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549B1 -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549B1
KR101877549B1 KR1020170096979A KR20170096979A KR101877549B1 KR 101877549 B1 KR101877549 B1 KR 101877549B1 KR 1020170096979 A KR1020170096979 A KR 1020170096979A KR 20170096979 A KR20170096979 A KR 20170096979A KR 101877549 B1 KR101877549 B1 KR 101877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distribution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platfor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9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반에 설치되며 하부클램프와 상부클램프를 구비한 복수개의 지중배전선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지중전선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유동에 따른 접속불량에 의한 누전 및 감전사고와 단락에 의한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수개의 지중배전선 고정수단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중배전선 지지롤러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풀링하여 전력구 터널에 위치시키는 작업과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 상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신속, 간편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and protecting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중전선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유동에 따른 접속불량에 의한 누전 및 감전사고와 단락에 의한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풀링하여 전력구 터널에 위치시키는 작업과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 상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신속, 간편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도시 지역의 전력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전주를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이에 완철과 애자를 이용하여 배전선을 가설하는 가공 배전 선로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 배전 선로는 가공배전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게 되어 누전이나 단락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태풍이나 강우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도심지 미관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73년도에 처음으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이 시작되어 가공 송배전 시설의 설치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곤란한 지역과, 가공선이 집중되어 있는 변전소 인출 부근, 고가도로, 고속도로, 철도 등을 횡단하는 장소, 부하밀도가 높고 고층빌딩으로서 공급 여력을 확보하는데 다회선 구성이 기술적으로 곤란한 장소, 사업비지원, 지역주민의 행정관서와의 업무협조가 원활한 지역 등 변전소 건설시나 기존 변전소 주변압기 증설시 다회선의 배전선을 인출하기 위해 전력구 또는 배전지중 대비관로를 시설하여 장차 부하 증가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지역에 집중적으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최근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 기타 관계 법규(도로법, 도시계획법, 건축법, 하천법, 공원법, 소방법 등에 의해 제한을 받아 가공 송배전 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지역, 지중공급지역, 지중배전 공급예정지역, 지중화 확정지역에서 송배전선로를 설치하는 경우, 행정관서 또는 고객의 요청으로 지중선로로 공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지역, 발전소와 변전소 인출구 등 회선수가 많아 가공 송배전 시설을 설치하기 곤란한 지역, 장경간으로 가공 송배전 시설의 설치가 곤란한 교량 지역, 기타 시설방법, 보안상 및 기술적으로 지중 선로로 시설함이 타탕한 지역에 대하여 지중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외국의 송배전선의 지중화율은 런던과 파리가 100%에 달하는 등 전 세계에서 송배전선의 지중화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중 송배전선 시설은 설치 방식에 따라서 직매식과 관로식 및 전력구식으로 구분된다.
직매식은 배전선의 방호를 위하여 트러프(Through) 내에 케이블을 시설한 후 트러프와 케이블 사이에 모래를 채운 후 뚜껑을 덮는 방식이다. 매설깊이는 전기설비기술기준령에 의거 차량 등의 중량물의 압력을 받는 장소에는 1~2m 이상, 기타 장소에서는 60cm이상으로 하지만 타 지하매설물이 있을 경우에는 타 지하매설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깊이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관로식은 관로와 맨홀을 설치한 후 케이블을 관로에 인입하여 맨홀 내에서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도록 포설하는 방식이다. 직매식과 같이 도로를 장기간 굴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도심지의 교통량이 많은 장소에 적용되며, 차후 증설이 예상되는 장소의 재굴착시에 따르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미리 관로와 맨홀을 설치한다.
전력구식은 지중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크기의 터널을 구축하고 이 터널의 양 옆에 지지물(선반)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지지물(선반)에 지지하는 방식이다. 암거식 또는 동도(洞道)식이라고도 한다. 전력구식은 케이블 수가 20가닥 이상인 경우와 변전소 인출부 같이 다회선이 요구되는 지역 등에 유리하며, 초고압 이상의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유지, 보수 및 점검 등의 편리성 및 열방산이 좋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력구식 지중배전 시설의 경우 지중배전선을 전력구 터널 내의 선반에 설치하기 위하여 지중배전 시설의 길이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의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인선(Pulling Cable)하여 전력구 터널 내에 위치시키는 제1 단계와,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 상에 안착시키는 제2 단계와, 인접하는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접속단부의 절연피복을 박피하여 노출된 도체를 접속함과 아울러 절연부재로 절연처리하는 제3 단계 및,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고정하는 제4 단계를 거쳐서 지중케이블을 설치하게 된다.
