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927B1 -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927B1
KR102358927B1 KR1020210065328A KR20210065328A KR102358927B1 KR 102358927 B1 KR102358927 B1 KR 102358927B1 KR 1020210065328 A KR1020210065328 A KR 1020210065328A KR 20210065328 A KR20210065328 A KR 20210065328A KR 102358927 B1 KR102358927 B1 KR 10235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leakage
driving device
clamp
lifting
electr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명주
Original Assignee
동재감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재감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재감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와, 제1누전감지센서(120)와, 인양기(100)와, 제1,2승강장치(10,10')와, 클램프기구(20)와, 푸쉬장치(30)와, 행거트레이기구(40)와, 온도감지센서(110)와, 제2누전감지센서(130)와, 누전표시기구(140)와, 제1,2소화기구(50,50')와, 화재감지센서(60)와, 제어유닛(70) 및, 조작단말기(80)를 포함하여, 전력구(CH) 내의 위험을 알리며, 전력구(CH) 내에 지중배전선(UL)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Hanger Equipment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가공배전선로를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된다.
한편, 최근에는 도시 미관 및 안전성을 위핸 가공배전 방식 보다는 전력구를 이용한 지중배전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전력구의 벽면에는 도 1과 같이 트레이(1)가 설치되고, 트레이(1)에 지중배전선이 안착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지중배전선에서 누전이 발생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력구 내부에 진입하면, 작업자가 감전 위험에 노출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전력구 내부 기온이 높은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경우, 이를 관리센터에서 신속히 알 수 없어, 지중배전선로 문제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
한편, 종래에는 작업자가 전력구 내부에서 다양한 작업을 할 시, 전력구 내부 벽면에 설치된 트레이(1)에 의해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트레이(1)의 지중배전선 수용범위를 넘어 신규 지중배전선을 트레이(1)에 배치해야 할 시, 신규 지중배전선을 배치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기존 지중배전선과 겹치게 신규 지중배전선을 배치하거나, 기존 지중배전선을 제거한 후 신규 지중배전선을 기존 지중배전선의 위치에 배치해야 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전력구 내부에 별도의 화재진압설비가 구비되지 않아, 지중배전선 또는 지중배전선 주변 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41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구 내부 전력설비에서 누전 발생 시 이를 주변에 신속하게 알릴 수 있고, 전력구 내부 기온이 기준값 이상 상승할 시 외부 관리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으며, 전력구 벽면에 설치되는 가변행거트레이기구의 배치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 추가 지중배전선 배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전력구 내의 작업자 이동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추가 배치 지중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추가 배치 지중배전선 상에서 화재가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지중배전선 행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부(91)와 받침부(92)를 갖추되, 상기 지지부(91)는 전력구(CH) 내부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92)는 지지부(9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이 배치되는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와;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에 설치되고, 받침부(92)를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면 누전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제1누전감지센서(120)와;
전력구(CH) 내부 벽면에 설치되어 제어유닛(70)에 의해 작동제어되고, 일단이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와이어(101)를 갖추며, 인양와이어(101)를 감거나 푸는 인양기(100)와;
상하 방향으로 길이변화되는 신축부재(11,11'); 신축부재(11,11')가 길이 변화되도록 구동시키는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신축부재(11,11')의 하측에 설치되는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좌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14a,14a')가 구비되고 우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14b,14b')가 구비되어,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설치되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걸이부재(14,14');를 각각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1,2승강장치(10,10')와;
전력구(CH)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게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2지지부재(21,22); 제1지지부재(21)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3a1)이 형성되고 제1지지부재(21)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3a)와, 상기 회전부(23a)의 좌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3b)를 갖춘 제1클램프부재(23); 제2지지부재(22)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4a1)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22)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4a)와, 상기 회전부(24a)의 우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4b)를 갖춘 제2클램프부재(24); 제1클램프부재(23)의 슬롯홀(23a1)과 제2클램프부재(24)의 슬롯홀(24a1)에 삽입되는 이동축(25); 좌단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에 설치되고 우단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에 설치되는 스프링(26)을 갖추고서,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프기구(20)와;
가압부재(31) 및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한편, 가압부재(31)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되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되도록 하고, 가압부재구동기기(32)는 가압부재(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하는 푸쉬장치(30)와;
