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561B1 -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 Google Patents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561B1
KR102177561B1 KR1020200073650A KR20200073650A KR102177561B1 KR 102177561 B1 KR102177561 B1 KR 102177561B1 KR 1020200073650 A KR1020200073650 A KR 1020200073650A KR 20200073650 A KR20200073650 A KR 20200073650A KR 102177561 B1 KR102177561 B1 KR 10217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eating portion
support plate
extinguishing powd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은수
Original Assignee
윤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은수 filed Critical 윤은수
Priority to KR102020007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24Cable j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26Supports fo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10Measuring moisture content, e.g. by measuring change in length of hygroscopic filament; Hygro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에 관한 것으로,
지중송전을 위한 전력구(CH) 내벽에 설치되는 지지대(11)와, 지지대(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12)를 갖춘 지지기구(10)와;
전선이 접속가능한 다수의 접속구(21)를 갖추고서, 지지대(11)의 하면에 설치되어, 전선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기구(20)와;
승강대(31)와, 지지기구(10)의 이동대(12)에 설치되어 승강대(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구(32)를 갖춘 승강장치(30)와;
받침판(43)의 좌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나사홈(43a)과, 제1나사홈(43a)에 대향되게 받침판(43)의 우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나사홈(43b)과, 제1나사홈(43a)의 좌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관통홀(43c) 및, 제2나사홈(43b)의 우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홀(43d)을 갖춘 받침판(43)을 구비하여, 승강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기구(40)와;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체결체(51a)와, 제1체결체(5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체(51b) 및, 제1연장체(5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헤드체(51c)를 구비한 제1볼트(51); 제1롤러(5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1하측안착부(52a)와, 제1롤러(5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상측안착부(52b) 및, 제1하측안착부(52a) 및 제1상측안착부(5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1접촉부(52c)를 구비하고, 제1상측안착부(52b)가 제1헤드체(5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연장체(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제1롤러(52); 제1헤드체(5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롤러(52)의 제1상측안착부(5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1구형회전체(5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롤러기구(50)와;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체결체(61a)와, 제2체결체(6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체(61b) 및, 제2연장체(6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헤드체(61c)를 구비한 제2볼트(61); 제2롤러(6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하측안착부(62a)와, 제2롤러(6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상측안착부(62b) 및, 제2하측안착부(62a) 및 제2상측안착부(6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2접촉부(62c)를 구비하고, 제2상측안착부(62b)가 제2헤드체(6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연장체(6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제2롤러(62); 제2헤드체(6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롤러(62)의 제2상측안착부(6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2구형회전체(6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제1롤러기구(50)의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기구(60)와;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3체결체(71a)와, 제3체결체(7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체(71b) 및, 제3연장체(7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헤드체(71c)를 구비한 제3볼트(71); 제3롤러(7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하측안착부(72a)와, 제3롤러(7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상측안착부(72b) 및, 제3하측안착부(72a) 및 제3상측안착부(7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3접촉부(72c)를 구비하고, 제3상측안착부(72b)가 제3헤드체(7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3연장체(7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제3롤러(72); 제3헤드체(7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롤러(72)의 제3상측안착부(7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3구형회전체(7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3롤러기구(70)와;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4체결체(81a)와, 제4체결체(8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체(81b) 및, 제4연장체(8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4헤드체(81c)를 구비한 제4볼트(81); 제4롤러(8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하측안착부(82a)와, 제4롤러(8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4상측안착부(82b) 및, 제4하측안착부(82) 및 제4상측안착부(8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4접촉부(82c)를 구비하고, 제4상측안착부(82b)가 제4헤드체(8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4연장체(81b)에 회전가능게 삽입설치되는 제4롤러(82); 제4헤드체(8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4롤러(82)의 제4상측안착부(8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4구형회전체(8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제3롤러기구(70)의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4롤러기구(80)와;
제1,3롤러(52,72)의 제1,3접촉부(52c,72c)와 제2,4롤러(62,82)의 제2,4접촉부(62c,82c) 사이에 배치되어,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서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배치된 전선이, 굴곡되도록, 회전기구(4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90)와;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의 하방에 위치하게, 상측이 받침판(43)의 좌측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연결바(101);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1좌측통과홀(102a)을 갖추어 제1연결바(101)의 하측에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좌측경사판(102);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우측통과홀(103a)을 갖추어 제1연결바(101)의 하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우측경사판(103)으로 구성된 제1소화분말확산기구(100)와;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의 하방에 위치하게, 상측이 받침판(43)의 우측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연결바(111);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2좌측통과홀(112a)을 갖추어 제2연결바(111)의 하측에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좌측경사판(112);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2우측통과홀(113a)을 갖추어 제2연결바(111)의 하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우측경사판(113)으로 구성된 제2소화분말확산기구(110)와;
상기 전력구(CH)의 내부 상벽에 설치되고,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을 통과가능한 제1파괴침(120)과;
상기 전력구(CH)의 내부 상벽에 설치되고,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을 통과가능한 제2파괴침(130)과;
소화분말을 수용하고, 제1소화분말확산기구(100)의 제1연결바(10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 하방에 배치되며,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을 관통한 제1파괴침(120)에 의해 파괴되어 소화분말이 방출되는 제1소화분말저장용기(140)와;
소화분말을 수용하고, 제2소화분말확산기구(110)의 제1연결바(1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 하방에 배치되며,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을 관통한 제2파괴침(130)에 의해 파괴되어 소화분말이 방출되는 제2소화분말저장용기(150)와;
이동대(12)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와(160);
이동대(12)에 설치되고, 전력구(CH) 내부 습도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의 습도가 측정될 시 습도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습도센서(170)와;
이동대(12)에 설치되고, 습도센서(170)로부터 습도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외부 관리센터로 송출하는 송신기(180)와;
이동대(12)에 설치되어 승강기구(32)를 작동제어하되, 화재감지센서(16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2파괴침(120,130)이 받침판(43)의 제1,2관통홀(43c,43d)를 각각 관통하여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140,150)을 각각 파괴하도록, 승강기구(32)를 작동제어하여 승강대(3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유닛(190)
을 포함하되,
다수의 지중송전선안착홈(a)을 구비하여,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전력구(CH) 내벽에 설치되는 제1,2트레이(TR1,TR2) 사이에 배치되어, 제1,2트레이(TR1,TR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Connecting Equipment for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를 통해 수용가에게 보내 주게 된다.
