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46U -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 Google Patents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46U
KR20200001746U KR2020190000416U KR20190000416U KR20200001746U KR 20200001746 U KR20200001746 U KR 20200001746U KR 2020190000416 U KR2020190000416 U KR 2020190000416U KR 20190000416 U KR20190000416 U KR 20190000416U KR 20200001746 U KR20200001746 U KR 202000017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wer line
spacer
sta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398Y1 (ko
Inventor
김석기
김재주
김종수
배병환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0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9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의 전단과 후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 한 쌍의 본체 프레임 간에 마련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이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접이식 레버; 및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이 전력선에 거치되도록 하는 전력선 거치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조 스페이서카가 메인 스페이서카에 접힘 상태로 취부되어 송전선을 이동하면서, 상간스페이서 설치 개소에 이르면, 작업자가 보조 스페이서카가 펼쳐진 상태로 상간스페이서 설치구간을 통과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간스페이서를 분리 및 재설치하지 않고 상간스페이서 설치구간을 통과하여 각종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간스페이서 분리 및 재설치시 분리된 상간스페이서가 전력선에 임시 고정되어 발생되는 전력선 손상과 분리 및 재설치에 따른 상간스페이서와 전력선 간의 접속부위의 표면손상을 사전에 억제할 수 있으며, 상간스페이서 취부품질의 향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Auxiliary spacer car for carrying interphase spacer of 154kV}
본 고안은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이다.
가공송전선로의 철탑과 철탑 사이에는 전력선의 간격에 따라 상간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상간 이격거리를 적정하게 유지시키므로, 이격거리 부족으로 발생되는 각종 빙설해(Galloping, Sleet Jump) 고장 예방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간스페이서가 설치된 송전선로는 삼각요크 및 전선클램프로 인하여, 상간스페이서가 통과하기 어려움이 있어, 종래에는 상간스페이서가 설치된 154kV 송전선로를 작업자가 상간스페이서 양단을 전력선에서 분리한 후 스페이서카를 통과시키고, 이후 상간스페이서를 전력선에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친 후 전력선을 점검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작업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철탑과 철탑 사이의 경간이 300m 정도의 154kV 송전선로의 경우, 평균 3개의 상간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한 경간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3개의 상간스페이서 분리 및 재설치 작업이 필요하며, 1개 통과에 1시간 이상이 소요되므로 휴전시간 짧거나, 분리작업에 곤란한 경우 상간스페이서 설치 개소에 대한 각종 점검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송전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송전선 점검 및 보수작업 시, 상간스페이서 설치구간을 통과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 스페이서카에 접힘 상태로 취부되어 송전선을 이동하면서, 상간스페이서 설치 개소에 이르면, 작업자가 펼쳐진 상태로 상간스페이서 설치구간을 통과하는데 이용 가능한 접이식 보조 스페이서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의 전단과 후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 한 쌍의 본체 프레임 간에 마련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이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접이식 레버; 및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이 전력선에 거치되도록 하는 전력선 거치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력선 거치대는,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어, 몸체의 전단을 이루는 제1 본체 프레임과 몸체의 후단을 이루는 제2 본체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전력선이 각각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는, 고리 형상의 개방된 부분이 폐쇄되도록 하여, 전력선 거치대에 전력선이 거치되는 경우, 거치된 전력선이 고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는, 일측이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되, 타측이 전력선에 탈부착되도록 클램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전력선 거치대를 보조하는 전력선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는 발 받침대; 및 발 받침대와 몸체의 전단을 이루는 제1 본체 프레임이 연결되도록 하되, 발 받침대가 제1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 받침대는, 힌지 부재에 의해 회동되어, 바닥면이 제1 본체 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상태 또는 바닥면이 제1 본체 프레임의 높이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상태가 전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몸체의 후단을 