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292A -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태양열 집열기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태양열 집열기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292A
KR20170032292A KR1020177000872A KR20177000872A KR20170032292A KR 20170032292 A KR20170032292 A KR 20170032292A KR 1020177000872 A KR1020177000872 A KR 1020177000872A KR 20177000872 A KR20177000872 A KR 20177000872A KR 20170032292 A KR20170032292 A KR 2017003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ower
lift body
carrying member
fixing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세프 뮐러
안드레아스 호프만
Original Assignee
비 메디컬 시스템즈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 메디컬 시스템즈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비 메디컬 시스템즈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7003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J2/523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1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 F24S25/12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using posts in combination with upper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1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to the ground or to building structures
    • F24S25/617Elements driven into the ground, e.g. anchor-piles; Foundations for supporting elements; Connectors for connecting supporting structures to the ground or to flat horizonta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3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fixing modules or their peripheral frames to suppor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F24J2002/528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25/01Special support components; Methods of use
    • F24S2025/014Methods for installing suppor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60Fixation means, e.g. fasten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를 설치 장소(3), 바람직하게 송전탑(4)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1)로서, 상기 고정 장치(1)는, 상기 송전탑(4)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용 집열기 받침대(5), 상기 송전탑(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역전 장치(6), 윈치 장치(7), 상기 송전탑(4)을 따라 이동 가능한 리프트 바디(8) 및 운반 부재(9)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 부재(9)의 제1 단부(10)는 상기 윈치 장치(7)에 고정되고 상기 운반 부재의 제2 단부(11)는 상기 리프트 바디(8)에 고정되며, 상기 운반 부재(9)의 제1 단부(10)와 제2 단부(11) 사이의 일부 이상은 상기 역전 장치(6)에서 가이드 되고, 윈치 장치(7)와 리프트 바디(8) 사이의 운반 부재(9)의 길이가 상기 운반 부재(9)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역전 부재(6)가 상기 송전탑(4)에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의 설치 장소(3) 위로 상기 운반 부재(9)를 뒤집어 놓도록, 상기 운반 부재(9)는 상기 윈치 장치(7)에 고정되는 고정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고정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고정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태양열 집열기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T LEAST ONE SOLAR COLLECTOR, METHOD FOR FASTENING A SOLAR COLLECTOR, AND METHOD FOR DISMOUNTING A SOLAR COLLECTOR}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설치 장소, 바람직하게는 송전탑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열 집열기의 고정 방법 및 태양열 집열기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열 집열기는 외딴 지역, 특히 개발 도상국 및 잦은 재해 발생 지역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은 지역에서는 전기 공급 또는 기타 발전 장치를 통해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지속적인 에너지 공급이 보장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디젤 발전기의 경우 디젤 연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종종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분야에서 태양열 집열기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냉각 장치 또는 전력이 사용되는 노트북과 같은 전력 소비 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기기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태양열 집열기로 에너지 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해 태양열 집열기를 최적의 조건으로 사용하려면, 태양열 집열기를 하루 동안 가장 높은 태양 광선을 받는 장소에 배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초목이나 주변 건물에 의한 그늘지는 현상을 피하기 위해, 태양열 집열기는 일반적으로 노출된 높은 장소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사람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는 상기 태양열 집열기가 충분히 높은 건물의 지붕에 배치된다. 다만, 부적절한 건물이나 완전히 무인 상태의 지역에서는 태양열 집열기가 에너지 생산에는 매우 효율적이지만,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할 수 있는 송전탑과 같은 장치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특히, 태양열 집열기를 송전탑에 부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이유는, 상기 송전탑의 경우, 쉽게 제작되어 거의 모든 환경에서 호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송전탑과 함께 태양열 집열기의 배치는 건물의 밀집도 및 품질과는 완전히 독립적인 요소이다. 여기서, 상기 송전탑이란 바람직하게는 지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는 관형 성형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송전탑은 천연 재료, 예를 들어 목재뿐만 아니라 금속 또는 기타 적합한 재료로 쉽게 만들 수 있으며, 고정을 위해 기초를 사용하지 않고도 필요한 경우에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송전탑은 더욱 적절하고 잘 알려진 안전 조치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송전탑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다른 효과는 태양열 집열기의 도난 방지 위험이 줄어들고, 제3 자의 원치 않는 접근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건물의 지붕이나 지면 설치에 설치된 태양열 집열기는 일반적으로 아무런 제한 없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손상되거나 도난당할 수 있다. 그러나, 충분히 높은 송전탑에 부착된 태양열 집열기는 제3 자의 원치 않는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열 집열기에 대한 임의의 조작도 방지될 수 있다.