이때, 송전 방식으로는 가공송전 방식 또는 지중송전 방식이 있는 데, 최근에는 도시 미관 및 안전성을 위핸 지중송전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중송전 방식은 전력구 내부가 고습할 시 전력구 내부의 기기가 손상될 위험이 높았다.
또한, 종래의 지중송전 방식은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지중송전 방식은, 트레이에 배치된 다수의 지중송전선 중 일부를 점검 또는 보수할 시, 지중송전선 간의 간섭으로 점검 또는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중송전 방식은, 일정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지중송전 방향을 분기(또는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41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구 내의 고습 상태를 외부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고, 지중송전선의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며, 지중송전선 주변에 화재가 발생할 시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고, 다양한 방향으로 지중송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송전을 위한 전력구(CH) 내벽에 설치되는 지지대(11)와, 지지대(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12)를 갖춘 지지기구(10)와;
전선이 접속가능한 다수의 접속구(21)를 갖추고서, 지지대(11)의 하면에 설치되어, 전선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기구(20)와;
승강대(31)와, 지지기구(10)의 이동대(12)에 설치되어 승강대(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구(32)를 갖춘 승강장치(30)와;
받침판(43)의 좌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나사홈(43a)과, 제1나사홈(43a)에 대향되게 받침판(43)의 우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나사홈(43b)과, 제1나사홈(43a)의 좌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관통홀(43c) 및, 제2나사홈(43b)의 우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홀(43d)을 갖춘 받침판(43)을 구비하여, 승강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기구(40)와;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체결체(51a)와, 제1체결체(5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체(51b) 및, 제1연장체(5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헤드체(51c)를 구비한 제1볼트(51); 제1롤러(5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1하측안착부(52a)와, 제1롤러(5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상측안착부(52b) 및, 제1하측안착부(52a) 및 제1상측안착부(5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1접촉부(52c)를 구비하고, 제1상측안착부(52b)가 제1헤드체(5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연장체(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제1롤러(52); 제1헤드체(5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롤러(52)의 제1상측안착부(5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1구형회전체(5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롤러기구(50)와;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체결체(61a)와, 제2체결체(6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체(61b) 및, 제2연장체(6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헤드체(61c)를 구비한 제2볼트(61); 제2롤러(6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하측안착부(62a)와, 제2롤러(6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상측안착부(62b) 및, 제2하측안착부(62a) 및 제2상측안착부(6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2접촉부(62c)를 구비하고, 제2상측안착부(62b)가 제2헤드체(6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연장체(6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제2롤러(62); 제2헤드체(6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롤러(62)의 제2상측안착부(6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2구형회전체(6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제1롤러기구(50)의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기구(60)와;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3체결체(71a)와, 제3체결체(7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체(71b) 및, 제3연장체(7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헤드체(71c)를 구비한 제3볼트(71); 제3롤러(7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하측안착부(72a)와, 제3롤러(7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상측안착부(72b) 및, 제3하측안착부(72a) 및 제3상측안착부(7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3접촉부(72c)를 구비하고, 제3상측안착부(72b)가 제3헤드체(7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3연장체(7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제3롤러(72); 제3헤드체(7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롤러(72)의 제3상측안착부(7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3구형회전체(7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3롤러기구(70)와;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4체결체(81a)와, 제4체결체(8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체(81b) 및, 제4연장체(8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4헤드체(81c)를 구비한 제4볼트(81); 제4롤러(8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하측안착부(82a)와, 제4롤러(8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4상측안착부(82b) 및, 제4하측안착부(82) 및 제4상측안착부(8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4접촉부(82c)를 구비하고, 제4상측안착부(82b)가 제4헤드체(8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4연장체(81b)에 회전가능게 삽입설치되는 제4롤러(82); 제4헤드체(8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4롤러(82)의 제4상측안착부(8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4구형회전체(8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제3롤러기구(70)의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4롤러기구(80)와;
제1,3롤러(52,72)의 제1,3접촉부(52c,72c)와 제2,4롤러(62,82)의 제2,4접촉부(62c,82c) 사이에 배치되어,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서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배치된 전선이, 굴곡되도록, 회전기구(4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90)와;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의 하방에 위치하게, 상측이 받침판(43)의 좌측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연결바(101);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1좌측통과홀(102a)을 갖추어 제1연결바(101)의 하측에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좌측경사판(102);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우측통과홀(103a)을 갖추어 제1연결바(101)의 하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우측경사판(103)으로 구성된 제1소화분말확산기구(100)와;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의 하방에 위치하게, 상측이 받침판(43)의 우측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연결바(111);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2좌측통과홀(112a)을 갖추어 제2연결바(111)의 하측에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좌측경사판(112);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2우측통과홀(113a)을 갖추어 제2연결바(111)의 하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우측경사판(113)으로 구성된 제2소화분말확산기구(110)와;