베이스(41)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갈 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상면이 형성되고, 지중배전선이 배치되는 베이스(41);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삽입되는 좌측걸림홈(42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좌측에 마련되며,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좌측걸림홈(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좌측벽(42);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3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3b)과, 상기 제1삽입홀(43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3b')을 구비하고, 우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좌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좌측벽(42)의 우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좌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좌단에 안착가능한 좌측지지부(43); 우방으로 개구되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삽입되는 우측걸림홈(44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우측에 마련되며,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우측걸림홈(4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우측벽(44);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5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5b)과, 상기 제1삽입홀(45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5b')을 구비하고, 좌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우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우측벽(44)의 좌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우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우단에 안착가능한 우측지지부(45);를 갖춘 행거트레이기구(40)와;
베이스(41)에 설치되고, 기준값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면 외부로 이상온도신호를 송출하는 온도감지센서(110)와;
베이스(41)에 설치되고, 베이스(41)를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면 제어유닛(70)으로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누전감지센서(130)와;
베이스(41)의 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표시등(141); 베이스(41)의 하측에 설치되어 표시등(141)을 구동하는 표시등구동기기(142)를 갖춘 누전표시기구(140)와;
소화물질을 수용하여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제1,2클램프부재(23,24)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며, 제1클램프부재(23)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회전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시 파괴되면서 액상형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제1,2소화기구(50,50')와;
가압부재구동기기(32)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60)와;
전력구(CH)에 설치되어,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 화재감지센서(60), 인양기(90), 온도감지센서(110), 제1누전감지센서(120), 제2누전감지센서(130), 표시등구동기기(143)을 작동제어하되, 조작단말기(8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며, 제1누전감지센서(120) 또는 제2누전감지센서(13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누전표시기구(140)의 표시등(141)을 점등하면서 표시등구동기기(142)를 구동하는 제어유닛(70)과;
제어유닛(7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능과, 제어유닛의 작동상태를 표시 출력기능을 갖추고서, 전력구(CH)에 설치되는 조작단말기(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에서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주변에 신속하게 알려 누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구(CH) 내부의 온도상승을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진력구(CH) 내부의 온도상승에 의해 배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를 매개로 전력구(CH) 내부 측벽에 지중배전선을 설치하되,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의 위치를 변화시킬 시 있어, 전력구(CH) 내부의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구(CH) 내에 최초 배치된 지중배전선 외에 추가로 지중배전선(UL)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 시 전력구(CH) 내의 통행로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추가 지중배전선(UL)을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배치 지중배전선(UL) 상에서 화재가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되, 행거트레이기구(40)의 양측 방향으로 액상 소화물질이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기구(20) 및 푸쉬장치(30)를 활용하여, 행거트레이기구(40) 고정 및 제1,2소화기구(50,50') 타격을 할 수 있어, 불필요한 구성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은 가변행거트레이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승강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누전표시기구를 설명하기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제1,2승강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B-B'선, C-C'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D-D'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E-E'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도이고, 도 3은 가변행거트레이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승강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누전표시기구를 설명하기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제1,2승강장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B-B'선, C-C'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D-D'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클램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E-E'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0 상에서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배전선 