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954Y1 -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 Google Patents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954Y1
KR200408954Y1 KR2020050033264U KR20050033264U KR200408954Y1 KR 200408954 Y1 KR200408954 Y1 KR 200408954Y1 KR 2020050033264 U KR2020050033264 U KR 2020050033264U KR 20050033264 U KR20050033264 U KR 20050033264U KR 200408954 Y1 KR200408954 Y1 KR 200408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body
coupled
lower sides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기용
강재동
Original Assignee
복기용
강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복기용, 강재동 filed Critical 복기용
Priority to KR2020050033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9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도체는 물론 4도체 및 6도체 등 송전선의 설치 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베이스롤러체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중 전방에 좌우로 설치된 제1지지대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안쪽 상단에 설치되어 송전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2안내롤러와; 상부는 상기 제2지지대 하단 전후에 대칭 결합되고 하부는 끼움공간이 형성되도록 제2지지대의 저면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상단과 결합되는 연결판과; 상기 일측 제2지지대의 안쪽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연결편과 타측 제2지지대의 안쪽으로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연결편 및 상기 수직 및 수평연결편을 연결하는 연결대로 구성되어 상기 좌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지지대의 틀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틀림방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장롤러체가 결합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스페이서카, 안내롤러, 송전선, 스페이서, 배낭

Description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Spacer car for electric cable}
도 1은 종래의 스페이서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탑승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치부의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접이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롤러체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접이부의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롤러체의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봉의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롤러체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도체에 적용시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4도체에 적용시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6도체에 적용시 사용상태도.
도 1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카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탑승부 11:기둥프레임 12:망체
13:안치부 14:안치편 15:수직부
16:수평부 17:상부기둥 18:하부기둥
19:제1접이부 20:베이스롤러체 21:제1지지대
22:지지축 23:걸림홈 24:측면프레임
25:제1안내롤러 26:지지봉 27:제2접이부
28:클램프요크부 29:결합부 30:잠금수단
32:걸림쇠 33:걸림부 34:지지판
35:관통공 36:잠금대 37:가압스프링
38:누름판 40:보조롤러체 41:보조롤러
42:내부홈 43:작동축 44:지지턱
45:스프링 46:고정체 47:손잡이
50:연장롤러체 51:제2지지대 52:제2안내롤러
53:연결판 54:끼움공간 55:비틀림방지대
56:수직연결편 57:수평연결편 58:연결대
59:고정봉 60:연결수단 61:제3지지대
63:연결판 64:끼움공간 65:비틀림방지대
66:수직연결편 67:수평연결편 68:연결대
70:나비볼트 71:힌지 72:고정핀
80:송전선 90:배낭 191:클램프요크부
192:삽입홈 193:삽입편 194:지지체
195:걸림턱부 261:오른나사 262:왼나사
263:너트 264:이동폭 321:돌출턱
322:결합공간
본 고안은 송전선 가선공사의 보수작업에 사용되며 작업자의 탑승 및 금구류 공구를 적재하여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장비인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도체는 물론 4도체 및 6도체 등 송전선의 설치 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전선의 간격 오차에 따라 스페이스카의 안내롤러와 안내롤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다단으로 분리 가능하고 일정부위는 접이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배낭에 넣은 다음 원하는 작업장소로 편리하게 이동 수 있도록 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페이서카는 송전선 가선공사의 보수작업에 사용되며 작업자의 탑승 및 금구류 공구를 적재하여 송전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장비로서, 특히 송전선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켜 주면서도 완충효과를 제공하여 보다 안전한 송전케이블의 설치구조를 갖게 하는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의 설치작업에 주로 사용된다.