제1 단계에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인선작업을 위하여 종래에는 전력구 터널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는 풀링롤러가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대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케이블드럼(Cable Drum)에 권취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선단부에 풀링아이(Pulling Eye)를 결합하고 풀링아이에 풀링와이어(Pulling Wire)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인력으로 견인하거나 풀링와이어를 와이어드럼에 권취하는 것에 의하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이 전력구 터널 내에 원하는 구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제2 단계에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들어 올려서 선반에 안착시킨다.
제3 단계에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접속단계에서는 인접하는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의 접속단부의 절연피복을 박피하여 노출된 도체를 접속슬리브로 접속함과 아울러 절연부재로 피복하여 접속부가 절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단계에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프 또는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풀링와이어에 연결하여 풀링하기 위해서는 상단에 풀링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대를 전력구 터널의 길이에 따라 일정 구간마다 복수개 설치하여야 하므로 전력구 터널에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위치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복수개의 지지대 상에 지지된 상태로 전력구 터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들어 올려서 선반 상에 안착시켜야 하는데 별도의 특화된 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러 명의 작업자가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들어 올려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 선반의 상면에 클램프 또는 고정구를 설치하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고정하게 되므로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유동이 발생하여 접속부의 접속불량이나 단락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191호(2012.09.13. 등록)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지중에 고정되는 받침대; 송전용 지중전선을 고정하고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전선 고정대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 고정대는, 앞쪽, 뒤쪽 및 위쪽이 개방된 유자형으로 송전용 지중전선을 안착시키고,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완충 부재를 내면에 설치하는 전선 안착부; 상기 전선 안착부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으로 상기 전선 안착부에서 개폐되고,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완충 부재를 내면에 설치하는 덮개; 상기 전선 안착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상기 전선 안착부와 원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병목 형상의 연결목; 및 상기 덮개에서부터 상기 전선 안착부까지 연장된 볼트 결합용 홀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전선 고정대의 원형 플레이트와 연결목을 끼워 맞춤하여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면 바닥에 상기 전선 고정대의 원형 플레이트를 안착시켜 미끄럼 이동은 제한하나 회전은 가능하게 하는 원형 홈을 형성하고, 연장된 바닥에 볼트 결합용 홈을 형성하여 송전용 지중전선을 손쉽게 지중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능률을 높이고, 완충 수단을 가지고 있어 송전용 지중전선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단순히 지중전선을 견고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구식 지중배전선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4 단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지중전선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유동에 따른 접속불량에 의한 누전 및 감전사고와 단락에 의한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풀링하여 전력구 터널에 위치시키는 작업과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 상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신속, 간편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191호(2012.09.13. 등록)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전선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유동에 따른 접속불량에 의한 누전 및 감전사고와 단락에 의한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풀링하여 전력구 터널에 위치시키는 작업과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 상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신속, 간편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바닥과 벽체가 구비된 전력구 터널과; 상기 벽체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과,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승강안내홀과, 상기 승강안내홀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판이 구비된 선반과; 상기 승강안내홀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지중배전선의 외경에 대응하는 홈을 가지는 복수개의 지중배전선 지지롤러와; 상기 선반의 지지판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을 가지는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승강대에 결합되는 승강스크루와;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을 고정하는 지중배전선 고정수단과; 상기 승강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대는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판과 전후벽체와 좌우벽체를 가지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벽체에는 지중배전선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반원형의 지중배전선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안내홀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를 승강 안내하는 승강안내레일과, 상기 승강안내레일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의 하단면이 걸리는 걸림턱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중배전선 지지롤러는 외주면에 지중배전선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주홈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롤러 본체와, 상기 홈롤러 본체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의 전후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구동모터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로서, 상단이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스크루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대의 바닥판에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중배전선 고정수단은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에 삽입되며 선단부에 경첩편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에 복수개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하부클램프와,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램프의 경첩편에 경첩핀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첩편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상기 하부클램프의 결합편에 대응하는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에 복수개의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클램프와, 상기 볼트관통공에 관통되는 클램핑볼트와, 상기 하부클램프의 결합편의 하면에 볼트관통공에 동축으로 고정된 클램핑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승모드와 하강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모드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모터에 