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898B1 -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898B1
KR102360898B1 KR1020210022357A KR20210022357A KR102360898B1 KR 102360898 B1 KR102360898 B1 KR 102360898B1 KR 1020210022357 A KR1020210022357 A KR 1020210022357A KR 20210022357 A KR20210022357 A KR 20210022357A KR 102360898 B1 KR102360898 B1 KR 10236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spacer
pair
state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현
정회윤
윤준영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6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61C3/02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with electric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동력 수단이 마련된 4도체용 스페이서 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는, 한쌍의 후륜바퀴와 후륜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몸체를 구비하는 구동부; 스페이서 댐퍼를 통과하기 위해, 한쌍의 전륜바퀴 중 하나의 전륜바퀴가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륜 바퀴부; 및 구동부와 전륜 바퀴부를 연결시키고, 작업자의 탑승을 위해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초경량화를 실현하고, 한쌍의 전륜바퀴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페이서-댐퍼 점검을 위해, 전력선 이동 시, 복잡한 부속품 해제 작업 없이 스페이서-댐퍼를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Ultra light weight electric spacer-car for 4-bundle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송전설비의 전력선용 스페이서 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 수단이 마련된 4도체용 스페이서 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설비의 전력선이 다도체(3상중 1상의 전력선이 4가닥)로 구성되어 있어 스페이서-댐퍼를 이용하여 전력선간 간격유지 및 각종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하고 있다.
이러한 4도체 송전선로의 스페이서-댐퍼 점검 시, 4가닥 전선 중에 하단 1가닥 전선을 발로 밟고 상단 2가닥을 양손으로 밀면서 이동하는 작업을 시행하게 되는데, 4가닥 전선의 장력 차가 심하거나 작업자가 중심을 잃으면 전선이 회전하여 추락의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4도체 송전선로의 스페이서-댐퍼 점검 시, 추락 위험을 낮추기 위해, 기존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0-2076455호와 같은 스페이서카 견인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복도체(2-bundle)에서만 사용가능하여 4도체(4-bundle)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더불어, 한국등록특허 제10-2076455호은, 스페이서 또는 스페이서-댐퍼 통과 시 동력장치의 동력손실 방지를 위한 조임 또는 각종 부속품을 해제하고 통과해야 하므로 시간 효율이 떨어지며, 견인장치가 스페이서 카 앞쪽에 위치하여 전륜구동 구조로 작동하기 때문에 경사가 있는 전선 이동 시, 구동바퀴의 슬립(미끄러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76455호(발명의 명칭: 이중롤러형 복도체 스페이서카 견인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초경량화를 실현하고, 한쌍의 전륜바퀴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페이서-댐퍼 점검을 위해, 전력선 이동 시, 복잡한 부속품 해제 작업 없이 스페이서-댐퍼를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는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는, 한쌍의 후륜바퀴와 후륜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몸체를 구비하는 구동부; 스페이서 댐퍼를 통과하기 위해, 한쌍의 전륜바퀴 중 하나의 전륜바퀴가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륜 바퀴부; 및 구동부와 전륜 바퀴부를 연결시키고, 작업자의 탑승을 위해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부 몸체는, 구동 모터, ESC(Electronic Speed Controller) 감속기, 구동 모터와 ESC 감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제어 모듈이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모듈; 및 주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는, 구동부 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구동부 몸체 일측에 마련되어, 배터리가 구동부 몸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배터리 장착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전륜바퀴 중 좌측 전륜바퀴는,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도록, PP(Polypropylene)재질로 제작되고, 한쌍의 전륜바퀴 중 우측 전륜바퀴는, 송전선로 편측휴전으로 인한 유도전류의 접지가 가능하도록, AL(Aluminium)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전륜 바퀴부는, 좌측 전륜바퀴 및 우측 전륜바퀴에 각각 연결되어, 좌측 전륜바퀴와 우측 전륜바퀴가 펼침 상태인 경우, 우측 전륜바퀴가 편측으로 회전되어, 접힘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륜 프레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륜 바퀴부는, 전륜 프레임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 손잡이; 및 이동 중 전륜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되, 작업자가 회전 손잡이에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전륜 프레임을 회전시키면, 회전된 전륜 프레임이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가스 