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376B1 -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376B1
KR102410376B1 KR1020220020924A KR20220020924A KR102410376B1 KR 102410376 B1 KR102410376 B1 KR 102410376B1 KR 1020220020924 A KR1020220020924 A KR 1020220020924A KR 20220020924 A KR20220020924 A KR 20220020924A KR 102410376 B1 KR102410376 B1 KR 10241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assembly
base
pair
intermediat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수
Original Assignee
임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수 filed Critical 임진수
Priority to KR102022002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내측에 베이스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조립체,내측에 재1 내측 가이드 레일 및 외측에 제1 외측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쌍의 제1 중간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중간 조립체 및 일측에 롤러 가이드가 형성된 가이드 바로서, 상기 롤러 가이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텐션 롤러 및 상기 한쌍의 텐션 롤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GUIDE APPARATUS AND SETTING METHOD OF MODULE TYPE WORKBENC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에 대한 것이다.
공장이나 건설 현장 등에는 작업자가 직접 높은 곳으로 올라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일들이 있다. 그러나 높은 곳에서의 작업 수행은 작업자에게 매우 위험하다. 작업자가 발을 헛디뎌 낙상하거나, 작업대가 전도되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에 따라 낙하물들이 지상의 보행자에게 피해를 줄 우려도 있다.
다만, 충분히 안정성을 갖춘 작업대의 경우, 그 부피나 중량이 너무 커서 이동이 어렵고 설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장이나 건설 현장에는 공간적인 제약이 있어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작업대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작업대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한 예시로서 한국등록특허 10-1811174 등에 관련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전하게 모듈형 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는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모듈형 작업대를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전하게 모듈형 작업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모듈형 작업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내측에 베이스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조립체,
내측에 재1 내측 가이드 레일 및 외측에 제1 외측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쌍의 제1 중간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중간 조립체 및 일측에 롤러 가이드가 형성된 가이드 바로서, 상기 롤러 가이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텐션 롤러; 및 상기 한쌍의 텐션 롤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중간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결합되고, 상기 텐션 롤러가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외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는 상하 이동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흰지를 포함하는 상단 연결부 및 하단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균형 유지 조립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균형 유지 조립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암, 상기 수평암으로부터 일정 각도 기울여 연장되는 틸팅암 및 상기 수평암과 상기 틸팅암의 일단에 배치되는 수평 조절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틸팅암의 타단은 상기 상단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수평암의 타단은 상기 하단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제2 내측 가이드 레일 및 외측에 제2 외측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쌍의 제2 중간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중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조립체의 상기 제1 내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중간 조립체의 제2 외측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제1 중간 조립체 및 상기 제2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텐션 롤러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텐션 롤러 간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외측 가이드 레일 사이에 단차가 정의되고, 상기 텐션 롤러는 상기 단차를 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은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모듈형 작업대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내측에 베이스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조립체, 내측에 재1 내측 가이드 레일 및 외측에 제1 외측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쌍의 제1 중간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중간 조립체 및
일측에 롤러 가이드가 형성된 가이드 바로서, 상기 롤러 가이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텐션 롤러; 및 상기 한쌍의 텐션 롤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중간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결합되고, 상기 텐션 롤러가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외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는 상하 이동하고, 상기 모듈형 작업대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상부 결합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1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 기둥 및 상기 제1 지지 기둥의 상단에 배치되는 작업판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유닛; 및 제2 바디부, 상기 제2 바디부 상단에 배치되는 제2 상부 결합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2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 기둥을 포함하는 상부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장치의 일측에 상기 상부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바와 상기 상부 유닛의 제2 지지 기둥을 결합시킨 후, 상기 상부 유닛을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을 상기 가이드 장치의 일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유닛을 하강시켜, 상기 제1 상부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결합부를 끼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듈형 작업대는 제3 바디부, 상기 제3 바디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3 상부 결합부, 상기 제3 바디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3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3 지지 기둥 및 상기 제3 지지 기둥의 상단에 배치되는 작업판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베이스 유닛과 상기 상부 유닛이 결합된 결합체를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체를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제2 베이스 유닛을 상기 결합체에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체를 하강시켜 상기 제1 하부 결합부와 상기 제3 상부 결합부를 끼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제2 내측 가이드 레일 및 외측에 제2 외측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쌍의 제2 중간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중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조립체의 상기 제1 내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중간 조립체의 제2 외측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제1 중간 조립체 및 상기 제2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텐션 롤러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텐션 롤러 간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외측 가이드 레일 사이에 단차가 정의되고, 상기 텐션 롤러는 상기 단차를 넘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안전하게 모듈형 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공간적 제한이 있는 곳에서 모듈형 작업대를 