상기 전력구(CH)의 내부 상벽에 설치되고,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을 통과가능한 제1파괴침(120)과;
상기 전력구(CH)의 내부 상벽에 설치되고,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을 통과가능한 제2파괴침(130)과;
소화분말을 수용하고, 제1소화분말확산기구(100)의 제1연결바(10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 하방에 배치되며,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을 관통한 제1파괴침(120)에 의해 파괴되어 소화분말이 방출되는 제1소화분말저장용기(140)와;
소화분말을 수용하고, 제2소화분말확산기구(110)의 제1연결바(1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 하방에 배치되며,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을 관통한 제2파괴침(130)에 의해 파괴되어 소화분말이 방출되는 제2소화분말저장용기(150)와;
이동대(12)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와(160);
이동대(12)에 설치되고, 전력구(CH) 내부 습도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의 습도가 측정될 시 습도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습도센서(170)와;
이동대(12)에 설치되고, 습도센서(170)로부터 습도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외부 관리센터로 송출하는 송신기(180)와;
이동대(12)에 설치되어 승강기구(32)를 작동제어하되, 화재감지센서(16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2파괴침(120,130)이 받침판(43)의 제1,2관통홀(43c,43d)를 각각 관통하여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140,150)을 각각 파괴하도록, 승강기구(32)를 작동제어하여 승강대(3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유닛(190)
을 포함하되,
다수의 지중송전선안착홈(a)을 구비하여,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전력구(CH) 내벽에 설치되는 제1,2트레이(TR1,TR2) 사이에 배치되어, 제1,2트레이(TR1,TR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전력구(CH) 내부의 습도가 기준 값 이상 올라가면 관리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어, 전력구(CH) 내의 이상 습도에 대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 지중송전선을 소량만 상승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지중송전선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트레이에 배치된 지중송전선 주변의 전력기기를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4하측안착부(52a,62a,72a,82a)와, 제1~4상측안착부(52b,62b,72b,82b)와, 제1~4접촉부(52c,62c,72c,82c)를 구비한 제1~4롤러(52,62,72,82)를 활용하여, 지중송전선이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 제1~4롤러(52,62,72,82)에 의해 가이드되어 굴곡되게 함으로써, 지중송전선이 손상없이 큰 각도로 부드럽게 꺾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4롤러기구(50,60,70,80)가 받침판(43)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송전선을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 배치한 후 지중송전선이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4롤러기구(50,60,70,80)가 받침판(43)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면서 롤링될 수 있어, 제1~4롤러기구(50,60,70,80)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지중송전선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효과를 나타내는 제1~4롤러기구(50,60,70,80)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1~4롤러기구(50,60,70,8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 또는 지중송전선 주변에서 화재 발생 시, 승강대(31)를 상승시켜, 제1,2파괴침(120,130)을 통해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140,150)을 파괴하여, 하방으로 소화분말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다수의 제1,2좌측통과홀(102a,112a) 및 제1,2우측통과홀(103a,113a)이 하방으로 갈 수록 커지게 구비되어,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1,2우측경사판(103,113) 상면을 따라 소화분말이 낙하할 시, 소화분말이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1,2우측경사판(103,113)의 상측에서 전력구(CH)의 하방을 향해 다량 낙하하지 않고,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1,2우측경사판(103,113)의 하측까지 고르게 이동하면서 전력구(CH)의 하방을 향해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구(CH)의 넓은 영역으로 소화분말을 뿌릴 수 있어,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4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a,b)은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대응하는 평면도이고,
도 9는 제1~4롤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X-X', Y-Y'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이동대의 고정을 설명하기 위해 지지대와 이동대의 접촉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4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a,b)은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대응하는 평면도이고, 도 9는 제1~4롤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 8의 X-X', Y-Y'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이동대의 고정을 설명하기 위해 지지대와 이동대의 접촉부분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상측 및 하측을 상방 및 하방으로 정의하고, 도 4의 좌측 및 우측을 좌방 및 우방으로 정의하며, 도 9의 우측 및 좌측을 전방 및 후방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는 지지기구(10)와, 접속기구(20)와, 승강장치(30)와, 회전기구(40)와, 제1,2,3,4롤러기구(50,60,70,80)와, 회전장치(90)와, 제1소화분말확산기구(100)와, 제2소화분말확산기구(110)와, 제1파괴침(120)과, 제2파괴침(130)과, 제1소화분말저장용기(140)와, 제2소화분말저장용기(150)와, 화재감지센서(160)와, 습도센서(170)와, 송신기(180) 및, 제어유닛(19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기구(10)는 도 1,2,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구(CH) 내벽에 설치되는 지지대(11)와, 지지대(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1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이지지대(110와, 이동대(12) 및, 고정볼트(1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대(12)는 좌우 폭이 지지대(11)의 좌우 폭과 동일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대(12)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나사산 체결되는 볼트부(13a)와, 볼트부(13a)의 좌측에 구비되어, 지지대(11) 좌면 및 이동대(12) 좌면에 밀착되거나 밀착해제되어 이동대(12)가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되도록 하는 헤드부(13b)를 구비한 고정볼트(13)를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대(12)를 지지대(11)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고정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접속기구(20)는,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지중송전선)이 접속가능한 다수의 접속구(21)를 갖추고서, 지지대(11)의 하면에 설치되어, 전선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구(21)는 다양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다양한 방향을 향하는 전선(지중송전선)이 접속기구(20)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트레이(TR1,TR2)에 배치된 지중송전선에서 분기된 전선이 접속기구(20)에 접속되고, 접속기구(20)는 다양한 위치로 전기를 분기한다.
