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846B1 -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 Google Patents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846B1
KR102348846B1 KR1020210090791A KR20210090791A KR102348846B1 KR 102348846 B1 KR102348846 B1 KR 102348846B1 KR 1020210090791 A KR1020210090791 A KR 1020210090791A KR 20210090791 A KR20210090791 A KR 20210090791A KR 102348846 B1 KR102348846 B1 KR 10234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girder
sub
axial direction
hing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재
Original Assignee
오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재 filed Critical 오승재
Priority to KR102021009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2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은: 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에 대해 거더와 트롤리를 지지하는 레그로써, 거더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빔, 메인빔에 고정되는 픽스브라켓, 픽스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픽스브라켓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진 상태로 거더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서브빔, 및 복수 개의 서브빔이 벌어진 상태를 지지하여 서브빔을 보강하는 서포트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겐트리크레인{FOLDABLE GANTRY-CRANE}
아래 실시예들은 미사용 상태로 접혀진[folding] 겐트리크레인에 이동바퀴와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사용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며, 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거더를 지지하는 레그에 접혀지는 서포트빔을 구비하여 레그를 세워 사용시 쌍을 이루는 레그의 서포트빔끼리를 지지 보강함으로써 거더에 구비되는 인양장비에 작용하는 부하(load)에 의해 레그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은 대상물을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대상물의 이동양상에 따라 회전 크레인과 수평 크레인으로 구분되고, 지면에 고정 또는 이동여부에 따라 고정식 크레인과 이동식 크레인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겐트리 크레인 중 수평 크레인에는 중량의 대상물을 들어 올리는 호이스트나 체인블록 등과 같은 인양장비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더(girder)와, 지면에 지지되어 거더를 지지하는 하부 구조물인 레그(leg)를 포함한다.
초기 겐트리 크레인의 레그는 높낮이가 조절되지 않는 고정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레그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거더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이 제안되었고, 그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543호에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543호에서는 제1 및 제2 레그에 거더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 열로 배열되는 복수의 높이 조절홀이 각각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레그에 형성된 높이 조절홀을 서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레그의 높낮이를 광범위하게 조절하여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레그가 인양장비에 작용하는 부하(load)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KR 10-2013543, 2019. 01. 24. KR 10-1752450, 2017. 06. 23. KR 10-2250517, 2021. 05. 04. KR 10-2228841, 2021. 03. 11.
실시예들은 미사용 상태로 접혀진[folding] 겐트리크레인에 이동바퀴와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사용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며, 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거더를 지지하는 레그에 접혀지는 서포트빔을 구비하여 레그를 세워 사용시 쌍을 이루는 레그의 서포트빔끼리를 지지 보강함으로써 거더에 구비되는 인양장비에 작용하는 부하(load)에 의해 레그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은: 거더; 상기 거더에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롤리; 및 상기 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에 대해 상기 거더와 상기 트롤리를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레그는, 상기 거더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빔; 상기 메인빔에 고정되는 픽스브라켓; 상기 픽스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픽스브라켓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진 상태로 상기 거더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서브빔; 및 복수 개의 상기 서브빔이 벌어진 상태를 지지하여, 상기 서브빔을 보강하는 서포트빔을 포함한다.