행거장치는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와, 제1누전감지센서(120)와, 인양기(100)와, 제1,2승강장치(10,10')와, 클램프기구(20)와, 푸쉬장치(30)와, 행거트레이기구(40)와, 온도감지센서(110)와, 제2누전감지센서(130)와, 누전표시기구(140)와, 제1,2소화기구(50,50')와, 화재감지센서(60)와, 제어유닛(70) 및, 조작단말기(80)를 포함하여, 전력구(CH) 내의 위험을 알리며 전력구(CH) 내에 지중배전선(UL)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구(CH) 내부 측벽에 설치되는 지지부(91)와, 지지부(9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중배전선이 배치되는 받침부(9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부(9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시 위치고정이 가능하고, 도 3과 같은 수평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90°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1누전감지센서(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에 설치되고, 받침부(92)를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면 누전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누전감지센서(120)는, 받침부(92)의 하측에 설치되지만, 받침부(92)에 안착된 지중배전선에서 누전되는 전기를 감지할 수 있으면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인양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구(CH) 내부 벽면에 설치되어 제어유닛(70)에 의해 작동제어되고, 일단이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와이어(101)를 갖추며, 인양와이어(101)를 감거나 푼다. 본 실시예에서 인양기와이어(101)의 일단에는 걸이용 후크가 구비되고,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 일단에는 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고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인양기(100)는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수에 대응하게 구비되되, 각각의 인양기(100)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승강장치(10,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재(11,11')와, 신축부재구동기기(12,12')와,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및, 걸이부재(14,14')를 각각 갖추고서, 전력구(CH) 내부 상측에 전후 방향(도 6 상에서 클램프기구를 기준으로 클램프기구보다 아랫 방향이 전방향, 도 6 상에서 클램프기구를 기준으로 클램프기구보다 윗 방향이 후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상기 신축부재(11,11')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변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신축부재(11,11')는 다단 접이식 안테나 타입 형상을 이루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는 신축부재(11,11')가 길이 변화되도록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는, 차량용 다단 접이식 안테나를 신축하는 방식으로 신축부재(11,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매개로 신축부재(11,11')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 볼스크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구동기기(13,13')는 신축부재(11,11')의 하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부재구동기기(13,13')는 구동모터 구조로 이루어져 걸이부재(14,14')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14,14')는, 좌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14a,14a')가 구비되고 우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14b,14b')가 구비되어,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설치되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부재(14,14')는, 행거트레이기구(40)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크기의 직사각 패널 형상을 이룬다.
상기 클램프기구(2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지지부재(21,22)와, 제1클램프부재(23)와, 제2클램프부재(24)와, 이동축(25) 및, 스프링(26)을 갖추고서,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2지지부재(21,22)는 전력구(CH)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게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지지부재(21,22)는 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클램프부재(23)는, 제1지지부재(21)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3a1)이 형성되고 제1지지부재(21)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3a)와, 상기 회전부(23a)의 좌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3b)를 갖춘다.
상기 제2클램프부재(24)는, 제2지지부재(22)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4a1)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22)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4a)와, 상기 회전부(24a)의 우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4b)를 갖춘다.
상기 이동축(25)는, 제1클램프부재(23)의 슬롯홀(23a1)과 제2클램프부재(24)의 슬롯홀(24a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축(25)은 원형바 형상을 이루어, 제1클램프부재(23)의 슬롯홀(23a1)과 제2클램프부재(24)의 슬롯홀(24a1)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26)은, 좌단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에 설치되고 우단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26)은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제1클램프부재(23)와 제2클램프부재(24)를 이동축(25) 방향으로 당긴다.
상기 푸쉬장치(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31)와,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부재(31)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고,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31)는 바 형상을 이루어, 이동축(25)과 별물로 이루어지거나, 이동축(25)와 연결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구동기기(32)는, 가압부재(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구동기기(32)는 실린더 구조 또는 볼스크류 구조로 이루어져, 가압부재(3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행거트레이기구(40)는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1)와, 좌측벽(42)와, 좌측지지부(43)과, 우측벽(44) 및, 우측지지부(45)를 갖추며, 지중배전선(UL)이 안착된다.