이루는 제2 본체 프레임은,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발 받침대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상태의 발 받침대의 일부가 걸쳐져 제2 상태가 유지되며, 작업자의 하중 부담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받침 돌출부;를 포함하고, 발 받침대는, 전단의 상측에 마련되되, 하측을 항해 개방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받침 돌출부에 걸쳐지도록 하는 걸쇠 고리부; 및 전단의 하측에 마련되되, 하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본체 프레임의 하단에 걸쳐져 제2 상태가 유지되며, 작업자의 하중 부담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은, 발 받침대가 제1 상태로 전환되고, 접이식 레버에 의해, 접힘 상태가 되어, 메인 스페이서 카에 취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레버는, 일측이 제1 본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일측이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되, 타측이 제2 본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1 회전 부재; 및 제1 회전 부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함께 관통하여,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회동을 차단하여 펼쳐짐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펼쳐짐 상태인 경우, 상호 간에 겹쳐지는 부분에 해당하되, 제1 회전 부재가 삽입관통하도록 하는 제1 인입 홀과 상호 간에 겹쳐지는 부분에 해당하되, 제1 인입 홀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가 삽입관통되도록 하는 제2 인입 홀이 각각 마련되며, 접이식 레버는,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어, 고정 부재가 제2 인입 홀에 삽입관통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조 스페이서카가 메인 스페이서카에 접힘 상태로 취부되어 송전선을 이동하면서, 상간스페이서 설치 개소에 이르면, 작업자가 보조 스페이서카가 펼쳐진 상태로 상간스페이서 설치구간을 통과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간스페이서를 분리 및 재설치하지 않고 상간스페이서 설치구간을 통과하여 각종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간스페이서 분리 및 재설치시 분리된 상간스페이서가 전력선에 임시 고정되어 발생되는 전력선 손상과 분리 및 재설치에 따른 상간스페이서와 전력선 간의 접속부위의 표면손상을 사전에 억제할 수 있으며, 상간스페이서 취부품질의 향상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를 사용하는 모습이 예시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거치대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레버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가 접힘 상태와 펼쳐짐 상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가 펼쳐짐 상태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 와이어와 전력선 고정부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10)를 사용하는 모습이 예시된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1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거치대(3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10)는 경량(10kg 내외)의 접이식으로 구성되며, 다중안전장치를 채용하여 메인 스페이서카(20) 측방에 취부한 상태로 철탑간 경간 내 이동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상간스페이서(40) 점검시 보조 스페이서카(10)를 메인 스페이서카(20)에 취부하고 송전선로(30)를 이동하면서, 상간스페이서(40) 설치 개소에 이르면, 보조 스페이서카(10)를 상간스페이서(40) 건너편에 이동설치하고, 작업자가 메인 스페이서카(20)에서 보조 스페이서카(10)로 이동한 후 다시 메인 스페이서카(20)를 상간스페이서(40) 건너편으로 이동 설치한 후 메인 스페이서카(20)로 재차 이동하여 상간스페이서(40)를 전력선에서 분리 및 재설치 작업 없이 전력선을 이동하면서 각종 점검작업과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조 스페이서카(10)는 본체 프레임(100), 접이식 레버(200), 전력선 거치대(300) 및 발 받침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0)은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되, 몸체의 전단을 이루는 제1 본체 프레임(110)과 몸체의 후단을 이루는 제2 본체 프레임(120)이 한 쌍을 이루게 된다.
접이식 레버(200)는, 제1 본체 프레임(110)과 제2 본체 프레임(120)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이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전력선 거치대(300)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의 상측에 연결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이 전력선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선 거치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어, 몸체의 전단을 이루는 제1 본체 프레임(110)과 몸체의 후단을 이루는 제2 본체 프레임(120)의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전력선이 각각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발 받침대(400)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의 하측에 연결되되,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 받침대(400)는, 몸체의 전단을 이루는 제1 본체 프레임(110)이 연결되도록 하되, 제1 본체 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마련되어, 바닥면이 제1 본체 프레임(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상태 또는 바닥면이 제1 본체 프레임(110)의 높이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상태가 전환 가능하다.