상기 승강장치(30)는 도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31)와, 지지기구(10)의 이동대(12)에 설치되어 승강대(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구(3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대(3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기구(32)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져 승강대(31)는 승강시키지만, 승강대(31)를 승강시킬 수 있으면 승강기구(32)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회전기구(4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43)의 좌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나사홈(43a)과, 제1나사홈(43a)에 대향되게 받침판(43)의 우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나사홈(43b)과, 제1나사홈(43a)의 좌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관통홀(43c)과, 제2나사홈(43b)의 우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홀(43d)을 갖춘 받침판(43)을 구비하여, 승강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회전기구(40)는 승강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기어(41)와, 종동기어(41)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바(42)를 더 갖추고, 상기 받침판(43)이 지지바(42)의 상측에 설치되어, 승강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롤러기구(50)는, 도 3,6,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볼트(51)와, 제2롤러(52) 및, 제1구형회전체(53)을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상기 제1볼트(51)는,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체결체(51a)와, 제1체결체(5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체(51b) 및, 제1연장체(5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헤드체(51c)를 갖춘다.
상기 제1롤러(52)는 제1롤러(5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1하측안착부(52a)와, 제1롤러(5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상측안착부(52b) 및, 제1하측안착부(52a) 및 제1상측안착부(5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1접촉부(52c)를 구비하고, 제1상측안착부(52b)가 제1헤드체(5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연장체(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된다.
상기 제1구형회전체(53)는 제1헤드체(5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롤러(52)의 제1상측안착부(52b)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구형회전체(53)는 구형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2롤러기구(60)는, 도 3,6,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볼트(61)와, 제2롤러(62) 및, 제2구형회전체(63)을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제1롤러기구(50)의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볼트(61)는,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체결체(61a)와, 제2체결체(6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체(61b) 및, 제2연장체(6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헤드체(61c)를 구비한다.
상기 제2롤러(62)는, 제2롤러(6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하측안착부(62a)와, 제2롤러(6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상측안착부(62b) 및, 제2하측안착부(62a) 및 제2상측안착부(6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2접촉부(62c)를 구비하고, 제2상측안착부(62b)가 제2헤드체(6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연장체(6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된다.
상기 제2구형회전체(63)는, 제2헤드체(6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롤러(62)의 제2상측안착부(62b)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구형회전체(63)는 구형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3롤러기구(70)는 도 3,6,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볼트(71)와, 제3볼트(72) 및, 제3구형회전체(73)을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상기 제3볼트(71)는,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3체결체(71a)와, 제3체결체(7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체(71b) 및, 제3연장체(7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헤드체(71c)를 갖춘다.
상기 제3롤러(72)는, 제3롤러(7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하측안착부(72a)와, 제3롤러(7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상측안착부(72b) 및, 제3하측안착부(72a) 및 제3상측안착부(7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3접촉부(72c)를 구비하고, 제3상측안착부(72b)가 제3헤드체(7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3연장체(7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된다.
상기 제3구형회전체(73)는, 제3헤드체(7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롤러(72)의 제3상측안착부(72b)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구형회전체(73)는 구형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제4롤러기구(80)는 제4볼트(81)와, 제1롤러(82) 및, 제4구형회전체(83)을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제3롤러기구(70)의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4볼트(81)는,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4체결체(81a)와, 제4체결체(8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체(81b) 및, 제4연장체(8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4헤드체(81c)를 갖춘다.
상기 제2롤러(82)는, 제4롤러(8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하측안착부(82a)와, 제4롤러(8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4상측안착부(82b) 및, 제4하측안착부(82) 및 제4상측안착부(8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4접촉부(82c)를 구비하고, 제4상측안착부(82b)가 제4헤드체(8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4연장체(81b)에 회전가능게 삽입설치된다.
상기 제4구형회전체(83)는, 제4헤드체(8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4롤러(82)의 제4상측안착부(82b)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4구형회전체(83)는 구형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장치(90)는, 제1,3롤러(52,72)의 제1,3접촉부(52c,72c)와 제2,4롤러(62,82)의 제2,4접촉부(62c,82c) 사이에 배치되어,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서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배치된 전선이, 굴곡되도록, 회전기구(4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장치(90)는, 승강대(31)의 상면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기구(40)의 종동기어(41)와 연동하는 구동기어(91)와, 승강대(3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구동기어(91)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92)를 갖추고서, 회전기구(4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소화분말확산기구(100)는, 도 3,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바(101)와, 제1좌측경사판(102) 및, 제1우측경사판(103)을 갖춘다.