상기 베이스(41)는, 베이스(41)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갈 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상면이 형성되고, 지중배전선(UL)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41)가 만곡된 형상을 이루어, 베이스(41)로 소화물질이 안착될 시, 소화물질이 베이스(41)의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좌측벽(42)은,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삽입되는 좌측걸림홈(42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좌측에 마련되며,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좌측걸림홈(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벽(42)은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좌측지지부(43)는,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3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3b)과, 상기 제1삽입홀(43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3b')을 구비하고, 우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좌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좌측벽(42)의 우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좌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좌단에 안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좌측지지부(43)는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우측벽(44)은, 우방으로 개구되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삽입되는 우측걸림홈(44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우측에 마련되며,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우측걸림홈(4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우측벽(44)은 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우측지지부(45)는,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5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5b)과, 상기 제1삽입홀(45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5b')을 구비하고, 좌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우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우측벽(44)의 좌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우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우단에 안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우측지지부(45)는 판 형상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제1고정돌기(14a,14a') 및 제2고정돌기(14b,14b')가 구비되고, 좌측지지부(43)에 제1,2삽입홀(43b,43c)이 구비되며, 우측지지부(45)에 제1,2삽입홀(45b,45c)이 구비되어, 제1고정돌기(14a,14a'), 제2고정돌기(14b,14b'), 좌측지지부(43)의 제1,2삽입홀(43b,43c), 우측지지부(45)의 제1,2삽입홀(45b,45c)를 매개로, 행거트레이기구(40)를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고정연결하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고정방식을 통해 행거트레이기구(40)를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고정연결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1)에 설치되고, 기준값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면 외부로 이상온도신호를 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감지센서(110)는 베이스(41)의 하측에 설치되지만 전력구(CH)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온도감지센서(110)로부터의 이상온도신호를 별도의 중계기를 매개로 지상 관리센터로 전송되고, 이상온도신호를 확인한 관리자는 전력구(CH) 내부 온도 상승에 대한 신속한 점검 및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제2누전감지센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1)에 설치되고, 베이스(41)를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면 제어유닛(70)으로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누전감지센서(130)는 베이스(41)의 하측에 설치되지만, 베이스(41)에 안착된 지중배전선(UL)에서 누전되는 전기를 감지할 수 있으면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누전표시기구(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1)의 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표시등(141)과, 베이스(41)의 하측에 설치되어 표시등(141)을 구동하는 표시등구동기기(142)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등구동기기(142)는 모터를 구비하여 표시등(141)을 회전시키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표시등(141)의 회전각도가 조절되어 표시등(141)의 배치위치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등(141)은 표시등구동기기(142)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누전표시기구(140)는 베이스(41)의 하측 외면에 설치되지만, 베이스(41)의 하측에 내설되어 표시등(141)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시에만 표시등(141)이 베이스(4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예서 누전표시기구(140)는 표시등(141)을 회전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구동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표시등(141)은 점등시 누전경고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2소화기구(50,5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물질을 수용하여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제1,2클램프부재(23,24)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며, 제1클램프부재(23)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회전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시 파괴되면서 소화물질을 방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물질은 액상으로 이루어져 외부 노출시 기화되는 액상형 소화물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외의 다양한 소화물질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2클램프부재(23,24)의 회전부(23a,24a)에 충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충격돌기에 의해 제1,2소화기구(50,5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센서(6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구동기기(32)에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60)는 연기 감지 방식, 빛 감지 방식 등 다양한 타입의 화재감지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어유닛(7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구(CH)에 설치되어,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 화재감지센서(60), 인양기(90), 온도감지센서(110), 제1누전감지센서(120), 제2누전감지센서(130), 표시등구동기기(143)를 작동제어하되, 조작단말기(8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며, 제1누전감지센서(120) 또는 제2누전감지센서(13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누전표시기구(140)의 표시등(141)을 점등하면서 표시등구동기기(142)를 구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유닛(70)은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으면 그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조작단말기(80)는, 제어유닛(7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능과, 제어유닛의 작동상태를 표시 출력기능을 갖추고서, 전력구(CH)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단말기(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단말기 타입으로 이루어져 제어유닛(70)과 원격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입력기능을 위한 입력유닛과, 출력기능을 위한 디스플레이유닛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작단말기(80)는 전력구(CH)에 설치되어 제어유닛(70)과 유선통신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누전표시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온도감지센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가변행거트레이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는 도 2 및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트레이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제1,2승강장치의 걸이부재에 트레이를 거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 내지 도 20은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트레이가 클램프기구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는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트레이와 클램프기구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트레이를 소량 상방으로 이동시킬 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은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트레이와 클램프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트레이가 제1,2승강장치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제1,2소화기구가 파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4는 소화물질이 트레이의 양측으로 흐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로 누전이 발생하거나, 행거트레이기구(40)의 베이스(41)로 누전이 발생하면, 제1누전감지센서(120) 또는 제2누전감지센서(130)는 누전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에 출력한다.