태양열 집열기의 높은 무게로 인해 일반적으로 태양열 집열기를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원하는 높은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장치들은 각각의 건물이나 송전탑에 고정된다. 태양열 집열기가 사용되는 많은 지역, 특히 개발 도상국이나 재해 지역에서는 특별한 상황에서만 사용 가능한 크레인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종종 태양열 집열기의 설치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하고 설치하는 직원은 설치시 위험이 노출되어 있다. 또한 설치 시 태양열 집열기의 손상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태양열 집열기를 예를 들어 송전탑 등과 같은 설치 장소에 고정 및 분리하여 안전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가장 간단한 장치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책은 청구항 제1 항에 따른 고정 장치, 제12 항에 따른 고정 방법 및 제14 항에 따른 분리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종속항에서 설명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 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상기 송전탑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용 집열기 받침대, 상기 송전탑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역전 장치, 윈치 장치, 상기 송전탑을 따라 이동 가능한 리프트 바디 및 운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 부재의 제1 단부는 상기 윈치 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운반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리프트 바디에고정되며, 상기 운반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일부 이상은 상기 역전 장치에서 가이드 되고, 윈치 장치와 리프트 바디 사이의 운반 부재의 길이가 상기 운반 부재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역전 부재가 상기 송전탑에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의 설치 장소 위로 상기 운반 부재를 뒤집어 놓도록, 상기 운반 부재는 상기 윈치 장치에 고정된다.
적절한 송전탑은 특히 전신 또는 전력 공급 라인의 송전탑뿐만 아니라 높은 기둥, 건물의 기둥 또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열 집열기에 대한 집열기 받침대를 고정할 수 있는 직선형 장치이다. 고정 요소의 구성으로는 윈치 장치가 지면 근처의 송전탑 그 자체 또는 송전탑 베이스에 근접한 고정 지점에서, 예를 들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운반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태양열 집열기의 설치 장소 위의 역전 장치에서 가이드 된다. 그 결과, 윈치 장치와 리프트 바디 사이의 운반 부재의 길이를 줄이면 리프트 바디가 역전 장치쪽으로 당겨진다. 이로써, 집열기 받침대는 리프트 바디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역전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전 장치는 한쪽 끝이 닫힌 튜브 길이에 의해 송전탑에 고정될 수 있다. 역전 장치를 송전탑에 고정하기 위해, 튜브 길이의 개방 단부가 베이스 반대쪽의 송전탑 단부에 놓여진다. 여기서, 튜브 길이는 역전 장치가 횡 방향으로 송전탑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예로서, 역전 장치는 송전탑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송전탑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역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역전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역전 바디는 상기 운반 부재를 가이드 한다. 이러한 운반 부재의 가이드에 의해 상기 운반 부재가 역전 장치에서 미끄러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윈치 장치가 역전 장치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보장하며, 윈치 장치와 리프트 바디 사이의 운반 부재의 길이가 감소된 결과로서 운반 부재는 역전 장치 위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역전 바디는 풀리이다. 바람직하게 풀리는 볼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풀리는 역전 장치 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운반 부재는 특히 낮은 마찰력 및 안전성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역전 장치 바디 방향으로 가이드 되고, 이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 하중의 결과로서 운반 부재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반 부재는 케이블이고, 상기 윈치 장치는 케이블 윈치일 수 있다. 윈치 장치로서 케이블 윈치의 사용은 케이블을 권취하여 송전탑을 따라 역전 장치쪽으로 이동 가능한 리프트 바디를 당김으로써 운반 부재의 길이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윈치는 크랭크 핸들로 구동될 수 있습니다. 적합한 케이블로서 와이어 또는 플라스틱 케이블이 사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정 장치 전체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윈치는 구동용 모터, 특히 전기 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은 케이블 윈치까지 매우 쉽게 감길 수 있다. 동시에 하나 이상의 무거운 태양열 집열기가 배치되는 집열기 받침대는 수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중력에 대항하여 송전탑을 따라 리프트 바디로부터 설치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트 바디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송전탑에 인접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부재는 송전탑의 일부 이상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가이드 부재가 송전탑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와 송전탑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송전탑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리프트 바디가 수평으로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송전탑 주위로 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휨 현상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이유는, 이러한 방식으로 리프트 바디를 집열기 받침대뿐만 아니라 이에 고정된 태양열 집열기로 들어올리면, 리프트 바디가 손상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송전탑에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풀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풀리는 볼 베어링에 의해 가이드 부재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리프트 바디를 송전탑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은 송전탑 상의 가이드 부재의 마찰 및 기울임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송전탑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풀리를 사용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동시에, 송전탑과 가이드 부재 사이의 거리로 인한 간격이 최소화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진자 