상기 제1연결바(101)는,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의 하방에 위치하게, 상측이 받침판(43)의 좌측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1좌측경사판(102)은,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1좌측통과홀(102a)을 갖추어, 제1연결바(101)의 하측에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1우측경사판(103)은,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우측통과홀(103a)을 갖추어, 제1연결바(101)의 하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2소화분말확산기구(110)는, 도 3,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바(111)와, 제2좌측경사판(112) 및, 제2우측경사판(112)를 갖춘다.
상기 제2연결바(111)는,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의 하방에 위치하게, 상측이 받침판(43)의 우측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상기 제2좌측경사판(112)은,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2좌측통과홀(112a)을 갖추어, 제2연결바(111)의 하측에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2우측경사판(113)은,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2우측통과홀(113a)을 갖추어, 제2연결바(111)의 하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1파괴침(120)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송전을 위한 전력구(CH)의 내부 상벽에 설치되고,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을 통과가능하다.
상기 제2파괴침(130)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구(CH)의 내부 상벽에 설치되고,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을 통과가능하다.
상기 제1소화분말저장용기(140)는, 도 3,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분말을 수용하고, 제1소화분말확산기구(100)의 제1연결바(10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 하방에 배치되며,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을 관통한 제1파괴침(120)에 의해 파괴되어 소화분말이 방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소화분말저장용기(140)는, 상측은 제1파괴침(120)이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측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소화분말저장용기(140)는 전체가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체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외력에 의해 잘게 깨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서 제1소화분말저장용기(140)는 외부 충격에 의해 파괴될 수 있으면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소화분말저장용기(150)는, 도 3,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분말을 수용하고, 제2소화분말확산기구(110)의 제1연결바(1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 하방에 배치되며,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을 관통한 제2파괴침(130)에 의해 파괴되어 소화분말이 방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소화분말저장용기(150)는, 상측은 제2파괴침(130)이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측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소화분말저장용기(150)는 전체가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전체가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외력에 의해 잘게 깨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서 제2소화분말저장용기(150)는 외부 충격에 의해 파괴될 수 있으면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60)는, 도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12)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습도센서(170)는, 도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12)에 설치되고, 전력구(CH) 내부 습도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의 습도가 측정될 시 습도이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송신기(180)는, 도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12)에 설치되고, 습도센서(170)로부터 습도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외부 관리센터로 송출한다.
상기 제어유닛(190)은, 도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12)에 설치되어 승강기구(32)를 작동제어하되, 화재감지센서(16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2파괴침(120,130)이 받침판(43)의 제1,2관통홀(43c,43d)를 각각 관통하여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140,150)을 각각 파괴하도록, 승강기구(32)를 작동제어하여 승강대(31)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수의 지중송전선안착홈(a)을 구비하여,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전력구(CH) 내벽에 설치되는 제1,2트레이(TR1,TR2) 사이에 배치되어, 제1,2트레이(TR1,TR2)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도 1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 제2롤러기구(60)의 설치 과정 및 제2롤러기구(60)의 장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제2롤러기구(60)의 위치 이동을 위해 받침판(43)에 다수의 제1나사홈(43a)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치의 용이를 위해 제2롤러기구(60)의 제2체결체(61a)가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된다.
이때, 제2체결체(61a)가 제1나사홈(43a)에 체결될 시, 제2롤러(62)의 이탈방지를 위해 제2헤드체(61c)가 필요하다. 여기서 제2헤드체(61c)가 제2롤러(62)와 밀착되면 제2롤러(62)가 회전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제2헤드체(61c)를 제2롤러(62)의 상면과 이격되게 구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2헤드체(61c)가 제2롤러(62)의 상면과 이격되면, 제2롤러(62)의 위치 고정이 어려워, 제2롤러(62)에 의한 지중송전선의 안정적 가이드가 어렵고, 제2롤러(62)의 상하 흔들림으로 인해 제2롤러(62)가 쉽게 손상되기 쉽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2헤드체(61c)의 하측에 제2구형회전체(63)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제2구형회전체(63)가 제2롤러(62)에 밀착 접촉되어, 제2롤러(62)가 흔들리지 않으면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3,4롤러기구(50,70,80) 또한 제2롤러기구(60)와 동일한 원리로 설치되고, 동일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이 도 4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습도센서(170)는 전력구(CH)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 이때 전력구(CH) 내부 습도가 기준 값 이상 올라가면, 습도센서(170)는 습도이상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송신기(18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관리센터로 경고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관리자가 전력구(CH) 내부에 문제가 생겼지를 점검한다. 이때 송신기(180)로부터의 신호는 별도의 중계기를 통해 지상으로 송출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2트레이(TR1,TR2)에 배치된 지중송전선(EL)의 위치를 옮겨야 할 경우(예를 들어 지중송전선이 안착된 제1,2트레이 부분을 점검하거나, 제1,2트레이 부분에 위치한 지중송전선을 점검하거나, 제1,2트레이에 설치된 전기기기(미도시)를 점검하는 등), 지중송전선(EL)이 제1,2트레이(TR1,TR2)에서 일정 높이로 이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중송전선(EL)을 제1,2트레이(TR1,TR2)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지중송전선(EL)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지중송전선(EL)이 이동거리가 많이 필요해, 전력구(CH)가 작은 경우에는 큰 거리로 지중송전선(EL)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력구(CH)가 작더라도, 제1,2트레이(TR1,TR2)에서 지중송전선(EL)을 이탈 시킬 시, 전력구(CH) 내의 좁은 공간에서 지중송전선(EL)을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중송전선(EL) 이동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우선, 이동대(12)를 전후로 이동시켜 승강대(31)이 이동시키고자 하는 지중송전선(EL)의 하방에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승강대(31)를 상승시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43)에 지중송전선(EL)을 안착시킨다. 그러면 지중송전선(EL)은 제1,3롤러기구(50,70)과 제2,4롤러기구(60,8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 13,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4롤러기구(60,80)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1,3롤러기구(50,70)과 제2,4롤러기구(60,80) 사이에 지중송전선(EL)이 배치되어, 지중송전선(EL)이 제1,3롤러기구(50,70)과 제2,4롤러기구(60,80)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게속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31)를 소량의 높이로 상승시키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송전선(EL)이 상승 배치된다.