상기 거더는 이동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거더 또는 상기 레그는, 접혀진 상태로 상기 이동바퀴의 구름 회전으로 이동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브빔은 상기 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 각각에 제 1서브빔과 제 2서브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빔은, 상기 제 1서브빔의 축 방향을 따라 호 궤적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1서브빔에 연결되는 제 1서포트빔; 상기 제 2서브빔의 축 방향을 따라 호 궤적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서브빔에 연결되는 제 2서포트빔; 및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2서포트빔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는 접힘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서브빔은 제 1링부재를 축 삽입하고, 상기 제 1링부재는 상기 제 1서브빔의 중심축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채 상기 제 1서포트빔을 힌지 연결하는 제 1절곡브라켓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서브빔은 제 2링부재를 축 삽입하고, 상기 제 2링부재는 상기 제 2서브빔에서 상기 제 1절곡브라켓과 동일 측으로 절곡된 채 상기 제 2서포트빔을 힌지 연결하는 제 2절곡브라켓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힘안내부는, 상기 제 1서포트빔의 축 방향을 따라 단부에 고정되는 제 1힌지링; 상기 제 2서포트빔의 축 방향을 따라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힌지링과 힌지 연결되는 제 2힌지링; 상기 제 1서포트빔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며 일부가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1힌지링의 둘레면 타측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 1서포트빔의 단부로 돌출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걸림자를 구비하는 작동자; 상기 제 2서포트빔의 둘레면 타측과 상기 제 2힌지링에 일치되게 통공되어 상기 걸림자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는 수용구; 상기 제 1힌지링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작동자에서 연장되는 걸고리; 및 상기 걸림자가 상기 수용구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힌지링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걸고리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고리가 상기 제 1서포트빔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핀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미사용 상태로 접혀진[folding] 겐트리크레인에 이동바퀴와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사용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며, 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거더를 지지하는 레그에 접혀지는 서포트빔을 구비하여 레그를 세워 사용시 쌍을 이루는 레그의 서포트빔끼리를 지지 보강함으로써 거더에 구비되는 인양장비에 작용하는 부하(load)에 의해 레그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접거나 펼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접거나 펼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에 트롤리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레그를 접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서포트빔의 접힘안내부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서포트빔의 접힘안내부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접거나 펼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접거나 펼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에 트롤리를 설치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레그를 접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서포트빔의 접힘안내부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의 서포트빔의 접힘안내부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겐트리크레인(100)은 거더(200), 트롤리(300) 및 레그(400)를 포함한다.
거더(200)는 단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빔(beam)인 것으로 한다. 이때, 거더(200)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롤리(300)는 거더(200)에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거더(200)에 구비된다. 특히, 트롤리(300)는 물건을 들어 올린 후 위치 이동하고 나서 내려놓는 인양설비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레그(400)는 거더(20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시 바닥에 대해 거더(200)와 트롤리(300)를 지지한다.
이때, 레그(400)는 각각 거더(200)에 대해 회동되며, 거더(200)에 대략 축 방향으로 나란한 상태로 거더(200)에 포개진다(접힌다).
특히, 거더(200)의 양측에 구비된 레그(400) 각각이 거더(200) 상에 포개진 경우, 트롤리(300)는 최상측에 위치한 레그(400)에 구비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레그(400)가 펼쳐진 채 거더(200)를 지지한 경우, 트롤리(300)는 레그(400)에서 분리 후 거더(20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트롤리(300)는 가이드롤러(310), 판재(320), 고정브라켓(330), 설치안내브라켓(340), 풀리고리(350) 및 핸들(360)을 포함한다.
트롤리(300)가 거더(200)에 설치된 경우, 가이드롤러(310)는 거더(200)의 상측면을 따라 구름 회전되며 이동된다. 이때, 가이드롤러(310)는 하나 이상 구비된다. 편의상, 가이드롤러(31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동시에 거더(200)의 상측면에 접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판재(320)는 가이드롤러(31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구비된다. 그래서, 가이드롤러(310)는 양측이 판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브라켓(330)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한 쌍의 판재(320) 중 어느 하나의 판재(32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설치안내브라켓(340)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한 쌍의 판재(320) 중 다른 하나의 판재(3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고정브라켓(330)과 설치안내브라켓(340)에 의해, 가이드롤러(310)는 거더(200)의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물론, 고정브라켓(330)과 설치안내브라켓(34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풀리고리(350)는 일측이 고정브라켓(3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설치안내브라켓(340)에 연결된다. 그래서, 풀리고리(350)는 고정브라켓(330)과 설치안내브라켓(3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풀리고리(350)는 물건의 인양을 위해 와이어를 감거나 이송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풀리고리(35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360)은 한 쌍의 판재(320)에 양측이 고정 설치된다. 손잡이(4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설치안내브라켓(340)이 대응되는 판재(320)에서 분리 가능함에 따라, 트롤리(300)는 거더(200) 및 대응되는 레그(400)에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거더(20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이동바퀴(210)를 구비하고, 거더(200)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 또는 거더(200)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대응되는 레그(400)는 접혀진 상태로 이동바퀴(210)의 구름 회전으로 이동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412)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크레인(100)은 포개져 접혀진 상태로 사용자가 손잡이(412)를 잡고 당길 경우 이동바퀴(210)가 바닥에 대해 구름 회전되며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레그(400)는 메인빔(410), 픽스브라켓(420), 서브빔(430) 및 서포트빔(440)을 포함한다.