운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가이드 부재 부분 및 제2 가이드 부재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부분과 제2 가이드 부재 부분 사이의 거리는 조정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가이드 부재가 상이한 두께의 송전탑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 장치가 상이한 직경의 송전탑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사이의 거리가 조정되어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접촉되는 풀리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은 진자 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장치를 상이한 두께의 송전탑에 택일적으로 적용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송전탑과의 수직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송전탑에 인접하는 두 개 이상의 풀리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두 개 이상의 풀리가 송전탑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송전탑의 반대쪽 주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전탑에 인접한 두 개 이상의 풀리의 서로에 대한 거리 및 송전탑과의 거리는 예를 들어 장 공으로 조정할 수 있다. 송전탑에 접하는 풀리의 회전축을 가이드 부재에 연결하는 나사 조인트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회전축이 장 공 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고, 두 개 이상의 풀리 사이의 간격이 송전탑에서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후속하여 나사 조인트를 조임으로써 회전축은 가이드 부재에 다시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진자 운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제1 가이드 부재 부분과 제2 가이드 부재 부분 사이의 거리는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열기 받침대는 상기 리프트 바디에 의해 상기 송전탑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윈치 장치와 리프트 바디 사이의 운반 부재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집열기 받침대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설치하는 지점 위의 역전 장치를 향해 송전탑을 따라 이동한다. 이를 위해 리프트 바디는 집열기 받침대 아래의 송전탑에 배치되어 집열기 받침대가 중력으로 인해 리프트 바디에 놓이게 된다. 다른 예로서, 리프트 바디는 집열기 받침대의 위 또는 옆에서 송전탑에 배치 될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트 바디와 집열기 받침대 사이에 연결부가 배치됨으로써 집열기 받침대를 설치 장소쪽으로 송전탑의 리프트 바디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집열기 받침대가 상기 송전탑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집열기 받침대는 상기 송전탑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송전탑 클램프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송전탑 클램프는 하나 이상의 나사 조인트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나사 조인트를 작동시킴으로써, 송전탑 클램프는 송전탑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 송전탑 클램프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고 송전탑이 고정된다. 송전탑 클램프들 사이의 거리가 하나 이상의 나사 조인트에 의해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집열기 받침대는 상이한 지름의 송전탑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장치는 주요한 구조적 변경을 가하지 않고도 하나 이상의 나사 조인트를 간단하게 작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송전탑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연결체를 통해 상기 집열기 받침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클램프 연결체는 비 고정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가 그 경사각이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양열 집열기의 표면은 에너지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해 태양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클램프 연결체를 닫음으로써, 태양열 집열기는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집열기 받침대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송전탑 등에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의 설치 장소 위에서 상기 송전탑에 역전 장치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윈치 장치를 상기 송전탑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가 상기 송전탑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송전탑에 상기 리프트 바디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윈치 장치에 상기 운반 부재의 제1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에 상기 운반 부재의 제2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집열기 받침대에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에 상기 집열기 받침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와 상기 리프트 바디에 연결되는 집열기 받침대가 상기 송전탑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윈치 장치와 상기 리프트 바디 사이의 상기 운반 부재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윈치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가 상기 송전탑에서 바람직한 설치 장소에 도착함과 동시에 상기 송전탑에 상기 집열기 받침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 부재는 상기 역전 장치 상에서 가이드 된다.
즉, 먼저 역전 장치가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설치하는 지점 위에 고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정비공이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설치하기 위해 원하는 위치 이상으로 올라가는 보조 장치로서 사다리만을 사용한다. 그 다음, 송전 탑의 설계 상태에 따라, 한쪽이 폐쇄된 튜브 부재에 송전탑을 삽입하여 역전 장치를 예를 들어 위에서부터 송전탑에 놓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송전탑의 한쪽이 폐쇄된 튜브 부재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거나 또는 송전탑의 단부가 사다리의 도달 범위를 벗어난 경우, 예를 들어 송전탑 클램프는 역전 장치 상에 측면으로 존재한다. 물론 이와 다른 예도 고려될 수 있다.
그 다음 두 번째 단계에서 윈치 장치가 송전탑에 고정된다. 여기서, 윈치 장치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가 설치되어 있는 송전탑 아래의 송전탑 바닥에 또는 철근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윈치 장치는 송전탑 클램프로 고정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윈치 장치는 송전탑 바닥에 고정된 지점, 예를 들어 송전탑 베이스에 위치되는 차량의 범퍼에 고정될 수도 있다.
