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219B1 -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 Google Patents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219B1
KR102294219B1 KR1020190152585A KR20190152585A KR102294219B1 KR 102294219 B1 KR102294219 B1 KR 102294219B1 KR 1020190152585 A KR1020190152585 A KR 1020190152585A KR 20190152585 A KR20190152585 A KR 20190152585A KR 102294219 B1 KR102294219 B1 KR 10229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teel plate
guide rail
guid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914A (ko
Inventor
홍건호
이종국
박홍근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해강산업주식회사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해강산업주식회사,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2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거푸집이 확실히 지지되어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고, 거푸집 인양 시에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는 서로 이격 배치된 코너 강판, 상기 코너 강판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코너 강판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맞닿아 회전하는 롤러를 갖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AUTOMATIC CONCRETE FORM LIF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ND AUTOMATIC CONCRETE FORM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또는 빌딩과 같은 각종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그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벽을 포함하여 각 층을 구획하는 콘크리트 바닥과 각 층의 내부에 다수 개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대들보 및 내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일정한 규격을 가지는 거푸집을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에 맞는 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철근과 함께 타설 시공하여 양생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각 거푸집의 사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충분히 양생시킨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뜯어내어 재사용하게 되는데,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 옹벽으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하고 이를 상부층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재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분리, 이동 및 재설치 과정에서 공사기간의 소요 및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매우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대와 거푸집을 일체로 형성시킨 갱폼을 제작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갱폼을 인양시키면서 콘크리트 벽에 대한 타설 및 마감작업을 순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거푸집은 타이볼트에 의하여 다른 거푸집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결합되며, 앵커볼트에 의하여 양생된 하부층 콘크리트 외벽에 지지된다.
그러나 하부층 콘크리트 벽체에 앵커를 설치하여 거푸집의 지지점으로 사용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양생조건과 강도발현이 안될 때, 앵커가 떨어져 나가면서 추락 및 안전사고가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상부벽체의 양호한 시공을 위해서는 지지점으로 사용하는 선시공된 콘크리트 벽체의 수직도와 같은 시공품질에 따라 정밀한 계측 및 모니터링 기술이 요구되며 공사기간 및 시공 정밀도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을 인양할 때 거푸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와이어와 윈치를 이용하거나 유압 잭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인양하므로 거푸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647977호(2006.11.13)
본 발명은 대형거푸집이 확실히 지지되어 추락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고, 거푸집 인양 시에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는 서로 이격 배치된 코너 강판, 상기 코너 강판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코너 강판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맞닿아 회전하는 롤러를 갖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은 지지판과 지지판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빔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 빔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 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지지 빔의 웹을 끼움하는 2개의 베이스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암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막대와, 상기 지지 막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암부와 제2 암부,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에 결합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지지 막대에 고정된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링크는 L자 형상으로 굴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 링크의 단부에 롤러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암부의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제2 암부의 상기 제2 링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굴곡될 때, 상기 제1 암부에 설치된 상기 롤러와 상기 제2 암부에 설치된 상기 롤러 사이에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 강판은 내측 강판과 외측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강관과 상기 외측 강판은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되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은 코너 강판을 설치하는 코너 강판 설치 단계, 상기 코너 강판에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고정부재 설치 단계, 상기 코너 강판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는 가이드 레일 설치 단계, 거푸집을 콘크리트 벽체에서 탈거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승시키는 거푸집 인양 단계, 인양된 거푸집을 상기 코너 강판에 밀착시키는 거푸집 이동 단계, 및 상기 거푸집 사이 및 상기 코너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 인양 단계는 상기 거푸집에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거푸집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을 인양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 빔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 암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암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막대와, 상기 지지 막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되 회전 가능한 링크들을 포함하는 제1 암부와 제2 암부,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에 결합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 인양 단계는 상기 지지 막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 막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 회전 단계, 상기 제1 암부와 제2 암부의 링크들을 회전하여 상기 롤러들 사이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끼움하는 롤러 결합 단계, 상기 롤러들이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맞닿아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을 상승시키는 가이딩 상승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 이동 단계는 상기 지지 막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 막대가 상기 거푸집의 면과 평행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롤러를 갖는 가이드부재가 가이드 레일과 결합된 상태에서 거푸집이 인양되므로 거푸집을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가 회전 가능한 부분들을 포함하므로 거푸집이 내측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부재의 방해를 받지 않고 코너 강판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코너 강판이 설치되고 코너 강판에 가이드 레일이 고정되므로 하부층 콘크리트의 양생 불량으로 거푸집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이 코너 강판의 수직도와 일치되게 설치되므로 벽체의 수직도를 보다 용이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코너 강판에 가이드 레일이 고정 되므로 거푸집의 양생을 기다리지 않고 상부에 코너 강판을 설치한 상태에서 거푸집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가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가 코너 강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실린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가이드부재가 거푸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가이드부재가 회전하여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c는 가이드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거푸집이 코너 강판에 밀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c는 거푸집이 인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가 상승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100)는 코너 강판(10), 가이드 레일(30), 거푸집(20), 가이드부재(80), 이송 실린더(70), 고정부재(40), 인양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코너 강판(10)은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콘크리트 벽체(51)의 폭방향 양쪽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코너 강판(10)은 서로 이격 배치된 외측 강판(12)과 내측 강판(14)을 포함하며,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외측 강판(12)과 내측 강판(14)은 콘크리트 벽체(51)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데, 외측 강판(12)과 내측 강판(14)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외측 강판(12)과 내측 강판(14)에는 전단 스터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에 의하여 외측 강판(12)과 내측 강판(14)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코너 강판(10)은 건물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너 강판(10)은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에도 제거되지 않는다.