메인빔(410)은 거더(20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거더(200)에 대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거더(200)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회동안내브라켓(220)을 구비한다. 회동안내브라켓(220)은 힌지핀(222)에 의해 거더(200)에 대해 회동된다.
그리고, 메인빔(410)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상부)이 회동안내브라켓(220)에 고정 연결된다. 이에 따라, 메인빔(410)과 회동안내브라켓(220)은 힌지핀(222)을 기준으로 거더(2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메인빔(410)은 회동되며 거더(200)의 상측에 포개진 상태가 되거나, 거더(200)의 축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세워져 거더(2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인빔(410)이 거더(200)의 상측에 포개진 상태, 및 거더(200)의 하측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안내브라켓(220)은 스토퍼핀(224)을 구비한다. 스토퍼핀(224)은 메인빔(410)의 상태에 따라 회동안내브라켓(220)에 설치되는 위치를 달리하며 메인빔(410)의 임의적 이동을 방지한다.
특히, 거더(20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구비되는 회동안내브라켓(220)은 이동바퀴(210)과 함께 거더(200)에 연결된다.
아울러, 포개진 상태에서, 트롤리(300)는 거더(200)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위치하는 메인빔(4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손잡이(412)는 거더(200)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위치하는 메인빔(410)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픽스브라켓(420)은 메인빔(410) 각각에 고정된다. 이때, 픽스브라켓(420)은 메인빔(410) 각각에 대향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픽스브라켓(420)은 형상, 크기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서브빔(430)은 픽스브라켓(420)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서브빔(430)은 픽스브라켓(420)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진 상태로 거더(200)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상세히, 서브빔(430)은 거더(20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 각각에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은 동일한 픽스브라켓(42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은 동일한 픽스브라켓(420)에 대해 회동되며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된다. 이때, 대응되는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이 좁혀질 경우 대략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픽스브라켓(420)은 구속핀(422)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구속핀(422)은 대응되는 픽스브라켓(420)에서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이 상호 벌어진 사용상태, 및 서로 좁혀진 미사용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구속핀(422)은 스토퍼핀(224)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그리고, 서브빔(430) 각각은 캐스터(431)를 구비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겐트리크레인(100)은 사용 상태로 세워진 채 캐스터(431)에 의해 용이하게 위치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서포트빔(440)은 복수 개의 서브빔(430) 즉, 대응되는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의 벌어진 상태를 지지함으로써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서포트빔(440)은 제 1서포트빔(442), 제 2서포트빔(444) 및 접힘안내부(450)를 포함한다.
제 1서포트빔(442)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제 1서브빔(432)에 호 궤적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제 1서포트빔(442)은 제 1서브빔(432)의 축 방향을 따라 호 궤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울러, 제 2서포트빔(444)은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이 제 2서브빔(435)에 호 궤적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제 2서포트빔(444)은 제 2서브빔(435)의 축 방향을 따라 호 궤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히, 제 1서포트빔(442)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제 1링부재(433)를 구비한다. 즉, 제 1링부재(433)는 제 1서포트빔(442)의 일측을 축 삽입한다. 이때, 제 1서포트빔(442)은 제 1링부재(433)가 구비되는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둘레면에 지지턱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링부재(433)는 볼팅 등에 의해 제 1서포트빔(44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 1링부재(433)는 제 1절곡브라켓(434)을 연장 형성한다. 제 1절곡브라켓(434)은 제 1서브빔(432)의 중심축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채 제 1서포트빔(442)을 힌지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제 2서포트빔(444)은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제 2링부재(436)를 구비한다. 즉, 제 2링부재(436)는 제 2서포트빔(444)의 타측을 축 삽입한다.
