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306B1 -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 Google Patents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306B1
KR102099306B1 KR1020190103249A KR20190103249A KR102099306B1 KR 102099306 B1 KR102099306 B1 KR 102099306B1 KR 1020190103249 A KR1020190103249 A KR 1020190103249A KR 20190103249 A KR20190103249 A KR 20190103249A KR 102099306 B1 KR102099306 B1 KR 10209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ay
outer support
ladd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영
장영균
Original Assignee
장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균 filed Critical 장영균
Priority to KR102019010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06B1/ko
Priority to PCT/KR2020/010611 priority patent/WO2021033984A1/ko
Priority to CN202010848090.5A priority patent/CN112412323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6T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06C1/08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 E06C1/12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multi-part extensible, e.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having tip-up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2Connections between rungs or treads and longitudinal members
    • E06C7/083Bracket type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4Holders for pails or other equipment on or for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 지지부의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외측 지지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보조 지지부; 회전 공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측 지지부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외측 지지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수평 발판;을 포함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는, 작업자가 발로 딛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작업 물품이나 공구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LADDER WITH ADJUSTABLE TRAY HEIGHT}
본 발명은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지면보다 높은 위치 상에서 장시간 동안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작업의 편의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사람이 높은 곳이나 낮은 곳을 오르내릴때 발로 디딜 수 있도록 만든 기구로서 작업용 사다리와 통행용 사다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사다리는 통상적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형 지지대와, 이 한 쌍의 수직형 지지대 사이에서 상하로 일정 간격을 가진 채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평 발판을 크게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작업용 사다리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작업용 사다리는, 한 쌍의 제1지지대(10) 사이에 다수개의 수평 발판(20)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용 사다리는 통행용 사다리와는 다르게 지면 상에서 제1지지대(10)가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룬 채 배치될 수 있도록 제1지지대(1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또 다른 제2지지대(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지지대(20)와 제2지지대(30) 상단에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돕는 작업 발판(40)이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작업용 사다리는, 제1지지대(10)와 제2지지대(30) 사이의 간격 변경으로 인하여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하지만, 작업용 사다리의 최고 높이는 제1지지대(10)의 전체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제2지지대(30)는, 작업용 사다리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목적보다는, 제1지지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작업용 사다리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작업용 사다리는, 제1지지대(1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없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는 작업용 사다리를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하거나, 필요 이상의 높이를 가지는 작업용 사다리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작업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지지대를 제1지지대(10) 상에 조립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사다리 분해 및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켜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대의 길이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사다리를 개발하였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7014호에는 "전동 드라이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사다리"가 게시되어 있다.
이 자동 사다리는, 제1지지대를 내/외측 지지대로 구성하고, 그 중 내측 지지대가 전동 드라이버와 같은 전동 공구나 보조 핸들과 같은 수동 공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외측 지지대 상에서 출몰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1지지대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자동 사다리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발로 딛는 작업 발판이 내측 지지대의 상단에 마련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 수행중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문제점이 있다.
즉, 제1지지대의 길이를 늘이기 위하여 외측 지지대 상에서 내측 지지대를 인출 시키면, 작업 발판도 내측 지지대와 함께 상승되어 결국 사다리의 최상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다리의 최상단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쉽게 무게중심을 잃고 사다리에서 떨어지거나, 작업자의 하중이나 움직임에 의해 사다리가 균형을 잃고 쓰러질 우려가 있다.
특히, 외측 지지대는 지면 상에서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진 채로 배치되어도 제2지지대에 의해 지지를 받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되어 작업자가 외측 지지대 상에서 작업을 수행을 하면 위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줄어드나, 내측 지지대의 경우에는 별도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를 받는 구조가 아닐 뿐더러 작업자가 균형을 잃었을 때 오로지 작업 발판에만 의존하여 몸을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항상 노출된다.
또한, 작업자가 중량이 큰 작업 물품이나 공구 등을 들고 내측 지지대를 오르 내리기가 어려워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더욱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물품이나 공구를 사다리에 오른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별도의 작업인력이 요구되어 인건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가 한 손으로 작업물 또는 공구를 들고 나머지 한 손으로는 외측 지지대 또는 내측 지지대를 잡고 오르내리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에 큰 문제가 있고, 작업 능률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작업용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작업에 필요한 물품이나 공구가 수납된 공구함을 별도로 가지고 다닌다.
