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841B1 -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 Google Patents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841B1
KR102228841B1 KR1020200125495A KR20200125495A KR102228841B1 KR 102228841 B1 KR102228841 B1 KR 102228841B1 KR 1020200125495 A KR1020200125495 A KR 1020200125495A KR 20200125495 A KR20200125495 A KR 20200125495A KR 102228841 B1 KR102228841 B1 KR 10222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hinge
boom post
boom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다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케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케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케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2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반가능한 크기로 분해된 붐포스트유닛을 이동시키는데 있어, 층고 간섭과 전도(顚倒)방지를 위해 붐포스트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붐포스트유닛에 4축 방향(전/후/좌/우)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동견인수단을 연결시키되 2조 1셋 또는 4조 1셋으로 병렬 배치된 붐포스트유닛간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운반물을 운반시키고, 더불어 붐포스트유닛간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날 경우 전동견인수단을 비상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GANTRY CRANE ASSEMBLY FOR 4 AXIS ELECTRIC}
본 발명은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가능한 크기로 분해된 붐포스트유닛을 이동시키는데 있어, 층고 간섭과 전도(顚倒)방지를 위해 붐포스트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붐포스트유닛에 4축 방향(전/후/좌/우)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동견인수단을 연결시키되 2조 1셋 또는 4조 1셋으로 병렬 배치된 붐포스트유닛간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운반물을 운반시키고, 더불어 붐포스트유닛간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날 경우 전동견인수단을 비상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LCD, PDP, LED, 태양전지, 2차전지 생산설비 등은 엄격한 청결조건을 요하는 크린룸(clean room)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다.
이러한 크린룸에는 통상의 지게차나 크레인 장비 등이 투입될 수 없어 종래
에는 무게가 대략 수톤 내지 수십톤정도로 대형이면서 무거운 하중을 지닌 각종 생산설비를 크린룸에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운반가능한 소형크기로 각종 생산설비를 분해, 해체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운반물의 크기에 부합되는 크기로 하부에 복수개의 바퀴가 설치된 대형크기의 운반카트를 제작하여 상기 운반카트위에 운반물을 올려놓고 여러명의 인원이 운반카트 위의 운반물을 밀어 이동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반카트를 이용한 방법은 운반물의 크기에 부합되는 운반카트를 구비해야만 안전한 운반이 가능하므로 운반시마다 운반물에 부합되는 크기의 운반카트를 직접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중이 크고 대형인 운반물의 경우 외부에서 크린룸으로 반입시에는 통상의 지게차나 크레인 등으로 운반물을 운반카트에 올려 운반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크린룸으로부터 운반물을 반출시에는 통상의 지게차나 크레인 등이 크린룸으로 투입될 수 없어 작업자가 운반카트에 대형의 운반물을 올려놓지 못해 결국 소형크기로 해체 작업 후 운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66880호)은 분리 해체된 하부이동지지대를 이동하는데 있어, 메인포스트와 서브포스트의 높이로 인해 건물의 층고 간섭이 발생되기 때문에 메인포스트와 서브포스트 역시 분리 해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설치비용 역시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의 층고 간섭이 없는 경우에도 메인포스트와 서브포스트의 높이에 따라 편중된 무게 중심으로 인해 전도(顚倒)가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휠스타트유닛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3500호)은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이 정지상태에서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바, 휠스타트유닛으로 운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휠스타트유닛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은 2개의 휠스타트유닛을 수동으로 동시에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에 병렬로 조합된 붐포스트유닛 간에 간격을 유지하기 어려워 메인포스트 구조물의 손상이 발생되거나 운반물이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668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835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운반가능한 크기로 분해된 붐포스트유닛을 이동시키는데 있어, 층고 간섭과 전도(顚倒)방지를 위해 높이가 높은 붐포스트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을 4축 방향(전/후/좌/우)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동견인수단을 붐포스트유닛에 연결시키되, 병렬 배치된 붐포스트유닛 간의 간격을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운반물을 운반시키고, 더불어 붐포스트유닛 간의 간격이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나는 경우 전동견인수단을 비상 정지시켜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운반물의 높이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붐포스트유닛이 병렬로 2조 1셋 또는 4조 1셋으로 조합되는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붐포스트유닛은 저면에 복수개의 종동휠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직립 고정되는 고정포스트;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직립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수평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를 매개로 고정포스트와 힌지 결합되는 붐포스트;와, 상기 붐포스트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견인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전동견인수단;과, 