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771B1 - 안전 작업대 - Google Patents

안전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771B1
KR101176771B1 KR1020090111931A KR20090111931A KR101176771B1 KR 101176771 B1 KR101176771 B1 KR 101176771B1 KR 1020090111931 A KR1020090111931 A KR 1020090111931A KR 20090111931 A KR20090111931 A KR 20090111931A KR 101176771 B1 KR101176771 B1 KR 10117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rame
safety
pai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063A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이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규 filed Critical 이상규
Priority to KR102009011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7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과, 상기 측방 프레임(20)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측방 프레임(20)의 내측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접혀질 수 있는 한 쌍의 폴딩 프레임(30)과,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는 발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효과는 자체의 사이즈를 매우 콤팩트한 사이즈로 신속 용이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작업대를 신속 용이하게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주는 기능면과 작업대를 펼친 상태로 유지하는 구조가 견실하여 작업 안정성을 확실하게 보장하는데에 있어서 매우 흡족하다는 것이다.
측방 프레임, 폴딩 프레임, 발판, 폴딩 작동바아, 폴딩 기준편

Description

안전 작업대{Safety work stand}
본 발명은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시 신속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서 사용성과 취급성 등에서 우수한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아파트 또는 가옥과 같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 고소(높은 곳) 작업을 위하여 작업대를 이용한다. 다시 말해, 작업대를 세워놓고 작업대의 발판 위에 사람이 올라가서 천정 등의 높은 위치에 배선이나 조명등 설치와 같은 여러 가지 고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 장소에 따라 작업대를 여러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접을 수 있는 작업대(폴딩형 작업대)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폴딩형 작업대는 접거나 펼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대를 펼친 상태로 유지하는 구조가 다소 취약하여 작업 안정성을 확실하게 보장하는데에는 미흡한 등의 여러가지 단점을 가 지고 있었다. 아울러, 이동시 등에는 콤팩트한 사이즈로 신속 용이하게 접어줄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작업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줄 수 있는 기능면에서도 역시 미흡한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시 신속 용이하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간단하게 접어줄 수 있도록 설계된 안전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과, 상기 측방 프레임(20)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측방 프레임(20)의 내측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접혀질 수 있는 한 쌍의 폴딩 프레임(30)과,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는 발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전후 폴딩 프레임과 안전 프레임을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반으로 접어주면, 전후 폴딩 프레임과 안전 프레임을 서로 마주하도록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 역시 서로 마주하도록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안전 작업대 자체의 사이즈를 매우 콤팩트한 사이즈로 신속 용이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작업대를 신속 용이하게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어줄 수 있는 기능면에서 상당히 흡족한 제품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펼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요부인 폴딩 프레임의 중간 폴딩 작동부를 별도의 언폴딩 슬리브에 의해 지지하여 임의로 안전 작업대가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안전 작업대가 펼친 상태를 보다 확실하고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전 작업대의 제품 신뢰성을 보다 높여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작업대를 펼친 상태로 유지하는 구조가 견실하여 작업 안정성을 확실하게 보장하는데에 있어서도 매우 흡족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요부인 측방 프레임에 레그가 구비되고, 레그의 하단부에는 레그 승강 작동체가 구비되어, 이러한 레그 승강 작동체를 승강되도록 조작하여 안전 작업대의 각 부분의 높낮이를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써 안전 작업대 위에 올라가서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안전 작업대 자체가 흔들리는 현상이 없으면서도 발판 지지점을 벗어난 위치에 추가로 레그에 의해 안전 작업대를 지지하는 지점을 늘려주는 구조이므로, 작업 안정감을 보다 높여주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테면, 안전 작업대의 높낮이를 균일하게 조절하여 작업중에 흔들림을 방지하고, 동시에 안전 작업대의 지지 부분을 레그에 의해 추가로 늘려주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작업 안정감을 훨씬 높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 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작업대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방 프레임과 폴딩 프레임 및 안전 프레임을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 프레임을 상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폴딩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일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발판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좌우 측방 프레임에 발판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폴딩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작업대의 주요부인 폴딩 작동부가 접혀지는 방향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과, 각각의 측방 프레임(20) 내측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각 측방 프레임(20)의 내측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접혀질 수 있는 한 쌍의 폴딩 프레임(30)과, 각각의 측방 프레임(20)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는 발판(50)을 갖는 안전 작업대이다.