대한 상승제어명령과 하강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모터에 대한 상승구동신호와 하강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승강구동모터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에 의하면 선반에 설치되며 하부클램프와 상부클램프를 구비한 복수개의 지중배전선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지중전선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유동에 따른 접속불량에 의한 누전 및 감전사고와 단락에 의한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수개의 지중배전선 고정수단 사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중배전선 지지롤러를 구비하여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풀링하여 전력구 터널에 위치시키는 작업과 지중배전선용 케이블을 선반 상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신속, 간편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승강대와 지중배전선 지지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승강대와 지중배전선 지지롤러가 하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지중배전선의 풀링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5는 지중배전선의 안착 및 고정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6은 제어수단의 기능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110)과 벽체(120)가 구비된 전력구 터널(100)과; 상기 벽체(120)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210)과,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승강안내홀(220)과, 상기 승강안내홀(22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판(230)이 구비된 선반(200)과; 상기 승강안내홀(220)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300)와; 상기 승강대(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지중배전선(10)의 외경에 대응하는 홈을 가지는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와; 상기 선반(200)의 지지판(230)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520)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510)을 가지는 승강구동모터(500)와; 상기 암나사부(520)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61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230)을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승강대(300)에 결합되는 승강스크루(600)와;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210)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을 고정하는 지중배전선 고정수단(700)과; 상기 승강구동모터(50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구 터널(10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바닥(110)과 일측 벽체(120)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터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선반(20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력구 터널(100)의 벽체(120)와 별도로 제작하여 앵커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하거나 전력구 터널(100)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벽체(120)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210)의 내주면에는 절연재(211)가 피복된다. 상기 절연재(211)는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210)의 내주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30)은 선반(200)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선반(200)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강철판을 매설하여 선반(200)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30)에는 상기 승강스크루(600)가 관통되는 스크루관통공(231)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대(300)는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판(310)과 전후벽체(320)와 좌우벽체(330)를 가지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벽체(330)에는 지중배전선(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반원형의 지중배전선 안내홈(340)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대(300)는 상기 승강안내홀(220)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승강안내레일(350)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승강안내레일(350)의 하단에는 승강대(300)의 하단면이 걸리는 걸림턱(351)이 형성된다.
상기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는 외주면에 지중배전선(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주홈(420)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롤러 본체(410)와, 상기 홈롤러 본체(4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300)의 전후벽체(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축(430)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대(300)의 전후벽체(320)에는 상기 롤러축(4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공(321)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축(430)과 축공(321) 사이에는 메탈부시 또는 베어링(미도시)을 삽입하여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가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구동모터(500)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며, 상단이 상기 지지판(230)의 하면에 고정된다. 지지판(230)에 대한 승강구동모터(500)의 고정은 지지판(230)에 복수개의 볼트를 관통시켜 승강구동모터(500)의 모터케이싱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스크루(600)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대(300)의 바닥판(310)에 결합되는 플랜지부(620)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판(310)에 대한 승강스크루(600)의 결합은 플랜지부(620)에 복수개의 볼트를 관통시켜 바닥판(310)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중배전선 고정수단(700)은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에 삽입되며 선단부에 경첩편(71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결합편(7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712)에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의 볼트관통공(713)이 형성된 하부클램프(710)와,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램프(710)의 경첩편(711)에 경첩핀(730)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첩편(721)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상기 하부클램프(710)의 결합편(712)에 대응하는 결합편(7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722)에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의 볼트관통공(723)이 형성된 상부클램프(720)와, 상기 볼트관통공(713, 723)에 관통되는 클램핑볼트(740)와, 상기 하부클램프(710)의 결합편(712)의 하면에 볼트관통공(713)에 동축으로 고정된 클램핑너트(7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클램프(710)와 상부클램프(720)의 내주면에는 절연재(714, 724)가 피복된다. 상기 절연재(714, 724)는 절연고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접착제에 의하여 하부클램프(710)와 상부클램프(720)의 내주면에 접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너트(750)는 상기 하부클램프(710)의 결합편(712)의 하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240은 상기 선반(200)에 형성되어 상기 경첩편(711, 721)이 삽입되는 경첩자리를 보인 것이고, 250은 상기 선반(200)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너트(750)가 삽입되는 너트자리를 보인 것이다.