즉, 발 받침대(400)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이 펼쳐짐 상태인 경우, 제2 상태로 전환되어, 본체 프레임(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보조 스페이서카(10)의 바닥 역할을 수행하되,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이 접힘 상태인 경우, 제1 상태로 전환되어, 본체 프레임(100)의 측면에 배치되고, 보조 스페이서카(10)가 메인 스페이서카(20)에 취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레버(2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6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레버(200)는, 제1 본체 프레임(110)과 제2 본체 프레임(120)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이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플레이트(210), 제2 플레이트(220), 제3 플레이트(230), 제4 플레이트(240), 제1 회전 부재(250), 고정 부재(260), 연결 와이어(270) 및 제2 회전 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 본체 프레임(110)의 상측과 제2 본체 프레임(120) 상측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이 제1 본체 프레임(110)과 연결되고, 제2 플레이트(220)는 일측이 제1 플레이트(210)와 연결되되, 타측이 제2 본체 프레임(120)과 연결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이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20)는, 펼쳐짐 상태인 경우, 상호 간에 겹쳐지는 부분에 해당하되, 제1 회전 부재(250)가 삽입관통하도록 하는 제1 인입 홀과 상호 간에 겹쳐지는 부분에 해당하되, 제1 인입 홀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260)가 삽입관통되도록 하는 제2 인입 홀(212, 222)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230)는 제1 본체 프레임(110)의 하측과 제2 본체 프레임(120)의 하측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이 제1 본체 프레임(110)과 연결되고, 제4 플레이트(240)는 일측이 제2 플레이트(220)와 연결되되, 타측이 제2 본체 프레임(120)과 연결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이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250)는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가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1 회전 부재(25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가 회동함으로써,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 부재(260)는 제1 회전 부재(25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를 함께 관통하여,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20)의 회동을 차단하여 펼쳐짐 상태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 와이어(270)는, 제1 플레이트(210) 또는 제2 플레이트(2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 부재(260)의 일단과 연결되어, 고정 부재(260)가 제2 인입 홀(212, 222)에 삽입관통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플레이트(210) 또는 제2 플레이트(220)에 연결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280)는 제3 플레이트(230)와 제4 플레이트(240)가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2 회전 부재(28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3 플레이트(230)와 제4 플레이트(240)가 회동함으로써,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플레이트(230)와 제4 플레이트(240)는 펼쳐짐 상태인 경우, 상호 간에 겹쳐지는 부분 중 제2 회전 부재(280)가 삽입관통하도록 하는 제3 인입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10)가 접힘 상태와 펼쳐짐 상태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10)가 펼쳐짐 상태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10)는 본체 프레임(100), 접이식 레버(200), 전력선 거치대(300) 및 발 받침대(400) 이외에, 힌지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부재(500)는 발 받침대(400)와 몸체의 전단을 이루는 제1 본체 프레임(110)이 연결되도록 하되, 발 받침대(400)가 제1 본체 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10)에 마련된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과 접이식 레버(2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힌지 부재(500)에 의해, 발 받침대(400)가 회동하여, 발 받침대(400)의 바닥면이 제1 본체 프레임(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상태로 전환되어, 메인 스페이서 카에 취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과 접이식 레버(2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과 접이식 레버(200)가 펼쳐짐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된 이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부재(500)에 의해, 발 받침대(400)가 회동하여, 발 받침대(400)의 바닥면이 제1 본체 프레임(110)의 높이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상태로 전환되어, 상간스페이서(40) 설치 개소에 이르면, 보조 스페이서카(10)를 상간스페이서(40) 건너편에 이동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몸체의 후단을 이루는 제2 본체 프레임(120)은,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발 받침대(400)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상태의 발 받침대의 걸쇠 고리부(410)가 걸쳐져 제2 상태가 유지되며, 작업자의 하중 부담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받침 돌출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발 받침대(400)는, 전단의 상측에 마련되되, 하측을 항해 개방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받침 돌출부(121)에 걸쳐지도록 하는 걸쇠 고리부(410)와 전단의 하측에 마련되되, 하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본체 프레임(120)의 하단에 걸쳐져 제2 상태가 유지되며, 작업자의 하중 부담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출 