程施工用可快拆的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