종래 스페이서카(200)(Spacer car)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206)으로 감싸진 후레임(205)의 사면으로 안내휠(241)과 가이드 로울러(242) 사이에 송전선(207)이 관통되며 풋 브레이크(228)를 이용하여 정지시킨 후 스페이서댐퍼 취부 작업을 수행하는 스페이서카에 있어서, 상기 풋 브레이크(228)가 연결된 이송판(226)에 선단이 고정된 연결선(224)의 반대편이 연결된 작동판(220)이 하강하면 와이어(222)를 당겨 작동판(220)을 고정시키는 브레이크 잠금장치(202)와; 상기 안내휠(241)의 사면중 한쪽방향 양측에 설치된 로울러 폭 조절핸들(210)에서 돌출된 나사축(211)이 안내축(213)과 연결되고 외측으로 홀더축(212)이 설치되어 폭이 조절되는 폭조절장치(201)와; 상기 안내휠(241)의 한 방향에 무릎 보호대(230)를 설치하고 무릎 보호대(230)에 멜빵(231)을 설치한 등받이장치(203)로 이루어진다.(실용신안등록 제328532호 참조)
그리고 종래의 스페이서카의 사용방법은, 작업작가 스페이서카를 들거나 어깨에 메고 험한 산악지형을 올라가서 철탑에 설치된 송전선에 설치한 후 작업자가 스페이서카를 타고 스페이서카를 일정간격씩 이동하면서 스페이서 댐퍼의 설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페이스카는 복도체, 4도체, 6도체 등 송전선의 설치 수에 따라 각기 다른 스페이서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페이서카의 부피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스페이서카를 철탑까지 운반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스페이스카를 운반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카의 부피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스페이서카의 부피 소량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탈부착이 가능한 연장롤러체와 연장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복도체는 물론 4도체, 6도체 등 송전선의 설치 수에 관계없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페이서카를 절첩 및 분리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스페이서카의 부피를 최대한으로 소량화하여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작업장소까지 스페이서카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송전선용 스페이서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후, 좌우로 형성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 하단의 전후, 좌우 및 저면을 감싸는 망체로 이루어지는 탑승부와; 상기 각 기둥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각 제1지지대 상단의 안쪽으로 설치되는 제1안내롤러와, 일단은 상기 제1안내롤러의 중앙을 통과하여 제1지지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안내롤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끝단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 하단을 연결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후 끝단 부위를 연결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롤러체와; 하단은 지지봉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은 걸림부가 형성되어 제1안내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상부 측면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설치되는 한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에 결합되되 하단은 하부 지지판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은 상부 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안내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일면에 걸림되어 걸림쇠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대와, 상기 상, 하부 지지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잠금대의 외주에 끼움 결합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바로 하부에 밀착 위치되도록 잠금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수단과; 상기 제1안내롤러 아래에 축설되는 제1보조롤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상측에는,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중 전방에 좌우로 설치된 제1지지대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안쪽 상단에 설치되어 송전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2안내롤러와; 상부는 상기 제2지지대 하단 전후에 대칭 결합되고 하부는 끼움공간이 형성되도록 제2지지대의 저면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상단과 결합되는 연결판과; 상기 일측 제2지지대의 안쪽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연결편과 타측 제2지지대의 안쪽으로 수평되게 설 치되는 수평연결편 및 상기 수직 및 수평연결편을 연결하는 연결대로 구성되어 상기 좌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지지대의 틀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틀림방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장롤러체가 결합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페이서카는 송전선(80) 가선공사나 보수작업시 사용되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탑승 및 금구류 공구를 적재하여 송전선(80)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장비이다.
특히, 송전선(80)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켜 주면서도 완충효과를 제공하여 보다 안전한 송전케이블의 설치구조를 갖게 하는 스페이서 댐퍼(Spacer Damper)의 설치작업에 주로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페이서카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자가 탑승하는 탑승부(10)와, 상기 탑승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롤러체(20)와,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연장롤러체(50)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부(10)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 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후 좌우로 형성되는 기둥프레임(11)과, 상기 기둥프레임(11)의 하부의 전후 좌우 및 저면을 감싸는 망체(12)의 구성은 종래의 스페이서카의 탑승부와 동일하나, 본 고안의 스페이서카의 탑승부(10)의 특징은 상기 기둥프레임(11)의 상면에 안치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프레임(11)을 접을 수 있도록 제1접이부(19)를 마련함으로써 탑승부(10)의 부피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부(13)는, 기둥프레임(11)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측면프레임(24)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치부(13)는, L형강 형태로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측면프레임(24)을 감싸는 수직부(15) 및 측면프레임(24)의 안치면이 되는 수평부(16)로 이루어지는 안치편(14)과,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측면프레임(24)이 안치편(14)에 안치된 상태에서 안치편(14)의 수직부(15)와 측면프레임(24)을 연결하는 나비볼트(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수직부(15) 및 측면프레임(24)에는 나비볼트(7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공과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나비볼트(70)는,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의 결합시에는 안치편(14)의 수직부(15)와 측면프레임(24)에 체결되고,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의 분리시에는 분리되어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의 분리 및 결합을 가능케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접이부(19)는, 상기 기둥프레임(11)을 절반으로 접을 수 있는 관절 역할을 하는 부위로서, 기둥프레임(11)의 대략 중단을 절단하여 상부기둥(17)과 하부기둥(18)으로 분할 구성하되 상기 상부기둥(17)과 하부기둥(18)의 맞닿는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1접이부(19)는, 상기 상부기둥(17)의 저면으로부터 삽입홈(192)을 갖도록 돌출형성되는 클램프요크부(191)와, 상기 하부기둥(18)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클램프요크부(191)의 삽입홈(192)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삽입편(193)과, 상기 