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972B1 -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Google Patents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6972B1 KR102436972B1 KR1020220046535A KR20220046535A KR102436972B1 KR 102436972 B1 KR102436972 B1 KR 102436972B1 KR 1020220046535 A KR1020220046535 A KR 1020220046535A KR 20220046535 A KR20220046535 A KR 20220046535A KR 102436972 B1 KR102436972 B1 KR 102436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unit
- pair
- fence
- volu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 카의 부피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파지 후, 송전철탑에 오르 내릴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인양용 로프가 없이도 안전하게 스페이서 카를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되 링크 양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간부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측벽부와, 상기 공간부의 체적이 최대치일 때, 상기 공간부의 체적이 불변될 수 있게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측벽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휀스부와, 일측이 한 쌍의 상기 측벽부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측벽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끼움 결합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발판부와, 하부가 상기 측벽부 외면과 이어지게 형성되되 상부는 고압선에 안착하여 사각의 틀 형상으로 결합한 상기 발판부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휀스부가 고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부 및 한 쌍의 상기 측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에 의해 상기 상기 발판부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휀스부가 고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페이서 카의 부피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파지 후, 송전철탑에 오르 내릴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인양용 로프가 없이도 안전하게 스페이서 카를 작업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관한 것이다.
가공송전선로의 철탑과 철탑 사이에는 전력선의 간격에 따라 상간스페이서(또는 스페이서 댐퍼라고도 함)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상간 이격거리를 적정하게 유지시키므로, 이격거리 부족으로 발생되는 각종 빙설해(Galloping, Sleet Jump) 고장 예방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철탑과 철탑 사이의 경간이 300m 정도의 154kV 송전선로의 경우, 평균 3개의 상간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한 경간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3개의 상간스페이서 분리 및 재설치 작업이 필요하며, 1개 통과에 1시간 이상이 소요되므로 휴전시간 짧거나, 분리작업에 곤란한 경우 상간스페이서 설치 개소에 대한 각종 점검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하여, 이러한 상간 스페이서의 작업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게 전력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스페이서 카(Spacer car)가 공지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스페이서 카는 작업자 이외에 필요 기구나 공그 등을 적재하여 전력선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상간 스페이서에 대한 작업의 용이성은 가지고 있으나, 해당 스페이서 카를 철탑의 상부까지 옮기기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가 로프 등을 연결하여 철탑 상부 즉, 작업위치까지 올라간 이후에 가지고 있는 로프의 하단에 스페이서 카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올라간 위치까지 도르레 등을 이용하여 끌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특히 바람이 심한 경우에는 해당 스페이서 카의 출렁거림에 의해 활선상태에 있는 전력선과 마찰하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페이서 카 차체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하여 별도의 로프를 이용한 인양이 없이도 작업자가 짊어지고 송전철탑에 안전하게 오를 수 있는 스페이서 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는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공간부(110)를 형성하되 링크(130) 양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측벽부(100)와,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이 최대치일 때,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이 불변될 수 있게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측벽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휀스부(200)와, 일측이 한 쌍의 상기 측벽부(100)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측벽부(100)와 수평을 이루도록 끼움 결합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발판부(300)와, 하부가 상기 측벽부(100) 외면과 이어지게 형성되되 상부는 고압선(P-W)에 안착하여 사각의 틀 형상으로 결합한 상기 발판부(300)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100)와 상기 휀스부(200)가 고압선(P-W)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부(400) 및 한 쌍의 상기 측벽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에 의해 상기 상기 발판부(300)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100)와 상기 휀스부(200)가 고압선(P-W)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100)는 내면에 상기 핸들부(500)가 설치되되 상기 휀스부(200)와 함께 상기 공간부(110)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상기 발판부(300)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발판부(300) 타측과 끼움 결합하는 끼움봉(121)이 형성된 측벽몸체(120)와, 두 분체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분체 일측은 상기 측벽몸체(1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각각의 분체 타측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이 가변될 수 있게 한 쌍의 상기 측벽몸체(12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링크(130) 및 상기 측벽몸체(120)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링크(130)에 의해 상기 공간부(110) 체적이 최소한일 때, 한 쌍의 상기 측벽몸체(1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휀스부(200)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레임(210)에 의해 형성되되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측벽몸체(120)에 형성된 삽입홈(125)과 끼움 결합하여 최대치의 체적을 갖는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을 유지시키며, 상기 휀스부(200)는 상기 측벽몸체(120) 또는 상기 휀스부(200)끼리 자력에 의해 서로 탈부착 될 수 있도록 내부에 자석체(22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부(300)는 메쉬 구조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은 상기 측벽몸체(120)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회전축(31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끼움봉(121)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끼움홈(32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측벽부(100) 외면에 다수 형성되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사공(411)이 