이때, 회전기구(40)의 받침판(43)을 회전시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송전선(EL)이 굴곡된다. 여기서 지중송전선(EL)은 제1,2,3,4롤러기구(50,60,70,80)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부드럽게 굴곡된다.
이와 같이 지중송전선(EL)이 굴곡되면, 지중송전선(EL)은 정면 상에서 제1,2트레이(TR1,TR2) 보다 상방에 위치하면서 평면 상에서 제1,2트레이(TR1,TR2)와 틀어지게 배치된다.
그러면, 관리자는 지중송전선(EL)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제1,2트레이(TR1,TR2)의 지중송전선안착홈(a) 주변을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지중송전선안착홈(a) 주변에 위치한 전기기기(미도시)의 점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같이 본 발명이 배치될 시, 이동대(12)가 평면 상에서 지중송전선 사이에 위치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중송전선(EL) 또는 지중송전선(EL)의 주변 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160)는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유닛(190)이 화재감지센서(16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구(32)를 작동제어하여 승강대(31)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140,150)가 제1,2파괴침(120,130)에 파괴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2파괴침(120,13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140,150)을 관통하면서 파괴시키고, 이에 따라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140,150)의 소화분말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 방출된 소화분말은, 제1좌측경사판(102)과 제1우측경사판(103)을 따라 낙하하고, 제2좌측경사판(112)과 제2우측경사판(113)을 따라 낙하한다.
이때,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2우측경사판(103,113)의 상면으로 이동한 소화분말은,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2우측경사판(103,113)의 상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2좌측경사판(102,112)의 제1,2좌측통과홀(102a,112a) 및 제2우측경사판(103,113)의 제1,2우측통과홀(103a,113a)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한다.
이때, 제1,2좌측통과홀(102a,112a)을 통과하는 소화분말은, 상대적으로 제1,2좌측경사판(102,112)의 상측에 위치한 제1,2좌측통과홀(102a,112a)에서 적은 량이 통과한다. 그리고 제1,2우측통과홀(103a,113a)을 통과하는 소화분말은, 상대적으로 제1,2우측경사판(103,113)의 상측에 위치한 제1,2우측통과홀(103a,113a)에서 적은 량이 통과한다.
따라서,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1,2우측경사판(103,113)의 상면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소화분말은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1,2우측경사판(103,113)의 하측까지 고르게 이동하면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영역으로 뿌려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력구(CH) 내부의 습도가 기준 값 이상 올라가면 관리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어, 전력구(CH) 내의 이상 습도에 대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 지중송전선을 소량만 상승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지중송전선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트레이에 배치된 지중송전선 주변의 전력기기를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4하측안착부(52a,62a,72a,82a)와, 제1~4상측안착부(52b,62b,72b,82b)와, 제1~4접촉부(52c,62c,72c,82c)를 구비한 제1~4롤러(52,62,72,82)를 활용하여, 지중송전선이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으면서 제1~4롤러(52,62,72,82)에 의해 가이드되어 굴곡되게 함으로써, 지중송전선이 손상없이 큰 각도로 부드럽게 꺾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4롤러기구(50,60,70,80)가 받침판(43)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송전선을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 배치한 후 지중송전선이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4롤러기구(50,60,70,80)가 받침판(43)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면서 롤링될 수 있어, 제1~4롤러기구(50,60,70,80)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지중송전선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효과를 나타내는 제1~4롤러기구(50,60,70,80)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1~4롤러기구(50,60,70,8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 또는 지중송전선 주변에서 화재 발생 시, 승강대(31)를 상승시켜, 제1,2파괴침(120,130)을 통해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140,150)을 파괴하여, 하방으로 소화분말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다수의 제1,2좌측통과홀(102a,112a) 및 제1,2우측통과홀(103a,113a)이 하방으로 갈 수록 커지게 구비되어,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1,2우측경사판(103,113) 상면을 따라 소화분말이 낙하할 시, 소화분말이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1,2우측경사판(103,113)의 상측에서 전력구(CH)의 하방을 향해 다량 낙하하지 않고, 제1,2좌측경사판(102,112) 및 제1,2우측경사판(103,113)의 하측까지 고르게 이동하면서 전력구(CH)의 하방을 향해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구(CH)의 넓은 영역으로 소화분말을 뿌릴 수 있어,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연결각도)로 배치되는 지중송전선을 접속하는 구조(접속기구)에 지중송전을 위한 다양한 구조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을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로 정의한다.