삽입홈(192)에 삽입편(193)이 대응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기둥(17)을 회전하여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삽입편(193)과 삽입홈(192)을 연결하는 힌지(71)와, 상기 삽입홈(192)에 삽입편(193)을 결합하여 힌지(71)를 체결한 상태에서 클램프요크부(191)의 외주연에 위치됨으로써 상부기둥(17)과 하부기둥(18)이 수직으로 선상태를 유지케 하거나, 필요시 클램프요크부(191)의 외주연을 벗어나 상부기둥(17)을 접을 수 있도록 상부기둥(17)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체(194)와, 상기 하부기둥(18)의 삽입편(193) 바로 아래에 하부기둥(18)의 외주연 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194)가 클램프요크부(191)의 외주연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94)의 저면이 걸림되어 더 이상 아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부(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롤러체(20)는, 상기 탑승부(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지며, 전후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제1지지대(21)와, 상기 제1지지대(21)의 하부 좌우 양측을 연결하는 측면프레임(24)과, 상기 각 제1지지대(21)의 상단 안쪽으로 설치되는 총 4개의 제1안내롤러(25)와, 상기 좌우측 측면프레임(2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연결하는 지지봉(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21)는 탑승부(10)의 기둥프레임(11)과 대응되기 때문에 기둥프레임(11)의 설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프레임(24)은 상기 제1지지대(21) 하부 측면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선단과 후단 저면이 탑승부(10)의 안치편(14)에 형성된 수평부(16)에 안정적으로 안치되어 분리 가능하도록 나비볼트(7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1지지대(21)와 측면프레임(24)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1지지대(21)를 접을 수 있도록 제2접이부(27)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접이부(27)는, 상기 제1지지대(21)의 하단이 결합되도록 측면프레임(24)의 전후 끝단 상면에서 상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제1지지대(21) 하단이 결합되는 결합부(29)를 갖는 클램프요크부(28)와, 상기 제1지지대(21)를 접을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요크부(28)의 결합부(29)에 제1지지대(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지지대(21)의 하단과 클램프요크부(28)를 연결하는 힌지(71)와, 상기 제1지지대(21)의 하단과 클램프요크부(28)가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71)의 상측으로 체결되는 고정핀(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72)은 상기 제1지지대(21)가 기립(起立)된 상태에서는 체결되고 제1지지대(21)를 접을 때에는 제1지지대(21)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거되어 제1지지대(21)가 제1지지대(21) 하단에 체결된 힌지(7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구성중 제1지지대(21)의 상단 안쪽에 송전선(80)을 따라 이동하는 제1안내롤러(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롤러(25)의 일측면에 잠금수단(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롤러(25)의 하부에 보조롤러체(40)가 형성되는 것은 종래의 스페이서카와 동일하나, 본 고안의 베이스롤러체(20)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잠금수단(30)의 걸림쇠(32)에 돌출턱(321)을 형성하고 작동축(43)을 사용하여 보조롤러(41)를 결합하되 작동축(43)의 일단은 제1지지대(21)에 고정하고 타단은 걸림쇠(32)에 고정함으로써, 송전선(80)에 설치시에는 작동축(43)이 제1지지대(21)에 고정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송전선(80)의 분리시에는 작동축(43)을 제1지지대(21)로부터 이탈시켜 송전선(80)이 제1안내롤러(25) 및 보조롤러(41) 사이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제1안내롤러(25)는, 각 제1지지대(21)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상기 제1안내롤러(25)의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제1지지대(21)에 고정설치되고 타단은 제1안내롤러(25)의 일측으로 돌출되되 걸림홈(23)이 형성되는 지지축(22)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롤러(25)의 일측면 즉 지지축(22)의 걸림홈(23)을 향하는 쪽에는 종래와 같은 잠금수단(30)이 형성되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하단은 지지봉(26)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은 걸림부(33)가 형성되어 제1안내롤러(25)를 지지하는 지지축(22)의 걸림홈(23)에 걸림되는 걸림쇠(32)와, 상기 걸림쇠(32)의 상부 측면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설치되는 한편 중앙에 관통공(35)이 형성되는 지지판(34)과, 상기 지지판(34)의 관통공(35)에 결합되되 하단은 하부 지지판(34)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은 상부 지지판(3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안내롤러(25)를 지지하는 지지축(22)의 일면에 걸림되어 걸림쇠(32)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대(36)와, 상기 상하부 지지판(34) 사이에 위치되도록 잠금대(36)의 외주에 끼움 결합되는 가압스프링(37)과, 상기 상부 지지판(34)의 바로 하부에 밀착 위치되도록 잠금대(36)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누름판(38)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잠금수단(30)의 걸림쇠(32)를 형성함에 있어서 걸림쇠(32)의 하단 측면에 결합공간(322)을 두고 양측으로 돌출턱(321)을 형성하며, 또한 제1안내롤러(25)와 지지봉(26) 사이에 보조롤러체(40)를 축설함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21)와 걸림쇠(32)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 폭으로 형성되면서 내부 양측에는 내부홈(42)이 형성되는 보조롤러(41)와, 일측 선단은 보조롤러(41)의 중앙을 통과하여 제1지지대(2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설치되고 타측 선단은 걸림쇠(32)의 하단 측면으로부터 돌출 되게 결합되는 작동축(43)과, 상기 보조롤러(41)의 내부홈(42)에 위치되도록 상기 작동축(43)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스프링(45)과, 상기 작동축(43)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롤러(41)의 제1지지대(21) 측의 내부홈(42) 내에 위치되어 이 내부홈(42)에 설치된 스프링(45)을 지지하는 지지턱(44)과, 상기 작동축(43)의 타측 선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 선단이 제1지지대(2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수단(30)의 걸림쇠(32)에 형성된 돌출턱(321) 사이의 결합공간(322)에 결합되어 작동축(43)이 회전되지 않케 하고 작동축(43)을 타측으로 당겼을 때 작동축(43)의 일측 선단이 제1지지대(21)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결합공간(322)에서 이탈되어 작동축(43)의 회전을 가능케 함으로써 걸림쇠(32)의 걸림 상태를 해제케 하는 고정체(46)와, 상기 작동축(43)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47)로 이루어지는 보조롤러체(40)를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26)은, 상기 좌우 양측으로 설치된 측면프레임(24)의 전후 선단 측면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중앙부위를 절단하여 이 절단부위를 중심으로 한쪽 지지봉의 외주연에는 오른나사(261)를 형성하고 다른 쪽 지지봉에는 왼나사(262)를 형성하여 이에 부합되는 너트(263)를 체결함으로써 너트(263)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지지봉을 중앙으로 당기거나 밖으로 밀어내어 제1안내롤러(25)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봉(26)의 중앙의 절단부위는 일정간격의 이동폭(264)을 가지게 함으로써 너트(263)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좌우 지지봉(26)이 중앙으로 당겨지거나 밖으로 밀 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롤러체(50)는,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2지지대(51)와, 상기 제2지지대(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연결판(53)과, 상기 좌우로 설치되는 제2지지대(51)의 안쪽부위를 연결하는 비틀림방지대(55)와, 상기 각 제2지지대(51)의 상부 안쪽에 형성되는 제2안내롤러(52)로 구성된다.
