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424B1 -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424B1
KR102363424B1 KR1020210063330A KR20210063330A KR102363424B1 KR 102363424 B1 KR102363424 B1 KR 102363424B1 KR 1020210063330 A KR1020210063330 A KR 1020210063330A KR 20210063330 A KR20210063330 A KR 20210063330A KR 102363424 B1 KR102363424 B1 KR 10236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evice
tray
clamp
member driving
electr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21006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4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이변화되는 신축부재(11,11'); 신축부재(11,11')가 길이 변화되도록 구동시키는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신축부재(11,11')의 하측에 설치되는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좌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14a,14a')가 구비되고 우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14b,14b')가 구비되어,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설치되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걸이부재(14,14');를 각각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1,2승강장치(10,10')와;
전력구(CH)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게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2지지부재(21,22); 제1지지부재(21)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3a1)이 형성되고 제1지지부재(21)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3a)와, 상기 회전부(23a)의 좌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3b)를 갖춘 제1클램프부재(23); 제2지지부재(22)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4a1)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22)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4a)와, 상기 회전부(24a)의 우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4b)를 갖춘 제2클램프부재(24); 제1클램프부재(23)의 슬롯홀(23a1)과 제2클램프부재(24)의 슬롯홀(24a1)에 삽입되는 이동축(25); 좌단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에 설치되고 우단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에 설치되는 스프링(26)을 갖추고서,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프기구(20)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고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부재(31); 가압부재(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가압장치(30)와;
베이스(41)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갈 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상면이 형성되고, 지중배전라인(L)이 배치되는 베이스(41);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삽입되는 좌측걸림홈(42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좌측에 마련되며,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좌측걸림홈(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좌측벽(42);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3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3b)과, 상기 제1삽입홀(43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3b')을 구비하고, 우측 상면이 트레이(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좌측 상면이 트레이(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좌측벽(42)의 우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좌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좌단에 안착가능한 좌측지지부(43); 우방으로 개구되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삽입되는 우측걸림홈(44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우측에 마련되며,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우측걸림홈(4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우측벽(44);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5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5b)과, 상기 제1삽입홀(45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5b')을 구비하고, 좌측 상면이 트레이(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우측 상면이 트레이(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우측벽(44)의 좌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우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우단에 안착가능한 우측지지부(45);를 갖춘 트레이(40)와;
소화물질을 수용하여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제1,2클램프부재(23,24)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며, 제1클램프부재(23)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회전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시 파괴되면서 액상형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제1,2소화기구(50,50')와;
가압부재구동기기(32)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60)와;
제1승강장치(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 또는 제2승강장치(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에 설치되는 경보기(90)와;
전력구(CH)에 설치되어,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 화재감지센서(60), 경보기(90)를 작동제어하되, 조작단말기(8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70)과;
제어유닛(7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능과, 제어유닛의 작동상태를 표시 출력기능을 갖추고서, 전력구(CH)에 설치되는 조작단말기(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Connecting Equipment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수용가로의 전기 배전은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에는 도시 미관 및 안전성을 위핸 가공배전 방식 보다는 전력구를 이용한 지중배전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전력구의 벽면에는 트레이가 설치되고, 트레이에 지중배전선이 안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트레이의 지중배전선 수용범위를 넘어 신규 지중배전선을 트레이에 배치해야 할 시, 신규 지중배전선을 배치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기존 지중배전선과 겹치게 신규 지중송전선을 배치하거나, 기존 지중배전선을 제거한 후 신규 송전선을 기존 지중배전선의 위치에 배치해야 했다.
