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593B1 -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 Google Patents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593B1
KR102318593B1 KR1020210064854A KR20210064854A KR102318593B1 KR 102318593 B1 KR102318593 B1 KR 102318593B1 KR 1020210064854 A KR1020210064854 A KR 1020210064854A KR 20210064854 A KR20210064854 A KR 20210064854A KR 102318593 B1 KR102318593 B1 KR 102318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fixing
main body
earth leak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64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8Identification strips for distribution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ㅆ중계기고정체(10)써, 케이블고정체(20), 중계기장치(30), 고정체고정볼트(40), 제1체결부재(50), 제2체결부재(70), 식별유닛(60), 누전감지센서(80), 누전차단유닛(90), 누전표시등(100), 화재감지센서(110), 송신기(120) 및 경보기(130)를 포함하고, 화재감지센서(11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기(130)를 매개로 본 발명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고, 송신기(120)를 매개로 본 발명에서 원거리에 존재하는 소방대원 및 관리자들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어,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하면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UTP USING CONNECTING FOR CONNECTING LT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Wifi, LTE, 5G와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발달 및 증가에 따라, 중계기 또는 중계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도록, 지하철, 터널, 아파트 단지 등의 음영 지역에서도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중계기를 이용해 무선 망을 설계하게 된다. 다만, 소규모 지역은 기지국을 추가건설 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과다 투자되는 점에 있어서, 중계기 또는 중계기로 해결하고 있다.
특히, 집안, 빌딩의 사무실, 지하 등의 소규모 음영지역의 경우 유무선 중계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중계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전파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중계기는, 다수의 LTE 통신라인이 접속되고, 각각의 LTE 통신라인은 통신망을 사용하고자 하는 공간으로 인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중계기에는 별도의 화재를 감지하는 기구가 없고, 화재 시 이를 알릴 수 있는 기구가 없으며,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중계기는 누전이 감지되면서, 차단되는 기능이 없고, 누전을 외부로 알리는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누전사고 위험에 쉽게 노출되었다.
한편, 종래에는 중계기에 상기 LTE 통신라인이 접속될 시, 해당 LTE 통신라인이 어느 공간에서 사용되는 LTE 통신라인인지를 확인하기 쉽지 않아, 사용자가 중계기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중계기를 실내(일예로 사무실)에 설치할 시, 중계기 통신범위를 확보하면서 중계기 설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어려웠으며, 상기 공간(중계기 설치공간)을 확보하더라도 중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치부재가 다수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5528호(중계기가 내장된 모니터/2013.10.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를 감지하면서 이를 외부에 알릴 수 있고, 중계기의 누전발생을 알 수 있으며, 중계기의 전원을 차단하면서 누전을 외부에 알릴 수 있으며, 중계기에서 각각의 사용장소로 인출되는 통신라인이 어느 사용장소로 인출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내(사무실)에 설치된 파티션을 활용하여 중계기를 설치함으로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활용하면서 안정적 통신범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파티션에 설치할 수 있는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는,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홀(B5a)을 구비한 사각바 형상의 중앙연결체(B5)와, 중앙연결체(B5)의 둘레면에 각각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상의 전,후,좌,우측파티션벽체(B1~B4)를 갖춘 파티션(B) 중앙연결체(B5)의 삽입홀(B5a)에 삽탈되는 삽입부(11); 삽입부(11)의 상측에 설치되되 중앙연결체(B5)보다 큰 크기를 갖는 중계기지지부(12); 상하로 개구된 고정체고정볼트홀(13a)을 구비하여, 중계기지지부(12)의 후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후측고정부(13); 후측고정부(13)의 상단 우측에 구비되되 후측고정부(13)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구비되는 'ㄱ'자 형상의 우측고정부(14); 후측고정부(13)의 상단 좌측에 구비되되 우측고정부(14)와 대향되게 구비되는 'ㄱ'자 형상의 좌측고정부(15); 우측회전부(16)의 우단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우측파티션고정홀(16a)을 구비하여, 중계기지지부(12)의 상단 우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우측회전부(16); 좌측회전부(17)의 좌단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좌측파티션고정홀(17a)을 구비하여, 공유지지부(12)의 상단 좌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측회전부(17);를 갖춘 중계기고정체(10)와;
중계기지지부(12)의 전단에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케이블고정부(21); 케이블고정부(21)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케이블지지부(22);를 갖추고, 각각의 케이블지지부(22) 사이에 LTE 통신라인이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고정체(20)와;
중계기본체부(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우측고정부(14)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탈되는 'ㄱ'자 형상의 우측날개홈(31a)과, 우측날개홈(31a)과 대향되게 중계기본체부(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좌측고정부(15)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탈되는 'ㄱ'자 형상의 좌측날개홈(31b)을 갖추고서, 중계기고정체(1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계기본체부(31); 상하로 개구되고 중계기본체부(31)가 우측회전부(16)에 안착될 시 우측파티션고정홀(16a)과 연통되는 중계기우측날개홀(32a)을 갖추고서, 중계기본체부(31)의 우측에 구비되는 중계기우측날개부(32); 상하로 개구되고 중계기본체부(31)가 좌측회전부(17)에 안착될 시 좌측파티션고정홀(17a)과 연통되는 중계기좌측날개홀(33a)을 갖추고서, 중계기본체부(31)의 좌측에 구비되는 중계기좌측날개부(33);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되고, 케이블고정체(20)를 통과한 적어도 2개이상의 LTE 통신라인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신라인접속부(34);