세 번째 단계에서 리프트 바디는 송전탑에 고정되어 송전탑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부재는 송전탑 주위에 놓이고, 제1 가이드 부재 부분의 일부 이상과 제2 가이드 부재 부분의 일부 이상은 서로 거리를 두고 조정되어 상기 가이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풀리와 큰 마찰 없이 상기 송전탑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네 번째 단계에서, 운반 부재의 제1 단부는 윈치 장치에 고정되고, 다섯 번째 단계에서 운반 부재의 제2 단부는 리프트 바디에 고정되며, 운반 부재는 역전 장치 위로 가이드 된다. 이를 위해, 고정 장치는, 예를 들어 사다리의 도움으로 송전탑으로 올라가고, 운반 부재가 하나 이상의 역전 바디의 방향 및 운반 부재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역전 장치 위로 운반 부재를 가이드 한다. 이에 따라, 역전 장치가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운반 부재의 제2 단부는 예를 들어 운반 부재 상에 존재하는 스프링 후크를 리프트 바디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리프트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여섯 번째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가 집열기 받침대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의 표면은 우선 설치 장소로의 후속 고정, 즉 일사량이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의 표면을 가능한 수직으로 타격하도록 배향된다.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가 배향되는 즉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가 집열기 받침대에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연결체가 조여진다.
일곱 번째 단계에서, 집열기 받침대가 리프트 바디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집열기 받침대가 리프트 바디 위에 놓여서 중력으로 인해 리프트 바디에 놓이도록 달성된다. 다른 예로서, 집열기 받침대는 예를 들어 스프링 후크 또는 기타 부품 등을 걸어서 리프트 바디의 하부 또는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덟 번째 단계에서, 윈치 장치를 작동시켜 윈치 장치와 리프트 바디 사이의 운반 부재의 길이가 감소되게 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윈치 장치는 송전탑 또는 송전탑 바닥의 고정 점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역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설치하는 장소 위의 송전탑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 부재가 역전 장치를 통해 가이드 되어 리프트 바디가 운반 부재에 의해 역전 장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리프트 바디는 리프트 바디에 연결된 집열기 받침대를 들어올린다. 역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의 설치 장소 위의 송전탑에 고정되기 때문에, 리프트 바디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의 설치 장소까지 집열기 받침대를 들어올릴 수 있다.
아홉 번째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가 송전탑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집열기 받침대가 송전탑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집열기 받침대 상의 송전탑 클램프의 하나 이상의 나사 조인트가 작동하여, 송전탑 클램프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송전탑이 송전탑 클램프 사이에 고정된다. 물론, 집열기 받침대에 대한 다른 고정 옵션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다리 및 나사 조인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표준 공구를 제외하고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송전탑에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 방법에 따른 효과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송전탑에 설치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술 한 방법은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개발 도상국이나 재해 지역과 같은 외딴 지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고정 장치는 어떠한 보조기구 없이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방법은 상기 송전탑에 집열기 받침대를 고정시킨 후에, 상기 리프트 바디와 상기 집열기 받침대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는 단계 및 상기 송전탑에 고정될 수 있는 역전 장치, 상기 윈치 장치 및 상기 송전탑과 상기 운반 부재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상기 리프트 바디가 상기 송전탑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송전탑에는 집열기 받침대뿐만 아니라 집열기 받침대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송전탑으로부터 태양열 집열기를 무단으로 분리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분리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의 설치 장소 위에서 상기 송전탑에 역전 장치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윈치 장치를 상기 송전탑의 베이스에 고정하는 단계, 리프트 바디가 상기 송전탑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송전탑에 상기 리프트 바디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윈치 장치에 상기 운반 부재의 제1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에 상기 운반 부재의 제2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에 상기 집열기 받침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송전탑에 대한 상기 집열기 받침대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와 상기 리프트 바디에 연결되는 집열기 받침대가 상기 송전탑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윈치 