또한, 종래에는 전력구 내부에 별도의 화재진압설비가 구비되지 않아, 지중배전선 또는 지중배전선 주변 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65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구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추가 배치 지중배전라인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추가 배치 지중배전라인 상에서 화재가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변화되는 신축부재(11,11'); 신축부재(11,11')가 길이 변화되도록 구동시키는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신축부재(11,11')의 하측에 설치되는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좌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14a,14a')가 구비되고 우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14b,14b')가 구비되어,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설치되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걸이부재(14,14');를 각각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1,2승강장치(10,10')와;
전력구(CH)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게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2지지부재(21,22); 제1지지부재(21)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3a1)이 형성되고 제1지지부재(21)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3a)와, 상기 회전부(23a)의 좌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3b)를 갖춘 제1클램프부재(23); 제2지지부재(22)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4a1)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22)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4a)와, 상기 회전부(24a)의 우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4b)를 갖춘 제2클램프부재(24); 제1클램프부재(23)의 슬롯홀(23a1)과 제2클램프부재(24)의 슬롯홀(24a1)에 삽입되는 이동축(25); 좌단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에 설치되고 우단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에 설치되는 스프링(26)을 갖추고서,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프기구(20)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고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부재(31); 가압부재(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가압장치(30)와;
베이스(41)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갈 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상면이 형성되고, 지중배전라인(L)이 배치되는 베이스(41);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삽입되는 좌측걸림홈(42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좌측에 마련되며,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좌측걸림홈(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좌측벽(42);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3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3b)과, 상기 제1삽입홀(43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3b')을 구비하고, 우측 상면이 트레이(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좌측 상면이 트레이(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좌측벽(42)의 우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좌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좌단에 안착가능한 좌측지지부(43); 우방으로 개구되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삽입되는 우측걸림홈(44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우측에 마련되며,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우측걸림홈(4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우측벽(44);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5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5b)과, 상기 제1삽입홀(45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5b')을 구비하고, 좌측 상면이 트레이(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우측 상면이 트레이(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우측벽(44)의 좌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우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우단에 안착가능한 우측지지부(45);를 갖춘 트레이(40)와;
소화물질을 수용하여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제1,2클램프부재(23,24)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며, 제1클램프부재(23)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회전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시 파괴되면서 액상형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제1,2소화기구(50,50')와;
가압부재구동기기(32)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60)와;
제1승강장치(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 또는 제2승강장치(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에 설치되는 경보기(90)와;
전력구(CH)에 설치되어,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 화재감지센서(60), 경보기(90)를 작동제어하되, 조작단말기(8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70)과;
제어유닛(7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능과, 제어유닛의 작동상태를 표시 출력기능을 갖추고서, 전력구(CH)에 설치되는 조작단말기(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력구(CH) 내에 최초 배치된 지중배전라인 외에 추가로 지중배전라인(L)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 시 전력구(CH) 내의 통행로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추가 지중배전라인(L)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배치 지중배전라인(L) 상에서 화재가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되, 트레이(40)의 양측 방향으로 액상 소화물질이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기구(20) 및 가압장치(30)를 활용하여, 트레이(40) 고정 및 제1,2소화기구(50,50') 타격을 할 수 있어, 불필요한 구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승강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2승강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 C-C'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D-D'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E-E'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승강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2승강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B'선, C-C'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D-D'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E-E'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 상에서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는 제1,2승강장치(10,10')와, 클램프기구(20)와, 가압장치(30)와, 트레이(40)와, 제1,2소화기구(50,50')와, 화재감지센서(60)와, 경보기(90)와, 제어유닛(70) 및, 조작단말기(80)를 포함하여, 지중배전라인(L)이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2승강장치(10,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재(11,11')와, 신축부재구동기기(12,12')와,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및, 걸이부재(14,14')를 각각 갖추고서, 전력구(CH) 내부 상측에 전후 방향(도 3 상에서 클램프기구를 기준으로 클램프기구보다 아랫 방향이 전방향, 도 3 상에서 클램프기구를 기준으로 클램프기구보다 윗 방향이 후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상기 신축부재(11,11')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변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신축부재(11,11')는 다단 접이식 안테나 타입 형상을 이루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는 신축부재(11,11')가 길이 변화되도록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는, 차량용 다단 접이식 안테나를 신축하는 방식으로 신축부재(11,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매개로 신축부재(11,11')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 볼스크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구동기기(13,13')는 신축부재(11,11')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부재구동기기(13,13')는 구동모터 구조로 이루어져 걸이부재(14,14')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14,14')는, 좌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14a,14a')가 구비되고 우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14b,14b')가 구비되어,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설치되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부재(14,14')는, 트레이(40)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크기의 직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클램프기구(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지지부재(21,22)와, 제1클램프부재(23)와, 제2클램프부재(24)와, 이동축(25) 및, 스프링(26)을 갖추고서,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전력구(CH)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게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지지부재(21,22)는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클램프부재(23)는, 제1지지부재(21)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3a1)이 형성되고 제1지지부재(21)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3a)와, 상기 회전부(23a)의 좌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3b)를 갖춘다.