상기 측방 프레임(20)은 복수개의 세로관체(22)와 가로관체(24)가 상호 접합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측방 프레임(20)은 전후 두 개의 세로관체(22)에 상하로 세 개의 가로관체(24)가 상호 접합된 직사각 프레임 구조를 취하고 있다. 세로관체(22)와 가로관체(24)는 용접 방식 등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있다.
좌우 측방 프레임(20)의 내측에는 각각 전후 한 쌍의 폴딩 프레임(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폴딩 프레임(30)은 일단부가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한 쌍의 폴딩 파이프(30a)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폴딩 프레임(30)을 구성하는 각 폴딩 파이프(30a)의 일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관체(30b)가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고, 측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세로관체(22)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부 회전 지지관체(22a)가 구비되어, 폴딩 파이프(30a) 외측단의 회전관체(30b) 상하부측이 측방 프레임(20)에 구비된 상하부 회전 지지관체(22a)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측방 프레임(20)에 폴딩 프레임(30)의 각 폴딩 파이프(30a) 외측단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전후 폴딩 프레임(30)은 각 폴딩 파이프(30a) 내측단을 연결하는 폴딩 작동부에 의해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폴딩 작동부는 폴딩 작동바아(42)와 폴딩 기준편(44)으로 구성된다. 폴딩 작동바아(42)는 각각의 폴딩 파이프(30a) 내측단에 외측단이 끼움 결합되며 내측단에는 결합슬릿(42a)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 결합슬릿(42a)은 폴딩 작동바아(42)의 전후면과 내측단부로 개방된 구조이다. 또한, 폴딩 기준편(44)은 직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폴딩 기준편(44)의 양단부가 각 폴딩 작동바아(42)의 내측단에 형성된 결합슬릿(42a)에 끼워짐과 동시에 힌지부(43)에 의해 폴딩 작동바아(42)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즉, 폴딩 기준편(44)과 힌지부(43)를 기준으로 두 개의 폴딩 작동바아(42)가 수평 방향으로 상대회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폴딩 프레임(30)이 중간부를 기준으로 반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3)는 폴딩 작동바아(42) 자체에 형성된 힌지공(43b)과, 폴딩 기준편(44)에 형성된 구멍(44a)을 관통하여 힌지공(43b)에 결합되는 힌지축(43a)으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폴딩 작동바아(42)는 외측단측의 외경이 폴딩 프레임(30)의 각 폴딩 파이프(30a)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어, 폴딩 작동바아(42)가 폴딩 파이프(30a)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폴딩 작동바아(42)와 폴딩 파이프(30a)의 결합 구조가 견고하면서도 심플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8과 도 9는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 지지되는 발판(50)을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발판(50)은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발판(50)은 단면 사각의 종바아와 횡바아가 상호 접합된 직사각틀 형상의 발판 프레임에 디딤판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발판(50)의 횡바아에는 서로 나란한 한 쌍의 후크형상 행거(5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 두 개의 폴딩 프레임(30)을 일자로 펴서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이 배치된 대략 육면체 형태의 발판 지지대를 조성한 다음, 발판(50)의 좌우 양단부에 구비된 행거(52)를 각 측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가로관체(24)에 얹어서 걸어주면, 발판(50)을 좌우 두 개의 측방 프레임(20) 사이와 전후 두 개의 폴딩 프레임(30) 상측에 수평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좌우 측방 프레임(20)의 상하 가로관체(24) 중에서 최상측 가로관체(24)에 발판(50)의 행거(52)를 걸어서 설치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 참조.