장치와 상기 리프트 바디 사이의 상기 운반 부재의 길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윈치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가 상기 집열기 받침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집열기 받침대와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 사이의 하나 이상의 클램프 연결체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송전탑 상의 상기 역전 장치, 상기 송전탑을 따라 이동 가능한 리프트 바디의 윈치 장치, 운반 부재 및 상기 송전탑으로부터 상기 집열기 받침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 부재는 상기 역전 장치 상에서 가이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분리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를 고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나사식 조인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다리 및 표준 공구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송전탑 등에 고정하는 장치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즉, 고정 장치의 분리 방식이 매우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기재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8개의 태양열 집열기를 송전탑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태양열 집열기가 송전탑의 설치 장소 아래에 위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송전탑에 고정된 도 1에 따른 고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장치 중 역전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장치 중 송전탑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윈치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6은 집열기 받침대와 태양열 집열기가 제외된 도 1에 따른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고정 장치 중 윈치 장치, 운반 부재 및 리프트 바디의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고정 장치의 상세도로서, 리프트 바디의 윈치 장치, 집열기 받침대 및 태양열 집열기가 상기 태양열 집열기의 설치 장소의 하부에서 상기 송전탑에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설치 장소에 태양열 집열기가 구비되는 도 1에 따른 고정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설치 장소에 태양열 집열기와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도 1에 따른 고정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고정 장치의 상세도로서, 상기 고정 장치가 임의로 제거되지 않도록 보호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은 여덟 개의 태양열 집열기를 송전탑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시된 실시 예는 4개의 태양열 집열기가 각각 송전탑(4)의 설치 장소(3)에 고정되는 2개의 집열기 받침대(5), 설치 장소(3)의 상부에서 송전탑(4)에 고정된 역전 장치(6)가 도시되어 있다. 설치 장소(3) 아래에는 운반 부재(9)를 통해 송전탑의 베이스(22)에서 윈치 장치(7)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운반 부재(9)는 케이블이다. 여기서,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은 각각 역전 장치(6) 위로 가이드 된다. 또한, 운반 부재(9)의 길이는 감소된다.
도 2에 도시된 고정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장치(1)에 대응되고, 역전 장치(6) 위로 가이드 되는 각각의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은 단축되지 않는다. 이는 역전 장치(6) 위로 가이드 되는 운반 부재를 통해 윈치 장치(7)에 연결된 리프트 바디(8)가 설치 장소(3) 아래의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개의 집열기 받침대(5)는 리프트 바디 위에 배치되어 중력(G)으로 인해 리프트 바디(8) 상에 놓이게 된다.
도 3은 송전탑에 부분적으로 고정된 고정 장치(1)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역전 장치(6)는 설치 장소(3) 위에 역전 바디(12)를 구비하는 송전탑(4)에 고정된다. 역전 장치(6)를 송전탑(4)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송전탑(4)에 기댄 상태의 사다리(21)를 정비공(미도시)이 송전탑(4)을 따라 상승시켜서 역전 장치(6)를 송전탑(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이 각각 윈치 장치(7)에 의해 역전 장치(6)를 통해 가이드 되는 방식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역전 장치(6)의 상세한 구성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송전탑(4)에 고정된 역전 장치(6)는 풀리(13)로서 구현되는 두 개의 역전 바디(12)를 구비한다. 두 개의 풀리(13)의 도움으로 운반 부재(9)는 역전 장치(6)상에서 가이드 되며, 풀리는 역전 장치(6)와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으로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이 각각 빠져나오거나 잡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장치 중 송전탑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윈치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총 네 개의 제1 송전탑 클램프(18)를 구비하는 윈치 장치(7)는 두 개의 제1 송전탑 클램프가 각각 대향하도록 송전탑 베이스(22) 위의 송전탑(4)에 고정된다. 대향하는 제1 송전탑 클램프(18)는 두 개의 제1 나사 식 조인트(23)에 연결되어, 송전탑(4)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대향하는 제1 송전탑 클램프 (18) 사이의 거리가 감소 될 수 있고 따라서 운반 부재(9)의 제1 단부(10) 또는 케이블은 윈치 장치(7)에 각각 고정되는 반면,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의 제2 단부(11)는 자유 이동이 가능하다.