형성된 고정몸체(410)와,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면은 상기 나사공(411)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치(齒) 결합하여 고압선(P-W)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봉(420)과, 상기 조절봉(42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에 의해 고압선(P-W)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판부(300)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100)와 상기 휀스부(200) 전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롤러(430) 및 상기 이동롤러(4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롤러(430)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핸들부(5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롤러(43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시키는 구동기어(4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압선(P-W) 외면과 접촉하는 상기 이동롤러(430)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43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기부(431) 또는 상기 이동롤러(430)는 절연재질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부(500)는 상기 측벽부(100)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구동기어(440)와 연결수단(530)에 의해 연결되는 보조기어(510) 및 연결수단(530)에 의해 상기 보조기어(5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44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520)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부(500)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벽부(100) 내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링크의 접힘과 펼침을 통하여 한 쌍의 측벽몸체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 댐퍼를 유지보수시에 작업자가 상기 측벽몸체의 간격을 좁혀 등에 짊어진 상태로 송전철탑에 올라가 작업장소에서 다시 펼쳐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로프를 이용한 인양이 없이도 안전하게 스페이서 카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스페이서 카의 인양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링크와 발판부의 작용관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공간부 체적이 최소화 상태일 때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휀스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발판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측벽몸체에 형성된 핸들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핸들부의 작용관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링크와 발판부의 작용관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공간부 체적이 최소화 상태일 때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휀스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발판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측벽몸체에 형성된 핸들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이동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에 대한 핸들부의 작용관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이하, 간략하게 '스페이서 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은 측벽부(100), 휀스부(200) 및 발판부(300)를 통해 전체적으로 사각의 틀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이나 사각 이상의 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카(1)는 크게 측벽부(100), 휀스부(200), 발판부(300), 이동부(400) 및 핸들부(5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측벽부(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설명하는 휀스부(200) 및 발판부(300)와 함께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부(110)가 형성될 수 있게 사각의 틀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측벽몸체(120), 링크(130) 및 고정수단(140)을 포함한다.
예컨대 측벽몸체(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부(300)를 평면으로 기준으로 하여 발판부(300)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공간부(110)를 형성하기 위한 4개의 측벽 중 두 개의 측벽을 형성한다.
이때, 한 쌍의 측벽몸체(120)는 후에 설명하는 핸들(520)이 공간부(110) 내측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공간부(110)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한 쌍의 핸들(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그 회전방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카(1)가 고압선(P-W)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측벽몸체(120)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는 발판부(300)를 구성하는 회전축(310)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기 위한 회전홈(123)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하부에는 상기 발판부(300)를 구성하는 끼움홈(320)이 탈착 가능하게 억지 끼움의 형태로 결합하기 위한 끼움봉(121)이 구비된다.
또한, 링크(1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분체로 구성되되 서로 겹쳐지는 각각의 일측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각각의 타측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몸체(1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몸체(120) 간격 즉, 공간부(110)의 체적(D,D')이 줄거나 늘어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하여,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카(1)를 휴대하여 송전철탑(미도시)에 올라가는 경우에는 두 분체로 구성된 링크(130)가 서로 겹쳐져 공간부(110)의 체적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밴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어깨에 짊어지고 올라간 이후에 스페이서 댐퍼의 수리를 위해 고압선(P-W)을 따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링크(130)가 수평이 되도록 펼쳐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을 최대한으로 하여 작업자가 상기 공간부(110) 내측으로 진입하여 스페이서 카(1)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공간부(110)의 체적이 최소한을 유지하기 위해 링크(130)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링크(130)가 원치 않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의 고정수단(140)이 측벽몸체(120) 외면에 형성되어 한 쌍의 측벽몸체(12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휀스부(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한 쌍의 측벽몸체(120)와 함께 공간부(110)의 다른 두 개의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레임(210) 및 자석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휀스부(200)는 평면상의 발판부(300)를 기준으로 측벽몸체(120)를 바라보지 않도록 상기 발판부(300)의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예컨대 프레임(2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볼트나 나사 등과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하며, 한 쌍의 측벽몸체(120)와 함께 공간부(110) 내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도구의 용도로 사용된다.