10; 지지기구 20; 접속기구
30; 승강장치 40; 회전기구
50,60,70,80; 제1~4롤러기구 90; 회전장치
100,110; 제1,2소화분말확산기구 120,130; 제1,2파괴침
140,150;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 160; 화재감지센서
170; 습도센서 180; 송신기
190; 제어유닛

Claims (1)

  1. 지중송전을 위한 전력구(CH) 내벽에 설치되는 지지대(11)와, 지지대(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정위치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대(12)를 갖춘 지지기구(10)와;
    전선이 접속가능한 다수의 접속구(21)를 갖추고서, 지지대(11)의 하면에 설치되어, 전선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기구(20)와;
    승강대(31)와, 지지기구(10)의 이동대(12)에 설치되어 승강대(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구(32)를 갖춘 승강장치(30)와;
    받침판(43)의 좌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나사홈(43a)과, 제1나사홈(43a)에 대향되게 받침판(43)의 우측에 상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되, 다수 개가 전후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나사홈(43b)과, 제1나사홈(43a)의 좌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관통홀(43c) 및, 제2나사홈(43b)의 우측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2관통홀(43d)을 갖춘 받침판(43)을 구비하여, 승강대(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기구(40)와;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체결체(51a)와, 제1체결체(5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체(51b) 및, 제1연장체(5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헤드체(51c)를 구비한 제1볼트(51); 제1롤러(5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1하측안착부(52a)와, 제1롤러(5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1상측안착부(52b) 및, 제1하측안착부(52a) 및 제1상측안착부(5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1접촉부(52c)를 구비하고, 제1상측안착부(52b)가 제1헤드체(5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연장체(5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제1롤러(52); 제1헤드체(5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롤러(52)의 제1상측안착부(5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1구형회전체(5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1롤러기구(50)와;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체결체(61a)와, 제2체결체(6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체(61b) 및, 제2연장체(6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헤드체(61c)를 구비한 제2볼트(61); 제2롤러(6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2하측안착부(62a)와, 제2롤러(6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2상측안착부(62b) 및, 제2하측안착부(62a) 및 제2상측안착부(6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2접촉부(62c)를 구비하고, 제2상측안착부(62b)가 제2헤드체(6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연장체(6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제2롤러(62); 제2헤드체(6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롤러(62)의 제2상측안착부(6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2구형회전체(6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1나사홈(4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제1롤러기구(50)의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기구(60)와;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3체결체(71a)와, 제3체결체(7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체(71b) 및, 제3연장체(7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헤드체(71c)를 구비한 제3볼트(71); 제3롤러(7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3하측안착부(72a)와, 제3롤러(7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3상측안착부(72b) 및, 제3하측안착부(72a) 및 제3상측안착부(7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3접촉부(72c)를 구비하고, 제3상측안착부(72b)가 제3헤드체(7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3연장체(71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설치되는 제3롤러(72); 제3헤드체(7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롤러(72)의 제3상측안착부(7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3구형회전체(7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3롤러기구(70)와;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4체결체(81a)와, 제4체결체(81a)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체(81b) 및, 제4연장체(81b)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4헤드체(81c)를 구비한 제4볼트(81); 제4롤러(82)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4하측안착부(82a)와, 제4롤러(82)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4상측안착부(82b) 및, 제4하측안착부(82) 및 제4상측안착부(82b)보다 폭이 좁으며 전선이 안착가능한 제4접촉부(82c)를 구비하고, 제4상측안착부(82b)가 제4헤드체(81c)의 하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4연장체(81b)에 회전가능게 삽입설치되는 제4롤러(82); 제4헤드체(81c)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4롤러(82)의 제4상측안착부(82b)에 안착되는 다수의 제4구형회전체(83)를 갖추고서, 받침판(43)의 제2나사홈(43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제3롤러기구(70)의 전방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4롤러기구(80)와;
    제1,3롤러(52,72)의 제1,3접촉부(52c,72c)와 제2,4롤러(62,82)의 제2,4접촉부(62c,82c) 사이에 배치되어, 제1,3롤러(52,72)와 제2,4롤러(62,82) 사이에서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배치된 전선이, 굴곡되도록, 회전기구(4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90)와;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의 하방에 위치하게, 상측이 받침판(43)의 좌측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1연결바(101);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1좌측통과홀(102a)을 갖추어 제1연결바(101)의 하측에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좌측경사판(102);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우측통과홀(103a)을 갖추어 제1연결바(101)의 하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우측경사판(103)으로 구성된 제1소화분말확산기구(100)와;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의 하방에 위치하게, 상측이 받침판(43)의 우측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제2연결바(111);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2좌측통과홀(112a)을 갖추어 제2연결바(111)의 하측에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좌측경사판(112); 하방으로 갈 수록 폭이 넓어지는 다수의 제2우측통과홀(113a)을 갖추어 제2연결바(111)의 하측에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우측경사판(113)으로 구성된 제2소화분말확산기구(110)와;
    상기 전력구(CH)의 내부 상벽에 설치되고,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을 통과가능한 제1파괴침(120)과;
    상기 전력구(CH)의 내부 상벽에 설치되고,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을 통과가능한 제2파괴침(130)과;