코너 강판(10)은 하부의 콘크리트 벽체(51)가 형성된 후에 하부 코너 강판에 접합되어 상부로 이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코너 강판(10)은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하여 하부 코너 강판에 접합될 수 있다.
코너 강판(10)에는 복수의 고정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0)는 코너 강판(10)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코너 강판(10)에 앵커볼트(45)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0)는 코너 강판(10)에 고정된 고정판(41)과 고정판(41)에서 돌출된 2개의 서포팅 리브(42)를 포함하며, 서포팅 리브(42) 사이에 가이드 레일(30)이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고정부재(40)에 의하여 코너 강판(10)에 고정되는데, 가이드 레일(30)에 형성된 후크가 고정부재(40)에 형성된 봉에 걸려져 가이드 레일(30)이 고정부재(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30)은 볼트, 핀 등에 의하여 고정부재(4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하나의 코너 강판(1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30)은 코너 강판(1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0)은 H형강 또는 다양한 형태의 금속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거푸집(20)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패널(21)과 패널(21)의 폭방향으로 이어지며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작업대(23), 작업대(23)를 지지하는 지지 기둥(25)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21)은 평판 또는 곡면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차단 플레이트(211)와 차단 플레이트(211)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복수의 지지 빔(212)과 차단 플레이트(211)의 높이방향으로 이어진 보강 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211)는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원기둥 형상의 건축물에 적용될 경우에는 곡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빔(212)은 차단 플레이트(211)에 고정되며 H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211)에는 복수의 지지 빔(212)이 차단 플레이트(211)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다.
보강 프레임(213)은 지지 빔(212)에 고정되며 외측을 향하는 면이 개방되어 홈을 갖는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21)은 차단 플레이트(211)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보강 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코너 강판(10) 사이의 공간을 가로 막아 콘크리트를 수용한다. 패널(21)은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후에는 외측으로 이동하여 콘크리트 벽체(51)에서 분리되고, 상승한 이후에는 내측으로 이동하여 콘크리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가 코너 강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복수의 작업대(23)가 상하방향의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일 상부에 위치하는 작업대(23)는 패널(21)의 하부에 결합되어 패널(21)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작업대(23)는 지지 기둥(25)을 매개로 상부에 배치된 작업대(23)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대(23)는 발판(231)과, 발판(231)의 하부에 배치된 보강 빔(232)과, 보강 빔(232)의 하부에 고정된 메인 빔(235), 안전바(236)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231)은 사각판으로 이루어지며, 작업자들이 작업하는 공간과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안전바(236)는 발판(231)의 가장자리에서 세워져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작업대(23) 사이에는 이동을 위한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발판(231)에는 이동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빔(232)은 발판(231)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복수의 보강 빔(232)이 발판(231)의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빔(235)은 발판(231)의 폭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복수의 메인 빔(235)은 발판(23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보강 빔(232)과 메인 빔(235)은 H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빔(235)은 고정부재(40)를 매개로 코너 강판(10)에 결합되며 메인 빔(235)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고정부재(40)와의 결합을 위한 커넥터부(238)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238)는 홀이 형성된 2개의 판을 포함하고, 판 사이에 고정부재(40)가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용 막대(46)가 커넥터부(238)와 고정부재(4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중은 발판(231)에서 메인 빔(235)으로 전달되고, 메인 빔(235)의 하중은 고정부재(40)를 매개로 코너 강판(10)에 전달되어 코너 강판(10)이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거푸집이 콘크리트에 고정되면 거푸집이 제대로 고정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수직도에 따라서 거푸집의 수직도가 상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거푸집(20)의 하중을 코너 강판(10)이 지지하므로 거푸집(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수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거푸집(20)에는 거푸집(20)을 상승시키는 인양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인양부재(60)는 이격 배치된 2개의 인양 척(61)과 인양 척(61)을 연결하는 인양 실린더(6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양부재(60)는 작업대(23)들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30)에 결합 설치될 수 있으며
인양 척(61)은 가이드 레일(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에 배치된 인양 척(61)이 고정된 상태에서 인양 실린더(62)가 신장되면서 상부에 배치된 인양 척(61)이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상승하면서 거푸집(20)을 인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양부재는 위치, 타워 크레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실린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일 상부에 위치하는 작업대(23)에는 패널(21)을 이동시키는 이송 실린더(70)가 설치된다. 이송 실린더(70)는 보강 프레임(213)에 경사지게 결합된 제1 실린더(71)와 보강 프레임(213)의 하부에 결합되며 작업대(23)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2 실린더(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실린더(70)는 패널(21)을 밀어서 패널(21)이 코너 강판(1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패널(21)을 당겨서 타설된 콘크리트에서 패널(21)을 이탈 시킬 수 있다.
