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818A -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818A
KR20100024818A KR1020080083547A KR20080083547A KR20100024818A KR 20100024818 A KR20100024818 A KR 20100024818A KR 1020080083547 A KR1020080083547 A KR 1020080083547A KR 20080083547 A KR20080083547 A KR 20080083547A KR 20100024818 A KR20100024818 A KR 20100024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touch
fix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섭
Original Assignee
대명지이씨(주)
김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지이씨(주), 김규섭 filed Critical 대명지이씨(주)
Priority to KR102008008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818A/ko
Publication of KR2010002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지지대와 유동 지지대 및 자유회전 지지대를 구비하고, 이동식 작업대의 파이프의 지지대를 고정 지지대로 지지한 상태에서 유동 지지대로 펼치거나 접도록 하여 이동식 작업대를 보다 견고한 전도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이동식 작업대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 클립과; 일측에 고정클립을 고정하는 지지체로서 일측 측면과 하부가 오픈된 직육면체형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힌지핀이 관통 설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원터치용 푸시핀이 설치되는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고정 지지대의 힌지핀에 힌지 결합되어 일정각도로 회동하고, 원터치용 푸시핀을 가이드하며 동시에 원터치용 푸시핀에 의해서 움직임이 제한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유동 지지대와; 상기 유동 지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유동 지지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힌지핀을 통해 결합되는 자유 회전편을 갖는 자유회전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이동식, 작업대, 전도방지, 지지대

Description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A Supporter for Preventing Falling Dawm of Moving Work Shaft}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 지지대와 유동 지지대 및 자유회전 지지대를 구비하고, 이동식 작업대의 파이프의 지지대를 고정 지지대로 지지한 상태에서 유동 지지대로 펼치거나 접도록 하여 이동식 작업대를 보다 견고한 전도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작업대는 천정이나 높은 벽면에 이동하면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장비로서 최하층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퀴가 없는 작업대는 상부에 다층으로 적층되어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설치가 끝나면 바퀴를 고정하여야 하는데 주로 바퀴용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브레이크는 바퀴의 회전을 멈추게 하기는 하지만, 카스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바퀴를 카스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까지 고정할 수 없었고, 바퀴의 베어링 등의 유격 또한 작업대를 흔들리게하는 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특히 다층으로 높게 적층된 경우는 상부의 흔들림이 크게 되어 작업시 위험하였다.
즉, 건축용 작업대중 이동식 작업대는 통상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의 편의상을 증대시키고 있으나,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완전하게 바퀴의 움직임을 차단하지 못하여 작업중에 작업대가 유동됨으로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경사진 바닥면에 이동식 작업대를 설치하는 경우 경사면에 작업대를 고정시키는 것이 쉽지 않고 작업대가 경사면을 따라 쉽게 이동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작업대를 흔들리게 하는 바퀴의 유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다층으로 적층된 상부에서도 흔들림이 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의 제공에 있다.
또한, 원터치에 의해서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전도방지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 면접촉에 의해 전도방지 지지대가 접면되도록 하여 경사면에 설치시에 보다 안정적으로 작업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하단을 고정하는 구성수단으로, 파이프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고 파이프를 홀에 삽입후 고정시키는 결합용 볼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고정 클립(100)과; 일측에 고정클립이 결합된 지지체로서, 일측 측면 및 하부면이 오픈된 직육면체형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힌지핀(210)이 관통 설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원터치용 푸시핀(220)이 설치되는 고정 지지대(200)와; 상기 고정 지지대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고정 지지대(200)의 힌지핀(210)에 힌지 결합되어 일정각도로 회동하고, 원터치용 푸시핀(220)을 가이드하며, 원터치용 푸시핀이 결합되는 가이드홀(310)이 형성된 유동 지지대(300)와; 상기 유동 지지대(3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유동 지지부를 바닥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자유회전 지지대(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자유회전 지지대(400)는, 유동 지지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라켓(410)과, 브라켓에 힌지핀(420)을 통해 결합되는 자유 회전편(430)으로 이루어진 자유회전 지지대(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자유 회전 지지대(400)는, 유동 지지대(300)에 수직바 형태로 결합되는 브라켓(410)과,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형 캡(411)과, 상기 반구형 캡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형 가이드(431)와, 구형 가이드에 결합되는 자유 회전편(430) 및 반구형 캡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자세 고정용 볼트(440)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자유 회전편(430)은 내측에 공간부(430a)를 갖는 원뿔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대에 