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272A -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272A
KR20070006272A KR1020050061438A KR20050061438A KR20070006272A KR 20070006272 A KR20070006272 A KR 20070006272A KR 1020050061438 A KR1020050061438 A KR 1020050061438A KR 20050061438 A KR20050061438 A KR 20050061438A KR 20070006272 A KR20070006272 A KR 20070006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workbench
worktable
guide rai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오
Original Assignee
신용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오 filed Critical 신용오
Priority to KR102005006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6272A/ko
Publication of KR2007000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3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outside contour of a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반원형의 발판으로 형성되고, 고정밴드를 구비하여 전주에 고정되는 작업대 상부면에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제1작업대와; 상기 제1작업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는 슬라이더가 발판 하부면에 고정되고, 발판의 상부면에는 안전대를 구비하는 제2작업대와; 상기 제1작업대의 가이드 레일 상에서 상기 제2작업대의 슬라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동수단을 구비하여 제1작업대로부터 제2작업대가 수평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작업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동통신, 전주, 발판, 안테나

Description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전주에 작업대가 설치된 일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작업대에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작업대에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작업대에 제2작업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작업대에 제2작업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작업대가 격납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작업대가 인출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작업대에 제2작업대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 레일에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작업대가 격납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제2작업대가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
본 고안은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용 안테나가 설치되는 전주에서 작업대의 발판을 신축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안테나의 보수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되면서, 보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통신용 전주에서 작업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외적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으로 설치되는 전주에는 안테나 기지국 설비에 대한 하자 보수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용 발판이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이동통신 전주에 설치되었던 종래의 작업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전주(1)에 설치되는 작업대(2)는 전주(1)에 고정되는 고정밴드(3)와 상기 고정밴드(3)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게 되는 반원형의 발판(4)과 상기 발판(4)에 올라선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5) 그리고 지상으로부터 발판(4)을 연결하는 사다리(6)로 구성된다.
이러한 작업대(2)에서 안전대(5)는 발판(4) 위에서 보수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작업을 함에 있어서는 안전대(5)가 안전을 저해하는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비교적 좁은 공간으로 할당되어 있는 발판(4) 위에 올라서서 작업을 할 때에 전주(1)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 패널(C)을 감안하면 작업자가 작업하는 데에 필요한 공간은 대략 가상선 A와 같은 범위를 차지하게 됨으로 발판(4)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작업자의 둔부 부위가 안전대(5)에 접촉하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순간적으로 중심을 잃고 안전대(5) 밖으로 추락할 위험이 있으며, 제어부 패널을 열기 위해서 안전대를 딛고 올라서서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어서 작업자가 추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추락의 위험은 발판 위의 작업공간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활동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데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판의 크기를 크게 해서 충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이동통신용 전주에서 상대적으로 작업대가 차지하는 외적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교통로를 저해하는 경향이 생겨서 좋지 않으며, 외관도 좋지 않게 된다.
실제로 현재 시공되고 있는 작업대의 표준 사양은 반지름이 80cm인 반원형의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기존에 설치된 작업대를 철거하고 반지름이 90cm인 발판으로 되는 작업대로 교체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교체되는 작업대를 신규로 제작하여야 하고, 기존에 설치되었던 작업대를 철거하여야 하며, 그리고 신규 설치에 따르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설계상의 문제를 여전히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커지게 되는 작업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그만큼 많아지게 되어 도로 주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소통과 보행자의 통행 및 도시 미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제약 요인이 따르게 되어 현실적일 수 없기 때문에 그나마 교통도로와 무관한 지역에서만 신규 교체 설비가 가능하게 되는 제약적 요인이 있어서 실효성이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에 설치되는 작업대의 발판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상기 발판에 격납된 상태에서 일정한 구간으로 인출될 수 있는 제2작업대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대 발판의 폭을 가변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의 규격과 같이 반경이 80cm 정도의 규격을 가지면서 반경 20cm 이상의 작업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경제성과 안전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반원형의 발판으로 형성되고, 고정밴드를 구비하여 전주에 고정되는 작업대 상부면에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제1작업대와; 상기 제1작업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는 슬라이더가 발판 하부면에 고정되고, 발판의 상부면에는 안전대를 구비하는 제2작업대와; 상기 제1작업대의 가이드 레일 상에서 상기 제2작업대의 슬라이더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구조적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2작업대에 고정되는 슬라이더는 가이드 레일에 직접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면접촉 방식, 또는 이동용 바퀴가 형성되는 구름접촉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제1작업대로부터 제2작업대가 인출되고 격납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인출되는 범위는 제동수단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제동수단을 해체시킴에 따라 제2작업대는 제1작업대로부터 또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제1작업대로부터 상기 제2작업대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격납됨으로써 작업 공간을 가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작업대로부터 제2작업대를 인출하여 안전하게 확보된 작업 공간에서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작업을 마친 다음에는 인출되었던 제2작업대를 다시 제1작업대에 격납시킴으로써 작업대가 평상시에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작업대(10)에 가이드 레일(100)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지된 구조로 설치되는 제1작업대(1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00)과 상기 가이드 레일(100)에 안내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00)가 설치되어 상기 제1작업대(10)에서 인출되고 격납되는 제2작업대(20)로 구성된다.