스프링(Gas Sprin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부는, 구동부와 전륜 바퀴부를 연결시키는 카본 프레임(Carbon Frame); 및 카본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작업자 탑승 시 발판 역할을 하는 작업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본 프레임은, 작업자의 안정적인 탑승이 가능하도록, 한쌍의 전륜바퀴가 전력선 상단의 하측에 위치하고, 한쌍의 후륜바퀴가 전력선 상단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는, 스페이서 댐퍼를 통과하기 위해, 한쌍의 전륜바퀴 중 어느 하나의 전륜바퀴가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륜 바퀴부; 및 전륜 바퀴부를 연결되되, 작업자의 탑승을 위해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부;를 포함하고, 전륜 바퀴부는, 한쌍의 전륜바퀴가 펼침 상태인 경우, 어느 하나의 전륜바퀴가 편측으로 회전되어, 접힘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초경량화를 실현하고, 한쌍의 전륜바퀴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페이서-댐퍼 점검을 위해, 전력선 이동 시, 복잡한 부속품 해제 작업 없이 스페이서-댐퍼를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륜 바퀴부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륜 바퀴부의 상태 변경 과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부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그리고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를 이용하여 스페이서-댐퍼를 통과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이하에서는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로 총칭하기로 함)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초경량화를 실현하고, 한쌍의 전륜바퀴(210, 220)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페이서-댐퍼 점검을 위해, 전력선 이동 시, 복잡한 부속품 해제 작업 없이 스페이서-댐퍼를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는, 구동부(100), 전륜 바퀴부(200) 및 메인 프레임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00)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한쌍의 후륜바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륜 바퀴부(200)는, 한쌍의 전륜 바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한쌍의 전륜 바퀴는, 스페이서 댐퍼를 통과하기 위해, 한쌍의 전륜바퀴(210, 220) 중 어느 하나의 전륜바퀴가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부(300)는, 메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며, 구동부(100)와 전륜 바퀴부(2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00)는, 전술한 한쌍의 후륜바퀴(110) 이외에도, 추가로 구동부 몸체(120), 정보 표시 모듈(130), 스위치 모듈(140), 배터리(150) 및 배터리 장착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몸체(120)는, 구동부(100)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 몸체(120)는, 상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측 내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속도 조절 및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ESC(Electronic Speed Controller) 감속기, 구동 모터와 ESC 감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모터는, 모터의 수명 연장(반영구적) 및 배터리(150) 효율 상승을 위해, 브러쉬가 없는 DC 모터인 BLDC(Brushless DC electric motor) 모터로 구현될 수 있어, BLDC 모터와 ESC 감속기가 결합되어 브레이크 없이도 정지할 수 있다.
정보 표시 모듈(130)은, 제어 모듈이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표시 모듈(130)은, 터치식 LCD 패널로 구현되어, 배터리 상태, 이동거리, 이동가능 거리, 가속 및 감속 속도설정, 최고속도 설정에 대한 경보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40)은, 주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모듈(140)은, 구동체 몸체의 상측에 마련되는 손잡이의 상측 및 하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는, 주행 여부를 결정하는 주행 스위치(141)와 주행 스위치(141)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안전 스위치(14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스위치(141)는, 손잡이의 상측에 마련되며, ▼(후진), ■(정지), ▲(전진) 3개의 버튼을 양손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 상측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스위치(142)는, 손잡이의 하측에 마련되며, 주행 스위치(141) 중 ▼(후진) 또는 ▲(전진)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스위치(142)를 가압한 상태에서만 ▼(후진) 또는 ▲(전진)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안전 스위치(142)의 가압을 해제하면, ▼(후진) 또는 ▲(전진) 스위치의 제어를 제한하고, 오직 ■(정지) 스위치의 제어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150)는 구동부 몸체(120)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장착홈(160)은 구동부 몸체(120) 일측에 마련되어, 배터리(150)가 구동부 몸체(120)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륜 바퀴부(2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륜 바퀴부(200)의 상태 변경 과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륜 바퀴부(200)는, 전술한 한쌍의 전륜바퀴(210, 220) 이외에 전륜 프레임(230), 회전 손잡이(240) 및 가스 