상기 제2지지대(51)는,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전방 좌, 우측에 형성되는 제1지지대(21)와 동일한 형태 및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판(53)은, 상기 제2지지대(51) 하부 전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는 제2지지대(51)의 상부 전후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지지대(21) 상단이 결합되는 끼움공간(54)을 가지도록 제2지지대(51)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다.
상기 비틀림방지대(55)는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대(51) 사이에 설치되어 틀어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좌우 중 일측 제2지지대(51)의 안쪽으로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연결편(56)과, 타측 제2지지대(51)의 안쪽으로 수평으로 부착되는 수평연결편(57)과, 상기 수직연결편(56)과 수평연결편(57)을 연결하는 연결대(5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대(58)는 나비볼트(70)를 사용하여 수직연결편(56) 및 수평 연결편(57) 사이를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안내롤러(52)는, 각 제2지지대(51)의 상단 안쪽에 형성되며 이 제2안내롤러(52)의 일측면에는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안내롤러(25) 일측면에 형성된 잠금수단(30)과 동일한 잠금수단(30)이 형성되고, 제2안내롤러(52)와 상기 제2안내롤러(52)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일단이 제2지지대(51)에 결합되는 고정봉(59)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롤러체(20)에 형성되는 보조롤러체(40)와 동일한 보조롤러체(4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롤러체(50)에 형성되는 잠금수단(30)과 보조롤러체(40)는 베이스롤러체(20)에 설치된 잠금수단(30) 및 보조롤러체(40)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상기 베이스롤러체(20) 및 연장롤러체(50) 사이에 연결수단(60)을 설치하여 6도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연결수단(60)은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3지지대(61)와, 상기 제3지지대(61)의 하부 전후에 형성되는 연결판(63)과, 상기 좌우의 제3지지대(61) 사이를 연결하여 틀어짐을 방지하는 비틀림방지대(65)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3지지대(61)는 좌우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연장롤러체(50)의 끼움공간(64)에 결합된 다음 수개의 나비볼트(7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3지지대(61) 하단에는 연결판(63)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판(63)의 상부는 제3지지대(61)의 하부 전후에 대칭 결합되고 연결판(63) 하부는 끼움공간(54)을 가지도록 제3지지대(61)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공간(64)에는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지지대(21) 상단이 결합되어 수개의 나비볼트(70)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비틀림방지대(65)는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제3지지대(61)을 연결하여 틀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좌우로 설치되는 제3지지대(61) 중 일측 제3지지대(61)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연결편(66)과, 타측 제3지지대(61)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수평연결편(67) 및 상기 수직연결편(66)과 수평연결편(67)을 연결하는 연결대(68)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대(68)는 나비볼트(70)를 사용하여 수직연결편(66)과 수평연결편(67)을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페이서카는 탑승부(10)와 베이롤러체(20) 및 연장롤러체(50), 연결수단(60) 등을 사용 용도에 따라 다단으로 연결하여 복도체는 물론 4도체 및 6도체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 및 연장롤러체(50)를 각각 분리하고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페이서카의 부피를 최대한으로 줄여 작업자가 작업장소까지 용이하게 스페이서카를 운반하여 스페이서 댐퍼의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도체에 본 고안의 스페이서카를 적용할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 및 연장롤러체(5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최상단에 결합된 연장롤러체(50)를 분리하여 탑승부(10)와 베이스롤체(20)가 결합된 상태로 운행한다.