상기 붐포스트유닛을 좌/우 방향으로 견인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전동견인수단과 교차되는 방향인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전동견인수단; 및 상기 붐포스트유닛이 좌/우 진행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종동견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과 종동견인수단은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행할 시 진행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부는 붐포스트의 회전 간섭을 없애기 위해 상기 붐포스트를 베이스프레임에서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붐포스트는 이동시 층고 간섭과 상향으로 편중된 무게 중심으로 인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수평회동되어 고정포스트의 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포스트에 수평 안착된 붐포스트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포스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포스트는 붐포스트의 반분된 크기이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붐포스트의 무게 중심이 평행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폭방향 양측으로 상향으로 접이되게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아우트리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은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관절부를 갖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절부와 힌지핀을 통해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부를 갖고 내부에는 구동수단이 내장된 이동휠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2차전지와 외부컨트롤러의 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모듈이 내장된 함체로 구성되고, 상기 종동견인수단은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관절부를 갖는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절부와 힌지핀을 통해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부를 갖고 이동휠을 구비한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 및 종동견인수단의 하우징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블럭과, 상기 각 간격블럭을 가로 질러 관통 결합되는 링크핀과, 상기 링크핀과 교차되게 링크 연결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수직장홈에 관통 결합되는 스프링이 외장된 복수의 연결봉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타면에서 상기 각 연결봉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 및 종동견인수단(50c)의 하우징은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연결봉의 체결깊이에 따라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되어 이동휠이 지면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2발명에서, 4조 1셋으로 상호 병렬 배치되어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 중 상호 간 직렬 연결된 붐포스트유닛에 결합된 제2전동견인수단의 함체에는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와, 상기 각 붐포스트유닛 사이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기초로 구동수단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비상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호 간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 사이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나는 비상신호가 거리측정센서에 의해 입력될 경우 송신모듈을 통해 3개의 붐포스트유닛에 결합된 제2전동견인수단으로 송출하여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결합된 종동휠은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제7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힌지부는 붐포스트에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제1힌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힌지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되게 상기 고정포스트에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제2힌지플레이트와, 상기 제1힌지플레이트와 제2힌지플레이트를 가로질러 삽입되는 힌지봉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제2힌지플레이트의 면상에는 힌지봉이 승강될 수 있도록 수직장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각 제2힌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이격수단을 설치하기 위해 수평결합된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은, 제7발명에서, 상기 이격수단은 유압/전동 자키(미도시) 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상향으로 나선 결합된 승강볼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볼트의 단부는 힌지봉의 회전방지를 위해 제1힌지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된 힌지봉의 저면에 부분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에 따르면, 운반가능한 크기로 분해된 붐포스트유닛을 이동시키는데 있어 높이가 높은 붐포스트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전환할 수 있어 건물의 층고 간섭과 전도(顚倒)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붐포스트유닛에 제1,2전동견인수단을 연결시켜 최소한의 인원으로 운반물의 운반과 4축방향으로 손쉽게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렬 배치된 붐포스트유닛 간의 간격을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운반물을 운반시키고, 더불어 붐포스트유닛 간의 간격이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나는 경우 전동견인수단을 비상 정지시켜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가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붐포스트유닛이 4조 1셋으로 조합된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붐포스트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붐포스트의 수평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붐포스트유닛의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발췌된 제1,2전동견인수단의 사시도와, 제1,2전동견인수단 