    소화분말을 수용하고, 제1소화분말확산기구(100)의 제1연결바(10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 하방에 배치되며, 받침판(43)의 제1관통홀(43c)을 관통한 제1파괴침(120)에 의해 파괴되어 소화분말이 방출되는 제1소화분말저장용기(140)와;
    소화분말을 수용하고, 제2소화분말확산기구(110)의 제1연결바(1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 하방에 배치되며, 받침판(43)의 제2관통홀(43d)을 관통한 제2파괴침(130)에 의해 파괴되어 소화분말이 방출되는 제2소화분말저장용기(150)와;
    이동대(12)에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와(160);
    이동대(12)에 설치되고, 전력구(CH) 내부 습도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의 습도가 측정될 시 습도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습도센서(170)와;
    이동대(12)에 설치되고, 습도센서(170)로부터 습도이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외부 관리센터로 송출하는 송신기(180)와;
    이동대(12)에 설치되어 승강기구(32)를 작동제어하되, 화재감지센서(16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제1,2파괴침(120,130)이 받침판(43)의 제1,2관통홀(43c,43d)를 각각 관통하여 제1,2소화분말저장용기(140,150)을 각각 파괴하도록, 승강기구(32)를 작동제어하여 승강대(3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유닛(190)
    을 포함하되,
    다수의 지중송전선안착홈(a)을 구비하여,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전력구(CH) 내벽에 설치되는 제1,2트레이(TR1,TR2) 사이에 배치되어, 제1,2트레이(TR1,TR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KR1020200073650A 2020-06-17 2020-06-17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KR10217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50A KR102177561B1 (ko) 2020-06-17 2020-06-17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50A KR102177561B1 (ko) 2020-06-17 2020-06-17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561B1 true KR102177561B1 (ko) 2020-11-11

Family

ID=7345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650A KR102177561B1 (ko) 2020-06-17 2020-06-17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5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82B1 (ko) *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382983B1 (ko) * 2021-06-15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누전 경고 기능을 구비한 안전성 탑재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382970B1 (ko) * 2021-06-14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전선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671492B1 (ko) * 2023-06-28 2024-06-04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672268B1 (ko) * 2023-06-28 2024-06-04 강대준 지중배전선 연결용 감전사고방지형 트레이기구
KR102672270B1 (ko) * 2023-06-28 2024-06-04 주식회사 유원감리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형 배전선 배치기구
KR102672337B1 (ko) * 2023-06-28 2024-06-05 (주)정인엔지니어링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91B1 (ko) 2012-06-12 2012-09-19 율삼엔지니어링(주)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204406B1 (ko) * 2012-09-13 2012-11-26 (주)성화기술단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KR101877549B1 (ko) * 2017-07-31 2018-07-12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1945799B1 (ko) * 2018-04-19 2019-05-03 금오테크(주) 지중 송전선로의 내진설계 보강장치
KR101999169B1 (ko) * 2019-02-14 2019-07-11 경원기업(주) 지중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91B1 (ko) 2012-06-12 2012-09-19 율삼엔지니어링(주)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204406B1 (ko) * 2012-09-13 2012-11-26 (주)성화기술단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
KR101877549B1 (ko) * 2017-07-31 2018-07-12 주식회사 가현엔지니어링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 장치
KR101945799B1 (ko) * 2018-04-19 2019-05-03 금오테크(주) 지중 송전선로의 내진설계 보강장치
KR101999169B1 (ko) * 2019-02-14 2019-07-11 경원기업(주) 지중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설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70B1 (ko) * 2021-06-14 2022-04-08 주식회사 태양전설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전선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KR102382983B1 (ko) * 2021-06-15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누전 경고 기능을 구비한 안전성 탑재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382982B1 (ko) *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동명전기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671492B1 (ko) * 2023-06-28 2024-06-04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672268B1 (ko) * 2023-06-28 2024-06-04 강대준 지중배전선 연결용 감전사고방지형 트레이기구
KR102672270B1 (ko) * 2023-06-28 2024-06-04 주식회사 유원감리 지중배전선 연결용 안전형 배전선 배치기구
KR102672337B1 (ko) * 2023-06-28 2024-06-05 (주)정인엔지니어링 지중송전선 관리가 편리한 지중송전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561B1 (ko)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KR102228413B1 (ko) 다수의 지중송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KR102363425B1 (ko) 전선 배치가 용이한 지중송전선 트레이기구
KR102228417B1 (ko) 전력구 배치 지중송전라인용 행거기구
KR102363427B1 (ko)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연결 커넥터
KR102363424B1 (ko)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382983B1 (ko) 누전 경고 기능을 구비한 안전성 탑재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177562B1 (ko)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102206802B1 (ko)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편리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KR102177555B1 (ko) 지중송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안전성 향상 연결 커넥터
CN110270029B (zh) 电力储能设备机器人维保系统
KR102590036B1 (ko) 화재진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057450B1 (ko)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KR20240088528A (ko) 다수의 전원케이블에 대한 신속한 통전검사가 가능한 전원케이블의 통전 검사시스템
KR102382970B1 (ko) 안정적 지중배전을 위한 전선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연결기구
CN113612121B (zh) 一种具有自动灭火装置的配电柜
KR102520680B1 (ko) 지중배전선 훼손 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선 연결 커넥터
CN214554349U (zh) 综采面转载机和破碎机的急停装置
CN213301619U (zh) 电池跌落试验装置
KR102520681B1 (ko) 신속한 화재발생 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676488B1 (ko) 점검작업이 편리한 편이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JPH09150911A (ja) 自動倉庫
KR102382982B1 (ko) 다수의 지중배전선 연결용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675269B1 (ko) 지중배전상태 점검이 편리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CN220979489U (zh) 采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