즉, 복도체에 적용시에는 전후 좌우로 형성되는 베이스롤러체(20)의 4개의 제1안내롤러(25)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상기 연장롤러체(50)를 분리하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베이스롤러체(20) 상측에 설치된 연장롤러체(50)의 분리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지지대(21) 상단이 연장롤러체(50)의 끼움공간(54)에 결합되어 수개의 나비볼트(70)로 체결되어 있던 상태에서 상기 나비볼트(70)를 풀어 체결상태를 해제한 후 연장롤러체(50) 전체를 들어올려 연장롤러체(50)를 분리한다.
이와 같이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제1안내롤러(25)와 보조롤러(41) 사이에 복도체가 위치되도록 한 후 운행하면 된다.
이때, 상기 복도체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보조롤러체(40)의 작동축(43)을 잡아당겨 작동축(43)의 일단이 제1지지대(21)에서 분리되게 한다.
즉, 상기 보조롤러체(40)의 손잡이(47)를 잡고 작동축(43)을 잡아당기면 잠금수단(30)의 걸림쇠(32)에 형성된 돌출턱(321)과 돌출턱(321) 사이의 결합공간(322)에 결합되어 있던 고정체(46)가 결합공간(322)에서 이탈되면서 작동축(43)의 일단이 제1지지대(21)에서 분리된다.
그런 다음 고정체(46)가 다시 결합공간(322)에 결합되지 않도록 90°회전시켜 돌출턱(321)의 선단에 놓이도록 한다.
이때, 작동축(43)을 잡아당길 경우 작동축(43)에 형성된 지지턱(44)은 스프링(45)을 밀면서 보조롤러(41)에 형성된 내부홈(42) 내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작동축(43)의 일단은 제1지지대(21)에 결합된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축(43)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킨 후 상기 제1안내롤러(25) 일측면에 형성된 잠금수단(30)의 잠금대(36)에 형성된 누름판(38)을 하향으로 누르면 가압스프링(37)에 의해 잠금대(36) 상단이 지지축(22)의 일면에 걸림된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지지축(22)의 걸림홈(23)에 걸림부(33)가 걸림되어 있던 걸림쇠(32)를 회전시켜 제1안내롤러(25)와 보조롤러(41) 사이에 복도체가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복도체를 결합한 다음에는 전술한 복도체의 결합과정의 역순으로 복도체가 제1안내롤러(25)와 보조롤러(41) 사이에서 일탈되지 않케 한다.
즉, 제1안내롤러(25)와 보조롤러(41) 사이에 복도체가 위치되면 걸림쇠(32)를 회전시켜 걸림쇠(32)의 걸림부(33)가 지지축(22)의 걸림홈(23)에 걸림되게 한 다음 잠금대(36)의 상단이 걸림되도록 누름판(38)을 눌렀다가 놓으면 가압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대(36)의 선단이 하향으로 내려갔다가 상향으로 상승되면서 잠금대(36)의 상단이 걸림되고 이 상태가 되면 걸림쇠(32)의 회전이 불가능한 걸림쇠(32)의 걸림부(33)가 지지축의(22)의 걸림홈(23)에 걸림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보조롤러체(40)의 손잡이(47)를 잡고 작동축(43)의 고정체(46) 부위가 걸림쇠(32)의 돌출턱(321)과 돌출턱(321) 사이의 결합공간(322)에 결합될 수 있도록 90°로 회전시켜 폭을 맞춘 다음 놓으면 보조롤러(41)의 내부홈(42)에 결합된 스프링(45)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공간(322)에 고정체(46)가 결합됨과 동시에 작동축(43)의 일단이 제1지지대(21)에 고정 결합되어 걸림쇠(32)가 회전되지 않는 완벽한 잠금 상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안내롤러(25)가 복도체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복도체의 폭의 변수는, 좌우로 분할 구성되는 지지봉(26)의 중단에 형성된 오른나사(261)와 왼나사(262)에 체결된 너트(263)를 회전시켜 복도체의 폭의 변수 만큼 지지봉(26)을 밀거나 당겨 제1안내롤러(25)의 폭을 넓히거나 줄임으로써 복도체의 폭의 변수를 맞출 수 있다.
다음은 4도체에 본 고안의 스페이서카를 적용할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도체에 사용시에는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4개 의 제1안내롤러(25) 및 연장롤러체(50)의 2개의 제2안내롤러(52)를 포함하여 모두 6개의 안내롤러가 필요하므로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 및 연장롤러체(50)가 결합된 상태로 운행이 이루어진다.
즉, 탑승부(10)의 안치부(13)에 베이스롤러체(20)의 측면프레임(24)이 안치되도록 한 후 수개의 나비볼트(70)로 체결하여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의 결합을 완료하고, 다시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지지대(21) 상단에 연장롤러체(50)의 끼움공간(54)이 결합되게 하여 역시 수개의 나비볼트(70)를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 및 연장롤러체(50)의 결합을 완성한다.
이 상태에서 4도체를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안내롤러(25)와 보조롤러(41) 사이 및 연장롤러체(50)의 제2안내롤러(52)와 보조롤러(41)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한 후 운행한다.