이때, 발판(50)에는 측방 프레임(20)의 가로관체(24) 하측에 걸려지는 이탈 방지편(54)이 조임부재(56)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탈 방지편(54)은 대략 사각의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임부재(56)는 조임볼트에 파지용 헤드가 구비된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조임볼트의 외주면에는 이탈 방지편(54)의 저면에 밀착되는 조임너트체가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발판(50) 자체는 중간의 힌지부(51)(예를 들어, 경첩 구조 등)를 기준으로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발판(5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반으로 접어놓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좌우 측방 프레임(20)의 상측으로 인출되는 전후 한 쌍의 안전 프레임(70)을 더 포함한다. 안전 프레임(70)은 좌우 한 쌍의 수직바아(71)의 상단부에 수평바아(72)가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금속 파이프를 벤딩시켜 한 쌍의 수직바아(71) 상단부에 수평바아(72)가 일체화된 구조의 안전 프레임(70)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 프레임(7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좌우 수직바아(71)가 각각의 측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좌우 양측 세로관체(22)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안전 프레임(70)이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 상측으로 연장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안전 프레임(70)은 스톱핑홀(80)과 스톱핑 부재(82)에 의해 1차적으로 상향 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에는 내 부의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볼형상의 스톱핑 부재(82)가 구비되고, 각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에는 구멍 형태의 스톱핑홀(80)이 구비되어, 안전 프레임(70)을 상측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볼형상 스톱핑 부재(82)가 각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에 형성된 스톱핑홀(80)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므로, 안전 프레임(70)의 1차적으로 상향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 내측면 상부에 옆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 빗장 형태의 록커(90)가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에 형성된 스톱홀(22sh)과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에 형성된 스톱홀(71sh)에 끼워져서 2차적으로 안전 프레임(70)이 안전하게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부호 92는 빗장 형태의 록커(90)가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 옆으로 전후진 작동되도록 지지하는 록커 하우징이다. 이러한 록커 하우징(92)의 내부에는 록커(90)는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지수단(93)이 구비되어, 록커(90)가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에 형성된 스톱홀(22sh)과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에 형성된 스톱홀(71sh)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지하게 된다. 즉, 빗장 형태의 록커(90)가 탄지수단(93)에 의해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에 형성된 스톱홀(22sh) 및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에 형성된 스톱홀(71sh)에 항상 들어가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록커(90)가 이탈되는 현상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때, 록커(90)는 상기의 구조 이외에도 안전 프레임(70)을 상향 인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된 인출 제한 스톱퍼(73)가 더 구비되어,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가 인출 제한 스톱퍼(73)에 의해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 내부에 구비된 스톱핑 관체(22a)의 하단부에 걸려짐으로써, 안전 프레임(70)이 측방 프레임(20)의 상측에서 완전히 빠져버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인출 제한 스톱퍼(73)는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나사식으로 관통된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 형태의 인출 제한 스톱퍼(73)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두 개의 인출 제한 스톱퍼(73)가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 내부에 구비된 스톱핑 관체(22a) 하단부에 걸려지도록 한다.
이때,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는 측방 프레임(20)에 구비된 록커(90)와 마주하는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높이 조절공(71h)이 형성되어, 록커(90)를 각각의 높이 조절공(71h)에 결합함으로써, 전후 안전 프레임(70)이 좌우 측방 프레임(20)의 상측으로 인출된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에 높이 조절공(71h)을 구비함으로 인하여 안전 프레임(70)이 상측으로 인출되는 높이는 현장 조건 등에 맞추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 참조.
