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627B1 - 이동식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발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627B1
KR101399627B1 KR1020120066172A KR20120066172A KR101399627B1 KR 101399627 B1 KR101399627 B1 KR 101399627B1 KR 1020120066172 A KR1020120066172 A KR 1020120066172A KR 20120066172 A KR20120066172 A KR 20120066172A KR 101399627 B1 KR101399627 B1 KR 101399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member
footrest
clamp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718A (ko
Inventor
김진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627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발판부,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장의 지지 부재에 상기 바디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부, 및 상기 발판부와 상기 바디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발판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식 발판 장치{PORTABLE FOOTHOLD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식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업자가 딛고 서서 작업을 하거나 또는 지면보다 높은 벽이나 기타 지형물들을 작업자가 넘어가기 위하여 사다리 등과 같이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보조 장치들이 이용된다.
높은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사다리를 이용하는 경우, 지면의 고른 정도, 경사 정도 등의 지면의 상황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작업자가 밟고 올라 작업을 하거나, 밟고 올라 넘어가는 경우 사다리 등이 넘어질 수도 있다.
또한, 공간이 협소한 곳에 상대적으로 긴 사다리 등을 이용할 수 없으며, 긴 사다리를 운반시 많은 제약이 따르고 불편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1410호(2008.12.02 공고, 전주용 접이식 작업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지면의 상황에 제약을 받지 않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하며, 필요한 장소로 포개어 운반할 수 있는 편리성이 증대된 이동식 발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발판부,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장의 지지 부재에 상기 바디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부, 및 상기 발판부와 상기 바디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발판 장치가 제공된다.
클램프부는, 바디부를 수평형 지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수평클램프부; 및
바디부를 수직형 지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클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클램프부는, 수평형 지지 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본체부, 및
본체부가 수평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본체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클램프부는, 수직형 지지 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본체부 및 본체부가 상기 수직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하는 할 수 있다.
스토퍼부는, 양단부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발판부에 각각 결합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부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 측으로 포개어 진 발판부를 바디부에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발판부는 한 쌍의 바디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스토퍼부는 한 쌍의 바디부 및 발판부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식 발판 장치를 이용하여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또는 지면보다 높은 벽이나 기타 지형물들을 작업자가 넘어가야 하는 경우, 작업자가 딛고 작업을 하거나, 딛고 넘어갈 수 있는 발판 장치로서, 지면의 상황에 제약을 받지 않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하며, 필요한 장소로 포개어 운반할 수 있어 편리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가 포개어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의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는 바디부(100), 발판부(200), 클램프부(300), 및 스토퍼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본 발명인 이동식 발판 장치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발판부(200), 클램프부(300) 및 스토퍼부(400)가 바디부(100)에 결합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판부(200)는 바디부(100)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발판부(200)가 바디부(10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함으로써, 발판부(200)는 바디부(100)로부터 펼쳐지거나 또는 포개어질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시 발판부(200)를 펼쳐 발딤음을 위한 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되고, 운반시 발판부(200)를 포개어 접어 운반의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클램프부(300)는 발판부(200)가 결합된 바디부(100)의 일단부와는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장의 지지 부재에 바디부(10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바디부(100)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의 작업장의 지지 부재에 클램프부(300)를 결합하여 작업을 하거나, 또는 높은 공간을 넘어가기 위한 보조 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클램프부(300)는 수평형 지지 부재에 바디부(100)를 고정하기 위한 수평클램프부(310)및 수직형 지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클램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클램프부(310)및 수직클램프부(320)가 하나의 이동식 발판 장치에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이동식 발판 장치를 더욱 다양한 장소에 활용할 수 있게된다.
수평클램프부(310)는 제1 본체부(311) 및 제1 지지바(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부(311)는 일측부가 개방된 공간부를 마련하고, 수평형 지지 부재가 본체부의 개방된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지지바(312)는 제1 본체부(311)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본체부(311)가 수평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수평형 지지 부재가 제1 본체부(311)의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지지바(312)를 나사결합하여 본체부가 수평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수직클램프부(320)는 제2 본체부(321) 및 제2 지지바(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부(321)는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를 마련하고, 수직형 지지 부재가 본체부의 개방된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지지바(322)는 제2 본체부(321)에 나사 결합되어 제2 본체부(321)가 수평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수평형 지지 부재가 제2 본체부(321)의 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지지바(312)를 나사결합하여 제2 본체부(321)가 수평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스토퍼부(400)는 스포퍼부의 양단부가 각각 바디부(100) 및 발판부(200)에 결합된다.
발판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바디부(100)에 결합되어 있고, 바디부(1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바디부(100)는 회전하므로, 스토퍼부(400)는 발판부(200)와 바디부(100)가 형성하는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회전 가능한 발판부(20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부(400)는 일단이 바디부(100)에 결합하고 타단이 발판부(200)에 결합하여 발판부(200)와 바디부(100)가 형성하는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이 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스토퍼부(400)는 작업자가 발판부(200)를 디딜때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인장력을 구비하여야 한다.
스토퍼부(400)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부(400)는 각각 일단은 바디부(10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발판부(200)에 결합된다. 각 스토퍼부(400)는 바디부(1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부(200)와 바디부(100)는 작업자가 작업이나 이동을 위해 이동식 운반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동식 운반 장치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경우에는 포개어 접어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발판부(200)와 바디부(100)의 포개어 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디부(100)에는 잠금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500)는 바디부(100) 측으로 포개어진 발판부(200)를 바디부(100)에 고정시켜 운반이나 보관시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는 바디부(100) 및 발판부(200)를 한 쌍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작업자가 높은 부재를 통과해야 하는 경우 이동식 발판 장치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작업자가 높은 부재를 넘어서 통과해야 하는 경우, 상기 높은 부재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발판부(200)가 형성되어, 높은 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발판부(200)는 오르는 계단의 역할을 수행하고, 높은 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발판부(200)는 내려가는 계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발판부(200)가 클램프부(300)의 양측으로 한 쌍이 형성되는 경우, 수직클램프부(320)에 작업장의 수직형 지지 부재가 삽입되고, 수직클램프부(320)와 수직형 지지 부재를 나사결합을 통하여 고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수직클램프부(320)의 제2 본체부(321)에 수직형 지지 부재가 삽입되고 제2 지지바(322)가 나사결합되어 이동식 발판 장치가 수직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게 된다.
수직형 지지 부재에 이동식 발판 장치를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함으로써, 작업자가 발판부(200)를 밟고 이동시 이동식 발판 장치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바디부(100) 및 발판부(200)를 한 쌍으로 구비하는 경우, 이에 대응한 스토퍼부(400) 또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즉 일측에서 바디부(100) 및 발판부(200)에 스토퍼부(400)가 연결되어 바디부(100) 및 발판부(200)가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형성되지 못하도록 막고, 타측에서도 바디부(100) 및 발판부(200)에 스토퍼부(400)가 연결되어 바디부(100) 및 발판부(200)가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형성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발판 장치는 지면 조건과 상관없이 수직형 지지 부재 또는 수평형 지지 부재가 있는 곳에 설치되어, 사다리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고, 이동식 발판 장치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작아 좁은 공간에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다.
또한, 사다리가 설치될 수 없는 공간의 조건에서도 설치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바디부 200: 발판부
300: 클램프부 310: 수평클램프부
311: 제1 본체부 312: 제1 지지바
320: 수직클램프부 321: 제2 본체부
322: 제2 지지바 400: 스토퍼부
500: 잠금부