도 6a는 가이드부재가 거푸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가이드부재가 회전하여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c는 가이드부재가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패널(21)에는 가이드부재(80)가 설치되는데 가이드부재(80)는 지지 빔(2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거푸집(20)의 상승을 안내한다. 거푸집(20)과 가이드 레일(30)은 가이드부재(8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거푸집(20)은 가이드부재(8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부재(80)는 지지 빔(2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부(81)와 베이스부(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암(8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81)는 2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81)에 지지 빔(212)이 끼워져 베이스부(81)가 지지 빔(21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부(81)의 이격된 판 사이에 지지 빔(212)의 웹이 삽입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81)는 볼트에 의하여 지지 빔(212)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암(82)은 베이스부(8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막대(821)와, 지지 막대(821)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암부(822)와 제2 암부(823), 및 제1 암부(822)와 제2 암부(823)에 결합된 롤러(82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막대(821)는 원형 또는 사각 막대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81)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 암부(822)는 지지 막대(821)에서 돌출되되 베이스부(81)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암부(823)는 제1 암부(822)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암부(822)와 제2 암부(823)는 지지 막대(821)를 사이에 두고 일자 형태로 이어질 수 있다. 롤러(825)는 제1 암부(822)와 제2 암부(823)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암부(822)는 지지 막대(821)에 고정된 제1 링크(822a)와 제1 링크(82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링크(822b)를 포함하고, 제2 링크(822b)는 직각으로 굴곡되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롤러(825)는 제2 링크(822b)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암부(823)는 지지 막대(821)에 고정된 제1 링크(823a)와 제1 링크(82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링크(823b)를 포함하고, 제2 링크(823b)는 직각으로 굴곡되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롤러(825)는 제2 링크(823b)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이 코너 강판(10)에 밀착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에는 베이스부(81)가 지지 빔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삽입되고, 지지 막대(821)는 하부로 이어지며 제1 암부(822)와 제2 암부(823)는 지지 막대(82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2 암부(823)는 지지 빔(2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80)가 거푸집(20)보다 더 돌출되지 않으므로 거푸집(20)이 코너 강판(10)에 확실히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이 인양될 때에는 베이스부(81)가 지지 빔(212)의 외측으로 이동된 후 고정되고, 지지 막대(821)가 베이스부(81)에 대하여 회전하여 지지 막대(821)가 가이드 레일(30)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들(822a, 823b)이 가이드 레일(30)을 향하여 회전하여 롤러들(825) 사이에 가이드 레일(3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롤러들(825) 사이에 가이드 레일(30)의 웹이 삽입되며, 롤러들(825)은 가이드 레일(30)의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롤러들(825)이 가이드 레일(30)과 맞닿아 회전하면서 가이드부재(80)가 거푸집(20)의 인양을 안내할 수 있으며, 거푸집(20)이 가이드 레일(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80)는 패널(2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부재(80)는 패널(21)의 상부화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80)는 모터 또는 유압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는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거푸집이 코너 강판에 밀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c는 거푸집이 인양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7a 내지 도 7c,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은 코너 강판 설치 단계(S101), 고정부재 설치 단계(S102), 가이드 레일 설치 단계(S103), 거푸집 인양 단계(S104), 거푸집 이동 단계(S105), 및 콘크리트 타설 단계(S106)를 포함한다.
