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102B1 -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102B1
KR100876102B1 KR1020050133355A KR20050133355A KR100876102B1 KR 100876102 B1 KR100876102 B1 KR 100876102B1 KR 1020050133355 A KR1020050133355 A KR 1020050133355A KR 20050133355 A KR20050133355 A KR 20050133355A KR 100876102 B1 KR100876102 B1 KR 100876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pacer
wire
space car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617A (ko
Inventor
김효진
이동일
이형권
최인혁
배상길
박해완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공사협회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합자회사 광명전업사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공사협회,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합자회사 광명전업사,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공사협회
Priority to KR102005013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1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6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pairing insulation or armouring of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경간 내에서 사선상태나 활선상태로 유지보수를 할 때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에 설치한 후, 전선 위를 이동할 때 스페이서나 스페이서댐퍼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스페이스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 위에 설치하기 위해 베어링이 삽입된 3개의 나일론 로울러; 베어링이 삽입된 1개의 알루미늄 로울러; 2개의 스페이서 통과장치; 4개의 로울러 접이장치; 작업자용 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용 의자는 보강용 하부수평재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되어 있고 위치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스카, 송전선로, 스페이서댐퍼, 스페이서, 활선작업

Description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transit type space-car}
도 1은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상면도
도 4는 전선용 로울러의 세부적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스페이서 통과장치의 세부적인 측면도
도 7은 도 6의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본체 프레임 12: 보강용 상부수평재
13: 보강용 하부수평재 14: 받침판
15: 작업자용 의자
17: 나일론 로울러 18: 알루미늄 로울러
20: 스페이서 통과장치 21: 전선클램프
22: 턴버클 23: 턴버클용 레버
25: 소형로울러 고정판 26: 상부수평재용 소형로울러
30: 로울러 접이장치 31: 로울러접이용 핀
32: 스프링 33: 로울러 접이장치 연결핀
34: 로울러 지지대 35: 로울러 고정용 핀볼트와 너트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경간(span) 내 전선에서 스페이서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의 경간 내에서 전선이나 스페이서를 유지보수 하기 위해 작업자가 전선 위를 이동할 때, 스페이스카를 탑승한 상태로 이동하며, 특히 스페이스카를 탑승한 상태에서 스페이서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페이스카는 본체 프레임에 4개의 알루미늄 로울러가 구비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스페이스카는 알루미늄재로 구성되어 중량이 매우 무거워 작업성이 떨어지며 프레임에 고정형으로 4개의 알루미늄 로울러가 구비되어 있어 스페이서를 통과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스페이스카는 주로 송전선로가 정전상태인 사선작업에서만 사용되며, 활선작업 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그리고 종래의 스페이스카에는 작업자용 의자가 없어서 장시간 작업을 할 때에 작업자가 계속 서서 작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전선 위에 로울러를 설치하기 위해 로울러를 외측으로 90도 꺾어 접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로울러 사이에 연결된 지지용 로프나 체인을 풀어서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제작의 어려움 및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선로의 경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서나 스페이서 댐퍼를 통과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 통과장치가 구비되고 사선상태(dead-line)뿐 아니라 활선상태(live-line)의 작업시에도 작업자가 스페이스카 내부에서 쉽게 스페이서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스페이스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송전선로의 활선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3개의 나일론 로울러와 1개의 알루미늄 로울러로 구성을 하였고, 작업자의 편리성을 위해 로울러를 쉽게 전선에서 분리 및 설치할 수 있도록 원-터치방식의 잠금장치를 적용하였으며, 장시간 작업에서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본체 내부에 작업자용 의자를 더 구비한 스페이스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베어링이 삽입된 3개의 나일론 로울러; 베어링이 삽입된 1개의 알루미늄 로울러; 2개의 스페이서 통과장치와 상기 로울러를 접을 수 있도록 한 각각의 로울러 접이장치; 작업자용 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용 의자는 보강용 하부수평재에 설치할 수 있는 클램프구조를 되어 있고 위치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통과장치는: 전선 을 파지하기 위한 전선클램프, 레버가 부착된 턴버클, 2개의 상부수평재용 소형로울러와 이를 지지하는 소형 로울러고정판을 포함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 접이장치는: 로울러접이용 핀; 로울러접이용 핀에 탄성력을 주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로울러접이장치와 로울러 지지대에 회전 기능을 주기 위한 로울러접이장치의 연결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3개의 나일론 로울러에는: 로울러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로울러 지지대; 로울러 지지대와 로울러를 고정시키기 위한 로울러 고정용 핀볼트와 너트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작업자용 의자는: 위치 변경을 위한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보강용 하부수평재와 연결부를 크레비스 형태로 설계를 하여 쉽게 걸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바라 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을 위에서 본 평면도 및 도 4와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울러의 세부적인 도면이고, 도 6과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통과장치의 세부적인 측단면도와 정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 카는 “U“자형상의 전후 본체 프레일(11)에 보강용 상부수평재(12)와 보강용 하부수평재(13)를 구비하여 본체프레임(11)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용 하부수평재(13)에 받침판(14)과 작업용 의자(15)를 구비하여 이 작업용 의자(15)에 작업자가 앉아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체프레임(11)의 상단 단부에 로울러접이장치(30)를 구비한 3개의 나일론 로울러(17)와 1개의 알루미늄 로울러(18)를 구성시켜 송전선로에서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보강용 상부수평재(12)에는 스페이서 통과장치(20)를 구성한다.