걸림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 와이어(600)와 전력선 고정부(7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페이서카(10)는 본체 프레임(100), 접이식 레버(200), 전력선 거치대(300), 발 받침대(400) 및 힌지 부재(500) 이외에, 이탈방지 와이어(600) 및 전력선 고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 와이어(600)는 고리 형상의 개방된 부분이 폐쇄되도록 하여, 전력선 거치대(300)에 전력선이 거치되는 경우, 거치된 전력선이 고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력선 고정부(700)는 일측이 한 쌍의 본체 프레임(100)의 상측에 연결되되, 타측이 전력선에 탈부착되도록 클램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전력선 거치대(300)를 보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 와이어(600)는 전력선 거치대(300)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고리 형상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거나 또는 개방할 수 있으며, 전력선 고정부(700)는 전력선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현되어, 상간스페이서(40) 건너편에 보조 스페이서카(10)가 펼쳐진 상태로 이동설치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전장치로서 이용되고, 보조 스페이서카(10)가 접힘 상태로 메인 스페이서카(20)에 취부되는 경우에는 탈착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보조 스페이서카 20 : 메인 스페이서카
30 : 송전선로 40 : 상간스페이서
100 : 본체 프레임 110 : 제1 본체 프레임
120 : 제2 본체 프레임 121 : 받침 돌출부
200 : 접이식 레버 210 : 제1 플레이트
220 : 제2 플레이트
212, 222 : 제2 인입 홀 230 : 제3 플레이트
240 : 제4 플레이트 250 : 제1 회전 부재
260 : 고정 부재 270 : 연결 와이어
280 : 제2 회전 부재
300 : 전력선 거치대 400 : 발 받침대
410 : 걸쇠 고리부 420 : 돌출 걸림부
500 : 힌지 부재 600 : 이탈방지 와이어
700 : 전력선 고정부

Claims (10)

  1.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의 전단과 후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본체 프레임;
    한 쌍의 본체 프레임 간에 마련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이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접이식 레버; 및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어,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이 전력선에 거치되도록 하는 전력선 거치대;를 포함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력선 거치대는,
    외측을 향해 개방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어, 몸체의 전단을 이루는 제1 본체 프레임과 몸체의 후단을 이루는 제2 본체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복수의 전력선이 각각 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3. 청구항 2에 있어서,
    고리 형상의 개방된 부분이 폐쇄되도록 하여, 전력선 거치대에 전력선이 거치되는 경우, 거치된 전력선이 고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측이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되, 타측이 전력선에 탈부착되도록 클램프 타입으로 형성되어, 전력선 거치대를 보조하는 전력선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는 발 받침대; 및
    발 받침대와 몸체의 전단을 이루는 제1 본체 프레임이 연결되도록 하되, 발 받침대가 제1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힌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발 받침대는,
    힌지 부재에 의해 회동되어, 바닥면이 제1 본체 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따라 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상태 또는 바닥면이 제1 본체 프레임의 높이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하면에 배치되는 제2 상태가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7. 청구항 6에 있어서,
    몸체의 후단을 이루는 제2 본체 프레임은,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발 받침대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상태의 발 받침대의 일부가 걸쳐져 제2 상태가 유지되며, 작업자의 하중 부담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받침 돌출부;를 포함하고,
    발 받침대는,
    전단의 상측에 마련되되, 하측을 항해 개방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받침 돌출부에 걸쳐지도록 하는 걸쇠 고리부; 및
    전단의 하측에 마련되되, 하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본체 프레임의 하단에 걸쳐져 제2 상태가 유지되며, 작업자의 하중 부담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돌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8. 청구항 6에 있어서,
    한 쌍의 본체 프레임은,
    발 받침대가 제1 상태로 전환되고, 접이식 레버에 의해, 접힘 상태가 되어, 메인 스페이서 카에 취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접이식 레버는,
    일측이 제1 본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
    일측이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되, 타측이 제2 본체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회동하여 접힘 상태 또는 펼쳐짐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1 회전 부재; 및
    제1 회전 부재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함께 관통하여,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회동을 차단하여 펼쳐짐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펼쳐짐 상태인 경우, 상호 간에 겹쳐지는 부분에 해당하되, 제1 회전 부재가 삽입관통하도록 하는 제1 인입 홀과 상호 간에 겹쳐지는 부분에 해당하되, 제1 인입 홀에서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가 삽입관통되도록 하는 제2 인입 홀이 각각 마련되며,
    접이식 레버는,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어, 고정 부재가 제2 인입 홀에 삽입관통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하는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하는 보조 스페이서카.