효율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이동이 편리하여 작업이 필요한 곳에 손쉽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 및 모듈형 작업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구성(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을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의 "아래"로 기술된 구성은 다른 구성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구성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구성은 시점에 따라 다른 구성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은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는 베이스 조립체(100), 중간 조립체(200) 및 상부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조립체(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각형 형상의 외주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후술하는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단에는 가이드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고정 및/또는 회전식 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주가 사각형 형상인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하나의 바퀴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단에 고정 및/또는 회전식 바퀴가 결합되는 경우,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의 가이드 장치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자세히 하기로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단에는 두 개의 사이드 프레임(120)이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20)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이드 프레임(120)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세로 바(121) 및 두 개의 가로 바(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개의 세로 바(12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가로바(122)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두 개의 가로 바(122)는 두 개의 세로 바(121)의 양단을 이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20)은 전체적으로 액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20)을 액자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무게를 줄여 가이드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20)의 내측에는 베이스 가이드 레일(130)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가이드 레일(130)은 구체적으로 두 개의 세로 바(121)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 가이드 레일(130)은 세로 바(12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중간 조립체(200)의 외측 가이드 레일(230)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조립체(100)의 일면에는 균형 유지 조립체(150)가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면'과 '대향면'을 정의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면'은 가이드 장치의 일면으로서 후술하는 모듈형 작업대와 접촉하는 면을 의미한다. '대향면'은 지지면의 타면으로서, 가이드 장치에서 모듈형 작업대와 접촉하지 않는 면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균형 유지 조립체(150)는 베이스 조립체(100)의 대향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균형 유지 조립체(150)는 베이스 조립체(100)와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균형 유지 조립체(150)는 두 개의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120)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을 위해 베이스 조립체(100)의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120)에는 상단 연결부(124) 및 하단 연결부(1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단 연결부(124)와 하단 연결부(125)는 대향면과 인접한 세로 바(121)로부터 지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균형 유지 조립체(150)는 베이스 조립체(100)와 부분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균형 유지 조립체(150)는 상단 연결부(124) 및 하단 연결부(125)를 잇는 선(세로 바와 나란하게 연장되는)을 축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 연결부(124)와 하단 연결부(125)에는 흰지(hinge)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균형 유지 조립체(150)는 틸팅 암(151)과 수평 암(15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암(152)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평암(15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또는 이와 나란한 평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틸팅 암(151)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틸팅 암(151)은 수평 암(152)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팅 암(151)의 연장 방향과 수평 암(152)의 연장 방향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틸팅 암(151)과 수평 암(152)의 일단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틸팅 암(151)과 수평 암(152)의 일단은 독자적으로 형성된 후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틸팅 암(151)의 타단은 상단 연결부(124)와 체결되고, 수평 암(152)의 타단은 하단 연결부(125)와 체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틸팅 암(151)의 타단과 상단 연결부(124) 및 수평 암(152)의 타단과 하단 연결부(125)는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 연결부(124)와 틸팅 암(151)의 타단이 흰지 결합되고, 하단 연결부(125)와 수평 암(152)의 타단이 흰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균형 유지 조립체(150)는 일정 반경 회전하며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균형 유지 조립체(150)가 일정 반경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경우, 공간적인 제약이 있는 곳에서 균형 유지 조립체(15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가이드 장치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수평 암(152)의 일단에는 수평 조절 장치(153)가 체결될 수 있다. 수평 조절 장치는 수평 암(152)와 틸팅 암(151)이 만나는 지점 외측에서 수평 암(152)과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조절 장치(153)는 지지판(154)과 손잡이(15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54)은 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손잡이(155)는 지지판(154)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155)는 수평 암(152)의 일단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155)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판(154)의 높이가 낮아지고, 손잡이(155)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판(154)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154)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면에 접촉시키는 경우, 바닥이 고르지 않은 지면에서 가이드 장치를 확실하게 지면에 밀착시켜 가이드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더욱 안정적으로 가이드 장치가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중간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가이드 장치가 5개의 중간 조립체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나, 중간 조립체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장치가 n개의 중간 조립체를 포함하는 경우, 제1단 중간조립체(200)가 가장 넓은 폭을 가지며, 제2단, 제3단, 제n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중간 조립체가 인접하는 중간 조립체와 슬라이딩 결합으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n개의 중간 조립체는 그 폭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제1단 중간 조립체(200)를 중간 조립체(200)로 지칭하기로 하며, 중간 조립체(200)에 대한 설명은 제1단 부터 제n단 중간 조립체에 까지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조립체(200)는 한 쌍의 중간 사이드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사이드 프레임(210)은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세로부(211)와 한 쌍의 가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사이드 프레임(210)의 세로부(211)는 서로 이격되며, 나란하게 연장 될 수 있다. 세로부(211)는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120)의 세로 바(12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정렬될 수 있다.