상기 3개의 나일론 로울러(17)에는 베어링이 삽입된 구조로서 이동수단 제공 및 전기적인 절연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이고, 1개의 알루미늄 로울러(18)는 이동수단과 스페이스카 본체프레임(11)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로울러 접이장치(30)는 원-터치 방식으로 로울러를 쉽게 90도 회전절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1)상단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부재(36)를 체결하고 체결부재(36)내의 스프링(32)과 직각된 로울러접이용 핀(31)이 승하강되는 장공(37)을 뚫어 이 장공(37)에서 스프링(32)의 탄성으로 승하강되는 로울러접이용 핀(31)을 구성하며 상단에는 로울러(17)가 힌지된 지지대(34)를 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로울러 지지대(34) 끝단에 상기 로울러접이용핀(31)이 체결되는 체결홈(38)을 형성시켜 스프링(32)으로 탄력설치되고 장공(37)에 직각으로 형성된 로울러접이용핀(31)이 승하강되면서 이 체결홈(38)에서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로울러접이용 핀(31)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로울러 지지대(34)에 형성된 체결홈(38)에서 로울러접이용핀(31)이 이탈되고 이 로울러접이용핀(31)이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로울러지지대(34)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2와 도 5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4)가 쉽게 90도 회전절곡된다.
그리고 다시 원 위치로 복귀 시킬 경우에는 로울러접이용핀(31)의 동작 없이 로울러 지지대(34)를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울러지지대(34)가 접이장치 연결핀(33) 축을 기점으로 회전 이동하고 스프링(32)으로 탄력설치된 로울러접이용핀(31)은 상기 로울러지지대(34)의 체결홈(38)에 끼워져 로울러지지대(34)가 체결부재(36)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 로울러접이용핀(31)은 탄성용 스프링(32)에 의해 자동으로 상향 지지됨으로서 로울러접이용핀(3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작업용 의자(15)는 본체프레임(11)의 보강용 하부수평재(13)에 쉽게 걸쳐 설치할 수 있도록 클램프 등의 구조 또는 나사체결등의 방법으로 체결된다.
상기 스페이서 통과장치(20)는 본 발명의 도 6과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에 체결하기 위한 전선클램프(21)와 후술하는 소형로울러간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22)로 소형로울러 고정판(25)과 연결된다.
상기 전선클램프(21)는 턴버클(22)의 스크류에 나사결합된 체결관(22-1)에 힌지된 고정부(21-1)와 개폐부로 구성되는 전선클램프(21)로 구비되고 개폐 전선클램프(21)는 개폐레버(21-2)로 개폐시켜 전선클램프(21)를 전선에 체결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턴버클(22)하단부에는 상부 수평재(12)를 견인하는 소형로울러(26)와 안내로울러(26-1)를 구비한 로울러고정판(25)을 힌지한 승하강 체결관(22-1)에 나사 체결된다.
이러한 턴버클(22)은 턴버클(22)을 회전시키기 위한 직각 구성되는 턴버클용레버(23)가 직각으로 끼워지고 이 턴버클용레버(23)를 회전함으로써 스크류에 체결 된 상하측의 승하강체결관(22-1)이 승하강 이동하면서 클램프와 로울러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각각의 장치부는 축으로 힌지되어 전후 절곡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바라 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을 위에서 본 평면도 및 도 4와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울러의 세부적인 도면이고, 도 6과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통과장치의 세부적인 측단면도와 정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경간 내에서 전선이나 스페이서의 유지와 보수 등을 하기 위해 작업자가 전선 위를 이동할 때, 본 발명의 스페이스카에 탑승한 상태로 이동하며, 특히 스페이카를 탑승한 상태에서 스페이서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선로상의 수리, 보수 및 스페이스 등의 유지보수가 요구되어 그 보수위치로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하여 전선(100)에 본 발명을 스페이스카를 설치하게 되며 이때 본 발명의 본체프레임(11)에 체결된 각각의 로울러(17,18)를 전선(100)에 안치시켜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된다.