프레임(210)은 그 양단과 끝단이 한 쌍의 측벽몸체(120)에 형성된 삽입홈(125)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갖도록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5 참조).
이때, 프레임(210) 내부에는 자력에 의해 측벽몸체(120) 외면과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자석체(220)가 구비되며, 이를 위해 상기 측벽몸체(120) 외면에는 자석체(220)와 대응되는 부분에 금속 또는 또 다른 자석체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한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작업자는 링크(130)의 접힘 이후에 프레임(210)에 구비된 자석체(220)에 의해 측벽몸체(120) 외면에 부착한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게 되며, 공간부(110)의 체적이 최대치를 형성시에 상기 프레임(210)의 설치를 통해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부(3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측벽부(100)와 회전 및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공간부(110)로 진입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기립하여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발판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축(310) 및 끼움홈(320)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300)는 전체적으로 메쉬의 형태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회전축(310)은 발판부(300) 일측에 형성되어 상술한 회전홈(123)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끼움홈(320)은 상기 발판부(300)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끼움봉(121) 외면과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한다.
하여, 공간부(110)의 체적이 최대치를 이루도록 링크(130)가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발판부(300)를 회전시켜 끼움봉(121) 외면에 끼움홈(320)을 억지 끼움 결합하면 작업을 위한 발판이 마련되며,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이 최소화를 이루도록 측벽몸체(120)와 평행하게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휴대하여 송전철탑에 오르거나 내려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측벽몸체(120)와 평행을 이루는 발판부(300)는 고정수단(140)의 결합을 통해 원치 않게 회전하여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4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설명하는 핸들부(500)를 통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간부(110)를 형성하는 상술한 측벽부(100), 휀스부(200) 및 발판부(300) 일체가 고압선(P-W)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몸체(410), 조절봉(420), 이동롤러(430) 및 구동기어(440)를 포함한다.
예컨대 고정몸체(4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몸체(120) 각각의 양측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사공(411)이 형성되어 조절봉(420)과 서로 치(齒)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조절봉(420)은 수직방량으로 길이를 갖되 그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나사공(411)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치 결합하여 고정몸체(410) 상부로 돌출되는 조절봉(42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고압선(P-W)의 위치에 따라 조절봉(42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롤러(430)의 높이를 상기 조절봉(420)의 돌출길이를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카(1)의 거치에 대한 편의성이 제공된다.
하여, 고압선(P-W)과 접촉하는 이동롤러(430)는 외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돌기부(431)가 돌출 형성되어 무한궤도의 방식과 같이, 이동롤러(430)가 회전시에 돌기부(431)가 고압선(P-W) 외면을 밀어내면서 스페이서 카(1)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구동기어(4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부(500)를 구성하는 보조기어(510)와 체인, 밸트 와이어 등을 의미하는 연결수단(5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핸들(520)이 회전시에 그 회전력이 상기 보조기어(510)와 상기 연결수단(530)을 통해 상기 구동기어(440)로 전달되어 이동롤러(43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5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외력을 통해 한 쌍의 측벽몸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력을 이동부(400)에 전달하여 스페이서 카(1)가 이동하기 위한 동력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조기어(510) 및 핸들(520)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상기 측벽몸체(120)에 각각 핸들부(5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예컨대 보조기어(5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530)을 통해 구동기어(44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측벽몸체(120) 내면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이와 동시에 또 다른 연결수단(530)을 통해 핸들(520)과도 연결되어 상기 핸들(5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기어(510)는 물론, 상기 구동기어(440)까지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 이동롤러(430)가 회전하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한다(도 13 참조).
이를 위해, 핸들(520) 역시, 보조기어(510)와 소정거리 이웃하게 측벽몸체(120) 내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간부(110)에 위치한 작업자가 한 쌍의 핸들을 동시에 회전시켜 어느 한 쪽 방향으로 스페이서 카(1)가 치우치지 않게 고압선(P-W)을 떠라 이동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카(1)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의 작업자는 송전철탑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카(1)를 옴기기 위해 휴대가 용이하도록 발판부(300)가 측벽몸체(120)와 수직방향으로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공간부(110)의 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링크(130)를 접어 한 쌍의 상기 측벽몸체(120)의 간격이 최소한으로 좁혀질 수 있도록 한다(도 7 참조).