한편, 상기 안전 프레임(70)도 안전 작업대를 접을 수 있도록 폴딩(절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안전 프레임(70)의 수평바아(72)가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반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안전 프레임(70)의 폴딩 작동부 역시 상기 폴딩 프레임(30)의 폴딩 작동부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폴딩 프레임(3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언폴딩 슬리브(60)가 더 구비된다. 언폴딩 슬리브(60)는 폴딩 프레임(30)을 구성하는 각 폴딩 파이프(30a) 중에서 어느 하나의 폴딩 파이프(30a)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언폴딩 슬리브(60)가 한 쌍의 폴딩 작동바아(42)와 폴딩 기준편(44)을 감싸도록 결합됨으로써, 폴딩 프레임(30)이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폴딩 프레임(30)의 중간 부분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언폴딩 슬리브(60)가 이 부분을 접혀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으므로, 폴딩 프레임(30)이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임의로 접혀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 폴딩 프레임(30)의 외주면에 별도의 위치 셋터(33)를 더 구비하여, 위치 셋터(33)에 의해 언폴딩 슬리브(60)가 정위치에서 폴딩 작동바아(42)와 폴딩 기준편(44)을 보다 확실하게 감싼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즉, 언폴딩 슬리브(60)의 일단부가 위치 셋터(33)에 걸려지므로, 언폴딩 슬리브(60)가 폴딩 작동바아(42)와 폴딩 기준편(44)을 벗어나는 위치로 슬라이드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언폴딩 슬리브(60)와 위치 셋터(33)는 안전 프레임(70)의 수평바아(72)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 프레임(30)을 구성하는 두 개의 폴딩 파이프(30a) 중에서 어느 하나의 폴딩 파이프(30a)에는 볼출몰홀(35)이 형성되고, 이러한 폴딩 파이프(30a)의 내부에는 볼출몰홀(35)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볼(112)이 구비되며, 언폴딩 슬리브(60)에는 볼결합홀(61)이 형성된다. 볼결합홀(61)은 언폴딩 슬리브(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언폴딩 슬리브(60)를 한쪽으로 밀어서 한 쌍의 폴딩 작동바아(42)와 폴딩 기준편(44)을 감싸도록 결합시키면, 언폴딩 슬리브(60) 자체의 볼결합홀(61)에 폴딩 파이프(30a)에 구비된 걸림볼(112)이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면서 언폴딩 슬리브(60)가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중에 언폴딩 슬리브(60)가 본의 아니게 폴딩 작동부에서 빠지는 현상으로 인해 폴딩 프레임(30)이나 안전 프레임(70)이 임의로 접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작업 안정성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대략 브이자형으로 절곡된 판스프링(110)의 일단부측에 볼록한 형상의 걸림볼(112)을 형성하고, 이러한 브이자형 판스프링(110)을 폴딩 파이프(30a)에 내장시킴과 동시에 걸림볼(112)은 폴딩 파이프(30a)의 볼출몰홀(35)에 결합함으로써 언폴딩 슬리브(60)를 볼에 의해 걸어주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언폴딩 슬리브(60)에 구비된 볼결합홀(61)은 언폴딩 슬리브(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 볼결합홀(61)은 언폴딩 슬리브(6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다. 그러면, 걸림볼(112)에 언폴딩 슬리브(60)의 볼결합홀(61)을 보다 쉽게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다른 주요부인 안전 프레임(70)은 좌우 양측의 수직바아(71)에 수평바아(72)가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안전 프레임(70)의 수평바아(72)도 상기한 폴딩 작동부에 의해 절첩될 수 있는 두 개의 수평바아(72)로 분할됨으로써, 안전 프레임(70)이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중심으로 반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안전 프레임(70) 역시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한 폴딩 작동부, 다시 말해 폴딩 작동바아(42)와 폴딩 기준편(44)를 언폴딩 슬리브(60)에 의해 지지하여 접혀지지 않는 구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안전 프레임(70)이 임의로 접혀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언폴딩 슬리브(60) 역시 걸림볼(112)과 볼결합홀(61)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안전 프레임(70)을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바아(72) 중에서 하나의 수평바아(72)에는 볼출몰홀(35)이 형성되고, 수평바아(72)의 내부에는 볼출몰홀(35)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볼(112)이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수평바아(72)에는 언폴딩 슬리브(6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러한 언폴딩 슬리브(60)에는 한쪽 수평바아(7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걸림볼(112)이 끼워지는 볼결합홀(6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 프레임(70)을 펼친 상태에서 언폴딩 슬리브(60)를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커버하도록 밀어주면, 언폴딩 슬리브(60)가 위치 셋터(33)에 의해 정위치로 스톱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볼(112)이 볼결합홀(61)에 원터치식으로 끼워지므로, 안전 프레임(70)이 펼쳐진 상태를 지지하는 언폴딩 슬리브(60)가 외부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폴딩 작동부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는 일측으로 수평 연장된 보조바 아(27)가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바아(27)의 일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관체(27a)가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고, 측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세로관체(22)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부 회전 지지관체(27b)가 구비되어, 보조바아(27) 외측단의 회전관체(27a) 상하부측이 측방 프레임(20)에 구비된 상하부 회전 지지관체(27b)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보조바아(27)가 측방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보조바아(27)의 타단부에는 수직 지지관체(29)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수직 지지관체(29)에는 수평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지지관체(29)의 내주면에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레그(28)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레그(28) 자체에는 상하 방향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승강 조절공(2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지지관체(29)의 구멍과 레그(28)의 승강 조절공(28a)을 관통하는 볼트 형상의 스톱퍼(130)를 갖는다. 부호 132는 레버이고, 부호 134는 스톱퍼(130)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스톱퍼(130)를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너트부재이다.