및 종동견인수단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1,2전동견인수단의 이동휠이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8은 도 1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의 제2전동견인수단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붐포스트유닛이 4조 1셋으로 조합된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붐포스트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붐포스트의 수평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붐포스트유닛의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발췌된 제1,2전동견인수단의 사시도와, 제1,2전동견인수단 및 종동견인수단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제1,2전동견인수단의 이동휠이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8은 도 1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의 제2전동견인수단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게가 대략 수톤 내지 수십톤정도로 대형이면서 무거운 하중을 지닌 각종 생산설비를 반입 또는 반출하기 위해 붐포스트유닛이 2조 1셋 또는 4조 1셋으로 조합된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운반가능한 크기로 분해된 붐포스트유닛을 이동시키는데 있어, 층고 간섭과 전도(顚倒)방지를 위해 높이가 높은 붐포스트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을 4축 방향(전/후/좌/우)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동견인수단을 붐포스트유닛에 연결시키되, 병렬 배치된 붐포스트유닛 간의 간격을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운반물을 운반시키고, 더불어 병렬연결된 붐포스트유닛 간의 간격이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나는 경우 전동견인수단을 비상 정지시켜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를 이루는 붐포스트유닛(100)은 크게 4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베이스프레임(10)과, 고정포스트(20)와, 붐포스트(30),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 및 종동견인수단(50c)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하중을 지탱하도록 저면에 복수개의 종동휠(13)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종동휠(13)은 붐포스트유닛(100)의 전/후 또는 좌/우 이동방향에 따라 유압 자키를 통해 붐포스트유닛(100)을 지면에서 들어올려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전도 방지를 위해 폭방향 양측으로는 신축되는 다수의 아우트리거(12)가 상향으로 접이되게 힌지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아우트리거(12)에는 위치를 고수할 수 있는 제1접시머리 지지축(123)과, 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종동휠(13)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또한 상향으로 접이시에는 고정핀(미도시)을 통해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핀결합플레이트(12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포스트(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직립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포스트(20)는 직립 고정된 붐포스트(30)를 지지하는 한편, 수평 회전된 붐포스트(30)를 수평안착시키는 주(住) 기능을 겸한다.
상기 붐포스트(30)는 운반물의 높이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게 신축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서브포스트(31)가 다단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서브포스트(31)는 붐포스트(30)에 구비된 윈치(32)의 회전에 방향과 연동되어 신축됨으로써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붐포스트(30)는 이동시 층고 간섭과 상향으로 편중된 무게 중심으로 인한 전도(顚倒)를 방지하기 위해 수평회동되어 고정포스트(20)의 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붐포스트(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직립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수평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40)를 매개로 고정포스트(20)와 힌지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고정포스트(20)는 붐포스트(30)의 반분된 크기이고,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붐포스트(30)의 무게 중심이 평행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상기 붐포스트(30)의 회동을 보다 편리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포스트(30)에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제1힌지플레이트(41)와, 상기 제1힌지플레이트(41)의 내측에 배치되게 상기 고정포스트(20)에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제2힌지플레이트(42)와, 상기 제1힌지플레이트(41)와 제2힌지플레이트(42)를 가로질러 삽입되는 힌지봉(4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40)에는 붐포스트(30)의 회전 간섭을 없애기 위해 상기 붐포스트(30)를 베이스프레임(10)에서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각 제2힌지플레이트(42)의 면상에 힌지봉(43)이 승강될 수 있도록 수직장홈(H)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각 제2힌지플레이트(42)의 하부에는 이격수단을 설치하기 위해 수평결합된 지지플레이트(42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격수단은 유압/전동 자키(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힌지봉(43)을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421)의 저면에서 상향으로 나선 결합된 승강볼트(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볼트(44)의 단부는 힌지봉(43)의 회전방지를 위해 제1힌지플레이트(41)의 외측으로 노출된 힌지봉(43)의 저면에 부분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술된 승강볼트(44)는 나선 이동에 의해 힌지봉(43)이 제2힌지플레이트(42)에 형성된 수직장홈(H)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힌지봉(43)이 상승되면 힌지봉(43)에 삽입된 제1힌지플레이트(41)가 동반 상승함에 따라 붐포스트(30)를 베이스프레임(10)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격된 붐포스트(30)는 힌지봉(43)이 승강볼트(44)의 부분 삽입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1힌지플레이트(41)와 함께 힌지봉(43)을 중심으로 자유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포스트(20)에 수평 안착된 붐포스트(30)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포스트(14)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상기 지지포스트(14)는 붐포스트유닛(100)을 이동시킬 때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목적하고자 하는 장소에 이동된 상태에서는 분리된다.(도 5참조)