코너 강판 설치 단계(S101)는 벽체의 가장자리에 2개의 코너 강판(10)을 설치한다. 코너 강판(10)을 구성하는 외측 강판(12)과 내측 강판(14)이 벽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외측 강판(12)과 내측 강판(14)은 각각 하부에 배치된 외측 강판(12)과 내측 강판(14)에 볼트 또는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 설치 단계(S102)는 코너 강판(10)의 외면에 가이드 레일(30)을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부재(40)를 설치한다. 고정부재 설치 단계(S102)에서 복수의 고정부재(40)는 코너 강판(10)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앵커 볼트(45)에 의하여 코너 강판(10)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설치 단계(S103)는 가이드 레일(30)을 각각의 코너 강판(10)에 고정 설치하되 하나의 코너 강판(10)에 하나의 가이드 레일(30)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고정부재를 매개로 코너 강판(10)에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30)은 고정부재(40)에 걸려지거나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거푸집 인양 단계(S104)는 인양부재(60)를 이용하여 하부에 배치된 거푸집(2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거푸집(20)은 벽체의 양쪽에서 상승하며, 2개의 거푸집(20)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데, 외측에 위치하는 거푸집(20)은 외측 강판(12)에 지지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거푸집(20)은 내측 강판(14)에 지지될 수 있다.
거푸집 인양 단계(S104)는 베이스부(81)가 지지 빔(212)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베이스부 이동 단계, 지지 막대(821)가 가이드 레일(30)을 향하도록 지지 막대(821)를 베이스부(81)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 회전 단계, 제1 암부(822)와 제2 암부(823)의 제2 링크들(822b, 823b)을 회전하여 롤러들(825) 사이에 가이드 레일(30)을 끼움하는 롤러 결합 단계, 롤러들(825)이 가이드 레일(30)과 맞닿아 지지된 상태에서 거푸집(20)을 상승시키는 가이딩 상승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푸집(20)의 인양은 인양부재(6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인양부재(60)는 유압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푸집 인양 단계(S104)는 먼저 거푸집(20)을 후퇴시켜서 거푸집(20)과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를 분리한 후에 거푸집(20)을 상승시킨다. 거푸집 인양 단계(S104)는 거푸집(20)에 설치된 가이드부재(80)를 이용하여 거푸집(20)과 가이드 레일(3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거푸집(20)을 인양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80)는 가이드 레일(3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며 거푸집(20)의 인양이 완료된 이후에 거푸집(20)은 고정부재와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30)에 고정된다.
거푸집 이동 단계(S105)는 마주하는 2개의 거푸집(20)의 간격을 감소시켜서 거푸집(20)이 코너 강판(10)에 밀착되도록 한다. 거푸집 이동 단계(S105)는 제2 링크들(822b, 823b)을 회전시켜서 롤러(825)를 가이드 레일(30)에서 이탈시키고, 지지 막대(821)를 베이스부(81)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지지 막대(821)가 거푸집(20)의 면과 평행하도록 배치시킨 후에 거푸집(20)을 이동시킨다. 이 때, 거푸집(20)의 이동은 이송 실린더(7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 단계(S106)는 거푸집(20)과 코너 강판(10)이 맞닿은 상태에서 거푸집(20) 내측과 코너 강판(10) 사이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는 거푸집(20) 사이의 공간과 코너 강판(10)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여 합성 코어 벽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코너 강판(10) 상부로 다시 코너 강판(10)을 설치하여 상기한 단계들을 반복하면서 건물의 높이를 증가시키고 설계된 높이로 건물이 형성되면 단계를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은 가이드부재(80)가 코너 강판(10)에 지지된 상태에서 거푸집(20)을 인양하므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1: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10: 코너 강판
12: 외측 강판
14: 내측 강판
20: 거푸집
21: 패널
211: 차단 플레이트
212: 지지 빔
213: 보강 프레임
23: 작업대
231: 발판
232: 보강 빔
235: 메인 빔
236: 안전바
25: 지지 기둥
30: 가이드 레일
40: 고정부재
51: 콘크리트 벽체
60: 인양부재
61: 인양 척
62: 인양 실린더
70: 이송 실린더
71: 제1 실린더
72: 제2 실린더
80: 가이드부재
81: 베이스부
82: 가이드 암
821: 지지 막대
822: 제1 암부
823: 제2 암부
825: 롤러

Claims (10)

  1. 서로 이격 배치된 코너 강판;
    상기 코너 강판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코너 강판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맞닿아 회전하는 롤러를 갖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지지판과 지지판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빔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 빔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지지 빔의 웹을 끼움하는 2개의 베이스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암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막대와, 상기 지지 막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암부와 제2 암부,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에 결합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지지 막대에 고정된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L자 형상으로 굴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 링크의 단부에 롤러가 결합되며,
    상기 제1 암부의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제2 암부의 상기 제2 링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여 굴곡될 때, 상기 제1 암부에 설치된 상기 롤러와 상기 제2 암부에 설치된 상기 롤러 사이에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강판은 내측 강판과 외측 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강판과 상기 외측 강판은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8. 코너 강판을 설치하는 코너 강판 설치 단계;