가로부(212)는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120)의 가로 바(1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120)의 상단 가로 바(122)와 중간 사이드 프레임(210)의 하단 가로부(212)는 가이드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중간 조립체(200)는 내측 가이드 레일(220)과 외측 가이드 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가이드 레일(220)과 외측 가이드 레일(230)은 한 쌍의 중간 사이드 프레임(210) 각각의 외측과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중간 사이드 프레임(210)에 있는 두 개의 세로부(211)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두 개의 세로부(211)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220)과 외측 가이드 레일(230)은 하나의 세로부(21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가이드 레일(220)과 외측 가이드 레일(230)은 독자적으로 형성되어 세로부(211)와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측 가이드 레일(220)과 외측 가이드 레일(230) 및 세로부(211)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중간 조립체(200)와 베이스 조립체(100) 또는 n단 중간 조립체와 n+1 중간 조립체는 서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조립체(100)의 베이스 가이드 레일(130)과 중간 조립체(100)의 외측 가이드 레일(230)이 서로 상보적으로 맞물려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간 조립체(200)는 베이스 조립체(100) 내측 공간에 수납되거나(접힌 상태), 베이스 조립체(100)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빠져나와 상부를 향해 신장될 수 있다. (펼쳐진 상태) 즉, 베이스 조립체(100)와 하나 이상의 중간 조립체(200)는 슬라이딩 결합으로 인해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장치를 이동시킬 때는 접힌 상태에서 부피를 줄여 이동하고, 가이드 장치를 사용할 때는 이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공간적 제약이 있는 곳에서도 편리하게 가이드 장치를 운반할 수 있으며, 필요한 공간에서 펼쳐 사용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n단 중간 조립체와 n+1 중간 조립체도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n단 중간 조립체의 내측 가이드 레일과 n+1단 중간 조립체의 외측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힌 상태에서 n+1단 중간 조립체는 n단 중간 조립체의 내측에 수납되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n+1단 중간 조립체가 n단 중간 조립체로부터 신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조립체(200)는 보강 바(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바(240)는 중간 사이드 프레임(210)의 세로부(211)를 이으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향면 측 보강 바(240)는 대향면 측 세로부(211)와 결합되며, 지지면 측 보강 바(240)는 지지면 측 세로부(21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 바(240)를 통해 중간 사이드 프레임(210)을 잇는 경우, 가이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작업 시 발생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가이드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바(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410)는 가이드 장치의 지지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바(410)는 후술하는 모듈형 작업대의 기둥과 체결되어 모듈형 작업대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바(4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 바(410)는 세로부(2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바(410)의 일면에는 롤러 가이드(411)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 가이드(411)는 가이드 바(410)와 중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 가이드(411)는 가이드 바(410)와 독자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거나, 가이드 바(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바(410)는 한 쌍의 텐션 롤러(420)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 롤러(420)는 본체부(421)와 롤러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 롤러(420)는 롤러 가이드(411)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 롤러(420)의 본체부가 롤러 가이드(411)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이에 따라 텐션 롤러(420)는 롤러 가이드(4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할 수 있다.
