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551A - 가변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가변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551A
KR20140135551A KR1020130056012A KR20130056012A KR20140135551A KR 20140135551 A KR20140135551 A KR 20140135551A KR 1020130056012 A KR1020130056012 A KR 1020130056012A KR 20130056012 A KR20130056012 A KR 20130056012A KR 20140135551 A KR20140135551 A KR 20140135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support
coupled
crane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고옥봉
박상태
박영진
전완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5551A/ko
Publication of KR2014013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42Stands
    • B25H1/005Stands attached to a workben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8Manually-movable jib cranes for use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가변형 작업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는 중량물을 인양 가능한 크레인부, 크레인부를 지지하도록 크레인부에 결합되는 제1 발판부, 지면에 대하여 제1 발판부를 지지하도록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제1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2 발판부 및 지면에 대하여 제2 발판부를 지지하고 제2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2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작업대{VARIABLE PLATFORM}
본 발명은 가변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고소 작업이나 중량물 운반 작업 등의 경우 발판이 설치된 작업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작업대는 작업의 안전성이나 효율성 면에서는 발판을 비롯한 작업대의 규격이 클수록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발판을 비롯한 작업대의 규격이 지나치게 큰 경우, 작업 위치에서 주변 시설 내지 장치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작업대의 이동이나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대의 규격에는 제약이 따를 수 있다.
특히, 작업 위치에는 작업대 설치를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나, 작업 위치까지의 이동 통로가 협소하여 작업대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에는 규격을 최대화하면서도, 이동이나 보관 시에는 규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업대에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8494호(2013.03.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황에 따라 규격을 변화시켜 작업 효율성과 이동 내지 보관의 용이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가변형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량물을 인양 가능한 크레인부, 크레인부를 지지하도록 크레인부에 결합되는 제1 발판부, 지면에 대하여 제1 발판부를 지지하도록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제1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2 발판부 및 지면에 대하여 제2 발판부를 지지하고 제2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2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작업대가 제공된다.
여기서, 크레인부는 제1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일단이 제1 발판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1 발판부는 크레인부가 접철되는 면이 개폐 가능할 수 있다.
가변형 작업대는 제1 발판부 및 제2 발판부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드 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는 제1 발판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지면에 대하여 롤링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판부는 제1 발판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그레이팅, 제1 발판부로부터 그레이팅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레이팅에 연결 가능하도록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연결 빗장 및 그레이팅과 제1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는 제2 발판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 및 지지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지지대와 제2 발판부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발판부가 제1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작업대의 규격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과 이동 내지 보관의 용이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제2 발판부 및 제2 지지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크레인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제2 지지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제2 발판부 및 제2 지지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크레인부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에서, 제2 지지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는 크레인부(100), 제1 발판부(200), 제1 지지부(300), 제2 발판부(400) 및 제2 지지부(500)를 포함하고, 핸드 레일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부(100)는 중량물을 인양 가능한 부분으로, 제1 발판부(200)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다. 이 경우, 크레인부(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 및 붐으로 구성될 수 있고, 붐은 마스트와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부(100)는 체인블록 또는 로프 등을 걸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고, 크레인부(100)가 제1 발판부(200)에 축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발판부(200)는 크레인부(100)를 지지하도록 크레인부(1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일부분에 크레인부(100)가 설치되고, 나머지 부분에 작업자 또는 중량물이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발판부(2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크레인부(10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발판부(200)는 크레인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일정 강도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중을 최소화하도록 경량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부(300)는 지면에 대하여 제1 발판부(200)를 지지하도록 제1 발판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크레인부(100)의 중량물 인양 시 중량물의 하중 및 크레인부(100)와 제1 발판부(200)의 자중을 지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부(20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종방향의 길이를 갖는 구조일 수 있고, 제1 발판부(200)와 복수의 포인트에서 결합되어 제1 발판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발판부(400)는 제1 발판부(20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1 발판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발판부(400)의 접철 여부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의 규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는 제1 발판부(20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를 사용한 작업 시에는 제2 발판부(400)를 제1 발판부(200)와 나란하게 펼쳐 작업대(1000)의 규격을 최대화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의 이동 및 보관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를 제1 발판부(200) 방향으로 접어 작업대(1000)의 규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2 발판부(400)가 제1 발판부(2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발판부(400)가 제1 발판부(200)의 일측면에만 결합되거나 네측면에 결합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500)는 지면에 대하여 제2 발판부(400)를 지지하고 제2 발판부(40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제2 발판부(4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2 발판부(400)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를 접기 전에 제2 지지부(500)를 제2 발판부(400) 방향으로 접어 제2 발판부(400)의 접철 시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는 제2 발판부(400)가 제1 발판부(20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작업대(1000)의 규격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과 이동 내지 보관의 용이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에서, 크레인부(100)는 제1 발판부(200)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일단이 제1 발판부(200)에 힌지 결합되고, 제1 발판부(200)는 크레인부(100)가 접철되는 면이 개폐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부(100)를 접기 전에 제1 발판부(200)의 일부분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부(200)의 개방된 부분 방향으로 크레인부(100)를 회전시켜 크레인부(100)를 제1 발판부(200)에 대하여 접철한 후 제1 발판부(200)의 개방된 부분을 다시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는 횡방향의 폭 뿐만 아니라 종방향의 높이까지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동 내지 보관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부(100)가 필요하지 않은 단순 발판 용도로 작업대(1000)를 사용하는 경우, 크레인부(100)를 접어 보다 넓은 발판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핸드 레일부(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400)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를 사용한 작업 시 제1 발판부(200) 및 제2 발판부(400)로부터 작업자 또는 탑재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의 이동 내지 보관 시에는 핸드 레일부(600)를 분리하여 작업대(1000)의 규격을 더울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핸드 레일부(600)가 복수의 파이프 및 이에 결합되는 로프로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체인 구조 또는 난간 구조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에서, 제1 지지부(300)는 지지 프레임(310) 및 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10)은 제1 발판부(20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가 결합된 프레임 구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발판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자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롤러(320)는 지면에 대하여 롤링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31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320)는 지지 프레임(310)의 종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방향 전환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에서, 제2 발판부(400)는 그레이팅(410), 연결 빗장(420) 및 스프링(4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레이팅(410)은 제1 발판부(20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모양으로 공극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발판부(400)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자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 빗장(420)은 제1 발판부(200)로부터 그레이팅(410) 방향으로 돌출되어 그레이팅(410)에 연결 가능하도록 제1 발판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발판부(400)를 펼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를 펼친 상태에서 연결 빗장(420)을 그레이팅(410) 방향으로 돌출시켜 연결함으로써, 제2 발판부(400)가 제1 발판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반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판부(400)를 접을 경우 연결 빗장(420)을 그레이팅(410) 반대 방향으로 밀어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제2 발판부(400)가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430)은 그레이팅(410)과 제1 지지부(300)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으로, 보다 용이하게 제2 발판부(400)를 접고 펴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발판부(400)를 펴는 경우 스프링(430)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2 발판부(400)가 펴지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제2 발판부(400)를 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판부(400)가 접히는 경우에도 스프링(430)의 탄성을 이용하여 자중 등에 의해 급격하게 접히는 것을 완충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스프링(430)이 가스 스프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통해 제2 발판부(400)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하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작업대(1000)에서, 제2 지지부(500)는 지지대(510) 및 고정 걸쇠(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510)는 제2 발판부(400)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발판부(400)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510)는 경사면 또는 단차 등을 고려하여 길이가 신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걸쇠(520)는 지지대(51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지지대(510)와 제2 발판부(400)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10)의 일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발판부(400)를 펼친 경우, 지지대(510)에 고정 걸쇠(520)를 체결하여 지지대(510)가 의도치 않게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지지대(510)를 접기 위해서는 고정 걸쇠(520)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여 지지대(510)를 접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크레인부 200: 제1 발판부
300: 제1 지지부 310: 지지 프레임
320: 롤러 400: 제2 발판부
410: 그레이팅 420: 연결 빗장
430: 스프링 500: 제2 지지부
510: 지지대 520: 고정 걸쇠
600: 핸드 레일부 1000: 가변형 작업대