특히, 작업의 위치에 따라서, 작업용 사다리와 공구함을 적당한 위치로 옮겨야 하는바,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공구함을 작업 공간에 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공구함과 작업용 사다리를 동시에 위치시킬 수 없는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용 사다리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을 우선적으로 확보하기 때문에 공구함을 작업 공간이 아닌 별도의 장소에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공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작업 공간과 공구함이 배치된 장소를 빈번하게 이동해야 하며, 이에 따라, 작업이 힘이 들고 작업 능률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구함이 마련된 작업용 사다리가 개발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공구함이 마련된 작업용 사다리는, 다단의 수납장 형태를 가지는 공구함이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메인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의 상단에 마련된 연결 프레임에 장착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부피만 증가시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공구함이 마련된 작업용 사다리는, 많은 양의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그 전체적인 부피가 커진 관계로 인하여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보관을 위한 공간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측 지지대에서 인출된 내측 지지대 상에서도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지지대 상에서 내측 지지대가 인출되었을 때, 작업에 필요한 각종 공구나 부재들이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이 내측 지지대 상에 마련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내측 지지대에서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공구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받침대와 트레이가 외측 지지대 상에서 인출되고, 반대로, 회전 공구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받침대와 트레이가 외측 지지대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공구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도 제공할 수 있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를 접었을 때, 공구가 수납되는 공구함이 외측 지지부 또는 보조 지지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를 서로 벌렸을 때, 공구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 지지부의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외측 지지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보조 지지부; 회전 공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측 지지부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외측 지지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수평 발판;을 포함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는, 작업자가 발로 딛거나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작업 물품이나 공구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내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측 지지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 상에서 인출되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측 지지대가 상기 외측 지지대의 내부로 삽입되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 또는 상기 내측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측 지지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 상단은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기어박스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를 서로 일정간격 이격 시킨 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편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측면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단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보조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외측 지지부 상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외측 지지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측 지지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기어박스의 윗면에 길이방향 타측 저부가 접촉되어 회전된 후 상기 보조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ㄷ'자 형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일측 내면에 저면이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수평 발판은,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지지부에는 안전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트레이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상에 배치되되, 상기 내측 지지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외측 지지부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길이방향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보조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채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며, 작업 물품이나 공구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구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함은, 상기 보조 지지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와의 간격이 최대로 벌려지면,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의 공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조 지지부가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와 간격이 최대로 좁혀지면,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의 공간 내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 또는 상기 외측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함의 측면과 상기 제2링크의 일면은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함은, 상기 보조 지지부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와의 간격이 최대로 벌려지면,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의 공간 내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편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함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이격된 거리 또는 상기 보조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함의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공구함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는, 작업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및 작업 물품 또는 공구가 놓여질 수 있는 트레이가 외측 지지부에서 인출되는 내측 지지부 상에 마련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작업자에게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는, 외측 지지부 상에서 트레이가 노출될 정도로 내측 지지부를 상승 시킨 후, 작업에 필요한 물품이나 공구를 트레이에 미리 수납후 다시 내측 지지부를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작업자가 무거운 물품이나 공구를 들고 외측 지지부 또는 내측 지지부를 오르내릴 필요가 없도록 하며, 이에 따른, 작업의 안정성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는, 작업 물품이나 각종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구함이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작업자가 별도로 공구함을 들고 다니지 않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는,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가 서로 접혀졌을 때 공구함이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구성을 가지므로, 협소한 보관장소에서도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는,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가 펼쳐졌을 때, 공구함이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수평외력으로부터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의 간격이 의도치 않게 좁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받침대 상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다리의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가 서로 벌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내측 지지부가 외측 지지부 상에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내측 지지부가 외측 지지부를 향해 하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가 트레이에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다리에 공구함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가 일정 각도로 벌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외측 지지부와 보조 지지부가 최대로 벌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작업용 사다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100)는, 외측 지지부(110); 상기 외측 지지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 지지부(110)의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 지지부(120); 상기 외측 지지부(1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외측 지지부(110)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보조 지지부(130); 회전 공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측 지지부(12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구동부(140); 및 상기 외측 지지부(110)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수평 발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외측 지지부(110)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1)은 'ㄷ'자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11)은, 후술할 내측 지지부(120)가 수용되거나 이송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3개의 내면이 협력하여 형성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일측은 개방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프레임(111)은 그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는 일측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지지부(1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평 발판(150)이 마련된다. 