이때, 제 2서포트빔(444)은 제 2링부재(436)가 구비되는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둘레면에 지지턱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링부재(436)는 볼팅 등에 의해 제 2서포트빔(44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 2링부재(436)는 제 2절곡브라켓(437)을 연장 형성한다. 제 2절곡브라켓(437)은 제 2서브빔(435)의 중심축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채 제 2서포트빔(444)을 힌지 연결한다.
이때, 제 2절곡브라켓(437)은 제 1링부재(433)에서 제 1절곡브라켓(434)이 절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된다.
제 1절곡브라켓(434) 및 제 2절곡브라켓(437)이 대응되는 제 1서브빔(432) 및 제 2서브빔(435)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됨에 따라, 접혀질 경우,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은 대응되는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의 상측에 포개지지 않고 대략 동일 평면상에 배치됨으로써, 접혀진 상태의 겐트리크레인(100)의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서브빔(432)에 힌지 연결된 제 1서포트빔(442)의 타측과, 대응되는 제 2서브빔(435)에 힌지 연결된 제 2서포트빔(444)의 일측은 접힘안내부(450)로 연결된다.
이때,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은 접힘안내부(450)로 연결된 부위가 하향되며 접히게 된다.
그리고,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은 접힘안내부(450)에 의해 일직선을 유지하며 대응되는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을 지지 보강된다.
이에 따라, 대응되는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이 픽스브라켓(420)에 대해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모이는 동작에 연동되어,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이 접힘안내부(450)를 기준으로 접히게 된다.
아울러, 제 1서포트빔(442)은 제 1절곡브라켓(434)에 힌지 연결시 상부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 2서포트빔(444)은 제 2절곡브라켓(437)에 힌지 연결시 상부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접힘안내부(450)는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 1힌지링(451), 제 2힌지링(453), 탄성부재(454), 작동바, 수용구(458), 걸고리(459) 및 결속핀(460)을 포함한다.
제 1힌지링(451)은 제 1서포트빔(442)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 단부 둘레면에 고정되고, 제 2힌지링(453)은 제 2서포트빔(444)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 둘레면에 고정된다.
즉, 제 1힌지링(451)은 제 1서포트빔(442)을 축 삽입한 채 제 1서포트빔(442)의 둘레면에 고정되고, 제 2힌지링(453)은 제 2서포트빔(444)을 축 삽입한 채 제 2서포트빔(444)의 둘레면에 고정된다. 제 1힌지링(451)과 제 2힌지링(453)은 대응되는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의 힌지 부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대응되는 제 1힌지링(451)과 제 2힌지링(453)은 원주 방향으로 둘레면 중 일측끼리를 힌지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탄성부재(454)는 제 1서포트빔(442)의 타측 내부에 구비된다. 물론, 탄성부재(454)가 제 2서포트빔(444)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탄성부재(454)는 코일스프링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부재(454)는 제 1서포트빔(442)의 내부에 위치 고정된다.
작동자(455)는 제 1서포트빔(442)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 내부에서 탄성부재(454)에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작동자(455)는 일부가 제 1서포트빔(442)과 제 1힌지링(451)의 둘레면 중 원주 방향으로 타측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작동자(455)는 제 1서포트빔(442)의 단부로 돌출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걸림자(456)를 구비한다. 제 1서포트빔(442)과 제 1힌지링(451)은 걸림자(456)의 외부 돌출은 안내하기 위해 개방홀(452)을 통공한다.