롤러부(422)는 본체부(4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 바(410)는 텐션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 부재(430)는 가이드 바(410)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한 쌍의 텐션 롤러(42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 부재(430)의 일단은 하나의 텐션 롤러(420)에 타단은 다른 텐션 롤러(420)에 결합될 수 있다.
텐션 부재(430)는 한 쌍의 텐션 롤러(420)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 부재(430)는 한 쌍의 텐션 롤러(420)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텐션 부재(430)는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부재는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 성질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컨대, 스프링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탄성 부재의 예시이며, 탄성 부재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가이드 바(410)의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410)는 n단 중간 조립체와 n+1단 중간 조립체를 따라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부(422)는 중간 조립체(200)의 외측 가이드 레일(230)에 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롤러부(422)는 중간 조립체(200)의 한쌍의 외측 가이드 레일(230)에 거치될 수 있다. 롤러부(422)는 외측 가이드 레일(230)에 접촉하지만 접합되지는 않는다. 텐션 부재(430)에 의해 텐션 롤러(420)에 장력이 가해지면서, 한 쌍의 텐션 롤러(420)가 한 쌍의 외측 가이드 레일(230)을 밖에서 안쪽으로 가압하므로, 가이드 바(410)는 중간 조립체(200)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텐션 롤러(420)가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바(410)는 수직 이동할 수 있다. 즉, 외측 가이드 레일(230)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가이드 바(410)는 정지 상태로 중간 조립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의 방향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는 두 개 이상의 중간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n단 중간 조립체는 n+1 중간 조립체에 비해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단 중간 조립체의 외측 가이드 레일을 제1 외측 가이드 레일(231), n+1 단 중간 조립체의 외측 가이드 레일을 제2 외측 가이드 레일(232)로 지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410)는 n단 중간 조립체를 넘어 n+1단 중간 조립체까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n단 중간 조립체의 경우, n+1단 중간 조립체에 비해 넓은 폭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제1 외측 가이드 레일(231)과 제2 외측 가이드 레일(232)에는 단차(233)가 형성된다.
가이드 바(410)가 n단 중간 조립체를 넘어 n+1단 중간 조립체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단차(233)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텐션 부재(430)에 의해 장력이 계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이드 바(410)가 n단 중간 조립체에서 n+1단 중간 조립체로 이동할 때, 한 쌍의 텐션 롤러(420)는 서로 더욱 근접하게 된다. 즉, 가이드 바(410)가 단차(233)를 지날 때, 텐션 롤러(420)사이의 거리는 단차만큼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가이드 바(410)가 n+1단 중간 조립체에서 n단 중간 조립체로 이동할 때, 텐션 롤러(420)의 거리는 제1 외측 가이드 레일(231) 간의 거리에 의해 단차만큼 멀어진다.
이와 같이 충분한 장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수직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롤러부(422)가 회전하면서 제1 외측 가이드 레일(231)과 제2 외측 가이드 레일(232) 간의 단차(233)를 극복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장치는 두 개 이상의 가이드 바(410)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가이드 바(410)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모듈형 작업대의 기둥과 결합되어 모듈형 작업대의 수직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장치는 상부 조립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조립체(300)는 한 쌍의 상부 사이드 프레임(310)과 엔드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사이드 프레임(310)은 두 개의 가로 프레임(311)과 두 개의 세로 프레임(312)을 포함하며, 액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사이드 프레임(310)에는 한 쌍의 상부 가이드 레일(3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레일(330)은 상부 사이드 프레임(310)의 세로 프레임(312)을 따라 연장되며, 세로 프레임(312)과 중첩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레일(330)은 중간 조립체(200)의 내측 가이드 레일(220)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힌 상태에서 상부 조립체(300)는 중간 조립체(200)의 내측으로 수납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 조립체(300)는 중간 조립체(200)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빠져나와 신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 결합과 이에 따른 이동은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설명했던, 중간 조립체와 중간 조립체간 또는 중간 조립체와 베이스 조립체간의 결합 및 이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는 베이스 유닛(500) 및 상부 유닛(600)을 포함한다.