한편, 4도체의 결합과정은 연장롤러체(50)의 제2안내롤러(52)의 측면과 하부에도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안내롤러(52)의 측면과 하부에 형성된 잠금수단(30) 및 보조롤러체(40)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복도체의 결합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결합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6도체에 본 고안의 스페이서카를 적용할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도체에 적용할 경우에는 4도체의 적용시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롤러체(20)의 4개의 제1안내롤러(25)와 연장롤러체(50)의 2개의 제2안내롤러(52)를 포함 총 6개의 안내롤러가 필요하되 6도체는 베이스롤러체(20)와 연장롤러체(25) 사이의 상하폭이 4도체에 적용할 때보다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와 연결수단(60)과 연장롤러체(50)를 결합한 상태로 운행이 이루어진다.
즉, 탑승부(10)의 안치부(13)에 베이스롤러체(20)의 측면프레임(24)이 안치되도록 한 후 수개의 나비너트(70)로 체결하여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의 결합을 완료하고, 상기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지지대(21) 상단이 연결수단(60)의 끼움공간(64)에 결합되게 하여 수개의 나비볼트(70)로 체결하고, 다시 상기 연결수단(60)의 제3지지대(61) 상단이 연장롤러체(50)의 끼움공간(54)에 결합되게 한 다음 수개의 나비볼트(70)로 체결함으로써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와 연결수단(60)과 연장롤러체(50)의 결합을 완성한다.
이 상태에서 6도체 중 하부의 도체는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안내롤러(25)와 보조롤러(41) 사이에 결합하고, 상부의 도체는 연장롤러체(50)의 제2안내롤러(52)와 보조롤러(41)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한 후 운행한다.
한편, 6도체의 결합과정은 연장롤러체(50)의 제2안내롤러(52)의 측면과 하부에도 베이스롤러체(20)의 제1안내롤러(25)의 측면과 하부에 형성된 잠금수단(30) 및 보조롤러체(40)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전술한 복도체의 결합시 설명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결합과정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가장 큰 장점은 스페이서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일정부위를 접이식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스페이서카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 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와 연결수단(60)과 연장롤러체(50)의 연결부위에 체결된 나비볼트(70)를 풀어 결합상태를 해제한 다음 각 구성체들을 접어서 부피를 줄인다.
즉, 탑승부(10)는 기둥프레임(11)에 형성된 제1접이부(19)의 클램프요크부(191)를 가리고 있던 지지체(194)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클램프요크부(191)가 드러나게 한 다음 기둥프레임(11)의 상단을 잡고 회전시키면 힌지(71)를 중심으로 기둥프레임(11)이 회전되어 접혀지기 때문에 기둥프레임(11)의 부피를 절반으로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롤러체(20)는 제2접이부(27)의 고정핀(72)을 제거한 후 제1지지대(21)를 회전시키면 제1지지대(21)가 클램프요크부(28)의 하단에 체결된 힌지(7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혀지기 때문에 제1지지대(21)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일정규격의 배낭(90)에 일정부위가 접혀져 부피가 줄어진 탑승부(10)와 베이스롤러체(20)를 넣고 나머지 비교적 부피가 작은 연장롤러체(50)와 연결수단(60)을 넣은 다음 작업자가 각 구성요소들이 들어있는 배낭을 메고 작업장소에 올라가 각 분리된 구성요소를 용도에 맞게 조립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스페이서카는 부피가 대폭 축소됨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장소까지 운반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복도체는 물론 4도체 및 6도체 등 송전선의 설치 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전선의 간격 오차에 따라 스페이스카의 안내롤러와 안내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접이식으로 구성되고 다단으로 분리하여 스페이서카의 부피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낭에 넣은 다음 원하는 작업장소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2)

  1. 전후, 좌우로 형성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 하단의 전후, 좌우 및 저면을 감싸는 망체로 이루어지는 탑승부와; 상기 각 기둥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각 제1지지대 상단의 안쪽으로 설치되는 제1안내롤러와, 일단은 상기 제1안내롤러의 중앙을 통과하여 제1지지대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안내롤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끝단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대의 측면 하단을 연결하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후 끝단 부위를 연결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롤러체와; 하단은 지지봉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은 걸림부가 형성되어 제1안내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상부 측면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설치되는 한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에 결합되되 하단은 하부 지지판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은 상부 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안내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일면에 걸림되어 걸림쇠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대와, 상기 상, 하부 지지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잠금대의 외주에 끼움 결합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바로 하부에 밀착 위치되도록 잠금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수단과; 상기 제1안내롤러 아래에 축설되는 보조롤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래의 송전선용 스페이서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상측에는,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중 전방에 좌우로 설치된 제1지지대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제2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의 안쪽 상단에 설치되어 송전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제2안내롤러와; 상부는 상기 제2지지대 하단 전후에 대칭 결합되고 하부는 끼움공간이 형성되도록 제2지지대의 저면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상단과 결합되는 연결판과; 상기 일측 제2지지대의 안쪽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연결편과 타측 제2지지대의 안쪽으로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연결편 및 상기 수직 및 수평연결편을 연결하는 연결대로 구성되어 상기 좌우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지지대의 