스프링(250)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한쌍의 전륜바퀴(210, 220) 중 좌측 전륜바퀴(210)는,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도록, PP(Polypropylene)재질로 제작되고, 한쌍의 전륜바퀴(210, 220) 중 우측 전륜바퀴(220)는, 송전선로 편측휴전으로 인한 유도전류의 접지가 가능하도록, AL(Aluminium)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전륜 프레임(230)은, 좌측 전륜바퀴(210) 및 우측 전륜바퀴(220)에 각각 연결되어, 좌측 전륜바퀴(210)와 우측 전륜바퀴(220)가 펼침 상태인 경우, 우측 전륜바퀴(220)가 편측으로 회전되어, 접힘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회전 손잡이(240)는, 전륜 프레임(230) 일측에 마련되어, 작업자가, 우측 전륜바퀴(220)의 상태 변경을 시도할 때 이용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250)은, 전륜 프레임(230)에 연결되어, 이동 중 전륜 프레임(23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되, 작업자가 회전 손잡이(240)에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전륜 프레임(230)을 회전시키면, 회전된 전륜 프레임(230)이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부(3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부(300)는, 카본 프레임(310)과 작업 발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본 프레임(310)은, 구동부(100)와 전륜 바퀴부(200)를 연결시키는 프레임이며, 카본으로 제작되어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본 프레임(310)은, 작업자의 안정적인 탑승이 가능하도록, 한쌍의 전륜바퀴(210, 220)가 전력선 상단의 하측에 위치하고, 한쌍의 후륜바퀴(110)가 전력선 상단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작업 발판(320)은, 카본 프레임(3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작업자 탑승 시 발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를 이용하여 스페이서-댐퍼를 통과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를 이용하여 스페이서-댐퍼를 통과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작업자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 상단 2가닥에 스페이서카를 설치 후 안전스위치와 전진 스위치를 눌러 전진할 수 있으며, 스페이서-댐퍼로 인하여 전진이 어려운 지점에 도달하면,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댐퍼 부근에서 정지 후 후륜바퀴(110)를 중심으로 전륜 쪽으로 회전하여 전륜바퀴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륜 프레임(230)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몸체 쪽으로 당긴 후,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륜 프레임(230)을 당겨 55도 이상 회전시키면, 회전된 전륜 프레임(230)이 Gas spring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 전륜바퀴를 상단 2가닥 전선 위로 들어준 이후,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방향의 스페이서-댐퍼 너머로 전륜 바퀴를 이동시키고,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륜바퀴를 상단과 하단전선 사이에 위치시키고 전륜 프레임(230)을 원위치로 다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전륜 프레임(230)의 손잡이를 5도 이상 밀어주면, 회전된 전륜 프레임(230)이 Gas spring에 의해 원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전륜 프레임(230)이 원래 위치로 이동되면,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륜바퀴(110)를 중심으로 전륜바퀴를 내리고, 전륜바퀴를 하단 전선 2가닥에 고정시킨 후,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륜바퀴(110)가 전력선에서 분리되면 이동방향으로 밀어주면서, 나머지 몸체를 스페이서-댐퍼 너머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가 전부 넘어오면 후륜바퀴(110)를 중심으로 전륜바퀴를 상단 전선 2가닥에 고정시키고, 전륜바퀴와 후륜바퀴(110)가 상단전선 2가닥에 고정되면 탑승하는 방식으로, 복잡한 부속품 해제 작업 없이 스페이서-댐퍼를 통과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구동부 110 : 후륜바퀴
120 : 구동부 몸체 130 : 정보 표시 모듈
140 : 스위치 모듈 141 : 주행 스위치
142 : 안전 스위치 150 : 배터리
160 : 배터리 장착홈 200 : 전륜 바퀴부
210 : 좌측 전륜바퀴 220 : 우측 전륜바퀴
230 : 전륜 프레임 240 : 회전 손잡이
250 : 가스 스프링(Gas spring) 300 : 메인 프레임(Main Frame)부
310 : 카본 프레임(Carbon Frame) 320 : 작업 발판

Claims (9)

  1. 한쌍의 후륜바퀴와 후륜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몸체를 구비하는 구동부;
    스페이서 댐퍼를 통과하기 위해, 한쌍의 전륜바퀴 중 하나의 전륜바퀴가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륜 바퀴부; 및
    구동부와 전륜 바퀴부를 연결시키고, 작업자의 탑승을 위해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부;를 포함하고,
    한쌍의 전륜바퀴 중 좌측 전륜바퀴는,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도록, PP(Polypropylene)재질로 제작되고,
    한쌍의 전륜바퀴 중 우측 전륜바퀴는,
    송전선로 편측휴전으로 인한 유도전류의 접지가 가능하도록, AL(Aluminium)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부 몸체는,
    구동 모터, ESC(Electronic Speed Controller) 감속기, 구동 모터와 ESC 감속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3. 청구항 2에 있어서,
    구동부는,
    제어 모듈이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모듈; 및
    주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 모듈;를 포함하는
