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370A -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 Google Patents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370A
KR20200075370A KR1020180163976A KR20180163976A KR20200075370A KR 20200075370 A KR20200075370 A KR 20200075370A KR 1020180163976 A KR1020180163976 A KR 1020180163976A KR 20180163976 A KR20180163976 A KR 20180163976A KR 20200075370 A KR20200075370 A KR 20200075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standing structure
crane
work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봉원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5370A/ko
Publication of KR20200075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식구조물에 대한 전방위적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대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상기 입식구조물이 배치되는 발판의 중앙공 크기가 발판의 폴딩을 통해 가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크기의 입식구조물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입식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상기 발판의 둘레를 따라 상방을 향해 설치된 안전펜스: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의 중앙은 작업대상인 입식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앙공을 형성하되, 상기 발판은 중앙공을 기준으로 발판의 가장자리를 향해 적어도 한 번 이상 폴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발판끼리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A standing structure bench using a crane}
본 발명은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시구조물에 대한 전방위적 작업의 편의성 및 입식구조물 배치공간 크기의 가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의 작업 중, 고소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올라 딛고 설 수 있는 고소 작업대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고소 작업대로써, 작업 대상물 주변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비계(scaffol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비계는 고소 작업을 위한 임시가설물로,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는데, 재료면에서 통나무비계 및 파이프비계, 용도면에서 외부비계, 내부비계, 수평비계, 달비계, 간이비계 및 사다리비계, 공법면에서 외줄비계, 겹비계 및 쌍줄비계 등으로 나뉜다.
상기 비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을 이용하거나 작업자가 직접 계단 등으로 파이프 및 부속 자재를 운반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수직대를 구성하고, 상부에 발판을 일치 시킨 후 하부에는 콘크리트 등의 바닥 표면 훼손 방지를 위한 보호 장치를 거치하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또한, 파이프 끝단은 신체와의 부딪힘에 의한 타박상을 방지하는 플라스틱 마개 및 실리콘 마개 등으로 마감시키며, 추락 방지망을 설치하여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비계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비계는 작업현장에 세워진 입식 구조물의 일면에서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입식 구조물을 전방위에서 각종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입식 구조물의 각 방위별로 비계를 옮겨가며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물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이 가능한 작업대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2-0132042호』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작업대 역시, 이동을 위해 하부에 바퀴를 채용함으로써 작업 현장에서 이동해가면서 사용해야 하므로 주변 시설물에 간섭될 수 있으며, 2개로 분리된 작업대 특징상 2개의 작업대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관성에 의한 바퀴 회전으로 주변 시설 및 설비와의 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대 결합 및 분리 작업시 작업인력이 추가로 소요되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작업대상을 배치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된 홀의 크기는 가변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 대상물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홀을 갖는 작업대를 일일이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410666호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2-013204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 이동없이 입식구조물의 전방위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기중기를 이용해 입식구조물의 상방에서 하강하여 지면에 설치하되 발판 폴딩 및 발판 분리를 통해 입식구조물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게 입식대상물이 위치되는 중앙공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입식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상기 발판의 둘레를 따라 상방을 향해 설치된 안전펜스: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의 중앙은 작업대상인 입식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앙공을 형성하되, 상기 발판은 중앙공을 기준으로 발판의 가장자리를 향해 적어도 한 번 이상 폴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발판끼리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발판은 평면에서 봤을 때, 입식구조물을 중심으로 사각형태로 설치되고, 기중기는 작업대의 각 모서리를 리프팅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안전펜스의 일부 구간은 입시구조물을 향해 개구되고, 그 개구된 부위에 대응되는 발판은 지지프레임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발판의 일측도 개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비계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일련의 과정이 생략되고, 기 제작된 작업대를 기중기로 입식구조물에 배치시키므로 작업대 설치 및 해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입식구조물을 중앙에 두고 상기 입식구조물 둘레를 따라 작업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작업대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상기 입식구조물에 대한 전방위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입식구조물을 작업대의 중앙에 배치시키는 것에 있어서, 발판 폴딩 또는 발판 분리를 통해 작업대의 중앙 직경이 가변될 수 있으므로, 한 개의 작업대로 다양한 크기의 입식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계(scaffold)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의 발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의 상부 사다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의 중앙공 확대를 위해 발판을 폴딩 및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이하, '작업대'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대는 입식구조물 둘레를 따라 작업공간을 제공하여, 입식구조물의 전방위적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기중기를 통해 운반 및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고소 작업을 위해 조립 및 분해 작업 등의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작업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과, 안전펜스(300)와, 사다리(40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0)은 발판(200)을 지면에 지지하는 구성이며, 복수로 제공된다.