상기 제2클램프부재(24)는, 제2지지부재(22)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4a1)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22)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4a)와, 상기 회전부(24a)의 우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4b)를 갖춘다.
상기 이동축(25)는, 제1클램프부재(23)의 슬롯홀(23a1)과 제2클램프부재(24)의 슬롯홀(24a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축(25)은 원형바 형상을 이루어, 제1클램프부재(23)의 슬롯홀(23a1)과 제2클램프부재(24)의 슬롯홀(24a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26)은, 좌단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에 설치되고 우단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26)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제1클램프부재(23)와 제2클램프부재(24)를 이동축(25) 방향으로 당긴다.
상기 가압장치(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31)와,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부재(31)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고,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31)는 바 형상을 이루어, 이동축(25)과 별물로 이루어지거나, 이동축(25)와 연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구동기기(32)는, 가압부재(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구동기기(32)는 실린더 구조 또는 볼스크류 구조로 이루어져, 가압부재(3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40)는 도 3 내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1)와, 좌측벽(42)와, 좌측지지부(43)과, 우측벽(44) 및, 우측지지부(45)를 갖추며, 지중배전라인(L)이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41)는, 베이스(41)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갈 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상면이 형성되고, 지중배전라인(L)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41)가 만곡된 형상을 이루어, 베이스(41)로 소화물질이 안착될 시, 소화물질이 베이스(41)의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좌측벽(42)은,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삽입되는 좌측걸림홈(42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좌측에 마련되며,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좌측걸림홈(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벽(42)은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좌측지지부(43)는,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3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3b)과, 상기 제1삽입홀(43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3b')을 구비하고, 우측 상면이 트레이(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좌측 상면이 트레이(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좌측벽(42)의 우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좌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좌단에 안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지지부(43)는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우측벽(44)은, 우방으로 개구되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삽입되는 우측걸림홈(44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우측에 마련되며,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우측걸림홈(4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우측벽(44)은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우측지지부(45)는,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5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5b)과, 상기 제1삽입홀(45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5b')을 구비하고, 좌측 상면이 트레이(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우측 상면이 트레이(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우측벽(44)의 좌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우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우단에 안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우측지지부(45)는 판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제1고정돌기(14a,14a') 및 제2고정돌기(14b,14b')가 구비되고, 좌측지지부(43)에 제1,2삽입홀(43b,43c)이 구비되며, 우측지지부(45)에 제1,2삽입홀(45b,45c)이 구비되어, 제1고정돌기(14a,14a'), 제2고정돌기(14b,14b'), 좌측지지부(43)의 제1,2삽입홀(43b,43c), 우측지지부(45)의 제1,2삽입홀(45b,45c)를 매개로, 트레이(40)를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고정연결하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고정방식을 통해 트레이(40)를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고정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2소화기구(50,5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물질을 수용하여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제1,2클램프부재(23,24)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며, 제1클램프부재(23)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회전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시 파괴되면서 소화물질을 방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물질은 액상으로 이루어져 외부 노출시 기화되는 액상형 소화물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의 다양한 소화물질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클램프부재(23,24)의 회전부(23a,24a)에 충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충격돌기에 의해 