이때 스페이스통과장치(20)은 전선에 걸리거나 또는 해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페이스카가 전선(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작업용의 자(15)에 앉아 전선(100)을 당기는 등으로 견인하여 이동하게 되면 전선(100)에 안내되는 로울러(17,18)의 굴림으로 본 발명의 스페이스카가 진행된다.
이러한 진행 중 진행방향에 전선의 간격유지구인 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로울러(17,18)가 스페이스를 통과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때 통과하고자 하는 스페이서 앞에서 전선클램프(21)를 전선(100)에 고정시킨다.
즉, 전선클램프(21)의 개폐레버(21-2)를 작동시켜 상기 전선클램프(21)를 개방하여 전선(100)에 체결함과 함께 상기 개폐레버(21-2)를 이용하여 다시 클램프가 전선에 고정되도록 체결한다.
그리고 턴버클용레버(23)을 조임방향으로 돌리면 이 턴버클(22)의 스크류에 체결된 상하측 체결관(22-1)이 조임됨에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여 길이를 단축시켜 본체프레임(11)을 견인하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스페이서 통과장치(20)에 의해 본체프레임(11)이 견인된 상태에서 본체프레임(11)의 선단측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앞단에 있는 2개의 로울러(17)가 전선에서 이탈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로울러 접이장치(30)를 이용하여 이 로울러를 90도로 꺾어 접는다.
즉, 로울러지지대(34)와 힌지된 체결부재(36)의 장공(37)에 직각으로 구성된 로울러접이용핀(31)을 하강시키면 스프링(32)에 탄력설치된 로울러접이용핀(31)이 하강하고 이 로울러접이용핀(31)이 끼워진 로울러지지대(34)의 체결홈(38)에서 로울러접이용핀(31)이 이탈되면서 상기 로울러지지대(34)는 로울러 접이장치 연결핀(33)을 기점에서 외측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절곡된다.
이와 같이 로울러가 접힌상태에서 작업자는 전선을 당겨 상기 스페이스카를 이동하여 선단부가 스페이스를 통과하도록 하고 스페이스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절곡된 로울러를 내향으로 밀어 이동하면 로울러지지대(34)가 직각으로 세워지는 동시에 로울러지지대(34)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홈(38)으로 스프링(32)에 탄설된 로울러접이용핀(31)이 끼워져 로울러지지대(34)는 수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다시 이동한 후 후단측의 로울러를 상기와 같이 접곡하여 스페이스를 통과하게 되며 통과 후 스페이스통과장치(20)를 이탈시키거나 또는 체결상태에서 계속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하중은 스페이서 통과장치(20)에 가해진 상태가 되며, 작업자는 보강용 상부수평재(12)에 연결된 상부수평재용 소형로울러(26)를 이용하여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스페이서를 통과한 후에는 다시 로울러를 전선 위에 설치하고 턴버클용 레버(23)을 반대로 돌려주면 로울러가 아래 방향으로 내려오게 되면서 본체프레임(11) 하중이 다시 로울러에 걸리게 되고, 스페이서 통과장치(20)의 전선클램프(21)를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는 가능한 가벼운 재질로 구성시켜 운반과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며 구성의 간단하도록 함으로 전선에 설치작업이 편리하고, 활선상태에서 작업자가 전선 위로 올라가지 않고 스페이서카 내부에서 스페이서 통과 및 작업을 할 수 있는 안전한 작업여건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송전선로 사선 및 활선 유지보수 작업시 용이하게 운반하여 전선 위에 설치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스페이서를 쉽게 통과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시에도 작업의자 앉아 작업과 또는 편안하게 쉴 수 있는 특징이 발휘되는 한편 위험성이 높은 고공 전선에서 보다 안전하게 작업여건을 제공하여 안전한 작업과 작업능률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베어링이 삽입된 복수개의 나일론 로울러(17)와 알루미늄 로울러(18)를 구비한 스페이스카;
    상기 스페이스카 본체프레임(11)에 구성되는 나일론로울러(17)와 알루미늄로울러(18)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한 로울러 접이장치(30)와, 본체프레임(11)의 보강용 상부수평재(12)에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전선 간격유지구 스페이서 통과를 위한 스페이서 통과장치(20); 스페이서 통과장치(20)의 신축을 위한 턴버클(22)과 이동용 소형로울러를 구비하고 작업자의 편리성을 위한 작업의자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로울러(17)와 알루미늄로울러(18)로 구성되는 로울러 접이장치(30)는 본체프레임(11)상단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부재로 체결하고 체결부재내의 스프링(32)과 직각된 로울러접이용 핀(31)이 승하강되는 장공과,