베이스 유닛(500)은 모듈형 작업대의 기본이 되는 구조물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형 작업대는 n개의 베이스 유닛이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베이스 유닛이 2개인 경우를 도시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베이스 유닛의 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유닛(500)은 하부 프레임(510), 지지 기둥(520), 작업판(530), 개구(531), 보강 프레임(540), 안전바(550), 사다리(560) 및 가림판(57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510)은 액자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 유닛(500)이 차지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510)의 네 모서리 각각에는 지지 기둥(52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기둥(52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베이스 유닛(500)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기둥(520)은 바디부(521), 상부 결합부(522) 및 하부 결합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521)는 지지 기둥(520)의 본체로서, 베이스 유닛(5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부 결합부(522)는 지지 바디부(521)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바디부(521)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부 결합부(522)는 지지 기둥(52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리세스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결합부(523)는 바디부(521)의 하단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결합부(523)의 함몰 형상은 상부 결합부(522)의 돌출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n-1 단 베이스 유닛, n단 베이스 유닛, n+1단 베이스 유닛이 적층된 작업대에서 n단 베이스 유닛의 상부 결합부는 n+1 단 베이스 유닛의 하부 결합부와 상보적으로 끼임 결합되고, n단 베이스 유닛의 하부 결합부는 n-1단 베이스 유닛의 상부 결합부와 상보적으로 끼임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베이스 유닛(500)이 상하 끼임 결합으로 결합되는 경우, 건물외벽이나 공장 등 높은 층고가 필요한 작업 환경에서 필요한 높이 및 공간을 갖는 작업대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공장의 덕트나 천장 부분의 유지 보수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야 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공장 등의 경우 공간적 제약이 많은 이유로 외부에서 제작된 작업대를 내부로 가져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에 의하면, 공간적 제약이 있는 곳에서 효율적으로 안전하면서 높은 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500)은 작업판(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판(530)은 작업자가 지지하는 발판이 되며, 작업자가 작업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작업판(530)은 베이스 유닛(500) 상단에 위치하며, n단 베이스 유닛의 작업판은 n+1단 베이스 유닛의 발판이 될 수 있다.
작업판(530)에는 개구(53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는 작업자가 윗단에서 아랫단으로 내려오거나, 아랫단에서 윗단으로 올라 갈때,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500)의 중단에는 지지 기둥(520)을 가로로 잇는 보강 프레임(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540)은 하부 프레임(510)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유닛(500)의 공간을 구획하며, 네 개의 지지 기둥(520)을 가로로 이음으로써, 모듈형 작업대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5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바(55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바(560)는 보강 프레임(540)과 하부 프레임(5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대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안전바(550)는 보강 프레임(540)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작업대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5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유닛(500)의 상단과 하단을 잇는 사다리(5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다리(560)는 작업자가 베이스 유닛(500)의 작업판(530) 또는 그 윗단의 베이스 유닛으로 이동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사다리(560)의 일단은 개구(531)와 이어지며, 이를 통해 작업자는 사다리(560)의 끝단에서 작업판(53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500)은 가림판(5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림판(570)은 베이스 유닛(500)의 하단, 즉, 하부 프레임(5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거나 하부 프레임(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림판(570)은 하부 프레임(510)과 중첩되거나, 밀착되어 그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n단 베이스 유닛과 n+1단 베이스 유닛이 결합되는 실시예에서 n+1 단 베이스 유닛의 가림판(570)은 n단 베이스 유닛의 작업판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림판(570)의 상단은 작업판(530)의 상단보다 일정 간격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공구를 들고 작업판 위에서 작업을 하면, 나사 등의 부재를 떨어뜨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작업자가 높은 층고의 작업대에서 작업을 하다가 나사 등을 떨어뜨리는 경우, 작업대 밑에 있는 사람을 크게 다치게 할 수 있다. 가림판(570)을 이용하여 작업판(530)의 외주를 따라 일정 높이 차단시키는 경우, 작업대 아래를 지나는 사람이 낙하물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닛(500) 상단에는 상부 유닛(6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유닛(600)은 베이스 유닛(5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되, 베이스 유닛(500)에서 일부 구성이 생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유닛(600)은 베이스 유닛(500)에서 작업판(530)이 생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유닛(600)은 작업대의 최상단이므로, 천장이 개방되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유닛(600)은 작업판을 포함하지 않으며, 상방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작업대의 설치 방법은 먼저, 가이드 장치(1000)의 일면(지지면)에 상부 유닛(600)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가이드 바(410)를 지지 기둥에 체결시키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바(510)의 일면은 중간 조립체(200)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면은 지지 기둥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바(410)는 두 개의 지지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두 개의 지지 기둥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결합 방식은 예컨대, 나사 결합, 고정 부재를 이용한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설치를 완료하거나, 결합체를 들어올리기 위해 가이드 바(410)의 결합을 해제할 필요가 있으므로, 결합은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410)는 두 개일 수 있다. 가이드 바(410)가 두 개인 경우, 하나의 가이드 바(410)는 지지 기둥 상부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 바(410)는 지지 기둥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가이드 바(410)에 결합된 채로 상부 유닛(600)을 들어올리는 단계가 진행된다. 상부 유닛(600)은 별도의 기중기에 의할 수 있다.