상기 레그(28)의 하단부에는 레그 승강 작동체(120)가 나사 회전식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레그 승강 작동체(120)는 레그(28)의 하단부측에 내장된 지지너트(124)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볼트 형상의 승강 축부재(122)와, 이 승강 축부재(122)의 하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전 작업대 설치 장소의 지면에 지지되는 풋트(124)를 갖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게, 승강 축부재의 둘레부에는 회전 작동이 용이하도록 공구를 결합할 수 있는 다각형상의 너트체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 작업대를 펼친 상태에서 레그(28)가 각 좌우 측방 프레임(20)을 벗어난 외측 위치에 추가로 배치되어, 안전 작업대를 보다 견실하게 지지하게 됨은 물론, 레그 승강 작동체(120)를 승강되도록 조작하여 안전 작업대의 높낮이를 모든 부분의 높이를 보다 균일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각 형상의 너트체에 공구를 끼워서 승강 축부재(122)를 돌려주면, 풋트(124)는 지면에 고정되고, 승강 축부재가 레그(28)에 대해 볼트식으로 상대 승강되므로, 안전 작업대의 전후 좌우 모든 부분의 높이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이때, 측방 프레임(20)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보조바아(27)에 수직 지지관체(29)가 구비되고, 수직 지지관체(29)에는 레그(28)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레그(28)의 하단부에 레그 승강 작동체(120)가 구비되어, 레그(28) 자체를 수직 지지관체(29)를 중심으로 승하강시켜서 스톱퍼(130)에 의해 레그(28)의 높이를 적절하게 셋팅한 상태에서 레그 승강 작동체(120)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전 작업대 설치 지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등에도 손쉽게 레그(28) 부분을 지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안전 작업대 설치 지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먼저 레그(28) 자체의 높이를 수직 지지관체(29)를 중심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애물 등에 의해 레그(28) 자체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이로 인해, 안전 작업대 설치시에 보다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후 폴딩 프레임(30)과 안전 프레임(70)을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반으로 접어주면, 전후 폴딩 프레임(30)과 안전 프레임(70)을 서로 마주하도록 접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각틀 형상으로 이 루어진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 역시 서로 마주하도록 접을 수 있으므로, 안전 작업대 자체의 사이즈를 매우 콤팩트한 사이즈로 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후 폴딩 프레임(30)과 안전 프레임(70)을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펼쳐주면 전후 폴딩 프레임(30)의 양측 위치에 두 개의 사각틀 형상의 측방 프레임(20)이 배치된 대략 육면체 형상의 발판 지지대를 1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발판(50)의 좌우 양단부에 구비된 행거(52)를 좌우 측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가로관체(24)에 걸어준다. 그러면, 발판(50)을 좌우 두 개의 측방 프레임(20) 사이와 전후 두 개의 폴딩 프레임(30) 상측에 수평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판(50)에 구비된 이탈 방지편(54)을 조임부재(56)를 중심으로 돌려서 측방 프레임(20)의 가로관체(24) 하측에 배치되도록 한 다음, 조임부재(56)를 조여주면 이탈 방지편(54)이 측방 프레임(20)의 가로관체(24)에 가압 밀착되므로, 발판(50)의 행거(52)가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위로 들려지는 현상은 없게 된다. 도 11 참조.