아울러 상기 고정포스트(20)에는 수평회동된 붐포스트(30)를 수직으로 회동시킬 경우, 자중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가속에 따른 충돌을 방지함과 더불어 붐포스트(30)의 수직 결합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제2접시머리 지지축(21)을 더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동견인수단(50a)은 상기 붐포스트유닛(100)을 전/후 방향으로 견인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전동견인수단(50b)은 상기 붐포스트유닛(100)을 좌/우 방향으로 견인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전동견인수단(50a)과 교차되는 방향인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상술된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은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 또는 붐포스트유닛(10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동 이동은 물론,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 또는 붐포스트유닛(100)이 정지상태에서도 손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제1관절부(512a)를 갖는 제1관절부(512a)와, 상기 제1관절부(512a)와 힌지핀(513a)을 통해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부(513)를 갖고 내부에는 구동수단(517)이 내장된 이동휠(511)을 구비한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2차전지(521)와 외부컨트롤러(미도시)의 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모듈(523)이 내장된 함체(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관절부(512a,513)는 힌지핀(513a)을 통해 지면의 표면굴곡에 따라 하우징(51)의 기울기를 조절시켜 이동휠(511)의 견인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종동견인수단(50c)은 분리된 붐포스트유닛(100)을 제2전동견인수단(50b)에 의해 단독으로 견인될 때 좌/우 진행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종동견인수단(50c)은 베이스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제1관절부(512a)를 갖는 제1관절부(512a)와, 상기 제1관절부(512a)와 힌지핀(513a)을 통해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부(513)를 갖고 이동휠(511)을 구비한 하우징(51)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종동견인수단(50c)은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과는 달리 함체와 구동수단(517)이 제거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 및 종동견인수단(50c)의 하우징(51)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블럭(514)과, 상기 각 간격블럭(514)을 가로 질러 관통 결합되는 링크핀(516)과, 상기 링크핀(516)과 교차되게 링크 연결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512)에 형성된 수직장홈(H)에 관통 결합되는 스프링(515a)이 외장된 복수의 연결봉(515)과, 상기 연결플레이트(512)의 타면에서 상기 각 연결봉(515)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N)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봉(515)의 단부는 너트(N)를 통해 고정되며, 외장된 스프링에 의해 상하 기울기가 조절되는 하우징(51)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한다.
아울러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과 종동견인수단(50c)은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행할 시 진행간섭을 피하도록 선택적으로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N)에 체결되는 연결봉(515)의 체결깊이를 크게 하여 힌지핀(513a)을 중심으로 하우징을 상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이동휠(511)이 지면에서 이격되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전동견인수단(50a)에 의해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전동견인수단(50b)과 종동견인수단(50c)의 이동휠(511)을 지면에 상향 이격시키고, 제2전동견인수단(50b)에 의해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제1전동견인수단(50a)의 이동휠(511)을 지면에 이격시켜 주행간섭을 없앨 수 있다.
아울러 4조 1셋으로 상호 병렬 배치되어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100) 중 상호 간 직렬 연결된 붐포스트유닛(100)에 결합된 제2전동견인수단(50b)의 함체(52)에는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100)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524)와, 상기 각 붐포스트유닛(100) 사이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이 저장된 메모리(525)와, 상기 메모리(525)에 저장된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기초로 구동수단(517)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526)와, 비상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모듈(52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26)는 상호 간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100) 사이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나는 비상신호가 거리측정센서(524)에 의해 입력될 경우 송신모듈(527)을 통해 3개의 붐포스트유닛(100)에 결합된 제2전동견인수단(50b)으로 송출하여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붐포스트의 회전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가 운반가능한 크기로 분해된 붐포스트유닛(100)을 이동시키는데 있어, 붐포스트(30)가 직립된 상태에서는 층고 간섭과 상향으로 편중된 무게 중심으로 인한 전도(顚倒)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층고 간섭을 피하고, 전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0)에 고정된 붐포스트(30)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 때 상기 붐포스트(30)는 베이스프레임(10)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고중량의 붐포스트(30)를 회전시킬 수 없는 상태이다.