상기 제어수단(800)은 상승모드와 하강모드가 입력되는 입력부(810)와, 상기 입력부(810)의 입력모드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모터(500)에 대한 상승제어명령과 하강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820) 및, 상기 제어부(82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승강구동모터(500)에 대한 상승구동신호와 하강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승강구동모터 구동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800)는 컨트롤박스 내에 내장하여 컨트롤박스를 상기 선반(20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810)는 컨트롤박스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810)는 단순히 스위치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태표시가 가능한 터치패널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언클램핑 동작]
하부클램프(710)의 결합편(712)와 상부클램프(720)의 결합편(722)을 체결하는 클램핑볼트(740)와 클램핑너트(750)를 해체하고, 상부클램프(720)를 상향 회동시켜 하부클램프(710)로부터 개방되어 언클램핑되도록 하여 추후 지중배전선(10)의 풀링 동작시 지중배전선(10)이 상부클램프(720)에 의하여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상승 동작]
입력부(810)에 상승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820)가 승강구동모터(500)에 대한 상승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승강구동모터 구동부(830)가 승강구동모터(500)에 대한 상승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승강구동모터(500)의 모터축(510)가 상승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모터축(510)의 암나사부(520)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승강스크루(600)가 암나사부(520)와 수나사부(610)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승강스크루(600)가 상승하게 되고, 승강스크루(6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대(300)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대(3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승강대(300)는 승강안내레일(35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상승하고, 승강대(300)에 지지된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의 원주홈(420)의 지중배전선(10)에 대한 지지높이가 하부클램프(710)에 의한 지중배전선(10)에 대한 지지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승강대(300)의 상한점에서의 정지는 제어부(820)가 승강구동모터(50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풀링 준비 동작]
전력구 터널(100)의 일단에 설치된 맨홀의 상부 지상에 지중배전선(10)이 권취되어 있는 지중배전선 드럼을 설치하고, 지중배전선 드럼에 권취된 지중배전선(10)의 선단부에 풀링아이를 통하여 풀링와이어를 전력구 터널(100)의 내부로 인입하여 전력구 터널(100)의 타단에 설치된 맨홀의 상부 지상에 설치된 권취장치에 연결한다.
이때, 승강대(300)와 지중배전선지지롤러(400)는 상술한 상승 동작에 의하여 상승한 상태로 유지한다.
풀링와이어를 하부클램프(710)과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의 원주홈(420)을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풀링 동작]
이 상태에서 권취장치에 의하여 풀링와이어를 권취하면, 풀링와이어에 풀링아이로 연결된 지중배전선이 지중배전선 드럼으로부터 풀려나오면서 풀링되어 하부클램프(710)와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의 원주홈(420)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의 원주홈(420)의 지중배전선(10)에 대한 지지높이가 하부클램프(710)의 지중배전선(10)에 대한 지지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지중배전선(10)이 하부클램프(710)에 접촉하지 않고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에만 지지되면서 풀링된다.
따라서 지중배전선(10)이 승강대(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지중배전선(10)의 풀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과 아울러 지중배전선(10)의 절연피복이 손상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풀링된다.
[하강 동작]
입력부(810)에 하강모드가 입력되면, 제어부(820)가 승강구동모터(500)에 대한 하강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승강구동모터 구동부(830)가 승강구동모터(500)에 대한 하강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승강구동모터(500)의 모터축(510)가 하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모터축(510)의 암나사부(520)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승강스크루(600)가 암나사부(520)와 수나사부(610)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승강스크루(600)가 하강하게 되고, 승강스크루(6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대(300)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대(3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승강대(300)는 승강안내레일(35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하강하고, 승강대(300)의 하단이 승강안내레일(350)의 하단에 구비된 걸림턱(351)에 걸리는 상태에서 정지되며, 승강대(300)가 하강하여 걸림턱(351)에 걸려서 정지한 상태에서 승강대(300)에 지지된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의 원주홈(420)의 지중배전선(10)에 대한 지지높이가 하부클램프(710)의 지중배전선(10)에 대한 지지높이와 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승강대(300)의 하한점에서의 정지는 제어부(820)가 승강구동모터(50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풀링된 지중배전선(10)의 외주면 하반부가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의 원주홈(420)과 하부클램프(710)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지중배전선 고정 동작]
상부클램프(720)를 하향 회동시켜 하부클램프(710)에 외주면 하반부가 안착되어 있는 지중배전선(10)의 외주면 상반부를 감싸도록 하고, 하부클램프(710)의 결합편(712)와 상부클램프(720)의 결합편(722)에 형성된 볼트관통공(713, 723)에 클램핑볼트(740)를 관통시키고, 클램핑볼트(7400에 클램핑너트(750)를 체결하여 지중배전선(10)의 외주면 하반부와 외주면 상반부가 하부클램프(710)와 상부클램프(720)가 밀착되는 상태로 클램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중배전선 100 : 전력구터널