이때, 작업대가 입식구조물(S)에 대한 고소 작업을 위한 장비인만큼,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입식구조물(S)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공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이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강성과 일정 길이를 갖는 H빔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100)은 지면에 발판(200)을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사각의 각 코너마다 위치된 4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에는 테두리 프레임(110)이 설치된다.
지지프레임(100)이 4군데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테두리 프레임(110)은 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작업대의 테두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테두리 프레임(110)은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 형태를 제공한다.
이때, 테두리 프레임(110)의 각 모서리에는 기중기의 인양작업을 위한 인양러그(110a)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테두리 프레임(110)을 보강하고, 후술하는 발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프레임(120)이 설치된다.
보강프레임(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테두리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발판(200)은 고소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지지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판(200)은 테두리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보강프레임(120)을 통해 지지된다.
이때, 발판(200)은 복수로 분할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00)의 중앙은 상,하 관통된 중앙공(200a)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공(210)은 고소 작업을 위한 입식구조물(S)이 위치되는 공간이다.
상기 중앙공(210)에 입식구조물(S)이 위치됨에 따라, 상기 발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식구조물(S)의 둘레를 따라 작업공간을 제공한다.
즉, 작업자는 발판(200)을 따라 입식구조물(S)의 전방위적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발판(200)은 평면에서 봤을 때, 입식구조물(S)을 중심으로 사각 형태를 구성한다.
상기 발판(200)은 복수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중앙공(200a)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작업 대상인 입식구조물(S)은 크기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입식구조물(S)의 크기에 맞게 상기 중앙공(200a)의 크기를 가변하여, 하나의 작업대로 다양한 크기의 입식구조물(S)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중앙공(200a)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200)은 고정판(210)과, 폴딩판(220)과, 탈착판(23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판(210)은 테두리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사각 형태의 발판(200) 일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폴딩판(220)은 고정판(210)과 이웃하는 양측에 설치되어 사각 형태의 발판(200) 두 면을 구성한다.
상기 폴딩판(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공(200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폴딩판(220)은 복수로 구성되되, 서로 폴딩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된다.
즉, 폴딩판(220)은 중앙공(200a)을 기준으로 발판(200)의 가장자리를 향해 폴딩될 수 있는 접이식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폴딩판(220)은 적어도 한 개 이상 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딩판(220)이 한 번 폴딩될 수 있는 구성을 예로 한다.
상기와 같이 폴딩판(220)이 발판(200)의 가장자리를 향해 폴딩됨에 따라, 중앙공(200a)의 크기가 확장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탈착판(230)은 사각 형태의 발판(200) 나머지 면을 구성하며, 테두리 프레임(11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탈착판(230) 역시 테두리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폴딩판(220)과 함께 중앙공(200a)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탈착판(230)의 탈착구조는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테두리 프레임(110)에 탈착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판(200)에는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작업자가 발판에서 미끄러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복수의 돌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발판(200)에는 발판(20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추락방지턱(2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미끄럼방지수단과 더불어, 작업자의 추락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안전펜스(300)는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며, 발판(2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안전펜스(300)는 발판(200)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되며,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도 제공한다.
이때, 안전펜스(300)는 발판(200)의 둘레를 따라 막힘없이 설치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간은 개구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 대상인 입식구조물(S)의 전원 케이블(미도시) 및 제어 케이블(미도시) 등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으로써, 상기 개구된 구간(O)은 탈착판(230)에 대응된 위치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된 구간(O)에 대응되는 테두리 프레임(110)의 일부 역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상기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테두리 프레임(110)은 탈착 테두리 프레임(111)이라 한다.
상기와 같이 발판(200)의 일측이 개구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입식구조물(S)의 케이블 등 주변구조물과 발판(200) 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대 설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다리(400)는 작업자가 발판(200) 및 입식구조물(S)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사다리(410)와 상부사다리(420)로 구성된다.
하부사다리(410)는 작업자가 지면과 발판(200)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지면과 발판(20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하부사다리(410)에는 작업자가 발판(200)과 지면을 오르내릴 때 추락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411)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부사다리(420)는 발판(200)과 입식구조물(S)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발판(200)과 입식구조물(S)에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부사다리(420)는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입식구조물(S)의 상단부에 오를 수 있도록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사다리(420)의 하단부에는 발판(200)에 볼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플랜지(421)가 설치되고, 상부사다리(420)의 상단부에는 입식구조물(S)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플랜지(422)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대가 제공되고, 그 작업대를 작업대상 입식구조물(S)로 운반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중기(C)를 이용해 인양러그(110a)에 와이어(W)를 연결시킨 후 작업대를 리프팅 시킨다.
이후, 입식구조물(S)로 작업대를 운반한 후, 입식구조물(S)의 상방에서 작업대를 하강시킨다.