틀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틀림방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장롤러체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롤러체 전방의 좌우 제1지지대 및 연장롤러체의 연결판 사이에는, 상부가 연장롤러체의 끼움공간에 끼움 결합되도록 좌우 양측으로 대칭 형성되는 제3지지대와; 상기 제3지지대의 하단 전후에 대칭 결합되되 상부는 제3지지대에 고정결합되고 하부는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상단과 결합되는 끼움공간이 형성되도록 제3지지대의 아래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연결판과; 상기 일측 제3지지대의 안쪽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연결편과 타측 제3지지대의 안쪽으로 수평되게 설치되는 수평연결편 및 상기 수직 및 수평연결편을 연결하는 연결대로 구성되어 상 기 제3지지대의 틀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비틀림 방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수단을 결합하여 6도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안내롤러에 설치되는 잠금수단의 걸림쇠 하단 측면에는, 결합공간을 두고 양측으로 돌출턱이 형성되며,
    베이스롤러체의 제1안내롤러 아래에 축설되는 보조롤러체는, 상기 제1지지대와 걸림쇠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 폭으로 형성되면서 내부 양측에는 내부홈이 형성되는 보조롤러와; 일측 선단은 제1안내롤러의 중앙을 통과하여 제1지지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설치되고 타측 선단은 걸림쇠의 하단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는 작동축과; 상기 보조롤러의 내부홈에 위치되도록 상기 작동축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축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롤러의 제1지지대 측의 내부홈 내에 위치되어 이 내부홈에 설치된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턱과; 상기 작동축의 타측 선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 선단이 제1지지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수단의 걸림쇠에 형성된 돌출턱 사이의 결합공간에 결합되어 작동축이 회전되지 않케 하고 작동축을 타측으로 당겼을 때 작동축의 일측 선단이 제1지지대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결합공간에서 이탈되어 작동축의 회전을 가능케 함으로써 걸림쇠의 걸림 상태를 해제케 하는 고정체와; 상기 작동축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 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롤러체의 제2안내롤러의 측면에는 베이스롤러체의 제1안내롤러의 측면에 형성되는 잠금수단과 동일한,
    하단은 고정봉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은 걸림부가 형성되어 제2안내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의 상부 측면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설치되는 한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에 결합되되 하단은 하부 지지판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은 상부 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안내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일면에 걸림되어 걸림쇠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대와; 상기 상, 하부 지지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잠금대의 외주에 끼움 결합되는 가압스프링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바로 하부에 밀착 위치되도록 잠금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지는 잠금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잠금수단의 걸림쇠 하단 측면에는, 결합공간을 두고 양측으로 돌출턱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롤러체의 제2안내롤러 아래에는,
    상기 제2지지대와 걸림쇠 사이의 폭과 거의 동일 폭으로 형성되면서 내부 양 측에는 내부홈이 형성되는 보조롤러와; 일측 선단은 제2안내롤러의 중앙을 통과하여 제2지지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설치되고 타측 선단은 걸림쇠의 하단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되는 작동축과; 상기 보조롤러의 내부홈에 위치되도록 상기 작동축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축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롤러의 제2지지대 측의 내부홈 내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롤러의 일측 내부홈에 설치된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턱과; 상기 작동축의 타측 선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측 선단이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잠금수단의 걸림쇠에 형성된 돌출턱 사이의 결합공간에 결합되어 작동축이 회전되지 않케 하고 작동축을 타측으로 당겼을 때 작동축의 일측 선단이 제2지지대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결합공간에서 이탈되어 작동축의 회전을 가능케 함으로써 걸림쇠의 걸림 상태를 해제케 하는 고정체와; 상기 작동축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안내롤러 아래에 형성되는 보조롤러체와 동일한 보조롤러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의 제3지지대 상부는, 연장롤러체와의 결합시 연장롤러체의 끼움공간에 끼움 결합한 다음 다수개의 나비볼트로 견고히 체결함으로써, 필요시 나비볼트를 풀어 연장롤러체와 연결수단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의 끼움공간에는, 베이스롤러체의 제3지지대 상부를 끼움 결합한 다음 다수개의 나비볼트로 견고히 체결함으로써, 필요시 나비볼트를 풀어 연결수단과 베이스롤러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하단과 측면프레임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측면프레임 전후 끝단 상면에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클램프요크부와;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 하부가 상기 클램프요크부의 결합부에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가 하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프 요크부 하부에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를 고정할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롤러체가 클램프요크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요크부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제1지지대를 접을 경우에는 상기 클램프요크부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접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의 기둥프레임 상단에는,