가이드 장치(1000)에 결합된 채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상부 유닛(600)의 수평 운동은 제한되며, 상부 유닛(600)이 가이드 장치(1000)가 가이드하는 대로 똑바로 상승하게 된다.
공간적 제약이 있는 곳에서 작업대를 설치할 때, 들여올려진 유닛들이 수평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충돌 사고가 발생하거나, 유닛들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중에 작업대가 전도되는 사고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모듈형 작업대를 조립하는 경우, 공간적 제약이 있는 경우(특히 수평 공간의 제약)에서도 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으며, 가이드 장치가 측면을 지지하고 있어, 설치 중에 작업대가 전도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베이스 유닛(500)을 배치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500)은 가이드 장치(1000)의 지지면 측에 배치되며, 들어올려진 상태의 상부 유닛(600)과 얼라인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상부 유닛(600)을 하강시키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500)이 얼라인된 상태에서 상부 유닛(600)을 하강시키는 경우, 베이스 유닛(500)의 상부 결합부(522)와 상부 유닛(600)의 하부 결합부가 서로 상보적으로 끼임결합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네 개의 지지 기둥(520)이 서로 맞물려 상부 유닛(600)과 베이스 유닛(500)이 적층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500)과 상부 유닛(600)이 적층된 상태에서 양자의 결합을 강화시키기 위해 끼임 결합된 부분을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볼트를 체결하거나 보강 부재로 결합부위를 감아 결합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유닛(500)은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결합된 베이스 유닛(500)과 상부 유닛(600)이 결합된 결합체를 들어올리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결합체를 들어올리는 단계에서 하나의 가이드 바(410)는 결합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다른 가이드 바(410)는 결합체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체에 가이드 바(41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체가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어서, 새로운 베이스 유닛(500)을 위치시키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새로운 베이스 유닛(500)을 얼라인 시킨 후 결합체를 하강시킴으로써, 새로운 베이스 유닛(500)을 결합체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방식은 앞서 몇몇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가이드 장치(1000)는 접철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 조립체(100), 중간 조립체(200) 및 상부 조립체(300)가 서로 중첩되며, 베이스 조립체(100) 안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장치(1000)가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운반이 간편하여, 작업대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조립체
200: 중간 조립체
300: 상부 조립체
150: 균형 유지 조립체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
210: 중간 사이드 프레임
410: 가이드 바
420: 텐션 롤러
430: 텐션 부재

Claims (10)

  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내측에 베이스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조립체;
    내측에 제1 내측 가이드 레일 및 외측에 제1 외측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쌍의 제1 중간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중간 조립체; 및
    일측에 롤러 가이드가 형성된 가이드 바로서, 상기 롤러 가이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텐션 롤러; 및 상기 한쌍의 텐션 롤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중간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결합되고, 상기 텐션 롤러가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외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는 상하 이동하며,
    내측에 제2 내측 가이드 레일 및 외측에 제2 외측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쌍의 제2 중간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중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조립체의 상기 제1 내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중간 조립체의 제2 외측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제1 중간 조립체 및 상기 제2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텐션 롤러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텐션 롤러 간의 거리보다 큰 가이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외측 가이드 레일 사이에 단차가 정의되고, 상기 텐션 롤러는 상기 단차를 넘어 이동하는 가이드 장치.