특히, 작동자(455)는, 제 1서포트빔(442)의 내부에 구비된 채 안정적으로 탄성부재(454)에 탄성 지지되도록, 가이드돌기(457)를 연장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부재(454)는 코일스프링으로 적용한다. 그래서, 가이드돌기(457)는 탄성부재(454)에 축 삽입됨에 따라, 작동자(455)는 탄성부재(454)에 탄성 지지된다.
그래서, 작동자(455)는 걸림자(456)와 함께 제 1서포트빔(442)의 원주 방향으로 둘레면 중 타측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된다.
수용구(458)는 제 2서포트빔(444)의 둘레면 중 원주방향으로 타측과 제 2힌지링(453)에 일치되게 통공된다. 수용구(458)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454)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승된 걸림자(456)를 수용한다.
이에 따라,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은 힌지 부위가 결속됨으로써,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 2서포트빔(444)의 외측에서 걸림자(456)를 가압할 경우, 걸림자(456)가 제 2서포트빔(444)의 내부로 눌려지면서,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은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게 된다.
또한, 걸고리(459)는 작동자(455)에서 연장되어 제 1힌지링(451)의 외부로 돌출된다. 걸고리(459)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작동자(455)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걸고리(459)는 제 1힌지링(451)의 외부로 돌출된 작동자(455)의 해당 부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작동자(455)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걸고리(459)를 구비하고, 타측에 걸림자(456)를 구비한다.
결속핀(460)은, 걸림자(456)가 대응되는 수용구(458)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힌지링(451)의 외부로 노출된 걸고리(459)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래서, 결속핀(460)은 걸고리(459)가 제 1서포트빔(442)의 내부로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이 일직선을 유지하며 대응되는 제 1서브빔(432)과 제 2서브빔(435)을 지지한다.
그리고, 결속핀(460)이 제거시, 걸고리(459)의 일부가 제 1서포트빔(44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허용된다. 걸고리(459)의 일부가 걸림자(456)와 함께 제 1서포트빔(442)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제 1서포트빔(442)과 제 2서포트빔(444)은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겐트리크레인 200: 거더
210: 이동바퀴 220: 회동안내브라켓
300: 트롤리 310: 가이드롤러
320: 판재 330: 고정브라켓
340: 설치안내브라켓 350: 풀리고리
360: 핸들 400: 레그
410: 메인빔 412: 손잡이
420: 픽스브라켓 430: 서브빔
432: 제 1서브빔 435: 제 2서브빔
440: 서포트빔 442: 제 1서포트빔
444: 제 2서포트빔 450: 접힘안내부
451: 제 1힌지링 453: 제 2힌지링
454: 탄성부재 455: 작동자
456: 걸림자 457: 가이드돌기
458: 수용구 459: 걸고리
460: 결속핀

Claims (3)

  1. 거더; 상기 거더에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트롤리; 및 상기 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바닥에 대해 상기 거더와 상기 트롤리를 지지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거더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빔; 상기 메인빔에 고정되는 픽스브라켓; 상기 픽스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픽스브라켓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벌어진 상태로 상기 거더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서브빔; 및 복수 개의 상기 서브빔이 벌어진 상태를 지지하여 상기 서브빔을 보강하는 서포트빔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빔은 상기 거더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 각각에 제 1서브빔과 제 2서브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트빔은, 상기 제 1서브빔의 축 방향을 따라 호 궤적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1서브빔에 연결되는 제 1서포트빔; 상기 제 2서브빔의 축 방향을 따라 호 궤적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서브빔에 연결되는 제 2서포트빔; 및 대응되는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2서포트빔을 접힘 가능하게 연결 고정하는 접힘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힘안내부는, 상기 제 1서포트빔의 축 방향을 따라 단부에 고정되는 제 1힌지링;
    상기 제 2서포트빔의 축 방향을 따라 단부에 고정되고, 대응되는 상기 제 1힌지링과 힌지 연결되는 제 2힌지링;
    상기 제 1서포트빔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며, 일부가 상기 제 1서포트빔과 상기 제 1힌지링의 둘레면 타측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 1서포트빔의 단부로 돌출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걸림자를 구비하는 작동자;