다음, 좌우 측방 프레임(20)에 결합된 안전 프레임(70)을 상측으로 들어 올려주면, 안전 프레임(70)의 좌우 수직바아(71)가 상기한 스톱핑 부재(82)와 스톱핑홀(80)의 맞결합에 의해 1차적으로 안전 프레임(70)이 발판(50) 지지대의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 옆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된 빗장 형태의 록커(90)를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 아(71)에 형성된 높이 조절홀(71h)에 끼워줌으로써 두 개의 전후 안전 프레임(70)을 2차적으로 인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 록커 하우징(92)과, 록커 하우징(92)에 내장되어 탄지수단(93)에 의해 측방 프레임(22)의 세로관체(22) 옆으로 탄성 돌출되는 록커(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록커 하우징(92)에 옆으로 연장된 장공의 걸이홈에 록커(90)의 레버가 걸린 상태에서 레버를 걸이홈에서 들어주도록 회전시키면, 록커(90)가 탄지수단(93)(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것)의 탄성력에 의해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에 형성된 스톱홀(22sh)과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에 형성된 스톱홀(71sh)에 동시에 결합되므로, 록커(90)에 의해 안전 프레임(70)이 측방 프레임(20)의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안전 프레임(70)을 측방 프레임(20) 상측으로 인출하여 인출 제한 스톱퍼(73)가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 내부에 구비된 스톱핑 관체(22a)의 하단부에 걸려질 때에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에 형성된 스톱홀(22sh)에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에 형성된 스톱홀(71sh)이 만나도록 구성하여, 록커(90)가 탄지수단(93)에 의해 자동적으로 세로관체(22)의 스톱홀(22sh)과 수직바아(71)의 스톱홀(71sh)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록커(90)는 탄지수단(93)에 의해 항상 한쪽으로 밀려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중에 록커(90)가 이탈되어 안전 프레임(70)이 임의로 하측 방향으로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상의 안정성 측면에서 보다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주요부인 폴딩 프레임(30)의 둘레부에 구비된 언폴딩 슬리브(60)를 슬라이드시켜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감싸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폴딩 프레임(30) 부분이 외력에 의해 임의로 접혀짐으로 인해 안전 작업대의 작업 도중에 접혀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안전 작업대를 펼친 상태를 보다 확실하고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전 작업대의 안정성 측면 등에서의 신뢰성을 보다 높여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레그(28)의 하단부에 구비된 레그 승강 작동체(120)를 승강되도록 조작하여 안전 작업대의 각 부분의 높낮이를 균일하게 조절함으로써 발판(50) 위에 올라가서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안전 작업대 자체가 흔들리는 현상이 없도록 한다.
정리하면, 직육면체 프레임 형태로 발판 지지대를 형성하고, 발판 지지대에 발판(50)을 설치한 다음, 전후 안전 프레임(70)을 상측으로 인출시키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 작업대를 펼쳐줄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펼쳐진 본 발명의 안전 작업대의 발판(50) 위에 사람이 올라가서 고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소 작업 등을 완료한 다음에 안전 작업대를 다시 접어주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반대 순서로 접어주는 작업을 실시하면 되는 것이다. 즉, 안전 프레임(70)을 아래로 내리고 발판(50)은 분리한 다음, 폴딩 프레임(30)과 안전 프레임(70) 자체를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반으로 접어줌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 작업대를 마치 하나의 사각 프레임과 같이 콤팩트하게 접어줄 수 있게 된다. 물론, 발판(50) 역시 중간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반으로 접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폴딩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 연결된 한 쌍의 폴딩 프레임(30)은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접혀질 수 있는 한 쌍의 폴딩 파이프(30a)로 구성되고, 이러한 폴딩 작동부는 폴딩 파이프(30a)의 타측단에 외측단이 각각 끼움 결합되며 내측단에는 결합슬릿(42a)이 형성된 한 쌍의 폴딩 작동바아(42)와, 이 폴딩 작동바아(42)의 결합슬릿(42a)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힌지부(43)에 의해 폴딩 작동바아(42)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폴딩 기준편(4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폴딩 기준편(44)은 폴딩 작동바아(42)의 상기 결합슬릿(42a) 내측단과 마주하는 외측단부에는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 위치에는 경사면(44a)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위치에는 폴딩 작동바아(42)의 결합슬릿(42a) 내측단에 걸려져서 폴딩 기준편(44)을 한 쪽 위치로만 접혀지도록 작동하는 직각면(44b)으로 구성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 작업대를 펼친 상태에서 폴딩 프레임(30)의 중간 폴딩 작동부를 실수로 외측 위치(도 13에서 화살표 B 방향)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폴딩 기준편(44)의 직각면(44b)이 폴딩 작동바아(42)의 결합슬릿(42a) 내측단에 걸려지면서 폴딩 기준편(44)이 힌지부(43)를 중심으로 각 폴딩 작동바아(42)에서 회동되지 않으므로, 폴딩 프레임(30) 자체가 안쪽 방향으로는 접혀지지 않는 반면, 폴딩 프레임(30)의 중간 폴딩 기준부에 안쪽 방향(도 13에서 화살표 A 방향)에서 누르는 힘(화살표 A 방향으로 누르는 힘은 사 용자가 발 등을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누르는 힘이라 할 수 있음)이 작용하면, 폴딩 기준편(44)의 경사면(44a)에 의해 두 개의 폴딩 작동바아(42)가 힌지부(43)를 중심으로 회동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은 안전 작업대의 외부에서 실수로 폴딩 프레임(30)의 폴딩 작동부를 누르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폴딩 프레임(30)이 임의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경우 상기한 언폴딩 슬리브(60)가 필요 없으므로, 구조 자체도 보다 심플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폴딩 기준편(44)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폴딩 프레임(30)이 바깥 위치에서 안쪽 위치로 누르는 힘(도 13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임의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도 자체의 구조는 보다 심플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좌우 측방 프레임(20)의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전후 안전 프레임(70)은 각각 스트랩(76)이 구비된다. 한 쪽의 안전 프레임(70)은 지지편(76a)에 일단부가 연결된 스트랩(76)(본 발명에서는 쇠사슬 형태임)이 구비되고, 스트랩(76)의 선단부에는 후크(76b)가 구비되며, 다른 쪽의 안전 프레임(70)에는 구멍을 갖는 지지편(76a)이 구비된 구조이다.