    탑승부의 기둥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는 수직부 및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L형강 형태의 안치편과; 상기 안치편의 수평부에 베이스롤러체의 측면프레임이 안치된 상태에서는 안치편의 수직부와 베이스롤러체의 측면프레임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베이스롤러체와 탑승부의 분리시에는 체결 상태를 풀어서 베이스롤러체와 탑승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나비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치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의 기둥프레임은,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상, 하부기둥으로 분할 구성되되 상기 상, 하부기둥의 연결부위는,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기둥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클램프요크부와; 상기 하부기둥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클램프요크부의 삽입홈에 끼움결합되는 삽입편과; 상기 클램프요크부의 삽입홈에 하부기둥의 삽입편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기둥을 좌우로 회전시켜 접을 수 있도록 클램프요크부와 하부기둥의 삽입편을 연결하는 힌지와; 상기 힌지에 의해 클램프요크부 의 삽입홈에 삽입편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요크부의 외주연에 위치되어 상부기둥이 수직으로 선 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필요시 상기 클램프요크부의 외주연을 벗어나 상부기둥을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링 형태의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접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둥의 상단의 외주연에는, 하부기둥의 외주연 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걸림턱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체의 저면이 상기 걸림턱부에 안치되어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고 클램프요크부의 외주연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롤러체의 지지봉은 중간을 절단하여 좌우 지지봉으로 분할 구성하되 이 절단부위를 중심으로 좌측 지지봉의 선단에는 오른나사를 형성하고 우측 지지봉의 선단에는 왼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오른나사 및 왼나사가 형성된 부위에 이에 부합하는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너트의 회전에 의해 좌우 지지봉을 안쪽으로 잡아당기거나 바깥쪽으로 밀어 송전선 설치 폭의 변수에 따라 베이스롤러체의 제2 안내롤러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지지봉의 절단부위는 일정간격을 띄워서 결합으로써 좌우 지지봉을 당기거나 밀수 있는 이동폭을 마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KR2020050033264U 2005-11-24 2005-11-24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KR200408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264U KR200408954Y1 (ko) 2005-11-24 2005-11-24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264U KR200408954Y1 (ko) 2005-11-24 2005-11-24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954Y1 true KR200408954Y1 (ko) 2006-02-15

Family

ID=4175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264U KR200408954Y1 (ko) 2005-11-24 2005-11-24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954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983B1 (ko) 2012-10-10 2014-04-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후방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KR101451344B1 (ko) 2013-09-06 2014-10-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 압축기 고정장치
KR101490337B1 (ko) * 2013-07-31 2015-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위치 이동 가능한 구동 롤러를 구비한 와이어 이동형 로봇
KR200476907Y1 (ko) * 2013-11-28 2015-04-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력선 점검 장치
KR200478590Y1 (ko) 2014-04-25 2015-10-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력선 연결 장치
KR101602479B1 (ko) * 2015-08-17 2016-03-16 석문전기 주식회사 슬라이드 베드 조립체
CN109849942A (zh) * 2019-04-18 2019-06-07 徐州立人单轨运输装备有限公司 一种单轨吊乘人装置和矿井单轨吊车
KR102436972B1 (ko) 2022-04-14 2022-08-26 이경재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983B1 (ko) 2012-10-10 2014-04-10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후방으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KR101490337B1 (ko) * 2013-07-31 2015-02-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위치 이동 가능한 구동 롤러를 구비한 와이어 이동형 로봇
KR101451344B1 (ko) 2013-09-06 2014-10-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 압축기 고정장치
KR200476907Y1 (ko) * 2013-11-28 2015-04-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력선 점검 장치
KR200478590Y1 (ko) 2014-04-25 2015-10-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력선 연결 장치
KR101602479B1 (ko) * 2015-08-17 2016-03-16 석문전기 주식회사 슬라이드 베드 조립체
CN109849942A (zh) * 2019-04-18 2019-06-07 徐州立人单轨运输装备有限公司 一种单轨吊乘人装置和矿井单轨吊车
CN109849942B (zh) * 2019-04-18 2024-04-30 徐州立人单轨运输装备有限公司 一种单轨吊乘人装置和矿井单轨吊车
KR102436972B1 (ko) 2022-04-14 2022-08-26 이경재 안전기능이 향상된 스페이서 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954Y1 (ko) 송전선용 스페이서카
KR20190017837A (ko) 확장 발판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의 작업대
JP6211460B2 (ja) エレベータ用乗りかご
JP2003321174A (ja) エレベータ乗り籠の作業用柵
KR101825615B1 (ko) 레그 작업용 플랫폼
US20110214274A1 (en) Door installation apparatus
KR200474265Y1 (ko) 이동식 맨홀커버 인양장치
CN114541718B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建筑施工平台
KR20190139317A (ko) 작업대 및 배선 덕트
KR200484143Y1 (ko) 가스충전장비 이동장치
KR20130034496A (ko) 이동식 작업대의 유동방지 클램프
JP3180786U (ja) 墜落防止装置
CN211397417U (zh) 一种机电工程用作业梯
JPH0826649A (ja) 安全柵装置
CN209369702U (zh) 一种伸缩折合围栏梯
KR20160108012A (ko) 중량물 집게장치
KR20070006272A (ko)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CN111261370A (zh) 一种便于升降安装的电力柜变压器支撑装置
KR20120000780U (ko) 접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 장비용 사다리
KR20200106642A (ko) 안전난간의 피난계단 자동 원상 복원 장치
KR200213683Y1 (ko) 현수막 설치대
CN216042494U (zh) 一种用于写字楼外墙建造的组合式脚手架
JPH09118206A (ja) 自動車ボディ用板金修理台
KR20140000270U (ko) 핸드레일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사다리
JP2002167958A (ja) 作業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