간단히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해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원터치방식에 의해 쉽게 접거나 펼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면에 전도방지 지지대가 면접촉에 의해 접면되도록 하여 경사면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동식 작업대를 지지할 수 있어 작업공간의 훼손을 방지하고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의 자유회전 지지대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자유회전 지지대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이동식 작업대(10)와, 고정클립(100)과, 고정 지지대(200)와, 유동 지지대(300) 및, 자유회전 지지대(400)등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식 작업대(10)는 대수개의 파이프와 구름용 바퀴 및 평판 패널이 조립되어 작업자가 평판패널 상부로 올라가 벽면이나 천정면에 작업을 하고 필요에 따라서 구름용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고정 클립(100)은 이동식 작업대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하단을 고정하는 구성수단으로 파이프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고 파이프를 홀에 삽입후 고정시키는 결합용 볼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클립은 파이프를 고정시키는데 널리 알려진 구조물이기 때문에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고정 지지대(200)는 일측에 고정클립을 고정하는 지지체로서 일측 측면과 하부가 오픈된 직육면체형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지지대(300)가 고정 지지대(200)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고 오픈된 측면을 따라서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파이프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 지지대(200)는 상부 일단에 힌지핀(210)이 패널을 관통 결합하며, 또한 원터치용 푸시핀(220)이 일정간격을 두고 패널을 관통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원터치용 푸시핀(220)에는 탄발용 스프링(230)이 결합되고, 원터치용 푸시핀의 몸체 양단에는 결합홈(221)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 지지대(300)는 고정 지지대(200)에 삽입결합되는 직육면체형 패널로 이루어지고, 상부 일단이 힌지핀(210)에 관통 결합되어 힌지핀(210)을 중심으로 접이되고, 호 형태의 가이드홀(310)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310)에 원터치용 푸시핀(220)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홀(310)은 호 형태로 이루어지는바 양측은 원형홀(311, 312) 형상이고 나머지 부분은 라운드 홀(313)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원형홀(311, 312)에 원터치용 푸시핀의 돌출부(222)가 고정되고, 라운드 홀(313)에는 원터치용 푸시핀의 결합홈(221)이 접면되면서 이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라운드 홀(313)을 통해서는 원터치용 푸시핀의 돌출부(222)가 라운드 홀(313)에 막혀서 이동되지 못하고 원터치용 푸시핀의 결합홈(221) 부분만이 라운드 홀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돌출부(222)가 원형홀(311, 312)에 위치할 때에는 유동 지지대(300)가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접혀진 유동 지지대(300)를 펼치거나 펼친진 유동 지지대를 접을 때에는 원터치용 푸시핀(220)을 유동시켜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결합홈(221) 부분이 라운드 홀(313)에 위치토록 하여 유동 지지대(300)가 라운드 홀(313)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유동지지대(300)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며, 이동후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돌출부(222) 원형홀(311, 312)에 위치하면 스프링(230)의 탄발력에 의해서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돌출부(222)가 원형홀(311, 312)에 삽입되면서 더이상 유동되지 않고 정지한다.
그리고,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돌출부(222)는 라운드 홀(313)을 따라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강력한 고정상태가 유지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자유회전 지지대(400)는 유동 지지대(3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바, 유동 지지대(300)의 하단에 설치되는 브라켓(410)과, 브라켓에 힌지핀(420)을 통해 결합되는 자유 회전편(4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유회전 지지대(400)는 바닥이 경사질때 힌지핀(42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어 자유 회전편(430)이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자유 회전편(430)은 원뿔 형태로 제작하여 내측에 공간부(430a)를 갖도록 함으로서 바닥면이 울퉁불퉁 할때 공간부를 제외한 나머지가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최소한의 면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울퉁불퉁한 면이 공 간부(430a)에 위치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자유 회전 지지대(400)는 볼 베어링 구조를 통해 360도 경사각 조절이 가능토록 제작할 수 있는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 회전 지지대(400)는 유동 지지대(300)에 수직바 형태로 결합되는 브라켓(410)과,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형 캡(411)과, 상기 반구형 캡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형 가이드(431)와, 구형 가이드에 결합되는 자유 회전편(430) 및 반구형 캡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자세 고정용 볼트(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자유 회전 지지대(400)는 구형 가이드(431)가 반구형 캡(411)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바닥면의 경사에 따라서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바닥면과 일치시킬 수 있고, 바닥면과 일치되면 자세 고정용 볼트(4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반구형 캡(411)에 구형 가이드(4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수개의 지지를 위한 파이프와 이동을 위한 구름용 바퀴 및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평판 패널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이동식 작업대(10)의 지지 역할을 하는 파이프 하단에 고정클립(100)을 삽입하여 결합한다.