때문에 승강볼트(44)를 렌치와 같은 도구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볼트(44)는 지지플레이트(421)에 나선 결합되어 구성되는 바, 상기 승강볼트(44)의 회전시켜 승강볼트(44)를 상승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승강볼트(44)의 단부는 힌지봉(43)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승강볼트가 상승하면 상기 힌지봉(43) 역시 상승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힌지플레이트(42)는 장홈(H)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고정포스트(20)와 함께 그 위치가 고수되는 반해, 제1힌지플레이트(41)는 힌지봉(43)과 같이 상승됨으로 결국, 제1힌지플레이트(41)가 결합된 붐포스트(30)는 베이스프레임(10)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 후 붐포스트(30)는 회동간섭이 없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쉽게 붐포스트(30)를 180°수평 회동시켜 고정포스트(20)의 상단에 안착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붐포스트(30)의 양측은 불안정한 상태인데, 도 5과 같이,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지지포스트(14)를 고정시켜 붐포스트(30)의 일측과 타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로 붐포스트유닛(100)을 이동시킨다.
한편 붐포스트유닛(100)을 목적하고 하는 장소에 이동시킨 후에는 운반물의 크기에 부합되는 크기로 붐포스트유닛을 정렬한다.
그리고 일련의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여 붐포스트(30)를 직립시키고, 후크(211)가 형성된 거더(210)와 함께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를 완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의 붐포스트유닛이 2조 1셋 또는 4조 1셋으로 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운반물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6조 1셋, 8조 1셋과 같이 증설하여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전동견인수단의 작동에 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의 붐포스트유닛(100)이 4조 1셋으로 조합되어 있을 경우, 4개의 붐포스트유닛(100)에는 각각 제2전동견인수단(50b)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호 간 직렬연결된 2개의 붐포스트유닛(100)은 또다른 2개의 붐포스트유닛(100)과 거더(210)를 통해 병렬 연결된다.
상호 병렬 배치되어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100) 중 상호 간 직렬 연결된 붐포스트유닛(100)에 결합된 제2전동견인수단(50b)의 함체(52)에는 거리측정센서(534)와, 메모리(525)와, 제어부(526) 및 송신모듈(527)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수신모듈(523)을 통해 외부컨트롤러(미도시)의 신호가 입력되면 제2전동견인수단(50b)의 구동수단(517)이 작동하여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을 좌측 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아울러 거리측정센서(524)는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100)의 함체(52)를 표적으로 삼거나 어느 한 부분을 표적으로 삼아 거리값을 측정하게 된다.
이 때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100)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멀어질 경우, 제어부(526)는 하우징(51)에 내장된 구동수단(517)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붐포스트유닛(100) 간에 거리를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의 범위 내로 제어한다.
유사시 거리측정센서(524)을 통해 메모리(525)에 저장된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는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어부(526)는 구동수단(517)을 비상 정지시키고, 더불어 송신모듈(527)을 통해 비상신호값을 또 다른 3개의 제2전동견인수단(50b)으로 송출하여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의 이동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진행 중 붐포스트유닛(100) 간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날 경우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을 비상 정지시켜 운반체의 낙하를 방지하고, 더불어 거더와 연결된 붐포스트유닛(100) 간의 비틀림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베이스프레임 12: 아우트리거 121: 핀결합플레이트
123: 제1접시머리 지지축 13: 종동휠
14: 지지포스트
20: 고정포스트 21: 제2접시머리 지지축
30: 붐포스트 31: 서브포스트 32: 윈치
40: 힌지부 41: 제1힌지플레이트 42: 제2힌지플레이트
421: 지지플레이트 43: 힌지봉
44: 승강볼트
50a: 제1전동 견인수단 50b: 제2전동 견인수단 50c: 종동견인수단
51: 하우징 511: 이동휠
512: 연결플레이트 512a: 제1관절부
513: 제2관절부 513a: 힌지핀
514: 간격블럭 515: 연결봉
515a: 스프링 516: 링크핀
517: 구동수단 52: 함체
521: 2차전지 523: 수신모듈
524: 거리측정센서 525: 메모리
526: 제어부 527: 송신모듈
100: 붐포스트유닛
200: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210: 거더 211: 후크
H: 수직장홈 N: 너트

Claims (8)

  1. 운반물의 높이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붐포스트유닛(100)이 병렬로 2조 1셋 또는 4조 1셋으로 조합되는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에 있어서,
    상기 붐포스트유닛(100)은
    저면에 복수개의 종동휠(13)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직립 고정되는 고정포스트(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직립 고정되되, 선택적으로 수평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40)를 매개로 고정포스트(20)와 힌지 결합되는 붐포스트(30);