이때, 제어유닛(70)은 표시등구동기기(142)를 구동하여, 도 12와 같이 표시등(141)을 회전시키면서 점등시킨다.
그러면, 작업자가 전력구(CH) 내부를 통행하거나, 전력구(CH) 내부에서 작업을 할 시 누전발생을 신속하게 알 수 있어, 작업자가 누전사고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온도감지센서(110)가 기준값 이상 온도를 감지하면, 온도감지센서(110)는 이상온도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별도의 관리센터에서는 상기 이상온도신호를 수신하고, 관리자가 상기 이상온도신호를 확인한다.
그러면, 관리자는 전력구(CH) 내부를 신속하게 점검하여, 전력구(CH) 내부의 온도상승에 의해 배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 및 행거트레이기구(40) 모두에 지중배전선을 배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시,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에 지중배전선을 배치하기 전에 행거트레이기구(40)에 먼저 지중배전선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인양기(100)의 인양와이어(101)를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에 연결한 후, 조작단말기(80)를 이용하여 인양기(100)를 구동하여, 도 14와 같이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위치를 변경한다.
그러면, 작업자는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하기에서 설명할 추가 지중배전선 설치 작업 시, 지중배전선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에 지중배전선이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로 추가 지중배전선을 더 설치해야할 필요가 있을 시, 전력구(CH) 내부의 통행로를 활용하여 추가 지중배전선(UL)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작업자에 의해 지중배전선(UL)이 추가로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조작단말기(80)를 조작하여, 제1,2승강장치(10,10'), 푸쉬장치(30)를 구동함으로서, 추가로 설치할 지중배전선(UL)을 전력구(CH)의 내부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우선, 작업자는 조작단말기(80)를 조작하여,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구동함으로서, 도 15과 같이 걸이부재(14,14')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지중배전선(UL)이 안착된 행거트레이기구(40)를 들어 올려 도 15과 같이 배치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을 구동하여, 도 16와 같이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배치되도록 한 후, 도 17와 같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좌측지지부(43) 및 우측지지부(45)를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구동하여, 도 18과 같이 걸이부재(14)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는, 도 18과 같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좌측지지부(43) 및 행거트레이기구(40)의 우측지지부(45)와 각각 맞닿으면서, 도 19과 같이 벌어진다.
여기서, 행거트레이기구(40)가 계속 상승하면 도 20와 같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좌측벽(42)의 좌측걸림홈(42a) 및 우측벽(44)의 우측걸림홈(44a)에 각각 삽입된다.
그러면, 행거트레이기구(40)는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지지되면서, 제1,2클램프부재(23,24)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행거트레이기구(40)가 설치된 상태에서, 행거트레이기구(40)를 다시 하방으로 이동시켜야 할 경우, 작업자는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구동하여, 도 21와 같이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가 상방으로 소량 이동하면서 행거트레이기구(40)를 상방으로 소량 이동시킨다.