통상적으로 이동식 작업대(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4개의 구름용 바퀴가 설치되는바, 상기 구름용 바퀴가 설치된 지점의 4군데 파이프에 고정클립(10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고정클립(100)은 고정 지지대(200)의 측면에 부착된 상태이고, 유동 지지대(300)는 고정 지지대(200)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동식 지지대(10)의 파이프에 고정클립(100)과 고정 지지대(200) 및 유동 지지대(300)가 결합된 상태이다.
이동식 작업대(10)에 전도방지 지지대를 결합후 펼쳐서 이동식 작업대를 고정하기 위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를 구성하는 고정 지지대(200)와 유동 지지대(300)가 일자로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지지대(200)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 클립(100)을 이용하여 이동식 작업대(10)의 파이프에 고정한다.
상기 전도방지 지지대는 이동식 작업대의 4군데에 각각 설치토록 하며 고정클립(100)을 이동식 작업대를 구성하는 파이프에 단단히 고정토록 한다.
이후, 이동식 작업대(10)를 고정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유동 지지대(200)를 구성하는 원터치용 푸시핀(220)을 푸싱하여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결합홈(221)과 가이드홀(310)을 구성하는 라운드 홀(313)을 일치시키고 이후 라운드 홀(313)을 따라서 유동 지지대(300)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유동 지지대(300)가 가이드홀(310)을 구성하는 제 1 원형홀(311)에서 이탈하여 라운드 홀(313)을 따라 이동되고 이후 라운드 홀의 끝단에 위치한 제 2 원형홀(312)까지 이동된다. 이때 유동 지지대(300)는 고정 지지대(200)의 힌지핀(1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후, 제 2 원형홀(312)의 위치까지 이동이 완료되면 탄발 스프링(230)의 작용에 의하여 원터치용 푸시핀(220)이 원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원형 홀(312)에는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돌출부(222)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돌출부(222)가 라운드 홀(313)을 막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더이상의 이동이 없이 견고하게 받침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자유회전 지지대(400)가 유동 지지대의 끝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바닥면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보다 더 안정된 상태로 이동식 작업대를 지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자유회전 지지대(400)는 힌지핀(420)에 의하여 유동이 가능하므로 지면의 경사에 상관없이 자유 회전편(430)이 지면에 완전하게 접면되기 때문에 보다 더 안정적으로 이동식 작업대(10)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에 상기에서 자유회전 지지대(400)를 구비하지 않게 되면 유동 지지대(300)의 끝단부가 곧바로 바닥면에 닿게 되어 접촉되는 바닥면의 압력이 집중되어 바닥면이 훼손되는 일이 발생하고, 또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더욱이 지면이 약간 경사졌을 경우 자유 회전편(430)이 경사면을 따라서 밀착되기 어려워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자유회전 지지대(400)가 힌지핀(420)에 의해서 자유 회동되면서 자유 회전편(430)이 바닥면에 자동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가 가능하고, 또한 경사면에 놓이게 되더라도 자유 회전편(430)이 바닥면에 자동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유회전 지지대(400)를 반구형 캡(411)과 구형 가이드(431) 및 자세 고정용 볼트(440)로 구성하여 360도 회전에 의하여 다양한 경사면에 적절히 고정시 킬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식 작업대를 움직여 다른 작업공간으로 이송할때 전도방지 지지대를 접는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지지대를 구성하는 원터치용 푸시핀(220)을 누르고 이때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제 2 원형홀(312)을 따라 이동한다.
이후,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결합홈(221)이 제 2 원형홀(312)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자유 지지대(300)가 가이드홀을 구성하는 라운드홀(313)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원형홀(311) 부분까지 이동시킨다. 즉 원터치용 푸시핀(220)의 결합홈(221)이 라운드 홀(313)에 위치한 상태에서 자유 지지대(300)를 접어서 고정 지지대(200)의 힌지핀(210)을 중심으로 접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원터치용 푸시핀(220)을 이용하여 전도방지 지지대를 쉽게 접거나 펼칠수 있고, 자유 회전편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바닥면에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비록 본 발명이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지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도방지 지지대의 자유회전 지지대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자유회전 지지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식 작업대
100: 고정클립
200: 고정 지지대
210: 고정 지지대의 힌지핀
220: 원터치용 푸시핀
221: 원터치용 푸시핀의 결합홈
222: 원터치용 푸시핀의 돌출부
230: 탄발용 스프링
300: 유동 지지대
310: 가이드홀
311, 312: 가이드홀의 원형홀
313: 가이드홀의 라운드홀
400: 자유회전 지지대
410: 브라켓
411: 반구형 캡
420: 자유회전 지지대의 힌지핀
430: 자유 회전편
431: 구형 가이드
440: 자세 고정용 볼트