이 수평 발판(150)은 작업자가 발로 밟고 외측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르내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수평 발판(150)은, 한 쌍의 제1프레임(111)에 그 길이방향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제1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평 발판(150)은, 후술할, 상기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과 받침대(122) 및 트레이(123)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프레임()의 외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지지부(120)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프레임(1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1)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되며,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부(120)는, 작업자가 발로 딛거나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부(122); 및 상기 받침부(122)의 상부에 배치되며, 작업 물품이나 공구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22)는, 허니콤 보드와 같이, 가벼우면서도 작업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장방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받침부(122)는, 약 130kg 이상의 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지하고, 성인 남성의 평균 발 사이즈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22)의 윗면에는 작업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부재가 마련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마찰돌기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1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20)보다 높은 위치 상에 배치되며, 작업에 필요한 공구나 물품 등이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123)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20kg~50kg의 작업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23)는 그 윗면에 놓여진 작업 물품이나 공구가 떨어지지 않도록 이탈방지 프레임이 둘레면에 형성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23)는, 받침대(122)를 발로 딛은 작업자가 손으로 작업 물품이나 공구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받침대(122)보다 높은 위치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내측 지지부(1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121)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길이방향 일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이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 상에서 인출되면, 자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받침대(122)와 트레이(123)를 제2프레임(12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은 공지의 판 스프링(미도시)과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받침부(122)와 트레이(123)가 외측 지지부(110)의 상부로 노출되면 자연스럽게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에 마련된 회전 지지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이 회전 지지편의 일단은 제2프레임(121)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은 받침부(122) 또는 트레이(123)의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회전 지지편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이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으로 삽입되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외측 지지부(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이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외측 지지부(110)의 한 쌍의 제1프레임(111)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프레임(111)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수용된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제1프레임(111)의 일측 내면에 저면이 접촉됨에 따라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11)의 일측 내면이 받침부(122)와 트레이(123)가 한 쌍의 제1프레임(111)이 형성하는 이격 공간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프레임(111)이 형성하는 'ㄷ'자의 공간에 제2프레임(121)이 수용되면, 받침부(122)와 트레이(123)의 폭방향 단부도 일부 삽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한 쌍의 제1프레임(111)이 형성하는 이격 공간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것이 제1프레임(111)의 일측 내면에 의해 차단되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내측 지지부(120)에는 안전 손잡이(12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안전 손잡이(124)는, 트레이(134)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내측 지지부(1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121)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손잡이(124)는, 수평 발판(150) 또는 받침대(122)를 발로 딛고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균형을 잃었을 때,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손잡이(124)는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에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으로 수용되면 제1프레임(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러한 안전 손잡이(124)를 파지하여 외측 지지부(110) 상에서 내측 지지부(120)를 끌어올리거나, 또는, 외측 지지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내측 지지부(120)를 삽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회전 공구가 구비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안전 손잡이(124)를 이용하여 내측 지지부(120)를 외측 지지부(110) 상에서 인출하거나 외측 지지부(11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부(13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3프레임(131)으로 구성되며,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외측 지지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3프레임(131)의 상단은 상기 구동부(140)를 구성하는 기어박스(14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지지부(130)의 제3프레임(131)과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은 연결편(132)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편(132)은, 보조 지지부(130)와 외측 지지부(110)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편(132)의 길이방향 일단은 기어박스(141)의 측면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제1프레임(111)의 상단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편(132)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회전 공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박스(141)의 동력전달축 또는 공지의 기어가 노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 상단에는 받침부(122)와 트레이(123)가 경유할 수 있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 상단과 보조 지지부(130)의 제3프레임(131) 상단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을 경유하여 외측 지지부(110) 상에서 인출되거나 외측 지지부(110)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이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기어박스(141)의 윗면에 길이방향 타측 저부가 접촉되어 회전되며, 이와 같이 회전된 상태에서 회전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 상단과 보조 지지부(130)의 제3프레임(131) 상단이 서로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공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과 받침부(122) 및 트레이(123)를 외측 지지부(110) 상에서 상승시키거나 또는, 외측 지지부(110)를 향해 하강시키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40)의 세부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767014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서는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된다.