Claims (6)

  1. 중량물을 인양 가능한 크레인부;
    상기 크레인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크레인부에 결합되는 제1 발판부;
    지면에 대하여 상기 제1 발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2 발판부; 및
    지면에 대하여 상기 제2 발판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2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발판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는 상기 제1 발판부에 대하여 접철 가능하도록 일단이 상기 제1 발판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발판부는 상기 크레인부가 접철되는 면이 개폐 가능한 가변형 작업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판부 및 상기 제2 발판부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드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작업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발판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지면에 대하여 롤링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가변형 작업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판부는
    상기 제1 발판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그레이팅,
    상기 제1 발판부로부터 상기 그레이팅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레이팅에 연결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발판부에 결합되는 연결 빗장 및
    상기 그레이팅과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변형 작업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발판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제2 발판부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걸쇠를 포함하는 가변형 작업대.
KR1020130056012A 2013-05-16 2013-05-16 가변형 작업대 KR20140135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012A KR20140135551A (ko) 2013-05-16 2013-05-16 가변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012A KR20140135551A (ko) 2013-05-16 2013-05-16 가변형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551A true KR20140135551A (ko) 2014-11-26

Family

ID=5245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012A KR20140135551A (ko) 2013-05-16 2013-05-16 가변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55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165A (ko) * 2014-12-24 2016-07-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NL2021265B1 (nl) * 2018-07-06 2020-01-16 Joseph Huijsman Marinus Werktafel voorzien van een hijsinrichting
KR102232395B1 (ko) * 2020-08-18 2021-03-25 신왕현 접이식 작업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165A (ko) * 2014-12-24 2016-07-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창 점검용 갠트리 타워 크레인
CN107108183A (zh) * 2014-12-24 2017-08-29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货舱检验用门式起重机
NL2021265B1 (nl) * 2018-07-06 2020-01-16 Joseph Huijsman Marinus Werktafel voorzien van een hijsinrichting
KR102232395B1 (ko) * 2020-08-18 2021-03-25 신왕현 접이식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394B1 (ko)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CN105236276A (zh) 一种可升降、可折叠的龙门起重装置
JP2009516104A (ja) 折り畳み可能作業台
US20210276849A1 (en) Adjustable Platform Rail Systems and Methods
US10507572B2 (en) Workbench
KR20140135551A (ko) 가변형 작업대
JP6271608B2 (ja) 折畳式ガントリ
US8366084B2 (en) Work table
CN103011033B (zh) 高空平台系统及包含该高空平台系统的工程机械
KR20070121228A (ko) 전주용 접이식 작업대
JP4027208B2 (ja) 昇降式移動足場
KR102050843B1 (ko) 이동식 족장 프레임
KR20090088156A (ko) 작업대용 발판의 다리부재 폴딩장치
KR102348846B1 (ko)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JP3213460U (ja) 作業台
KR20150085879A (ko) 안전 사다리
US20220315085A1 (en) Portable load lift device
KR102027845B1 (ko) 접철식 족장 프레임
JP2005273304A (ja) 可搬式作業台
JP5360645B2 (ja) 折り畳み式作業用ゴンドラ
KR20170132597A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KR102349796B1 (ko)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
KR101399627B1 (ko) 이동식 발판 장치
CN211524683U (zh) 一种电梯施工检修用折叠式登高架
JP3236305U (ja) 作業台および作業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