제1작업대(10)는 공지된 작업대의 형상과 같이 발판(11)이 설치되는 반원형의 프레임(12)에 전주 수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전주 수용부(13)의 전면에 또한 반원형의 전주 수용부(13a)가 형성되는 밴드(14)가 보울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15)로 고정되고, 상기 발판(11)의 상부에 가이드 레일(100)이 고정된다.
가이드 레일(100)은 수평상의 기판(101) 상부에 보울트 삽입공(102)이 형성되면서 전면에는 제1작업대(10)의 프레임(12)에 형성되어 있는 전주 수용부(13)와 일치하는 반원형의 전주 수용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101)의 좌우측 단부에는 상부로 절곡되는 수직부(104,104a)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04,104a)로부터 기판(101)과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105,10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주 수용부(103)가 형성되는 쪽에서 상기 수평부(105,105a)의 선단부에는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케트(106,10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105,105a)에는 격납된 슬라이더(200)가 인출될 때에 가이드 레일(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저지할 수 있도록 장공홈(107,107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00)은 보울트 삽입공(102)을 통하여 발판(11)의 프레임(12)에 체결되는 보울트(108)에 의하여 발판(11) 상부면에 고정된다.
도 3은 제2작업대(20)에 슬라이더(200)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2작업대(20)는 발판(21)이 설치되는 장방형의 프레임(22)에 전주 수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전주 수용부(23)의 전면에는 슬라이더(200)를 고정하기 위한 보울트 삽입공(24)이 천공되어 있고, 좌우측과 후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는 다수개의 지주(25) 상부를 연결하는 안전대(26)가 형성되면서 지상으로부터 작업자가 도달할 수 있도록 사다리(2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주가 사다리를 사용하는 전주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전주의 뒷부분으로 오르내릴 수 있는 스텝 사다리가 설치되는 경우의 전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안전대(26)의 중앙은 개방되어 사다리(27)를 이용하여 탑승하는 작업자가 발판(21) 위에 쉽게 도달하고 내려갈 수 있게 배려되어 있다.
슬라이더(200)는 수평상의 기판(201) 상부에 보울트 삽입공(202)이 형성되면서 전면에는 제2작업대(20)의 프레임(22)에 형성되어 있는 전주 수용부(23)와 일치하는 반원형의 전주 수용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201)의 좌우측 단부에는 하부로 절곡되는 수직부(204,204a)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04,204a)의 바깥쪽에는 가이드 레일(100)의 수직부(104,104a)와 수평부(105,105a)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되는 사각봉(205,205a)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사각봉(205,205a)은 후위에 가이드 레일(100)의 장공홈(107,107a)에 수용되는 스토퍼(206,206a)가 고정되며, 안쪽의 측면이 수직부(204,204a)에 보울트로 체결되거나 또는 용접을 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10)에 안내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프레임(22)의 바닥면 사이에 수평상의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주 수용부(203)가 형성되는 쪽에서 상기 수직부(204.204a)의 선단부에는 프레임(22)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보울트 삽입공(207,207a,)이 형성된 고정 브라케트(208,208a)가 형성되어 있고, 후위에는 보울트 삽입공(207b)이 형성된 고정브라케트(208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0)의 보울트 삽입공(102,102a)을 통하여 발판(11) 아래쪽의 프레임(12)에 보울트(108,108a)를 체결하면 발판(11) 상부에 가이드 레일(100)이 설치되어 제1작업대(10)가 완성된다.
제2작업대(2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2)의 아래쪽에서 프레임(22)의 전주 수용부(23)와 슬라이더(200) 기판(201)의 전주 수용부(203)가 일치된 상태에서 보울트 삽입공(207,207a,207b)에 보울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210,211)를 이용하여 프레임(22)에 고정시켜서 완성된다.