이때, 작업자는 서로 이웃하는 간격이 최소한에 이르는 한 쌍의 측벽몸체(120)가 고정될 수 있게 고정수단(140)을 통하여 링크(130)가 펼쳐지지 못하도록 잠금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접힘상태를 갖는 스페이서 카(1)를 어깨 등에 짊어지고 송전철탑에 오를 수 있도록 밴드 등을 체결 및 휴대하여 원하는 높이까지 도달하게 되면 스페이서 댐퍼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링크(130)를 펼쳐 공간부(110)의 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벽몸체(120) 간의 간격을 최대한 벌리게 한다( 도 6 참조).
이후, 작업자는 발판부(300)를 회전시켜 상기 발판부(300)에 형성된 끼움홈(320)과 끼움봉(121)을 상호 결합시켜 최대치까지 체적이 넓어진 공간부(110)의 형상이 변화하지 못하도록 한 쌍의 휀스부(200) 양단이 상기 측벽몸체(120)와 끼움 결합하도록 설치하여 작업자가 진입하기 위한 사각의 틀 형상을 마련하게 된다(도 5 참조).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다수의 이동롤러(430)가 고압선(P-W)에 안착할 수 있도록 걸친 상태에서 핸들(520)을 회전시켜 스페이서 카(1)의 전후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페이서 댐퍼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시전하고, 상술한 방식과 역순으로 진행하여 상기 스페이서 카(1)의 휴대가 가능하게 구조를 변경시켜 송전철탑에서 내려오는 것으로 안전한 작업이 마무리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카(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링크(130)의 접힘과 펼침을 통하여 한 쌍의 측벽몸체(120)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 댐퍼를 유지보수시에 작업자가 상기 측벽몸체(120)의 간격을 좁혀 등에 짊어진 상태로 송전철탑에 올라가 작업장소에서 다시 펼쳐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로프를 이용한 인양이 없이도 안전하게 스페이서 카(1)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100: 측벽부
110: 공간부 120: 측벽몸체
121: 끼움봉 123: 회전홈
130: 링크 140: 고정수단
200: 휀스부
210: 프레임 220: 자석체
300: 발판부
310: 회전축 320: 끼움홈
400: 이동부
410: 고정몸체 411: 나사공
420: 조절봉 430: 이동롤러
431: 돌기부 440: 구동기어
500: 핸들부
510: 보조기어 520: 핸들
530: 연결수단
P-W: 고압선
100: 측벽부
110: 공간부 120: 측벽몸체
121: 끼움봉 123: 회전홈
130: 링크 140: 고정수단
200: 휀스부
210: 프레임 220: 자석체
300: 발판부
310: 회전축 320: 끼움홈
400: 이동부
410: 고정몸체 411: 나사공
420: 조절봉 430: 이동롤러
431: 돌기부 440: 구동기어
500: 핸들부
510: 보조기어 520: 핸들
530: 연결수단
P-W: 고압선
Claims (7)
-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공간부(110)를 형성하되 링크(130) 양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을 가변시키는 측벽부(100);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이 최대치일 때,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이 불변될 수 있게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측벽부(1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휀스부(200);
일측이 한 쌍의 상기 측벽부(100)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타측은 다른 하나의 상기 측벽부(100)와 수평을 이루도록 끼움 결합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발판부(300);
하부가 상기 측벽부(100) 외면과 이어지게 형성되되 상부는 고압선(P-W)에 안착하여 사각의 틀 형상으로 결합한 상기 발판부(300)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100)와 상기 휀스부(200)가 고압선(P-W)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동부(400); 및
한 쌍의 상기 측벽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에 의해 상기 상기 발판부(300)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100)와 상기 휀스부(200)가 고압선(P-W)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핸들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측벽부(100) 외면에 다수 형성되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사공(411)이 형성된 고정몸체(410);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면은 상기 나사공(411)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치(齒) 결합하여 고압선(P-W)의 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조절봉(420);
상기 조절봉(42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에 의해 고압선(P-W)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발판부(300)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부(100)와 상기 휀스부(200) 전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이동롤러(430); 및
상기 이동롤러(4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롤러(430)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핸들부(5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롤러(43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시키는 구동기어(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100)는
내면에 상기 핸들부(500)가 설치되되 상기 휀스부(200)와 함께 상기 공간부(110)를 형성하며, 하부에는 상기 발판부(300)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발판부(300) 타측과 끼움 결합하는 끼움봉(121)이 형성된 측벽몸체(120);
두 분체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분체 일측은 상기 측벽몸체(1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각각의 분체 타측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이 가변될 수 있게 한 쌍의 상기 측벽몸체(12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링크(130); 및