한편, 상기 회전 공구는, 동력전달축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공지의 회전레버나, 또는, 동력전달축의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드라이버 비트가 장착된 전동 드라이버인 것이 바람직하며, 신속하게 내측 지지부(120)를 상승 시키거나 하강 시키는 측면에서는 전동 드라이버로 구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100)의 작동과정이 예를 들어 설명된다.
먼저, 작업자는, 보조 지지부(130)의 제3프레임(131)을 회전시켜 외측 지지부(110)와의 간격을 벌릴 수 있다. 그러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지지부(110)가 경사진 지면 상에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편(132)으로 노출된 동력전달축의 단부에 전동 드라이버를 삽입하고, 전동 드라이버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작동시킨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 상에서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이 상승되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122)와 트레이(123)는 그 자중에 의해 일방향으로 선회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작업자는 외측 지지부(110) 상에서 노출되어 수평상태로 회전된 트레이(123)에 미리 작업 물품이나 공구를 적재하고 다시 내측 지지부(120)를 외측 지지부(110) 상에서 전동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더 상승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트레이(123)가 리프트 역할도 수행하게 되어 작업자가 별도로 무거운 작업 물품이나 공구를 손에 들고 외측 지지부(110)를 오를 필요가 없다.
외측 지지부(110) 상에서 내측 지지부(120)가 완전히 인출되면 작업자는 수평 발판 (150)과 받침부(122)를 발로 딛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연결편(132)으로 노출된 동력전달축의 단부에 전동 드라이버를 삽입하고, 전동 드라이버가 타방향으로 회전되게 작동시킨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부(120)의 제2프레임(121)이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 내측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122)와 트레이(123)는, 그 길이방향 타측 저면이 기어박스(141)의 윗면과 접촉됨에 따라서 타방향으로 회전된 뒤 한 쌍의 제1프레임(111)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부(130)를 외측 지지부(110)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사다리의 전체적인 크기가 보관하게 용이한 형태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협소한 공간에도 사다리를 안치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전 손잡이(134)가 내측 지지부(120)를 구성하는 제2프레임(121)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손잡이(134)는 트레이(133)와 연결될 수 있으며, 트레이(133)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도 있다. 이때, 안전 손잡이(134)와 연결된 트레이(133)는, 외측 지지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기 위하여 회전되는 과정이 작업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측 지지부(110)의 외부로 노출된 트레이(133)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기 위한 과정도 작업자의 의해 인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10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 사이에 마련되는 공구함(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구함(160)은, 작업에 필요한 물품이나 공구 등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장방향의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구함(160)은, 외측 지지부(110)를 구성하는 제1프레임(111)에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L1)와, 상기 제1링크(L1)의 길이방향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보조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제3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L2)에 연결된 채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L1)는, 외측 지지부(1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프레임(111)이 서로 마주하는 면 상에 그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링크(L2)의 길이방향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L2)의 길이방향 일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링크(L1)의 길이방향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더불어, 상기 공구함(160)의 외측면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링크(L2)의 길이방향 타단은 보조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121)이 서로 마주하는 면 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공구함(1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부(130)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외측 지지부(110)와의 간격이 최대로 벌려지면,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 사이의 공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링크(L1)의 길이방향 타단은,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링크(L2)의 길이방향 일단은 보조 지지부(130)의 제2프레임(1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L1)와 제2링크(L2)는 서로 연결된 직선의 형태를 가진 채로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 사이의 공간에서 수평 배치되어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의 간격을 유지하고, 더불어, 의도치 않게 보조 지지부(130)가 외측 지지부(110) 상으로 회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의 간격이 최대로 벌려졌을 때, 제1링크(L1)와 제2링크(L2)가 그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외력으로부터 간격이 변경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측면에서는, 공구함(160)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제2링크(L2)의 일면이 공구함(160)의 외측면과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측 지지부(110) 또는 보조 지지부(130)로 의도치 않게 전달되는 수평방향 외력에 의해 제1링크(L1) 또는 제2링크(L2)를 회동시키려는 힘이 공구함(160)의 자중에 의해 상쇄될 수 있도록 제2링크(L2)의 일면과 공구함(160)의 외측면을 서로 면접촉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공구함(160)을 포함한 각종 물품 및 공구의 자중이 제2링크(L2)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의도치 않은 수평방향 외력에 의해 제1링크(L1) 및 제2링크(L2)가 회동되어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구함(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부(130)가 타방향으로 회동되어 외측 지지부(110)와의 간격이 최대로 좁혀지면,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 사이의 공간 내에서 보조 지지부(130) 또는 외측 지지부(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채 보조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3프레임(131)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1링크(L1)의 길이방향 타단은, 외측 지지부(110)의 제1프레임(111)과 근접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링크(L2)의 길이방향 일단은 보조 지지부(130)의 제3프레임(131)과 근접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L1)는 제1프레임(11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2링크(L2)는 제2프레임(12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작업자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형태로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가 서로 접혀질 수 있다.