따라서, 한쪽 안전 프레임(70)의 스트랩(76) 선단부에 구비된 후크(76b)를 다른쪽의 안전 프레임(70)에 구비된 지지편(76a)의 구멍에 걸어주면, 좌우 측방 프레임(20)과 나란한 방향의 안전 장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두 개의 안전 프레임(70)에 의해 작업자가 전후 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두 개의 안전 장치 기능을 하는 스트랩(76)에 의해 작업자가 안전 작업대의 양측 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 안정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0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작업대를 접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방 프레임과 폴딩 프레임 및 안전 프레임을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안전 프레임을 상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폴딩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4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일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발판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좌우 측방 프레임에 발판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폴딩 작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 작업대의 주요부인 폴딩 작동부가 접혀지는 방향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Claims (11)

  1.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과, 상기 측방 프레임(20)에 양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측방 프레임(20)의 내측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접혀질 수 있는 한 쌍의 폴딩 프레임(30)과,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수평 배치되는 발판(50)을 포함하며,
    상기 폴딩 프레임(30)은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한 쌍의 폴딩 파이프(30a)로 구성되고, 상기 폴딩 작동부는 상기 폴딩 파이프(30a)의 타측단에 외측단이 각각 끼움 결합되며 내측단에는 결합슬릿(42a)이 형성된 한 쌍의 폴딩 작동바아(42)와, 상기 폴딩 작동바아(42)의 상기 결합슬릿(42a)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힌지부(43)에 의해 상기 폴딩 작동바아(42)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폴딩 기준편(4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프레임(3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언폴딩 슬리브(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언폴딩 슬리브(60)가 상기 한 쌍의 폴딩 작동바아(42)와 상기 폴딩 기준편(44)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폴딩 프레임(30)이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수직바아(71)에 수평바아(72)가 일체화된 구조의 안전 프레임(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은 복수개의 세로관체(22)와 가로관체(24)가 상호 접합되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전 프레임(70)은 상기 좌우 양측 수직바아(71)가 상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좌우 양측의 세로관체(22)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안전 프레임(70)이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 상측으로 연장 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프레임(20)의 세로관체(22)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 록커 하우징(92)과, 상기 록커 하우징(92)에 내장되어 탄지수단에 의해 상기 측방 프레임(22)의 상기 세로관체(22) 옆으로 탄성 돌출되는 록커(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전 프레임(70)의 수직바아(71)와 상기 측방 프레임(20)의 상기 세로관체(22)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록커(90)에 의해 상기 안전 프레임(70)이 상기 측방 프레임(20)의 상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가로관체(24)에는 발판(50)의 양단부에 구비된 행거(52)가 얹혀져 결합되고, 상기 발판(50)에는 상기 측방 프레임(20)의 가로관체(24) 하측에 걸려지는 이탈 방지편(54)이 조임부재(56)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는 일측으로 수평 연장된 보조바아(27)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보조바아(27)에 수직 방향으로 레그(28)가 구비되며, 상기 레그(28)의 하단부에 레그 승강 작동체(120)가 나사 회전식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20)에 연결된 한 쌍의 폴딩 프레임(30)은 중간의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접혀질 수 있는 한 쌍의 폴딩 파이프(30a)로 구성되고, 상기 폴딩 작동부는 상기 폴딩 파이프(30a)의 타측단에 외측단이 각각 끼움 결합되며 내측단에는 결합슬릿(42a)이 형성된 한 쌍의 폴딩 작동바아(42)와, 상기 폴딩 작동바아(42)의 상기 결합슬릿(42a)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힌지부(43)에 의해 상기 폴딩 작동바아(42)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폴딩 기준편(4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폴딩 기준편(44)은 상기 폴딩 작동바아(42)의 상기 결합슬릿(42a) 