이때, 행거트레이기구(40)가 상방으로 소량 이동하면, 좌측벽(42)의 좌측걸림홈(42a) 및 우측벽(44)의 우측걸림홈(44a)도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후, 작업자가 푸쉬장치(30)의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구동하여, 가압부재(31)가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를 가압하면, 도 22과 같이 이동축(25)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2클램프부재(23,24)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2클램프부재(23,24)에는 슬롯홀(23a1,24a1)이 구비되어, 이동축(25)의 이동이 자유롭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를 구동하여,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를 하방으로 이동하면, 행거트레이기구(4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행거트레이기구(40)에 안착된 지중배전선(UL)의 교체 작업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8와 같이 행거트레이기구(40)가 배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70)은 도 21와 같은 방식으로 행거트레이기구(40)를 소량 상승시킨 후,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구동하여, 도 23과 같이 가압부재(31)가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가압부재구동기기(32)는 행거트레이기구(40)와 클램프기구(20) 간의 결합을 풀기 위한 가압부재(31)의 이동거리보다 더 많은 이동거리로 가압부재(31)를 이동시킨다.
한편,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하더라도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14,14')에 의해 행거트레이기구(40)는 그 위치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1클램프부재(23)) 및 제2클램프부재(24)가 제1소화기구(50) 및 제2소화기구(50')를 각각 타격하면, 도 23과 같이 제1,2소화기구(50,50')에서 소화물질이 배출된다.
그러면, 소화물질은 행거트레이기구(40)의 내부로 낙하하되, 행거트레이기구(40)의 좌측벽(42) 및 우측벽(44)으로 낙하하는 소화물질은 좌측벽(42) 및 우측벽(44)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행거트레이기구(40)의 내부로 낙하한다.
여기서, 행거트레이기구(40)의 내부로 낙하한 소화물질은, 행거트레이기구(40)의 베이스(41)의 상측 경사면 및 베이스(41)에 안착된 지중배전선(UL)을 따라 베이스(41)의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중배전선(UL)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한다.(도 24의 화살표 방향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에서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주변에 신속하게 알려 누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구(CH) 내부의 온도상승을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진력구(CH) 내부의 온도상승에 의해 배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를 매개로 전력구(CH) 내부 측벽에 지중배전선을 설치하되,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의 위치를 변화시킬 시 있어, 전력구(CH) 내부의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구(CH) 내에 최초 배치된 지중배전선 외에 추가로 지중배전선(UL)을 설치할 필요가 있을 시 전력구(CH) 내의 통행로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추가 지중배전선(UL)을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 배치 지중배전선(UL) 상에서 화재가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되, 행거트레이기구(40)의 양측 방향으로 액상 소화물질이 신속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기구(20) 및 푸쉬장치(30)를 활용하여, 행거트레이기구(40) 고정 및 제1,2소화기구(50,50') 타격을 할 수 있어, 불필요한 구성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행거트레이기구(40) 등에 의해 지중배전선이 걸려지지되는 구조에 위험표시(누전표시)를 하는 구조 등 지중배전을 위한 다양한 구조를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청구대상을 지중배전선 행거장치로 정의하고, 본 발명의 명칭을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로 정의한다.