    구동부 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구동부 몸체 일측에 마련되어, 배터리가 구동부 몸체에 장착되도록 하는 배터리 장착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륜 바퀴부는,
    좌측 전륜바퀴 및 우측 전륜바퀴에 각각 연결되어, 좌측 전륜바퀴와 우측 전륜바퀴가 펼침 상태인 경우, 우측 전륜바퀴가 편측으로 회전되어, 접힘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륜 프레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전륜 바퀴부는,
    전륜 프레임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 손잡이; 및
    이동 중 전륜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되, 작업자가 회전 손잡이에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여 전륜 프레임을 회전시키면, 회전된 전륜 프레임이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가스 스프링(Gas Spring);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7. 한쌍의 후륜바퀴와 후륜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몸체를 구비하는 구동부;
    스페이서 댐퍼를 통과하기 위해, 한쌍의 전륜바퀴 중 하나의 전륜바퀴가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로 상태 변경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륜 바퀴부; 및
    구동부와 전륜 바퀴부를 연결시키고, 작업자의 탑승을 위해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Main Frame)부;를 포함하고,
    메인 프레임부는,
    구동부와 전륜 바퀴부를 연결시키는 카본 프레임(Carbon Frame); 및
    카본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작업자 탑승 시 발판 역할을 하는 작업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카본 프레임은,
    작업자의 안정적인 탑승이 가능하도록, 한쌍의 전륜바퀴가 전력선 상단의 하측에 위치하고, 한쌍의 후륜바퀴가 전력선 상단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9. 삭제
KR1020210022357A 2021-02-19 2021-02-19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KR10236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57A KR102360898B1 (ko) 2021-02-19 2021-02-19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57A KR102360898B1 (ko) 2021-02-19 2021-02-19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898B1 true KR102360898B1 (ko) 2022-02-08

Family

ID=8025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357A KR102360898B1 (ko) 2021-02-19 2021-02-19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8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617A (ko) * 2005-12-29 2007-07-04 한국전기공사협회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KR101006180B1 (ko) * 2010-07-28 2011-01-07 지승건설(주) 송전선로용 스페이서수단 설치장치 및 스페이서수단 설치장치를 이용한 스페이서수단 설치 작업공정
US20150303663A1 (en) * 2014-04-08 2015-10-22 Wall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moving a line cart along a cable
KR102076455B1 (ko) 2019-08-21 2020-03-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이중롤러형 복도체 스페이서카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617A (ko) * 2005-12-29 2007-07-04 한국전기공사협회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KR101006180B1 (ko) * 2010-07-28 2011-01-07 지승건설(주) 송전선로용 스페이서수단 설치장치 및 스페이서수단 설치장치를 이용한 스페이서수단 설치 작업공정
US20150303663A1 (en) * 2014-04-08 2015-10-22 Wall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moving a line cart along a cable
KR102076455B1 (ko) 2019-08-21 2020-03-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이중롤러형 복도체 스페이서카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716B1 (ko)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WO2017131292A1 (ko) 착탈식 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20200001715A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KR102360898B1 (ko) 송전선로 4도체용 초경량 동력 스페이서 카
WO2016108498A1 (ko) 차량 시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09050571A (zh) 盾构隧道电机车防溜车装置
JPH09252514A (ja) 宙乗器
KR101328422B1 (ko) 전기 운반차
CN114865513A (zh) 一种高压柜操作辅助装置
KR102182548B1 (ko) 광학장비 장탈착 트롤리
JP2018184016A (ja) 搬送台車
KR101352882B1 (ko) 전복방지 브레이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륜차
JP3118784B2 (ja) 投光機
JP2017036009A (ja) 自転車用速度制御装置、及び自転車
KR20170002527U (ko) 가스충전장비 이동장치
CN210608302U (zh) 走线轮及输电线路检修飞车
JP6466888B2 (ja) 台車
KR102495946B1 (ko) 속도제어형 브레이크 장치가 내장된 리어커
JP4605516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電気機器装置
JP4859547B2 (ja) トラック荷台へのシート掛け装置
CN214157732U (zh) 定速巡航电动轮椅
CN220562786U (zh) 手持检测装置管控小车
CN113501135B (zh) 一种轻型水陆两栖飞机用的牵引装置
JPS5825002B2 (ja) 多導体送電線用宙乗器
KR0158233B1 (ko) 이동식 고소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