Claims (8)

  1.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발판부;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작업장의 지지 부재에 상기 바디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부;
    상기 발판부와 상기 바디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발판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바디부 측으로 포개어 진 상기 발판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는 한 쌍의 상기 바디부에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부는 한 쌍의 상기 바디부 및 상기 발판부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부는 한 쌍의 상기 스토퍼부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발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바디부를 수평형 지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수평클램프부; 및
    상기 바디부를 수직형 지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수직클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발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클램프부는,
    상기 수평형 지지 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제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수평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발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클램프부는,
    상기 수직형 지지 부재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제2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상기 수직형 지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발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양단부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발판부에 각각 결합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발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발판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20066172A 2012-06-20 2012-06-20 이동식 발판 장치 KR101399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172A KR101399627B1 (ko) 2012-06-20 2012-06-20 이동식 발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172A KR101399627B1 (ko) 2012-06-20 2012-06-20 이동식 발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18A KR20130142718A (ko) 2013-12-30
KR101399627B1 true KR101399627B1 (ko) 2014-05-27

Family

ID=4998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172A KR101399627B1 (ko) 2012-06-20 2012-06-20 이동식 발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028A (ko) * 2014-12-11 2016-06-21 한국안전(주) 도로 포장공사 중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5806A (en) * 1994-10-03 1996-05-14 Mccabe; Ambrose R. Retriever ladder
US6722472B2 (en) * 2002-04-12 2004-04-20 Ronald L. Berkbuegler Adjustable tree sta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5806A (en) * 1994-10-03 1996-05-14 Mccabe; Ambrose R. Retriever ladder
US6722472B2 (en) * 2002-04-12 2004-04-20 Ronald L. Berkbuegler Adjustable tree sta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028A (ko) * 2014-12-11 2016-06-21 한국안전(주) 도로 포장공사 중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KR101646647B1 (ko) * 2014-12-11 2016-08-08 한국안전(주) 도로 포장공사 중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718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7572B2 (en) Workbench
US20160186494A1 (en) Stable Stepladder with Utility Tray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CA2460472A1 (en) Knock down sawhorse
GB2437735A (en) Collapsible, portable, free-standing scaffold
US8869937B2 (en) Combined portable step stool and workpiece support device
KR101399627B1 (ko) 이동식 발판 장치
KR20170101022A (ko) 발끝막이판이 접철되는 비계용 작업발판
KR100977715B1 (ko) 작업대
JP5019950B2 (ja) タンクローリー
KR20100024818A (ko)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KR200356582Y1 (ko) 이동식 접이 계단
JP4170940B2 (ja) 可搬式作業台
KR100855365B1 (ko) 작업대
US4556126A (en) Adjustable vehicle platform for a mechanic
GB2437737A (en) Collapsible, portable, free-standing scaffold
KR20150085879A (ko) 안전 사다리
CN106437479A (zh) 具有安全装置的井坑梯子
KR200461587Y1 (ko) 작업대의 안전바 어셈블리.
KR200494941Y1 (ko) 사다리
KR200347113Y1 (ko) 작업용 케이블 걸이대
KR20130004550U (ko) 휴대가 용이한 안전 작업대
JP2002167958A (ja) 作業台
JP2023073866A (ja) トラック用スタンション
KR20140014609A (ko) 작업발판용 다리 접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