도 6은 집열기 받침대와 태양열 집열기가 제외된 도 1에 따른 고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의 제 2 단부(11)는 각각 리프트 바디(8)에 고정된다. 역전 장치(6) 위로 가이드 되는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의 제1 단부(10)는 윈치 장치(7)에 고정된다. 윈치 장치(7)는 송전탑(22)의 바닥 부근에서 송전탑(4)에 고정된다.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이 짧은 길이가 아니기 때문에, 리프트 바디(8)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의 설치 장소(3) 아래에 배치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 장치 중 윈치 장치, 운반 부재 및 리프트 바디의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미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윈치 장치 (7)는 네 개의 제1 송전탑 클램프(18)에 의해 송전탑(4)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있다. 여기서, 두 개의 제1 파일론 클램프(18) 각각은 나사 조인트(23)에 연결되어, 송전탑(4)에 수직으로 나사 조인트를 구동 시 송전탑 클램프의 거리거 감소되어, 송전탑(4)은 제1 송전탑 클램프(18)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리프트 바디(8)는 도 7에서 네 개의 가이드 장치 부분으로 구성되는 가이드 장치(14)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에는 제1 가이드 장치 부분(16) 및 제2 가이드 장치 부분(17)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장치(14)의 총 8개의 풀리(15) 중에서, 송전탑에 접하는 부분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송전탑에 접하는 8개의 풀리(15)는 가이드 장치(14)에서 각각의 상부에 있는 두 개의 평면에서 송전탑 주위에 배치되고, 4개의 풀리(15)는 각각 송전탑에 접한다. 여기서, 하나의 평면에서 4개의 풀리(15)는 송전탑에 인접하여 90°의 각도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각 풀리(15)에 접하는 회전축은 제2 나사 조인트(24)에 의해 가이드 장치(14)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나사 조인트(24)는 장 공(27)을 통과하여 제2 나사 조인트(24)가 각각의 회전축과 함께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풀리(15)는 송전탑(4)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 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10)를 구비하는 운반 부재(9)는 윈치(7)에 고정되고 제2 단부는 리프트 바디(8)에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예에 있어서, 리프트 바디는 제1 가이드 장치 부분 및 제2 가이드 장치 부분으로 구성된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제1 가이드 장치 부분과 제2 가이드 장치 부분은 두 개의 제4 나 사형 조인트에 의해 서로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서 가이드 장치에 맞닿은 풀리가 송전탑에 접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와 유사하게, 도시되지 않은 예의 가이드 장치는 바람직하게 송전탑에 접하는 8개의 풀리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예에서, 제1 단부를 갖는 운반 부재는 윈치에 고정되고 제2 단부는 리프트 바디에 고정된다.
도 8은 고정 장치(1)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윈치 장치(7)는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을 통해 리프트 바디(8)에 각각 연결된다. 윈치 장치(7)는 송전탑 베이스(22)의 근방에서 송전탑(4)에 고정되고 리프트 바디(8)는 송전탑(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네 개의 태양열 집열기(2) 두 개의 클램프 연결체(19)에 의해 하나의 집열기 받침대(5)에 각각 연결된다. 태양열 집열기(2)는 중력(G)에 대해 수직으로 태양열 집열기가 태양을 향하도록 한다. 도 8에서, 운반 부재(9) 또는 케이블 각각은 여전히 짧아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9에서, 움반 부재(9) 또는 케이블이 윈치 장치(7)에 의해 역전 장치(6)를 통해 리프트 바디(8)로 전달되어 리프트 바디(8)가 송전탑(4)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리프트 바디(8) 상에 배치된 8개의 태양열 집열기(2)를 갖는 2개의 집열기 받침대(5)가 중력(G)에 대항하여 송전탑(4)에서 태양열 집열기(2)의 설치 장소(3)로 들어 올려졌음을 알 수 있다. 8개의 태양열 집열기(2)를 송전탑(4)에 고정시키기 위해, 추가 장치(도시되지 않음)로서 송전탑(4)을 상승시킬 수 있는 사다리(21)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정 장치(1)의 상세도이다. 두 개의 집열기 받침대(5)는 네 개의 제2 송전탑 클램프(26)로 송전탑(4)에 고정된다. 여기서 두 개의 제3 나사 조인트(25)는 각각 두 개의 제2 송전탑 클램프(26)를 연결한다. 제3 나사 조인트(25)를 작동시킴으로써, 송전탑(4)은 제2 송전탑 클램프(26)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클램프 연결부 (19) 중 두 개는 총 8개의 태양열 집열기(2)가 두 개의 집열기 받침대(5)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사다리(21)는 제2 송전탑 클램프(26)의 제3 나사 조인트(25)를 조이고 태양열 집열기(2)를 송전탑(4)에 고정하여 상기 송전탑(4)을 따라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1에는 두 개의 집열기 받침대(5)가 총 8개의 태양열 집열기(2)와 함께 고정되어 있는 고정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서, 역전 장치, 리프트 바디, 운반 부재 및 윈치 장치는 도시되지 않는다. 이들은 태양열 집열기(2)를 무단으로 철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송전탑(4)에서 분리된 것이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소비자(20)가 태양열 집열기(2)를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송전탑 베이스(22)에 위치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1: 고정 장치
2: 태양열 집열기
3: 설치 장소
4: 송전탑
5: 집열기 받침대
6: 역전 장치