    상기 붐포스트유닛(100)을 전/후 방향으로 견인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전동견인수단(50a);
    상기 붐포스트유닛(100)을 좌/우 방향으로 견인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전동견인수단(50a)과 교차되는 방향인 베이스프레임(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2전동견인수단(50b); 및
    상기 붐포스트유닛(100)이 좌/우 진행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종동견인수단(5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과 종동견인수단(50c)은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행할 시 진행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지면에서 이격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40)는 붐포스트(30)의 회전 간섭을 없애기 위해 붐포스트(30)를 베이스프레임(10)에서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붐포스트(30)는 이동시 층고 간섭과 상향으로 편중된 무게 중심으로 인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수평회동되어 고정포스트(20)의 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포스트(20)에 수평 안착된 붐포스트(30)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포스트(14)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포스트(20)는 붐포스트(30)의 반분된 크기이고,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붐포스트(30)의 무게 중심이 평행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폭방향 양측으로 상향으로 접이되게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아우트리거(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은 베이스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제1관절부(512a)를 갖는 연결플레이트(512)와, 상기 제1관절부(512a)와 힌지핀(513a)을 통해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부(513)를 갖고 내부에는 구동수단(517)이 내장된 이동휠(511)을 구비한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상부면에 탑재되고 구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2차전지(521)와 외부컨트롤러의 신호를 입력받는 수신모듈(523)이 내장된 함체(52)로 구성되고,
    상기 종동견인수단(50c)은 베이스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제1관절부(512a)를 갖는 연결플레이트(512)와, 상기 제1관절부(512a)와 힌지핀(513a)을 통해 힌지 연결되는 제2관절부(513)를 갖고 이동휠(511)을 구비한 하우징(5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 및 종동견인수단(50c)의 하우징(51)은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간격블럭(514)과, 각 간격블럭(514)을 가로 질러 관통 결합되는 링크핀(516)과, 상기 링크핀(516)과 교차되게 링크 연결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512)에 형성된 수직장홈(H)에 관통 결합되는 스프링(515a)이 외장된 복수의 연결봉(515)과, 상기 연결플레이트(512)의 타면에서 상기 각 연결봉(515)과 나사 결합되는 너트(N)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전동견인수단(50a,50b) 및 종동견인수단(50c)의 하우징(51)은 너트(N)에 체결되는 연결봉(515)의 체결깊이에 따라 힌지핀(513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되어 이동휠(511)이 지면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4조 1셋으로 상호 병렬 배치되어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100) 중 상호 간 직렬 연결된 붐포스트유닛(100)에 결합된 제2전동견인수단(50b)의 함체(52)에는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100)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524)와, 상기 각 붐포스트유닛(100) 사이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이 저장된 메모리(525)와, 상기 메모리(525)에 저장된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기초로 구동수단(517)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526)와, 비상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526)는 상호 간 마주보는 붐포스트유닛(100) 사이의 최대임계 거리값과 최소임계 거리값을 벗어나는 비상신호가 거리측정센서(524)에 의해 입력될 경우 송신모듈(527)을 통해 3개의 붐포스트유닛(100)에 결합된 제2전동견인수단(50b)으로 송출하여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200)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결합된 종동휠(13)은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40)는 붐포스트(30)에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제1힌지플레이트(41)와, 상기 제1힌지플레이트(41)의 내측에 배치되게 상기 고정포스트(20)에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제2힌지플레이트(42)와, 상기 제1힌지플레이트(41)와 제2힌지플레이트(42)를 가로질러 삽입되는 힌지봉(43)으로 구성되되, 각 제2힌지플레이트(42)의 면상에는 힌지봉(43)이 승강될 수 있도록 수직장홈(H)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각 제2힌지플레이트(42)의 하부에는 이격수단을 설치하기 위해 수평결합된 지지플레이트(4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유압/전동 자키 