제1,2소화기구(50,5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센서(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구동기기(32)에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60)는 연기 감지 방식, 빛 감지 방식 등 다양한 타입의 화재감지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경보기(9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장치(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 또는 제2승강장치(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보기(90)는 화재발생시 음성 경고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경보기(90)는 제1,2승강장치(10,10') 모두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경보 기능을 할 수 있으면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구(CH)에 설치되어,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 화재감지센서(60), 경보기(90)를 작동제어하되, 조작단말기(8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70)은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으면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조작단말기(80)는, 제어유닛(7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능과, 제어유닛의 작동상태를 표시 출력기능을 갖추고서, 전력구(CH)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단말기(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단말기 타입으로 이루어져 제어유닛(70)과 원격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입력기능을 위한 입력유닛과, 출력기능을 위한 디스플레이유닛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작단말기(80)는 전력구(CH)에 설치되어 제어유닛(70)과 유선통신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트레이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제1,2승강장치의 걸이부재에 트레이를 거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트레이가 클램프기구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트레이와 클램프기구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트레이를 소량 상방으로 이동시킬 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트레이와 클램프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트레이가 제1,2승강장치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제1,2소화기구가 파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소화물질이 트레이의 양측으로 흐르는 것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으로,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구(CH)의 내부 양측벽에 설치된 기본트레이(1)에 지중배전라인이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로 추가 지중배전라인을 더 설치해야할 필요가 있을 시 기본트레이(1)에는 추가 지중배전라인을 설치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력구(CH) 내부의 통행로를 활용하여 추가 지중배전라인(L)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작업자에 의해 지중배전라인(L)이 추가로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조작단말기(80)를 조작하여, 제1,2승강장치(10,10'), 가압장치(30)를 구동함으로서, 지중배전라인(L)을 전력구(CH)의 내부 상방에 위치시킨다.
우선, 작업자는 조작단말기(80)를 조작하여,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구동함으로서, 도 9와 같이 걸이부재(14,14')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지중배전라인(L)이 안착된 트레이(40)를 들어 올려 도 9와 같이 배치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을 구동하여, 도 10과 같이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배치되도록 한 후, 도 11과 같이 트레이(40)의 좌측지지부(43) 및 우측지지부(45)를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구동하여, 도 12와 같이 걸이부재(14)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는, 도 12와 같이 트레이(40)의 좌측지지부(43) 및 트레이(40)의 우측지지부(45)와 각각 맞닿으면서, 도 13과 같이 벌어진다.
여기서, 트레이(40)가 계속 상승하면 도 14와 같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좌측벽(42)의 좌측걸림홈(42a) 및 우측벽(44)의 우측걸림홈(44a)에 각각 삽입된다.
그러면, 트레이(40)는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지지되면서, 제1,2클램프부재(23,24)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트레이(40)가 설치된 상태에서, 트레이(40)를 다시 하방으로 이동시켜야 할 경우, 작업자는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구동하여, 도 15와 같이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가 상방으로 소량 이동하면서 트레이(40)를 상방으로 소량 이동시킨다.
이때, 트레이(40)가 상방으로 소량 이동하면, 좌측벽(42)의 좌측걸림홈(42a) 및 우측벽(44)의 우측걸림홈(44a)도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후, 작업자가 가압장치(30)의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구동하여, 가압부재(31)가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를 가압하면, 도 16과 같이 이동축(25)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2클램프부재(23,24)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2클램프부재(23,24)에는 슬롯홀(23a1,24a1)이 구비되어, 이동축(25)의 이동이 자유롭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구동하여,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를 하방으로 이동하면, 트레이(4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트레이(40)에 안착된 지중배전라인(L)의 교체 작업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이 트레이(40)가 배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70)은 도 15와 같은 방식으로 트레이(40)를 소량 상승시킨 후,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구동하여, 도 17과 같이 가압부재(31)가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가압부재구동기기(32)는 트레이(40)와 클램프기구(20) 간의 결합을 풀기 위한 가압부재(31)의 이동거리보다 더 많은 이동거리로 가압부재(31)를 이동시킨다.