Claims (4)

  1. 이동식 작업대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하단을 고정하는 구성수단으로, 파이프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고 파이프를 홀에 삽입후 고정시키는 결합용 볼트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고정 클립(100)과;
    일측에 고정클립이 결합된 지지체로서, 일측 측면 및 하부면이 오픈된 직육면체형 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힌지핀(210)이 관통 설치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원터치용 푸시핀(220)이 설치되는 고정 지지대(200)와;
    상기 고정 지지대에 일측이 삽입 결합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고정 지지대(200)의 힌지핀(210)에 힌지 결합되어 일정각도로 회동하고, 원터치용 푸시핀(220)을 가이드하며, 원터치용 푸시핀이 결합되는 가이드홀(310)이 형성된 유동 지지대(300)와;
    상기 유동 지지대(30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유동 지지부를 바닥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자유회전 지지대(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회전 지지대(400)는,
    유동 지지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라켓(410)과, 브라켓에 힌지핀(420)을 통해 결합되는 자유 회전편(4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 지지대(400)는,
    유동 지지대(300)에 수직바 형태로 결합되는 브라켓(410)과, 브라켓에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형 캡(411)과, 상기 반구형 캡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형 가이드(431)와, 구형 가이드에 결합되는 자유 회전편(430) 및 반구형 캡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자세 고정용 볼트(4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회전편(430)은 내측에 공간부를 갖는 원뿔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KR1020080083547A 2008-08-26 2008-08-26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KR20100024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47A KR20100024818A (ko) 2008-08-26 2008-08-26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47A KR20100024818A (ko) 2008-08-26 2008-08-26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18A true KR20100024818A (ko) 2010-03-08

Family

ID=4217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47A KR20100024818A (ko) 2008-08-26 2008-08-26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81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1736A (zh) * 2015-12-03 2016-03-23 无锡市晨源建筑器材有限公司 一种建筑用稳定性高的移动式脚手架
KR101719929B1 (ko) * 2015-12-31 2017-03-27 정용식 전등갓 지지대의 각도조절장치
KR20170004153U (ko) 2016-06-02 2017-12-12 유수원 작업대의 전도 방지장치
CN111677266A (zh) * 2020-06-23 2020-09-18 芜湖天达重工有限公司 一种四角定位的高层钢结构脚手架
CN111706113A (zh) * 2020-04-30 2020-09-25 乐清市城镇建设工程公司 一种钢结构房屋建设用支撑装置
KR20200002117U (ko) 2019-03-19 2020-09-29 유수원 작업대의 전도 방지를 위한 지지대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1736A (zh) * 2015-12-03 2016-03-23 无锡市晨源建筑器材有限公司 一种建筑用稳定性高的移动式脚手架
KR101719929B1 (ko) * 2015-12-31 2017-03-27 정용식 전등갓 지지대의 각도조절장치
KR20170004153U (ko) 2016-06-02 2017-12-12 유수원 작업대의 전도 방지장치
KR20200002117U (ko) 2019-03-19 2020-09-29 유수원 작업대의 전도 방지를 위한 지지대 고정용 클램프
CN111706113A (zh) * 2020-04-30 2020-09-25 乐清市城镇建设工程公司 一种钢结构房屋建设用支撑装置
CN111677266A (zh) * 2020-06-23 2020-09-18 芜湖天达重工有限公司 一种四角定位的高层钢结构脚手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4818A (ko) 이동식 작업대의 전도방지 지지대
US20200318369A1 (en) Extendable construction stanchion
KR100663039B1 (ko) 접철식 사다리
JP2012092515A (ja) 高層階用床目地装置
KR20170101022A (ko) 발끝막이판이 접철되는 비계용 작업발판
KR200470382Y1 (ko)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JP3125537U (ja) 可搬式作業台
JP2023036943A (ja) 作業台
JP3155432U (ja) 梯子転倒防止治具
JP3213460U (ja) 作業台
JP2013060780A (ja) 足場用幅木装置
JP2018080512A (ja) 作業設備
JP6254847B2 (ja) 脚立式作業台
JP5406009B2 (ja) 可搬式作業台
KR200393157Y1 (ko) 접철식 사다리
KR101176771B1 (ko) 안전 작업대
KR101672410B1 (ko) 핸드레일 안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계단식 이동 작업대
KR101552245B1 (ko) 작업 반경 확장형 고소작업대
JP5128925B2 (ja) 作業台
JP7161164B2 (ja) 作業台
KR102642435B1 (ko) 상하수도 원형관의 안전 및 작업용 사다리
JP5975677B2 (ja) 高所作業装置におけるアウトリガー装置
KR20170004153U (ko) 작업대의 전도 방지장치
JP5852473B2 (ja) 高所作業装置におけるアウトリガーの開閉装置
KR200361424Y1 (ko) 교량점검시설 출입용 보조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