    상기 제 2서포트빔의 둘레면 타측과 상기 제 2힌지링에 일치되게 통공되어 상기 걸림자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는 수용구;
    상기 제 1힌지링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작동자에서 연장되는 걸고리; 및
    상기 걸림자가 상기 수용구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 1힌지링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걸고리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걸고리가 상기 제 1서포트빔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이동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거더 또는 상기 레그는, 접혀진 상태로 상기 이동바퀴의 구름 회전으로 이동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3. 삭제
KR1020210090791A 2021-07-12 2021-07-12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KR10234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791A KR102348846B1 (ko) 2021-07-12 2021-07-12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791A KR102348846B1 (ko) 2021-07-12 2021-07-12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846B1 true KR102348846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791A KR102348846B1 (ko) 2021-07-12 2021-07-12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016B1 (ko) 2023-04-28 2023-09-15 주식회사 모던특수 구조 개선된 겐트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2861A1 (en) * 2008-02-20 2011-06-09 Reid Lifting Limited Upright support for gantry
JP2016094301A (ja) * 2011-05-18 2016-05-26 リード・リフティング・リミテッド 折畳式ガントリ
KR101752450B1 (ko) 2016-05-13 2017-07-11 주식회사 지트 갠트리 크레인
KR102013543B1 (ko) 2019-01-24 2019-08-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새들 조절형 수동 겐트리 크레인
KR102228841B1 (ko) 2020-09-28 2021-03-17 주식회사 씨케이코퍼레이션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KR102250517B1 (ko) 2020-11-18 2021-05-10 맹수영 붐포스트 회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2861A1 (en) * 2008-02-20 2011-06-09 Reid Lifting Limited Upright support for gantry
JP2016094301A (ja) * 2011-05-18 2016-05-26 リード・リフティング・リミテッド 折畳式ガントリ
KR101752450B1 (ko) 2016-05-13 2017-07-11 주식회사 지트 갠트리 크레인
KR102013543B1 (ko) 2019-01-24 2019-08-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새들 조절형 수동 겐트리 크레인
KR102228841B1 (ko) 2020-09-28 2021-03-17 주식회사 씨케이코퍼레이션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KR102250517B1 (ko) 2020-11-18 2021-05-10 맹수영 붐포스트 회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016B1 (ko) 2023-04-28 2023-09-15 주식회사 모던특수 구조 개선된 겐트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93317B (zh) 稳定设备
US20130168522A1 (en) Supporting lattice framework
KR102348846B1 (ko)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US8991626B2 (en) Portable lifting system
EP2716267B1 (en) Wheelchair lift
EP2055362B1 (en) Upright support structure for a fairground attraction, in particular a ferris wheel
AU2001267255B2 (en) Articulated jib crane
JP2020132298A (ja) ストラットバックストップ装置
US6872144B2 (en) Amusement device
JP2016094301A (ja) 折畳式ガントリ
US20100116766A1 (en) Mobile lift crane with lift enhancing attachment
KR20140135551A (ko) 가변형 작업대
JP2015221703A (ja) ブーム輸送用固定装置、移動式クレーンの組立方法、および、多段式ブーム
JP6495156B2 (ja) 重力作動式クレーン止め具
EP2711328B1 (en) Self-erecting crane
JP5937541B2 (ja) 作業機の昇降装置
JP3433206B2 (ja) 機材支持スタンドの支脚開閉構造
EP3339237B1 (en) Hydraulic crane
JP2022190553A (ja) クレーンのバックストップ姿勢変更装置
KR20200024063A (ko) 스태킹 랙
WO2022264497A1 (ja) バックストップ
JP2000203789A (ja) 作業車の折り畳みガ―ド
WO2023105982A1 (ja) クレーン
JP7322610B2 (ja) クレーンのバックストップ姿勢変更装置
JP2019042033A (ja) 脚部の回動制御機構ならびにこれを使用する折り畳みテーブルおよびトラックの箱形荷台分割用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