10,10': 제1,2승강장치 20: 클램프기구
30: 푸쉬장치 40: 행거트레이기구
50,50': 제1,2소화기구 60: 화재감지센서
70: 제어유닛 80: 조작단말기
90: 가변행거트레이기구 100: 인양기
110: 온도감지센서 120: 제1누전감지센서
130: 제2누전감지센서 140: 누전표시기구

Claims (1)

  1. 지지부(91)와 받침부(92)를 갖추되, 상기 지지부(91)는 전력구(CH) 내부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92)는 지지부(9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중배전선이 배치되는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와;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에 설치되고, 받침부(92)를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면 누전감지신호를 제어유닛(70)으로 출력하는 제1누전감지센서(120)와;
    전력구(CH) 내부 벽면에 설치되어 제어유닛(70)에 의해 작동제어되고, 일단이 가변행거트레이기구(90)의 받침부(9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양와이어(101)를 갖추며, 인양와이어(101)를 감거나 푸는 인양기(100)와;
    상하 방향으로 길이변화되는 신축부재(11,11'); 신축부재(11,11')가 길이 변화되도록 구동시키는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신축부재(11,11')의 하측에 설치되는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좌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14a,14a')가 구비되고 우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기(14b,14b')가 구비되어,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설치되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걸이부재(14,14');를 각각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전후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제1,2승강장치(10,10')와;
    전력구(CH)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되게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2지지부재(21,22); 제1지지부재(21)보다 우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3a1)이 형성되고 제1지지부재(21)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3a)와, 상기 회전부(23a)의 좌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3b)를 갖춘 제1클램프부재(23); 제2지지부재(22)보다 좌방에 위치하게 슬롯홀(24a1)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22)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4a)와, 상기 회전부(24a)의 우단에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걸림부(24b)를 갖춘 제2클램프부재(24); 제1클램프부재(23)의 슬롯홀(23a1)과 제2클램프부재(24)의 슬롯홀(24a1)에 삽입되는 이동축(25); 좌단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에 설치되고 우단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에 설치되는 스프링(26)을 갖추고서,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는 클램프기구(20)와;
    가압부재(31) 및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갖추고서,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제1,2승강장치(10,10') 사이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한편, 가압부재(31)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되 클램프기구(20)의 이동축(25)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1,2클램프부재(23,24)가 회전되도록 하고, 가압부재구동기기(32)는 가압부재(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하는 푸쉬장치(30)와;
    베이스(41)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갈 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상면이 형성되고, 지중배전선이 배치되는 베이스(41); 좌방으로 개구되어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삽입되는 좌측걸림홈(42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좌측에 마련되며, 제1클램프부재(23)의 걸림부(23b)가 좌측걸림홈(4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좌측벽(42);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3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3b)과, 상기 제1삽입홀(43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1고정돌기(14a')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3b')을 구비하고, 우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좌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좌측벽(42)의 우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좌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좌단에 안착가능한 좌측지지부(43); 우방으로 개구되어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삽입되는 우측걸림홈(44a)을 구비하고, 베이스(41)의 우측에 마련되며, 제2클램프부재(24)의 걸림부(24b)가 우측걸림홈(4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우측벽(44);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관통홀(45a)과, 제1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1삽입홀(45b)과, 상기 제1삽입홀(45b)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승강장치(10')의 제2고정돌기(14b')가 삽탈가능한 제2삽입홀(45b')을 구비하고, 좌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내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며, 우측 상면이 행거트레이기구(40)의 외부 하방을 향해 경사지고, 우측벽(44)의 좌측에 마련되어 제1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 우단 및 제2승강장치(10')의 걸이부재(14')의 우단에 안착가능한 우측지지부(45);를 갖춘 행거트레이기구(40)와;
    베이스(41)에 설치되고, 기준값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면 외부로 이상온도신호를 송출하는 온도감지센서(110)와;
    베이스(41)에 설치되고, 베이스(41)를 흐르는 전기를 감지하면 제어유닛(70)으로 누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누전감지센서(130)와;
    베이스(41)의 하방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표시등(141); 베이스(41)의 하측에 설치되어 표시등(141)을 구동하는 표시등구동기기(142)를 갖춘 누전표시기구(140)와;
    소화물질을 수용하여 전력구(CH)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제1,2클램프부재(23,24)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며, 제1클램프부재(23) 및 제2클램프부재(24)의 회전에 의해 충격이 가해질 시 파괴되면서 액상형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제1,2소화기구(50,50')와;
    가압부재구동기기(32)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60)와;
    전력구(CH)에 설치되어,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 화재감지센서(60), 인양기(90), 온도감지센서(110), 제1누전감지센서(120), 제2누전감지센서(130), 표시등구동기기(143)을 작동제어하되, 조작단말기(8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제1,2승강장치(10,10')의 걸이부재구동기기(13,13'),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고, 화재감지센서(60)로부터의 화재감지신호에 따라 제1,2승강장치(10,10')의 신축부재구동기기(12,12'), 가압부재구동기기(32)를 작동제어하며, 제1누전감지센서(120) 또는 제2누전감지센서(13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누전표시기구(140)의 표시등(141)을 점등하면서 표시등구동기기(142)를 구동하는 제어유닛(70)과;
    제어유닛(7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능과, 제어유닛의 작동상태를 표시 출력기능을 갖추고서, 전력구(CH)에 설치되는 조작단말기(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행거장치.