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21)의 저면에서 상향으로 나선 결합된 승강볼트(44)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볼트(44)의 단부는 힌지봉(43)의 회전방지를 위해 제1힌지플레이트(41)의 외측으로 노출된 힌지봉(43)의 저면에 부분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KR1020200125495A 2020-09-28 2020-09-28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KR10222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95A KR102228841B1 (ko) 2020-09-28 2020-09-28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95A KR102228841B1 (ko) 2020-09-28 2020-09-28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841B1 true KR102228841B1 (ko) 2021-03-17

Family

ID=7524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95A KR102228841B1 (ko) 2020-09-28 2020-09-28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8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846B1 (ko) 2021-07-12 2022-01-06 오승재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KR102484730B1 (ko) * 2022-10-11 2023-01-03 맹수영 붐포스트 자동 상승 및 하강유닛을 갖는 붐포스트 회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CN116946888A (zh) * 2023-09-20 2023-10-27 邹城市巨力机械有限公司 一种可移动式重物提升龙门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594A (ja) * 1992-12-14 1994-06-28 Nagano Yuki Kk 門形クレーン
KR100466880B1 (ko) 2003-04-10 2005-01-2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동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 복합사 및 그제조방법
KR101283500B1 (ko) 2012-12-28 2013-07-12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휠스타트유닛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200484327Y1 (ko) * 2016-06-03 2017-08-25 지응수 상품진열용 선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9594A (ja) * 1992-12-14 1994-06-28 Nagano Yuki Kk 門形クレーン
KR100466880B1 (ko) 2003-04-10 2005-01-2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동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 복합사 및 그제조방법
KR101283500B1 (ko) 2012-12-28 2013-07-12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휠스타트유닛이 구비된 조립식 갠트리 크레인
KR200484327Y1 (ko) * 2016-06-03 2017-08-25 지응수 상품진열용 선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846B1 (ko) 2021-07-12 2022-01-06 오승재 접이식 겐트리크레인
KR102484730B1 (ko) * 2022-10-11 2023-01-03 맹수영 붐포스트 자동 상승 및 하강유닛을 갖는 붐포스트 회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CN116946888A (zh) * 2023-09-20 2023-10-27 邹城市巨力机械有限公司 一种可移动式重物提升龙门架
CN116946888B (zh) * 2023-09-20 2023-12-15 邹城市巨力机械有限公司 一种可移动式重物提升龙门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841B1 (ko)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KR102250517B1 (ko) 붐포스트 회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US4257491A (en) Scaffold apparatus
US9786397B2 (en) Cask transport assembly
KR101506634B1 (ko) 정밀설비물류용 리프트크레인
US3777900A (en) Building crane
US6048012A (en) Understructure lifting beam
JP6756518B2 (ja) クレーンを操作する方法及びクレーン
KR102279414B1 (ko)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EP1064215B1 (en) Construction hoist system
CN113795642B (zh) 用于将塔架或塔架段从非竖立位置枢转至竖立位置的工具布置结构
JP5927718B2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CN207243399U (zh) 一种可适用于拱形屋顶修缮的辅助装置
CN215439559U (zh) 一种电力检修用升降装置
EP4249706A2 (en) Tool arrangement for unloading a tower or a tower segment from a transportation vehicle and/or for storing the tower or the tower segment
US20150314989A1 (en) Material Lift Hoist Assembly
JP2012025540A (ja) ジブクレーンとその解体方法
US11971013B2 (en) Tool arrangement for unloading a tower or a tower segment from a transportation vehicle and/or for storing the tower or the tower segment
JP651021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解体方法、組立方法、及び解体組立装置
CN214996136U (zh) 一种停车场施工用装配式材料升降设备
CN213037291U (zh) 一种房屋建筑施工简易起吊设备
CN211644369U (zh) 一种箱体吊装平衡调节机构
CN217079860U (zh) 一种多立柱伞式遮阳棚框架
KR102484730B1 (ko) 붐포스트 자동 상승 및 하강유닛을 갖는 붐포스트 회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CN105668469A (zh) 一种液压支架检修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