상기 측벽몸체(120)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링크(130)에 의해 상기 공간부(110) 체적이 최소한일 때, 한 쌍의 상기 측벽몸체(1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휀스부(200)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프레임(210)에 의해 형성되되 양측이 한 쌍의 상기 측벽몸체(120)에 형성된 삽입홈(125)과 끼움 결합하여 최대치의 체적을 갖는 상기 공간부(110)의 체적을 유지시키며,
상기 휀스부(200)는 상기 측벽몸체(120) 또는 상기 휀스부(200)끼리 자력에 의해 서로 탈부착 될 수 있도록 내부에 자석체(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300)는
메쉬 구조를 갖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은 상기 측벽몸체(120)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는 회전축(31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끼움봉(121)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끼움홈(3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고압선(P-W) 외면과 접촉하는 상기 이동롤러(430)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431);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기부(431) 또는 상기 이동롤러(430)는 절연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500)는
상기 측벽부(100)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구동기어(440)와 연결수단(530)에 의해 연결되는 보조기어(510); 및
연결수단(530)에 의해 상기 보조기어(5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440)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핸들(520);을 포함하되,
상기 핸들부(500)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벽부(100) 내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6535A KR102436972B1 (ko) | 2022-04-14 | 2022-04-14 |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6535A KR102436972B1 (ko) | 2022-04-14 | 2022-04-14 |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6972B1 true KR102436972B1 (ko) | 2022-08-26 |
Family
ID=8311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6535A KR102436972B1 (ko) | 2022-04-14 | 2022-04-14 |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697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5962A (ko) * | 1998-12-30 | 2000-07-25 | 유제철 | 송전선의 스페이서댐퍼 통과형 작업차 |
KR200408954Y1 (ko) | 2005-11-24 | 2006-02-15 | 복기용 |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
KR101383983B1 (ko) | 2012-10-10 | 2014-04-10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후방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
KR20200001746U (ko) * | 2019-01-28 | 2020-08-05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
-
2022
- 2022-04-14 KR KR1020220046535A patent/KR1024369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45962A (ko) * | 1998-12-30 | 2000-07-25 | 유제철 | 송전선의 스페이서댐퍼 통과형 작업차 |
KR200408954Y1 (ko) | 2005-11-24 | 2006-02-15 | 복기용 |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
KR101383983B1 (ko) | 2012-10-10 | 2014-04-10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후방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
KR20200001746U (ko) * | 2019-01-28 | 2020-08-05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
KR200493398Y1 (ko) | 2019-01-28 | 2021-03-22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019367A (zh) | 飞行器用停靠装置及其控制方法 | |
KR102436972B1 (ko) |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 |
CN115385279B (zh) | 塔筒内升降设备 | |
EP3779261A1 (en) | Rotary bracket | |
US20050230194A1 (en) |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 |
KR101934753B1 (ko) | 갱폼 인양장치 | |
CN210152213U (zh) | 一种建筑施工稳定装置 | |
KR20120050357A (ko) |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 |
CN109914770B (zh) | 一种建筑高层施工用智能支撑平台及其安装方法 | |
KR101583611B1 (ko) | 벽부 승강 조명시스템 | |
KR20140110282A (ko) | 씨씨티비 카메라 승강장치 | |
CN108035528B (zh) | 一种协同受力导轨结构 | |
KR100909879B1 (ko) | 높낮이 조절용 안전곤도라 | |
JP2007138582A (ja) | 移動式吊り足場 | |
KR101833783B1 (ko) | 항공등화 시설용 지주식 진입등주 장치 | |
KR20220014778A (ko) | 곤도라에서의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용 안전곤도라 | |
KR200410637Y1 (ko) | 텐트의 고정장치 | |
KR102002579B1 (ko) | 가이드레일 인양 장치 | |
CN218406379U (zh) | 一种桥梁施工支架 | |
KR200485668Y1 (ko) | 조립식 리프팅 장치 | |
KR100902005B1 (ko) | 승강식 철도용 신호기 | |
KR200191032Y1 (ko) |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 | |
CN215184509U (zh) | 一种5g通讯用天线调节支架 | |
CN221421658U (zh) | 一种自行式液压栈桥 | |
KR20210001537A (ko) |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