KR2020190000416U 2019-01-28 2019-01-28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KR200493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16U KR200493398Y1 (ko) 2019-01-28 2019-01-28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16U KR200493398Y1 (ko) 2019-01-28 2019-01-28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46U true KR20200001746U (ko) 2020-08-05
KR200493398Y1 KR200493398Y1 (ko) 2021-03-22

Family

ID=7203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16U KR200493398Y1 (ko) 2019-01-28 2019-01-28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972B1 (ko) * 2022-04-14 2022-08-26 이경재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228A (ko) * 2006-06-21 2007-12-27 (주)한누리 전주용 접이식 작업대
KR100876102B1 (ko) * 2005-12-29 2008-12-26 한국전기공사협회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KR101176771B1 (ko) * 2009-11-19 2012-08-24 이상규 안전 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102B1 (ko) * 2005-12-29 2008-12-26 한국전기공사협회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KR20070121228A (ko) * 2006-06-21 2007-12-27 (주)한누리 전주용 접이식 작업대
KR101176771B1 (ko) * 2009-11-19 2012-08-24 이상규 안전 작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972B1 (ko) * 2022-04-14 2022-08-26 이경재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98Y1 (ko)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9918C2 (ru) Крепежный узел и продольная подъемная балка для неразъемной силовой установк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20160221682A1 (en) Propulsion assembly incorporating a turbojet and a mounting pylon enabling a new distribution of the forces between the turbojet and the wing
US20170166331A1 (en) Transport and hoisting structure for a turbomachine
US7216604B2 (en) Retractable arch system for a boat
US10494113B2 (en) Aircraft engine assembly, comprising an engine attachment device equipped with structural movable cowls connected to the central box
AU2015202772B2 (en) Assembly for mooring a pile with a mooring line and method implemented with said assembly
US8800916B2 (en) Device for attaching an aircraft engine, comprising blocks for clamping an engine attachment with a wedge effect
KR20200001746U (ko)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US10486819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n engine on an aircraft pylon
CN104276182B (zh) 用于吊椅或吊舱索道的维修装置和架空索道设备
RU2711946C2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ре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дверей фюзеляжа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EP2673187B1 (en) Ramp for a movable passenger bridge for a ship
KR101145953B1 (ko) 인공위성 몸체패널의 전개 및 고정장치
US11034458B2 (en) Front fairing of an aircraft pylon comprising a mobile shroud and aircraft equipped with said front fairing
EP3156547A1 (en) Guar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130107436A (ko) 화물창 격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415068B (zh) 用于缆索运输系统的辊子组件装置或吊车装置
KR101304915B1 (ko) 선박의 핸드 레일
KR101623193B1 (ko) 팬터그래프 고정장치
KR20130053326A (ko) 탈부착식 맨홀 손잡이
KR200480031Y1 (ko) 다 방향 로프 연결 고리용 다중 체결 고리
CN110869587B (zh) 用于燃气轮机的悬挂系统以及所属的燃气轮机
KR20160002060U (ko) 선박 위성 안테나 고정용 포스트
KR20150024016A (ko) 개폐형 핸드레일이 장착된 라싱브릿지
JP2004293176A (ja) 橋梁用の防護足場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防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