이때, 입식구조물(S)은 발판(200) 사이의 중앙공(200a)에 위치되는데, 중앙공(200a)의 크기가 입식구조물(S)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또는 중앙공(200a)의 크기가 입식구조물(S)의 크기보다 작지 않더라도 중앙공(200a)으로 입식구조물(S)이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앙공(200a)을 확장시켜 놓는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판(220)을 회동하여 젖히고, 테두리 프레임(110)으로부터 탈착판(230)을 탈착시킨다.
또한, 탈착 테두리 프레임(110)을 테두리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공(200a)의 크기는 확장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중앙공(200a)을 확장시켜 놓은 상태에서 기중기(C)를 이용해 작업대를 입식구조물(S)로 하강시킨다.
이후, 입식구조물(S)이 중앙공(200a)에 위치된 상태로 작업대는 지면에 안착된다.
이때, 중앙공(200a)과 발판(200)간 사이의 유격이 과도하게 발생하면, 폴딩판(220)을 회동하여 원위치시키면서 중앙공(200a) 크기를 조정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하부사다리(410)를 딛고 발판(200)으로 올라가 입식구조물(S)의 전방위적으로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부사다리(420)를 발판(200)으로 올려 결합플랜지(421)를 발판(200)에 볼팅시키고 지지플랜지(422)를 입식구조물(S)에 안착시킨 후 상부사다리(420)를 딛고 올라가 작업을 수행한다.
이로써,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를 이용한 입식구조물에 대한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지지프레임 110 : 테두리 프레임
100a : 인양러그 111 : 탈착 테두리 프레임
200 : 발판 200a : 중앙공
210 : 고정판 220 : 폴딩판
230 : 탈착판 300 : 안전펜스
400 : 사다리 410 : 하부 사다리
411 : 등받이프레임 420 : 상부 사다리
421 : 결합플랜지 422 : 지지플랜지
S : 입식구조물 O : 개구된 구간
C : 기중기 W : 와이어
120 : 보강프레임 240 : 추락방지턱

Claims (3)

  1.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며, 입식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둘레를 따라 상방을 향해 설치된 안전펜스:를 포함하되,
    상기 발판의 중앙은 작업대상인 입식구조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중앙공을 형성하되,
    상기 발판은 중앙공을 기준으로 발판의 가장자리를 향해 적어도 한 번 이상 폴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발판끼리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평면에서 봤을 때, 입식구조물을 중심으로 사각형태로 설치되고,
    기중기는 작업대의 각 모서리를 리프팅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는 안전펜스의 일부 구간은 입시구조물을 향해 개구되고,
    그 개구된 부위에 대응되는 발판은 지지프레임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발판의 일측도 개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KR1020180163976A 2018-12-18 2018-12-18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KR20200075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976A KR20200075370A (ko) 2018-12-18 2018-12-18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976A KR20200075370A (ko) 2018-12-18 2018-12-18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370A true KR20200075370A (ko) 2020-06-26

Family

ID=7113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976A KR20200075370A (ko) 2018-12-18 2018-12-18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53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464B1 (ko) * 2021-02-05 2021-11-04 안광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및 작업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042A (ko) 2011-05-27 2012-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분리 및 이동이 가능한 작업대
KR101410666B1 (ko) 2012-08-28 2014-06-24 사단법인 한국가설협회 비계용 단위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비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042A (ko) 2011-05-27 2012-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내부에 홀이 형성되는 분리 및 이동이 가능한 작업대
KR101410666B1 (ko) 2012-08-28 2014-06-24 사단법인 한국가설협회 비계용 단위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비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464B1 (ko) * 2021-02-05 2021-11-04 안광태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및 작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EP0702121B1 (en) Elevatable work facility
US11680411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JP2003321174A (ja) エレベータ乗り籠の作業用柵
JP6378550B2 (ja) 足場装置
KR20200075370A (ko)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KR102111617B1 (ko) 다기능 조립식 작업 구조물
KR102050843B1 (ko) 이동식 족장 프레임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JP2018087450A (ja) 支柱装置
KR20130034496A (ko) 이동식 작업대의 유동방지 클램프
KR101816700B1 (ko) 현수 비계용 발판연설 장치 및 방법
KR20120008547U (ko) 벌크헤드 작업대
KR20140135551A (ko) 가변형 작업대
JP3004217U (ja) 手摺付脚立
KR101552245B1 (ko)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
JP3864189B2 (ja) 塔状構造物解体装置とそれによる解体工法
KR102609173B1 (ko)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KR101859114B1 (ko) 다단 적치가 가능한 선박용 작업대 설치 방법
KR101769041B1 (ko) 작업발판 승강용 작업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스템
KR102410377B1 (ko) 모듈형 작업대 및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KR102410376B1 (ko)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KR102447971B1 (ko) 롤링 타워
KR200493313Y1 (ko)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CN211798371U (zh) 一种变电高处作业防坠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