한편,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하더라도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의해 트레이(40)는 그 위치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1클램프부재(23)) 및 제2클램프부재(24)가 제1소화기구(50) 및 제2소화기구(50')를 각각 타격하면, 도 17과 같이 제1,2소화기구(50,50')에서 소화물질이 배출된다.
그러면, 소화물질은 트레이(40)의 내부로 낙하하되, 트레이(40)의 좌측벽(42) 및 우측벽(44)으로 낙하하는 소화물질은 좌측벽(42) 및 우측벽(44)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트레이(40)의 내부로 낙하한다.
여기서, 트레이(40)의 내부로 낙하한 소화물질은, 트레이(40)의 베이스(41)의 상측 경사면 및 베이스(41)에 안착된 지중배전라인(L)을 따라 베이스(41)의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중배전라인(L)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한다.(도 18의 화살표 방향 참조)
한편,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할 시, 경보기(90)를 매개로 주변에 화재경보를 알려, 전력구(CH) 내부에 있는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이(40)의 중간부분 또는 단부에 지중배전라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하여, 일정 지점에서 지중배전라인 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전력구(CH) 내에 최초 배치된 지중배전라인 외에 추가로 지중배전라인(L)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 시 전력구(CH) 내의 통행로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추가 지중배전라인(L)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배치 지중배전라인(L) 상에서 화재가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되, 트레이(40)의 양측 방향으로 액상 소화물질이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기구(20) 및 가압장치(30)를 활용하여, 트레이(40) 고정 및 제1,2소화기구(50,50') 타격을 할 수 있어, 불필요한 구성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트레이(40)를 매개로 지중배전라인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에, 지중배전을 위한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명칭을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로 정의한다.
10,10': 제1,2승강장치 20: 클램프기구
30: 가압장치 40: 트레이
50,50': 제1,2소화기구 60: 화재감지센서
70: 제어유닛 80: 조작단말기
90: 경보기

Claims (1)

  1. 상하 방향으로 길이변화되는 신축부재(11,11'); 신축부재(11,11')가 길이 변화되도록 구동시키는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신축부재(11,11')의 하측에 설치되는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좌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14a,14a')가 구비되고 우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14b,14b')가 구비되어,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설치되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걸이부재(14,14');를 각각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1,2승강장치(10,10')와;
    전력구(CH)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게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2지지부재(21,22); 제1지지부재(21)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3a1)이 형성되고 제1지지부재(21)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3a)와, 상기 회전부(23a)의 좌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3b)를 갖춘 제1클램프부재(23); 제2지지부재(22)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4a1)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22)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4a)와, 상기 회전부(24a)의 우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4b)를 갖춘 제2클램프부재(24); 제1클램프부재(23)의 슬롯홀(23a1)과 제2클램프부재(24)의 슬롯홀(24a1)에 삽입되는 이동축(25); 좌단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에 설치되고 우단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에 설치되는 스프링(26)을 갖추고서,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프기구(20)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고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되도록 하는 가압부재(31); 가압부재(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가압장치(30)와;
    베이스(41)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갈 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상면이 형성되고, 지중배전라인(L)이 배치되는 베이스(41);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삽입되는 좌측걸림홈(42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좌측에 마련되며,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좌측걸림홈(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좌측벽(42);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3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3b)과, 상기 제1삽입홀(43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3b')을 구비하고, 우측 상면이 트레이(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좌측 상면이 트레이(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좌측벽(42)의 우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좌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좌단에 안착가능한 좌측지지부(43); 우방으로 개구되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삽입되는 우측걸림홈(44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우측에 마련되며,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우측걸림홈(4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우측벽(44);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5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5b)과, 상기 제1삽입홀(45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5b')을 구비하고, 좌측 상면이 트레이(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우측 상면이 트레이(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우측벽(44)의 좌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우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우단에 안착가능한 우측지지부(45);를 갖춘 트레이(40)와;