이렇게 제1작업대(10)와 제2작업대(20)에 가이드 레일(100)과 슬라이더(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공지된 방법과 같이 제1작업대(10)의 전주 수용부(13)를 전주(P)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다음, 반대편 쪽에서 밴드(14)를 체결구(15)로 체결하여 전주(P)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작업대(10)의 가이드 레일(100)에서 기판(101) 양쪽 단부에 수직부(104,104a)와 수평부(105,105)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공간으로 제2작업대(20)의 슬라이더(200)를 삽입하여 제2작업대(20)가 전주(P)에 근접하는 위치로 최대한으로 밀어넣고, 발판(21) 상부로부터 슬라이더(200)의 사각봉(205,205a) 상부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100)의 장공홈(107,107a)에 스토퍼(206,206a)가 삽입되도록 고정하면,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작업대(10) 상부에 제2작업대(20)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작업대(10) 상부에서 이동하는 제2작업대(20)가 전주(P)에 근접하는 위치로 격납될 때에는 장공홈(107,107a)에 의하여 이동하여 장공홈(107,107a)의 바깥쪽 단부에 스토퍼(206,206a)가 접촉하여 저지되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되고, 바깥쪽으로 최대한 인출되었을 때에는 또한 장공홈(107,107a)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장공홈(107,107a)의 안쪽 단부가 브라케트(106,106a)에 접촉할 때에 정지되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에 작업자에게 제공되었던 제1작업대(10)상의 작업공간 C로부터 제2작업대(20)가 인출되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공간이 더 확보되어 가상선 B의 위치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1작업대(10)가 전주(P)에 고정된 다음 제2작업대가(20)가 제1작업대(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작업대(10)에 제2작업대(20)를 고정한 다음에 밴드(14)와 체결구(15)를 이용하여 제1작업대(10)를 전주(P)에 고정하여도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슬라이더(200a)의 기판(201a)양쪽 단부에 사각봉(205,205a)을 대체하는 이동용 바퀴(220,220a)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용 바퀴(220,220a)가 가이드 레일(100a)에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가이드 레일(100b)에 이동용 바퀴(230)가 고정된 고정대(231)가 가이드 레일(100b)에 보울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어 슬라이더(200b)가 이동용 바퀴(230)에 안내되며, 가이드 레일(100b)에는 스토퍼(301)가 형성되고, 슬라이더(200b)에는 스톱핀(300)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작업대(2a)에 걸고리(400)가 힌지(401)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걸고리(400)의 단부에 형성된 ∧형의 단부가 발판(4a)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격자상의 망체(150)에 걸려지게 되어 이동이 제한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제1작업대에서 제2작업대가 인출되어 확보되는 공간만큼 충분한 작업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이동통신용 전주에서 작업대가 차지하는 공간적인 제한을 극복하여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반원형의 발판으로 형성되고, 고정밴드를 구비하여 전주에 고정되는 작업대 상부면에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는 제1작업대;
    상기 제1작업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는 슬라이더가 발판 하부면에 고정되고, 발판의 상부면에는 안전대를 구비하는 제2작업대와;
    상기 제1작업대의 가이드 레일 상에서 상기 제2작업대의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동수단이 슬라이더(200)에 고정되는 스토퍼(206,206a)가 가이드 레일(100)에 형성되는 장공홈(107,107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동수단이 작업대(2a)에 걸고리(400)가 힌지(401)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걸고리(400)의 단부에 형성된 ∧형의 단부가 발판(4a)의 상부면을 구성하는 격자상의 망체(150)에 걸려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더(200a)의 기판(201a) 양쪽 단부에 사각봉(205,205a)을 대체하는 이동용 바퀴(220,220a)를 설치하여, 상기 이동용 바퀴(220,220a)가 가이드 레일(100a)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100b) 양쪽에 이동용 바퀴(230)가 설치되어 슬라이더(200b)가 이동용 바퀴(230)에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KR1020050061438A 2005-07-08 2005-07-08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KR20070006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38A KR20070006272A (ko) 2005-07-08 2005-07-08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38A KR20070006272A (ko) 2005-07-08 2005-07-08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272A true KR20070006272A (ko) 2007-01-11

Family

ID=3787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438A KR20070006272A (ko) 2005-07-08 2005-07-08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62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21Y1 (ko) * 2012-06-22 2014-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랜지 장착용 플랫폼
CN105672639A (zh) * 2016-03-10 2016-06-15 殷志成 一种便携式电杆检修支撑装置
KR101951604B1 (ko) * 2018-10-25 2019-05-21 황인성 고소 작업용 작업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321Y1 (ko) * 2012-06-22 2014-06-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랜지 장착용 플랫폼
CN105672639A (zh) * 2016-03-10 2016-06-15 殷志成 一种便携式电杆检修支撑装置
KR101951604B1 (ko) * 2018-10-25 2019-05-21 황인성 고소 작업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1720A (ko)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KR20070006272A (ko) 이동통신 전주의 작업대 인출 장치
KR20120018542A (ko) 지하철 스크린도어 청소 작업대
KR20070008937A (ko) 이동통신 전주의 보조 작업대 인출 및 회전 장치
CN210530712U (zh) 一种空调安装用安全梯
KR200439000Y1 (ko) 블록 부착식 사다리
CN214658619U (zh) 一种可移动装饰装修操作平台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200472094Y1 (ko)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CN112065020B (zh) 一种土木工程用组合式施工架
CN213015278U (zh) 一种多功能的高空操作平台
JP2005268458A (ja) ラック備え付け用作業台
JPH11107519A (ja) 作業用足場台
KR200486641Y1 (ko) 사다리용 안전발판
JP3906999B2 (ja) 移動式足場
JP3201332U (ja) 可搬式作業台
CN210798237U (zh) 一种房建搭载架
CN220601649U (zh) 一种便于消防避难的建筑结构
KR102340699B1 (ko)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CN209025490U (zh) 一种建筑施工楼梯安全防护栏
CN210416576U (zh) 一种矿井跑车防护装置调节结构
KR102311759B1 (ko) 사다리 장치
CN220539163U (zh) 一种建筑施工用施工架
CN214340778U (zh) 一种快速安装的工程造价咨询平台装置
KR200269028Y1 (ko) 사다리가 구비된 다용도 공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