7: 윈치 장치
8: 리프트 바디
9: 운반 부재
10: 제1 단부
11: 제2 단부
12: 역전 바디
13: 풀리
14: 가이드 장치
15: 인접 풀리
16: 제1 가이드 장치 부분
17: 제2 가이드 장치 부분
18: 제1 송전탑 클램프
19: 클램프 연결체
20: 소비자
21: 사다리
22: 송전탑의 베이스
23: 제1 나사 조인트
24: 제2 나사 조인트
25: 제3 나사 조인트
26: 제2 송전탑 클램프
27: 장 홀
G: 중력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를 설치 장소(3), 바람직하게 송전탑(4)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1)로서,
    상기 고정 장치(1)는,
    상기 송전탑(4)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용 집열기 받침대(5);
    상기 송전탑(4)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역전 장치(6);
    윈치 장치(7);
    상기 송전탑(4)을 따라 이동 가능한 리프트 바디(8); 및
    운반 부재(9)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 부재(9)의 제1 단부(10)는 상기 윈치 장치(7)에 고정되고 상기 운반 부재의 제2 단부(11)는 상기 리프트 바디(8)에 고정되며,
    상기 운반 부재(9)의 제1 단부(10)와 제2 단부(11) 사이의 일부 이상은 상기 역전 장치(6)에서 가이드 되고,
    윈치 장치(7)와 리프트 바디(8) 사이의 운반 부재(9)의 길이가 상기 운반 부재(9)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역전 부재(6)가 상기 송전탑(4)에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의 설치 장소(3) 위로 상기 운반 부재(9)를 뒤집어 놓도록, 상기 운반 부재(9)는 상기 윈치 장치(7)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 장치(6)는 하나 이상의 역전 바디(12)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역전 바디(12)는 상기 운반 부재(9)를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역전 바디(12)는 풀리(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부재(9)는 케이블이고, 상기 윈치 장치(7)는 케이블 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윈치는 구동용 모터, 특히 전기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바디(8)는 가이드 부재(14)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14)는 상기 송전탑(4)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4)는 상기 송전탑(4)에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풀리(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4)는 제1 가이드 부재 부분(16) 및 제2 가이드 부재 부분(17)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부분(16)과 제2 가이드 부재 부분(17) 사이의 거리는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14)는 상기 송전탑(4)과의 수직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송전탑(4)에 인접하는 두 개 이상의 풀리(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기 받침대(5)는 상기 리프트 바디(8)에 의해 상기 송전탑(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열기 받침대(5)가 상기 송전탑(4)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집열기 받침대(5)는 상기 송전탑(4)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송전탑 클램프(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12. 제9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연결체(19)를 통해 상기 집열기 받침대(5)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1).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장치(1)를 사용하여 송전탑(4) 등에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의 설치 장소(3) 위에서 상기 송전탑(4)에 역전 장치(6)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윈치 장치(7)를 상기 송전탑(4)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8)가 상기 송전탑(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송전탑(4)에 상기 리프트 바디(8)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윈치 장치에 상기 운반 부재(9)의 제1 단부(1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8)에 상기 운반 부재(9)의 제2 단부(11)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집열기 받침대(5)에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8)에 상기 집열기 받침대(5)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8)와 상기 리프트 바디(8)에 연결되는 집열기 받침대(5)가 상기 송전탑(4)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윈치 장치(7)와 상기 리프트 바디(8) 사이의 상기 운반 부재(9)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윈치 장치(7)를 구동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가 상기 송전탑(4)에서 바람직한 설치 장소(3)에 도착함과 동시에 상기 송전탑(4)에 상기 집열기 받침대(5)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 부재(9)는 상기 역전 장치(6) 상에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탑(4)에 집열기 받침대(5)를 고정시킨 후에, 상기 리프트 바디(8)와 상기 집열기 받침대(5)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는 단계; 및
    상기 송전탑(4)에 고정될 수 있는 역전 장치(6), 상기 윈치 장치(7) 및 상기 송전탑(4)과 상기 운반 부재(9)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상기 리프트 바디(8)가 상기 송전탑(4)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방법.