KR1020210065328A 2021-05-21 2021-05-21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 KR10235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28A KR102358927B1 (ko) 2021-05-21 2021-05-21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28A KR102358927B1 (ko) 2021-05-21 2021-05-21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927B1 true KR102358927B1 (ko) 2022-02-08

Family

ID=8025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328A KR102358927B1 (ko) 2021-05-21 2021-05-21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445B1 (ko) * 2022-06-27 2023-02-07 금정엔지니어링(주) 안전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 고정기구
KR102642573B1 (ko) * 2023-10-30 2024-03-04 주식회사 해우이엔지 전력구 내 전력설비의 전력라인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63B1 (ko) * 2008-10-30 2009-06-01 (주)우전엔지니어링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KR102004179B1 (ko) 2019-03-14 2019-07-26 (주)한빛전력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트레이기구
KR102036592B1 (ko) * 2019-06-07 2019-10-25 (주)위드엔지니어링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행거기구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63B1 (ko) * 2008-10-30 2009-06-01 (주)우전엔지니어링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KR102004179B1 (ko) 2019-03-14 2019-07-26 (주)한빛전력기술단 지중배전선 지지 트레이기구
KR102036592B1 (ko) * 2019-06-07 2019-10-25 (주)위드엔지니어링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행거기구
KR102228409B1 (ko) * 2020-05-27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안전기능이 향상된 154kv 이상급 변전소 주변압기의 보호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445B1 (ko) * 2022-06-27 2023-02-07 금정엔지니어링(주) 안전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 고정기구
KR102642573B1 (ko) * 2023-10-30 2024-03-04 주식회사 해우이엔지 전력구 내 전력설비의 전력라인 모니터링 및 안전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425B1 (ko) 전선 배치가 용이한 지중송전선 트레이기구
KR102363430B1 (ko) 원격관리가 가능한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행거기구
KR102363427B1 (ko)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연결 커넥터
KR102358927B1 (ko) 위험 표시가 가능한 지중배전선 행거장치
KR102363424B1 (ko)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JP6474100B2 (ja) トンネル内消火器箱
KR20140040950A (ko) 특수차량용 아웃트리거의 위치선정장치
JP6095754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JP5851380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102076346B1 (ko) 지중 배전케이블의 보호시설
KR20220116883A (ko) 배전반 또는 분전반용 자동소화장치
KR101517568B1 (ko) 무대설비
JP6154723B2 (ja) 消火栓装置
JP2023107965A (ja) 消火器箱
KR102054319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20210000633A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JP6670702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JPH11280028A (ja) 法面崩落等の危険表示装置及び危険表示・監視装置
JP2017088351A (ja) 高所作業車用安全装置
KR102318593B1 (ko)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KR102421191B1 (ko) 전선 충돌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서포팅기구
KR200265063Y1 (ko) 후크 크레인용 와이어 고정장치
KR102520681B1 (ko) 신속한 화재발생 확인이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496445B1 (ko) 안전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 고정기구
JP7360669B2 (ja) オーガ中間振止めの異常接近警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