특히,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가 서로 접혀졌을 때, 공구함(16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조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3프레임(131) 사이의 공간에 공간에 마련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협소한 보관 장소에서 사다리(100)를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공구함(160)의 폭방향 길이는, 외측 지지부(1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프레임(111)이 서로 이격된 거리 또는 보조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3프레임(131)이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가 접혀졌을 때 공구함(160)이 한 쌍의 제1프레임(111) 사이의 이격공간과 한 쌍의 제3프레임(131)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수용되려면 그 폭방향 길이를 당연히 짧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구함(1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지지부(130)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외측 지지부(110)와의 간격이 최대로 벌려지면,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 사이의 공간 내에서 보조 지지부(130)가 배치된 방향으로 편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가 펼쳐져 공구함(16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그 길이방향 타측부는 보조 지지부(130)를 구성하는 제3프레임(13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공구함(160)을 보조 지지부(130)가 배치된 방향으로 편중되게 배치하는 이유는,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의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즉, 받침대(122)를 발로 딛고 작업하는 작업자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 지지부(130) 측의 하중을 증가시켜 외측 지지부(110)의 하중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공구함(160)은,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가 서로 접혀졌을 때, 한 쌍의 제3프레임(1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기 때문에 이 공간에 배치된 공구함(160)에 의하여 한 쌍의 제2프레임(121) 사이에는 보강 프레임과 같은 부재가 마련될 수 없다. 따라서, 외측 지지부(110)와 보조 지지부(130)가 펼쳐졌을 때 상대적으로 보조 지지부(130)의 하중이 외측 지지부(110)의 하중보다 작아 작업자가 받침대(122)에서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구함(160)을 보조 지지부(130)가 배치된 방향으로 편중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구함(160)에 형성된 개구부는 별도의 커버(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 커버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공구함(1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구함(160)의 개방된 부위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사다리 110 : 외측 지지부
111 : 제1프레임 120 : 내측 지지부
121 : 제2프레임 122 : 받침부
123 : 트레이 124 : 안전 손잡이
130 : 보조 지지부 131 : 제3프레임
132 : 연결편 140 : 구동부
141 : 기어박스 150 : 수평 발판
160 : 공구함

Claims (18)

  1. 외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부에서 상기 외측 지지부의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외측 지지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보조 지지부; 회전 공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내측 지지부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외측 지지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수평 발판;을 포함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는,
    작업자가 발로 딛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작업 물품이나 공구가 놓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측 지지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 상에서 인출되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내측 지지대가 상기 외측 지지대의 내부로 삽입되면,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 또는 상기 내측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내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측 지지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 상단은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기어박스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를 서로 일정간격 이격 시킨 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편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기어박스의 측면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상단 측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보조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외측 지지부 상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외측 지지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내측 지지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기어박스의 윗면에 접촉되어 회전된 후 상기 보조 지지부와 상기 외측 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ㄷ'자 형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는,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일측 내면에 저면이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수평 발판은, 상기 받침부와 상기 트레이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외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부에는 안전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트레이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상에 배치되되, 상기 내측 지지부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외측 지지부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길이방향 타단에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보조 지지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2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채 상기 제2링크와 연결되며, 작업 물품이나 공구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구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은,