  15.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정 장치(1)를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의 설치 장소(3) 위에서 상기 송전탑(4)에 역전 장치(6)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윈치 장치(7)를 상기 송전탑의 베이스(22)에 고정하는 단계;
    리프트 바디(8)가 상기 송전탑(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송전탑(4)에 상기 리프트 바디(8)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윈치 장치에 상기 운반 부재(9)의 제1 단부(10)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8)에 상기 운반 부재(9)의 제2 단부(11)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8)에 상기 집열기 받침대(5)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송전탑(4)에 대한 상기 집열기 받침대(5)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리프트 바디(8)와 상기 리프트 바디(8)에 연결되는 집열기 받침대(5)가 상기 송전탑(4)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윈치 장치(7)와 상기 리프트 바디(8) 사이의 상기 운반 부재(9)의 길이가 증가되도록 상기 윈치 장치(7)를 구동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가 상기 집열기 받침대(5)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집열기 받침대(5)와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2) 사이의 하나 이상의 클램프 연결체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송전탑(4) 상의 상기 역전 장치(6), 상기 송전탑(4)을 따라 이동 가능한 리프트 바디(8)의 윈치 장치(7), 운반 부재(9) 및 상기 송전탑(4)으로부터 상기 집열기 받침대(5)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 부재(9)는 상기 역전 장치(6) 상에서 가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KR1020177000872A 2014-07-15 2014-07-15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태양열 집열기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KR20170032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4/065168 WO2016008514A1 (de) 2014-07-15 2014-07-15 Befestig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mindestens eines solarkollektors,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solarkollektors sowie verfahren zur demontage eines solarkollek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292A true KR20170032292A (ko) 2017-03-22

Family

ID=5120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872A KR20170032292A (ko) 2014-07-15 2014-07-15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태양열 집열기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191699A1 (ko)
EP (1) EP3169943B1 (ko)
KR (1) KR20170032292A (ko)
CN (1) CN106574801A (ko)
AU (1) AU2014401108A1 (ko)
DK (1) DK3169943T3 (ko)
WO (1) WO20160085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33773A (zh) * 2024-03-06 2024-04-05 中国电建集团西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柔性光伏支架柱顶与主索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5259A (en) * 1933-08-16 1934-04-17 Lisle B Streeter Pole-type portable transformer hoist
US2493687A (en) * 1948-07-06 1950-01-03 Harvey C Mott Hoisting device for line poles
US3231260A (en) * 1964-01-02 1966-01-25 Howard L Shirley Motion translating device
FR2549458B1 (fr) * 1983-07-19 1985-10-31 Electricite De France Dispositif de levage de poteaux
US4718564A (en) * 1986-08-13 1988-01-12 Bailey Jonathan L Portable construction hoist
GB2273090A (en) * 1992-12-02 1994-06-08 Sahlins Clydesdale Ltd Lifting device and method
US6390450B1 (en) * 2001-01-18 2002-05-21 Alum-A-Lift, Inc. Demountable lifting device
US20090056703A1 (en) * 2007-08-27 2009-03-05 Ausra, Inc. Linear fresnel solar arrays and components therefor
CA2736718A1 (en) * 2010-04-09 2011-10-09 Electro Mechanical Industries, Inc. Tower structure
US9790065B2 (en) * 2013-04-25 2017-10-17 Travis Jordan Solar array lifter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169943T3 (da) 2019-07-22
CN106574801A (zh) 2017-04-19
EP3169943A1 (de) 2017-05-24
WO2016008514A1 (de) 2016-01-21
US20170191699A1 (en) 2017-07-06
EP3169943B1 (de) 2019-04-17
AU2014401108A1 (en)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102B1 (ko) 스페이서 통과형 스페이스카
KR101291728B1 (ko)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
US10252895B2 (en) Solar array lifter and method
KR10187754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CN113937665A (zh) 一种基于电力工程的线缆架空铺设用线缆拉紧装置
CN112722103B (zh) 一种具有自锁功能的爬杆机器人
CN112436434B (zh) 电力施工紧线装置
JP2016152698A (ja) ケーブル吊り上げ器およびケーブル布設方法
CN109742678A (zh) 杆上带电作业机器人设备
JP5822220B1 (ja) 電気機器の高所取付装置
JP5571041B2 (ja) 揚重装置
KR20170032292A (ko) 하나 이상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태양열 집열기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태양열 집열기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
CN116812791A (zh) 一种建筑工程吊装设备
CN103280738B (zh) 架空地线升降装置
CN203466505U (zh) 一种电缆垂直牵引装置
US6883783B1 (en) Electrical underground wire pulley to assist in pulling wire through underground conduit
CN203180430U (zh) 电动绞磨
CN204886031U (zh) 一种辅助接线的装置
CN114512930A (zh) 一种特高压电力输送管道的对接装置及对接方法
KR200430681Y1 (ko) 건축공사현장용 전선거치장치
JP2017073842A (ja) 移動用ケーブル架台
CN104730670B (zh) 光纤光缆安装装置及光纤光缆安装或维修方法
CN110803641A (zh) 一种建筑卷扬机用固定座
CN215343678U (zh) 一种用于电力安装的紧线装置
KR102672256B1 (ko) 편이성이 향상된 누전감지형 다기능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