    상기 코너 강판에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고정부재 설치 단계;
    상기 코너 강판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는 가이드 레일 설치 단계;
    거푸집을 콘크리트 벽체에서 탈거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승시키는 거푸집 인양 단계;
    인양된 거푸집을 상기 코너 강판에 밀착시키는 거푸집 이동 단계; 및
    상기 거푸집 사이 및 상기 코너 강판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 인양 단계는 상기 거푸집에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거푸집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을 인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폭방향으로 이어진 지지 빔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지지 빔에 설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 암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암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 막대와, 상기 지지 막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되 회전 가능한 링크들을 포함하는 제1 암부와 제2 암부, 상기 제1 암부와 상기 제2 암부에 결합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 인양 단계는 상기 지지 막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 막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가이드 회전 단계, 상기 제1 암부와 제2 암부의 링크들을 회전하여 상기 롤러들 사이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끼움하는 롤러 결합 단계, 상기 롤러들이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맞닿아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을 상승시키는 가이딩 상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이동 단계는 상기 지지 막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 막대가 상기 거푸집의 면과 평행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KR1020190152585A 2019-11-25 2019-11-25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KR10229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585A KR102294219B1 (ko) 2019-11-25 2019-11-25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585A KR102294219B1 (ko) 2019-11-25 2019-11-25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14A KR20210063914A (ko) 2021-06-02
KR102294219B1 true KR102294219B1 (ko) 2021-08-27

Family

ID=7637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585A KR102294219B1 (ko) 2019-11-25 2019-11-25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376B1 (ko) * 2022-02-17 2022-06-16 임진수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285B1 (ko) * 2022-05-10 2024-02-15 고창균 갱폼 인양 가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310B1 (ko) * 2004-06-30 2007-02-15 주식회사 알루폼스코리아 콘크리트 거푸집
KR100647977B1 (ko) 2005-09-15 2006-11-23 페리유한회사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KR100805193B1 (ko) * 2006-06-22 2008-02-21 임정순 거푸집용 아웃코너 연결구
KR101243703B1 (ko) * 2010-01-18 2013-03-14 양준석 케이슨 외부 거푸집 및 케이슨 내부 거푸집을 포함하는 케이슨 제작장치
KR101300911B1 (ko) * 2011-07-07 2013-08-27 김원철 거푸집 시공용 인양 레일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376B1 (ko) * 2022-02-17 2022-06-16 임진수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14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1591B2 (ja) 床版用プレキャストpc板架設装置及びその架設方法
KR102294219B1 (ko)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KR101744345B1 (ko) 외단열 동시 공사용 수직 클라이밍 가설장치
JP2016108875A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KR102305399B1 (ko) 시공 건축물의 높낮이 조절형 리프팅 장치
JP2007092313A (ja) Pc波形鋼板ウエブ箱桁の構築方法
JP4329535B2 (ja)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JP5174354B2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KR101959333B1 (ko) 현장에서 철근조립체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철근조립체를 형성하는 psc 빔 제작방법
KR102027499B1 (ko) 타워 구조물을 이용한 이동 수단이 부가된 슬립 폼 장치 및 수직 구조물 형성 방법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6508959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102096548B1 (ko)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KR101328663B1 (ko) 천정 슬라브의 거푸집패널 해체장치 및 방법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KR20190037847A (ko) 유로폼 리프팅 장치
JP6508958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102129286B1 (ko)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승강장치
CN113175201A (zh) 一种用于电梯井施工的滑升操作平台
KR101345542B1 (ko)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115084A (ja) 作業用足場の吊り上げ装置とその装置を用いた構造物の築造方法
JP4978218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及び据付方法
WO2020261804A1 (ja) ガイドレールの敷設方法及び回転防止治具
KR101306590B1 (ko) 프로파일 안내 걸림 장치
JP2019015150A (ja) 既存構造物の解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