    스프링의 탄성으로 승하강되는 로울러접이용 핀(31)을 구성하며, 상단에는 로울러가 힌지된 지지대와, 지지대(34) 끝단에 로울러접이용핀(31)이 체결되는 체결홈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간격유지구 스페이서 통과를 위한 스페이서 통과장치(20)는 전선을 파지하는 전선클램프와 턴버클이 구성되고 이 턴버클에 소형로울러가 고정판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KR1020050133355A 2005-12-29 2005-12-29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KR10087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355A KR100876102B1 (ko) 2005-12-29 2005-12-29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355A KR100876102B1 (ko) 2005-12-29 2005-12-29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617A KR20070070617A (ko) 2007-07-04
KR100876102B1 true KR100876102B1 (ko) 2008-12-26

Family

ID=3850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355A KR100876102B1 (ko) 2005-12-29 2005-12-29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1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6687A (zh) * 2014-05-26 2014-07-30 国家电网公司 架空输电线路检修用越障单线飞车
KR101450092B1 (ko) * 2013-07-29 2014-10-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탈선 방지를 위한 보조 롤러를 구비한 와이어 이동형 로봇
KR20200001746U (ko) * 2019-01-28 2020-08-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80B1 (ko) * 2010-07-28 2011-01-07 지승건설(주) 송전선로용 스페이서수단 설치장치 및 스페이서수단 설치장치를 이용한 스페이서수단 설치 작업공정
KR200476907Y1 (ko) * 2013-11-28 2015-04-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전력선 점검 장치
CN106711848B (zh) * 2016-12-22 2019-03-26 国网河北省电力公司衡水供电分公司 垂直双分裂导线出线作业平台
CN106711855B (zh) * 2017-02-17 2019-03-05 国网浙江省电力公司杭州供电公司 多分裂输电线路载人飞车
KR102182864B1 (ko) * 2018-10-12 2020-11-25 한국전력공사 3도체와 6도체 겸용 스페이서카
KR102344184B1 (ko) * 2019-10-24 2021-12-29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점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60898B1 (ko) * 2021-02-19 2022-02-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KR102547247B1 (ko) * 2022-05-23 2023-06-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경량 엔진 스페이서 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92B1 (ko) * 2013-07-29 2014-10-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탈선 방지를 위한 보조 롤러를 구비한 와이어 이동형 로봇
CN103956687A (zh) * 2014-05-26 2014-07-30 国家电网公司 架空输电线路检修用越障单线飞车
KR20200001746U (ko) * 2019-01-28 2020-08-0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KR200493398Y1 (ko) * 2019-01-28 2021-03-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154kV 상간스페이서 통과용 보조 스페이서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617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102B1 (ko)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US8763978B2 (en) Mounting system for photovoltaic panels
KR100718536B1 (ko) 송전선로 전선인상용 스크류 인상기
CN110182737B (zh) 一种路灯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US20150184896A1 (en) Solar panel support apparatus
US9777505B2 (en) Door system for movable structures
KR20180078412A (ko) 복층 와이어 프레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8963869B (zh) 一种辅助线缆架设的夹器以及使用该夹器的拉线装置
CN113047591B (zh) 一种上拉式悬挑脚手架
AU2013206443B2 (en) Apparatus and mounting gantry for suspending a component
KR200401381Y1 (ko) 삭도용 수평 캐리지
CN113835180B (zh) 一种用于调节传感光缆张紧的拉力机
CN110424767B (zh) 用于楼梯护栏修复的临时支撑架
CN111064115B (zh) 一种棒瓷绝缘子更换装置
CN217545432U (zh) 一种光伏线缆用固定装置
KR20180091411A (ko)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CN220957483U (zh) 用于排水箱涵检测的挂载导轨装置
CN220223346U (zh) 一种爬架一体化塔吊安全通道
CN220440357U (zh) 一种电力隧道用电缆支架
KR20170032292A (ko)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태양열 집열기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CN219773995U (zh) 电梯井洞口临时防护门
JP2004044255A (ja) 先端に電気機材を取付けた可倒式支柱
KR200269650Y1 (ko) 가공지선 분리용 고정블록
CN218265993U (zh) 一种液压爬升式隧道风机支架
CN221126836U (zh) 母线桥固定用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