내측단과 마주하는 외측단부에는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한쪽 위치에는 경사면(44a)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 위치에는 상기 폴딩 작동바아(42)의 상기 결합슬릿(42a) 내측단에 걸려져서 상기 폴딩 기준편(44)을 한 쪽 위치로만 접혀지도록 작동하는 직각면(44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측방 프레임(20)의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전후 안전 프레임(70)은 각각 스트랩(76)과 걸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스트랩(76)을 상기 걸고리에 걸어서 상기 좌우 측방 프레임(20)과 나란한 방향의 안전 장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프레임(30)을 구성하는 두 개의 폴딩 파이프(30a) 중에서 어느 하나의 폴딩 파이프(30a)에는 볼출몰홀(35)이 형성되고, 상기 폴딩 파이프(30a)의 내부에는 볼출몰홀(35)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볼(112)이 구비되며, 상기 언폴딩 슬리브(60)에는 상기 폴딩 파이프(30a)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볼(112)이 끼워지는 볼결합홀(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프레임(70)은 상기 수평바아(72)에 구비된 폴딩 작동부를 기준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전 프레임(70)을 구성하는 두 개의 수평바아(72) 중에서 하나의 수평바아(72)에는 볼출몰홀(35)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아(72)의 내부에는 볼출몰홀(35)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걸림볼(112)이 구비되고, 다른 수평바아(72)에는 언폴딩 슬리브(6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언폴딩 슬리브(60)에는 상기 한쪽 수평바아(7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볼(112)이 끼워지는 볼결합홀(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
KR1020090111931A 2009-11-19 2009-11-19 안전 작업대 KR101176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931A KR101176771B1 (ko) 2009-11-19 2009-11-19 안전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931A KR101176771B1 (ko) 2009-11-19 2009-11-19 안전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063A KR20110055063A (ko) 2011-05-25
KR101176771B1 true KR101176771B1 (ko) 2012-08-24

Family

ID=4436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931A KR101176771B1 (ko) 2009-11-19 2009-11-19 안전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46U (ko) * 2019-01-28 2020-08-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6622B1 (fr) * 2016-01-12 2021-10-08 Tubesca Comabi Echafaudage comportant un garde-corps abaissa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251Y1 (ko) 1999-07-01 2000-02-15 최문호 건설현장용작업대
KR200405485Y1 (ko) * 2005-10-20 2006-01-11 이상규 이동식 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251Y1 (ko) 1999-07-01 2000-02-15 최문호 건설현장용작업대
KR200405485Y1 (ko) * 2005-10-20 2006-01-11 이상규 이동식 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46U (ko) * 2019-01-28 2020-08-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KR200493398Y1 (ko) * 2019-01-28 2021-03-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063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3531B2 (en) Ladder securing apparatus, ladder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RU2388884C2 (ru)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крепежная опора
US2897013A (en) Knockdown scaffold
JP5349322B2 (ja) 可動式アンカ固定落下防止装置
JP5488884B2 (ja) 避難用梯子装置
US20180002982A1 (en) Ladder
US2419145A (en) Hoist
US4641728A (en) Scaffold system
JP2007532809A (ja) 屋根裏梯子アッセンブリー
US9765570B2 (en) Brace for step ladder
US20080310910A1 (en) Scaffold securement device
KR101176771B1 (ko) 안전 작업대
US20240016142A1 (en) Ladder stand and activity rail assembly
JP4447387B2 (ja) 作業用足場台及びこれを利用する連結足場台
US8360204B2 (en) Self-adjusting ladder leveling device
JP4880026B2 (ja) 作業用足場台及びこれを利用する連結足場台
JP5916519B2 (ja) 高所作業装置におけるアウトリガー装置
JP6524035B2 (ja) 折り立て収納式舞台の手動操作装置
KR200412243Y1 (ko) 사다리
JP4733475B2 (ja) 作業用足場装置
KR200464850Y1 (ko) 작업대
KR20190042933A (ko) 휴대용 접이식 사다리
KR20140000270U (ko) 핸드레일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사다리
US20090050777A1 (en) Tree stand
KR20140005673U (ko) 사다리용 안전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