    소화물질을 수용하여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제1,2클램프부재(23,24)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며, 제1클램프부재(23)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회전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시 파괴되면서 액상형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제1,2소화기구(50,50')와;
    가압부재구동기기(32)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60)와;
    제1승강장치(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 또는 제2승강장치(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에 설치되는 경보기(90)와;
    전력구(CH)에 설치되어,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 화재감지센서(60), 경보기(90)를 작동제어하되, 조작단말기(8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70)과;
    제어유닛(7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능과, 제어유닛의 작동상태를 표시 출력기능을 갖추고서, 전력구(CH)에 설치되는 조작단말기(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0210063330A 2021-05-17 2021-05-17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363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30A KR102363424B1 (ko) 2021-05-17 2021-05-17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330A KR102363424B1 (ko) 2021-05-17 2021-05-17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424B1 true KR102363424B1 (ko) 2022-02-16

Family

ID=8047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330A KR102363424B1 (ko) 2021-05-17 2021-05-17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4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139B1 (ko) * 2023-02-24 2023-06-20 김점주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용 트레이기구
KR102583136B1 (ko) * 2022-09-07 2023-10-04 주식회사 해암전기 화재진압 기능을 갖춘 다기능 지중배전선 고정기기
KR102583137B1 (ko) * 2022-09-08 2023-10-04 주식회사 해암전기 누전 경고 기능을 구비한 안전형 지중배전 연결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63B1 (ko) * 2008-10-30 2009-06-01 (주)우전엔지니어링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KR102206597B1 (ko)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63B1 (ko) * 2008-10-30 2009-06-01 (주)우전엔지니어링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KR102206597B1 (ko)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136B1 (ko) * 2022-09-07 2023-10-04 주식회사 해암전기 화재진압 기능을 갖춘 다기능 지중배전선 고정기기
KR102583137B1 (ko) * 2022-09-08 2023-10-04 주식회사 해암전기 누전 경고 기능을 구비한 안전형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545139B1 (ko) * 2023-02-24 2023-06-20 김점주 지중배전라인 안정적 설치용 트레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424B1 (ko)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KR102363425B1 (ko) 전선 배치가 용이한 지중송전선 트레이기구
KR102363430B1 (ko) 원격관리가 가능한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행거기구
KR102358927B1 (ko)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CN101633057B (zh) 钻孔机和用于控制钻孔机的方法
KR101100259B1 (ko) 건설중장비용 운전실 도어 안전장치
KR101581209B1 (ko) 화재 진압 시스템
KR20140040950A (ko) 특수차량용 아웃트리거의 위치선정장치
KR101694117B1 (ko) 랜스용 와이어로프의 자동 장력 조절 장치
CN106761122A (zh) 开门后将门自动锁持的闭门器
KR102382983B1 (ko) 누전 경고 기능을 구비한 안전성 탑재 지중배전 연결기구
KR200320597Y1 (ko) 디스플레이 리프팅 장치
KR102363427B1 (ko)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연결 커넥터
CN106621116A (zh) 一种活动挡烟垂壁及其方法
JP2008183109A (ja) 天井走行式x線管懸垂器
CN216289638U (zh) 一种内置自动灭火结构的室内用立式配电柜
AU733538B2 (en) Premium supply apparatus and lock mechanism of hook for premium supply apparatus
KR102228421B1 (ko) 전력구내 설치가 편리한 기능성 향상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JP2013227837A (ja) 昇降式足場装置
JP2019116343A (ja) 作業機械の情報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情報表示方法
KR100634563B1 (ko) 광고프레임 지지장치
JP2019516539A (ja) 高圧洗浄ランスドライブ安全装置
KR101053397B1 (ko) 훅크레벨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크레인 교체와이어의길이조정장치
KR102520681B1 (ko) 신속한 화재발생 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