110 : 바닥 120 : 벽체
200 : 선반 210 :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
220 : 승강안내홀 230 : 지지판
300 : 승강대 310 : 바닥판
320 : 전후벽체 330 : 좌우벽체
340 : 지중배전선 안내홈 350 : 승강안내레일
400 : 지중배전선 지지롤러 410 : 홈롤러 본체
420 : 원주홈 430 : 롤러축
500 : 승강구동모터 510 : 모터축
520 : 암나사부 600 : 승강스크루
610 : 수나사부 620 : 플랜지부
700 : 지중배전선 고정수단 710 : 하부클램프
711 : 경첩편 720 : 상부클램프
721 : 경첩편 730 : 경첩핀
740 : 클램핑볼트 750 : 클램핑너트
800 : 제어수단 810 : 입력부
820 : 제어부 830 : 승강구동모터 구동부

Claims (1)

  1. 바닥(110)과 벽체(120)가 구비된 전력구 터널(100)과; 상기 벽체(120)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210)과,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승강안내홀(220)과, 상기 승강안내홀(220)의 하단에 형성된 지지판(230)이 구비된 선반(200)과; 상기 승강안내홀(220)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300)와; 상기 승강대(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지중배전선(10)의 외경에 대응하는 홈을 가지는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의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와; 상기 선반(200)의 지지판(230)에 장착되며 내주면에 암나사부(520)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510)을 가지는 승강구동모터(500)와; 상기 암나사부(520)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61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230)을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승강대(300)에 결합되는 승강스크루(600)와;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210)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을 고정하는 지중배전선 고정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대(300)는 상단이 개방되고 바닥판(310)과 전후벽체(320)와 좌우벽체(330)를 가지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벽체(330)에는 지중배전선(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반원형의 지중배전선 안내홈(340)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안내홀(220)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300)를 승강 안내하는 승강안내레일(350)와, 상기 승강안내레일(35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300)의 하단면이 걸리는 걸림턱(351)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지중배전선 지지롤러(400)는 외주면에 지중배전선(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주홈(420)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롤러 본체(410)와, 상기 홈롤러 본체(4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대(300)의 전후벽체(3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축(4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구동모터(500)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로서, 상단이 상기 지지판(230)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승강스크루(600)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대(300)의 바닥판(310)에 결합되는 플랜지부(620)가 구비되고,
    상기 지중배전선 고정수단(700)은 상기 반원형 클램프 지지홈(131)에 삽입되며 선단부에 경첩편(711)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결합편(71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712)에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의 볼트관통공(713)이 형성된 하부클램프(710)와, 선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클램프(710)의 경첩편(711)에 경첩핀(730)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첩편(721)이 형성되며 후단부에 상기 하부클램프(710)의 결합편(712)에 대응하는 결합편(7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722)에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의 볼트관통공(723)이 형성된 상부클램프(720)와, 상기 볼트관통공(713, 723)에 관통되는 클램핑볼트(740)와, 상기 하부클램프(710)의 결합편(712)의 하면에 볼트관통공(713)에 동축으로 고정된 클램핑너트(7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20170096979A 2017-07-31 2017-07-31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1877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979A KR101877549B1 (ko) 2017-07-31 2017-07-31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979A KR101877549B1 (ko) 2017-07-31 2017-07-31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549B1 true KR101877549B1 (ko) 2018-07-12

Family

ID=6291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979A KR101877549B1 (ko) 2017-07-31 2017-07-31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5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638B1 (ko) * 2019-07-02 2020-01-23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지중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장치
KR102070250B1 (ko) * 2019-06-27 2020-01-28 (주)선한이엔지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안정장치
KR102069636B1 (ko) * 2019-07-02 2020-02-11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지중배전선로의 고장 알림 장치
KR102081258B1 (ko) * 2019-09-03 2020-02-25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배전선로의 작업시 안전 장치