    상기 보조 지지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와의 간격이 최대로 벌려지면,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의 공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보조 지지부가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와 간격이 최대로 좁혀지면,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의 공간 내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 또는 상기 외측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의 측면과 상기 제2링크의 일면은 서로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은,
    상기 보조 지지부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외측 지지부와의 간격이 최대로 벌려지면, 상기 외측 지지부와 상기 보조 지지부 사이의 공간 내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편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의 폭방향 길이는 상기 외측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이격된 거리 또는 상기 보조 지지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이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의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공구함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KR1020190103249A 2019-08-22 2019-08-22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KR102099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249A KR102099306B1 (ko) 2019-08-22 2019-08-22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PCT/KR2020/010611 WO2021033984A1 (ko) 2019-08-22 2020-08-11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CN202010848090.5A CN112412323B (zh) 2019-08-22 2020-08-21 可调节托盘高度的梯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249A KR102099306B1 (ko) 2019-08-22 2019-08-22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306B1 true KR102099306B1 (ko) 2020-04-09

Family

ID=7027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249A KR102099306B1 (ko) 2019-08-22 2019-08-22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99306B1 (ko)
CN (1) CN112412323B (ko)
WO (1) WO20210339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84A1 (ko) * 2019-08-22 2021-02-25 장영균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WO2022140508A1 (en) * 2020-12-22 2022-06-30 Tricam Industries, Inc. Deep ladder tr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9363A (zh) * 2022-09-26 2022-12-02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箱梯结合可调高的工作梯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4954B2 (ja) * 2008-11-27 2014-09-24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可搬式作業台
KR101767014B1 (ko) * 2016-11-02 2017-08-09 서동영 전동 드라이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사다리
JP3215487U (ja) * 2017-12-11 2018-03-22 陳宛毓 伸縮組立体及び折り畳み伸縮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121Y1 (ko) * 1996-12-20 1999-06-15 김진보 공구받침대가 부설된 사다리
WO2008041156A2 (en) * 2006-10-06 2008-04-10 Harold Bremner Sharp A-framed step ladder with slidably displaceable extension member
CN204311964U (zh) * 2014-11-24 2015-05-06 傅能志 多功能防滑折叠梯
CN109838203A (zh) * 2017-11-25 2019-06-04 余姚市瑞德工具有限公司 一种工具盒可升降的工作梯
KR102099306B1 (ko) * 2019-08-22 2020-04-09 장영균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4954B2 (ja) * 2008-11-27 2014-09-24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可搬式作業台
KR101767014B1 (ko) * 2016-11-02 2017-08-09 서동영 전동 드라이버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사다리
JP3215487U (ja) * 2017-12-11 2018-03-22 陳宛毓 伸縮組立体及び折り畳み伸縮組立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84A1 (ko) * 2019-08-22 2021-02-25 장영균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WO2022140508A1 (en) * 2020-12-22 2022-06-30 Tricam Industries, Inc. Deep ladder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12323A (zh) 2021-02-26
WO2021033984A1 (ko) 2021-02-25
CN112412323B (zh)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306B1 (ko) 트레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
US3490558A (en) Stepladder scaffold apparatus with elevating working platform
US5584357A (en) Ladder
US5180131A (en) Spring loaded jack stand
US4415063A (en) Stilt device
US20170312909A1 (en) Sawhorse
JP2009084901A (ja) 昇降作業台装置
EP3988251A1 (en) Storage system
WO2015161349A1 (en) A device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sheet material
KR20200048121A (ko) 수직 승강식 작업대
AU2020200957B2 (en) Work platform and method
KR20100078235A (ko) 고소용 작업대
US20110214274A1 (en) Door installation apparatus
US20050039984A1 (en) Scaffold lift system
US20040140409A1 (en) Combination step/toolbox platform, A.K.A. The yeti step.
KR20210003452A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JP5694750B2 (ja) 作業台及び作業台用ブリッジ足場板
EP2507445B1 (en) Scaffold tray
KR102266031B1 (ko) 공구함이 구비된 사다리
US2148090A (en) Standardized shop equipment
KR20150085879A (ko) 안전 사다리
KR102101165B1 (ko) 사다리와 결합하는 조립용 이송장치
JP5519320B2 (ja) 手摺付作業台
KR20210015011A (ko) 사다리
KR102358213B1 (ko) 수동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