  6. 가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모듈형 작업대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내측에 베이스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 조립체;
    내측에 재1 내측 가이드 레일 및 외측에 제1 외측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쌍의 제1 중간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중간 조립체; 및
    일측에 롤러 가이드가 형성된 가이드 바로서, 상기 롤러 가이드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한 쌍의 텐션 롤러; 및 상기 한쌍의 텐션 롤러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조립체와 상기 중간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됨에 따라 결합되고, 상기 텐션 롤러가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외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는 상하 이동하고,
    상기 모듈형 작업대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1 상부 결합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1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 기둥 및
    상기 제1 지지 기둥의 상단에 배치되는 작업판을 포함하는 제1 베이스 유닛; 및 제2 바디부, 상기 제2 바디부 상단에 배치되는 제2 상부 결합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2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 기둥을 포함하는 상부 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장치의 일측에 상기 상부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바와 상기 상부 유닛의 제2 지지 기둥을 결합시킨 후, 상기 상부 유닛을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을 상기 가이드 장치의 일측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상부 유닛을 하강시켜, 상기 제1 상부 결합부와 상기 제2 하부 결합부를 끼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작업대는 제3 바디부, 상기 제3 바디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3 상부 결합부, 상기 제3 바디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3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3 지지 기둥 및 상기 제3 지지 기둥의 상단에 배치되는 작업판을 포함하는 제2 베이스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베이스 유닛과 상기 상부 유닛이 결합된 결합체를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체를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제2 베이스 유닛을 상기 결합체에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결합체를 하강시켜 상기 제1 하부 결합부와 상기 제3 상부 결합부를 끼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내측에 제2 내측 가이드 레일 및 외측에 제2 외측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한쌍의 제2 중간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중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 조립체의 상기 제1 내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중간 조립체의 제2 외측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제1 중간 조립체 및 상기 제2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텐션 롤러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중간 조립체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한 쌍의 텐션 롤러 간의 거리보다 큰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외측 가이드 레일 사이에 단차가 정의되고, 상기 텐션 롤러는 상기 단차를 넘어 이동하는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KR1020220020924A 2022-02-17 2022-02-17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KR10241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24A KR102410376B1 (ko) 2022-02-17 2022-02-17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24A KR102410376B1 (ko) 2022-02-17 2022-02-17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376B1 true KR102410376B1 (ko) 2022-06-16

Family

ID=8221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924A KR102410376B1 (ko) 2022-02-17 2022-02-17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3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70B1 (ko) * 2005-03-31 2007-06-13 서보산업 주식회사 합벽 지지대
KR102294219B1 (ko) * 2019-11-25 2021-08-2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070B1 (ko) * 2005-03-31 2007-06-13 서보산업 주식회사 합벽 지지대
KR102294219B1 (ko) * 2019-11-25 2021-08-2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6222A (ko) 건설장치용 클램프
KR20150042185A (ko) 등반 스크린용 개량 프레임
KR20180079418A (ko) 로딩 플랫폼
JPH07259322A (ja) 昇降足場
JP2003321174A (ja) エレベータ乗り籠の作業用柵
KR102410376B1 (ko)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JP6917948B2 (ja)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JP6839496B2 (ja) 足場用妻側幅木装置
KR102410377B1 (ko) 모듈형 작업대 및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RU2736256C2 (ru) Сборный защитный экран для ограждения по периметру
KR200197360Y1 (ko) 상.하 이동용 수평붐을 갖는 교량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JP2018087450A (ja) 支柱装置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JP494462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作業台の手摺り構造
CN111533058B (zh) 一种装夹平台及移动式升降设备
JP2002046951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用足場装置
KR20200075370A (ko)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KR101912178B1 (ko)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KR102346513B1 (ko) 다층구조 조립식 전기실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KR100925864B1 (ko) 고층작업용 기능성 곤도라 작업대
KR102236750B1 (ko)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KR20230063416A (ko)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KR102447971B1 (ko) 롤링 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