KR102085574B1 (ko) * 2019-08-21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2129054B1 (ko) * 2020-02-07 2020-07-01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177561B1 (ko) * 2020-06-17 2020-11-11 윤은수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131U (ja) * 1991-05-31 1992-12-14 朝日金属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管路拘束支持クリート
KR101035693B1 (ko) * 2011-02-18 2011-05-19 이수기술단(주) 지중배전선의 배전반 접속전용 커넥터
KR20120007485U (ko) * 2011-04-21 2012-10-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취부용 지그
KR101352074B1 (ko) *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353071B1 (ko) * 2013-10-04 2014-01-2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배전선의 배전위치 조정장치
KR101359561B1 (ko) * 2013-11-04 2014-02-11 홍기곤 지중전선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504130B1 (ko) * 2014-12-29 2015-03-19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하 전력구 천정 배전선로 지지대
KR101594161B1 (ko) * 2015-09-30 2016-02-15 (주)아현건설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KR101626143B1 (ko) * 2015-09-23 2016-05-31 (주)대광기술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644605B1 (ko) * 2015-12-10 2016-08-01 주식회사 천지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651848B1 (ko) * 2016-03-28 2016-08-30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지중전력 케이블 방호장치
KR101733124B1 (ko) * 2016-04-19 2017-05-08 (주)서해전기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131U (ja) * 1991-05-31 1992-12-14 朝日金属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管路拘束支持クリート
KR101035693B1 (ko) * 2011-02-18 2011-05-19 이수기술단(주) 지중배전선의 배전반 접속전용 커넥터
KR20120007485U (ko) * 2011-04-21 2012-10-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취부용 지그
KR101353071B1 (ko) * 2013-10-04 2014-01-2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배전선의 배전위치 조정장치
KR101359561B1 (ko) * 2013-11-04 2014-02-11 홍기곤 지중전선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352074B1 (ko) *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504130B1 (ko) * 2014-12-29 2015-03-19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하 전력구 천정 배전선로 지지대
KR101626143B1 (ko) * 2015-09-23 2016-05-31 (주)대광기술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594161B1 (ko) * 2015-09-30 2016-02-15 (주)아현건설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KR101644605B1 (ko) * 2015-12-10 2016-08-01 주식회사 천지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101651848B1 (ko) * 2016-03-28 2016-08-30 (주)케이제이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지중전력 케이블 방호장치
KR101733124B1 (ko) * 2016-04-19 2017-05-08 (주)서해전기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250B1 (ko) * 2019-06-27 2020-01-28 (주)선한이엔지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 안정장치
KR102069638B1 (ko) * 2019-07-02 2020-01-23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지중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장치
KR102069636B1 (ko) * 2019-07-02 2020-02-11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지중배전선로의 고장 알림 장치
KR102085574B1 (ko) * 2019-08-21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81258B1 (ko) * 2019-09-03 2020-02-25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배전선로의 작업시 안전 장치
KR102129054B1 (ko) * 2020-02-07 2020-07-01 (주)첨단엔지니어링 배전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KR102177561B1 (ko) * 2020-06-17 2020-11-11 윤은수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54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162614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구조
KR10159801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AU2017100111A4 (en) Surveillance equipment tower
CN105546278A (zh) 一种开挖管沟时地下管道的防护方法
KR101795930B1 (ko) 인출입장치
JP2020007721A (ja) 補強柱状体の補強方法及び補強柱状体
US6883783B1 (en) Electrical underground wire pulley to assist in pulling wire through underground conduit
CN111792540A (zh) 全逆作法主体结构梁板悬挂移动式电动葫芦吊物施工方法
KR101733124B1 (ko) 전선의 탈부착 기능을 갖춘 송배전 연결구조
KR100998492B1 (ko)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가능한 배전설비
EP3955402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installation of a power cable in a tunnel
JP2016163477A (ja) ケーブル支持装置およびケーブル布設方法
CN213461027U (zh) 一种简易电缆沟支架结构
CN110492391B (zh) 顶升式全防护跨越架及其搭建方法
KR101617385B1 (ko) 배전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CN109256726B (zh) 一种竖直敷设管道的电缆敷设方法
CN113430973B (zh) 高稳定电动阻车结构及其结构的施工方法
CN206673517U (zh) 一种新型穿墙套管安装结构
JP7043094B1 (ja) 共同溝蓋開閉運搬装置
CN215482547U (zh) 安全性高的阻车结构
JP2017073842A (ja) 移動用ケーブル架台
US5078347A (en) Energized conductor supports
CN204927545U (zh) 一种预埋式接地线桩
US2252001A (en) Supporting and hois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