고정체고정볼트홀(13a)을 관통하되 후측파티션벽체(B2)에 나사산 체결되어, 중계기고정체(10)를 후측파티션(B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고정체고정볼트(40)와;
우측회전부(16)의 우측파티션고정홀(16a)과 중계기우측날개부(32)의 중계기우측날개홀(32a)에 삽입되어, 중계기우측날개부(32)를 우측회전부(16)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50)와;
좌측회전부(17)의 좌측파티션고정홀(17a)과 중계기좌측날개부(33)의 중계기좌측날개홀(33a)에 삽입되어, 중계기좌측날개부(33)를 좌측회전부(17)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70)와;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고, 코드가 부여된 LTE 통신라인이 통신라인접속부(34)에 각각 접속되면, 접속된 LTE 통신라인의 코드를 식별하는 코드식별부(61);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출력부(62);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어 코드식별부(61) 및 출력부(62)를 작동제어하고, 코드식별부(61)로부터의 코드식별신호에 따라 출력부(62)에 LTE 통신라인의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63)를 갖춘 식별유닛(60)과;
중계기본체부(31)에 내설되어, 중계기본체부(31) 내의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80)와;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중계기본체부(3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유닛(90)과;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누전표시등(100)과;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10)와;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화재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120)와;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발산하는 경보기(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11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기(130)를 매개로 본 발명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고, 송신기(120)를 매개로 본 발명에서 원거리에 존재하는 소방대원 및 관리자들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어,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하면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감지센서(80)에 의해 누전이 감지되면, 누전차단유닛(90)을 매개로 중계기장치(30)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여 사용자가 누전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전표시등(100)을 매개로 중계기장치(30)의 누전발생을 알릴 수 있어, 사용자가 누전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별유닛(60)을 매개로 다수개의 LTE 통신라인이 중계기장치(30)에 연결된 것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LTE 통신라인이 접속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해당 LTE 통신라인에 매칭되는 사용 공간을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파티션(B)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실내(사무실)에 구비되는 파티션(B)에 설치됨으로서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하면서 안정적 통신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계기고정체 및 케이블고정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화재가 감지된 중계기장치의 식별 예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누전이 감지된 중계기장치의 식별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코드가 부여된 통신라인의 식별 예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계기고정체 및 케이블고정체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구성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도 2상에서 X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고, Y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며,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방향성을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의 파티션(B)에 설치되고, 파티션(B)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파티션(B)은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홀(B5a)을 구비한 사각바 형상의 중앙연결체(B5)와, 중앙연결체(B5)의 둘레면에 각각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상의 전,후,좌,우측파티션벽체(B1~B4)를 갖춘다. 여기서 중앙연결체(B5)와 전,후,좌,우측파티션벽체(B1~B4) 간의 연결은 통상의 연결체를 매개로 연결된다. 한편, 파티션(B)은 일반적으로 실내(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종래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파티션(B)은 '+'자 형상의 4방향을 나타낸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ㄱ'자 형상 또는 'ㅡ'자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LTE 통신라인은 도면에 도시된 통신라인(L)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LTE 통신라인은 UTP 케이블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계기는 중계기고정체(10), 케이블고정체(20), 중계기장치(30), 고정체고정볼트(40), 제1체결부재(50), 제2체결부재(70), 식별유닛(60), 누전감지센서(80), 누전차단유닛(90), 누전표시등(100), 화재감지센서(110), 송신기(120) 및 경보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고정체(10)는 삽입부(11), 중계기지지부(12), 후측고정부(13), 우측고정부(14), 좌측고정부(15),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를 갖춘다.
상기 삽입부(11)는 중앙연결체(B5)의 삽입홀(B5a)에 삽탈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삽입부(11)는 중앙연결체(B5)가 사각형상으로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중앙연결체(B5)의 삽입홀(B5a)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중계기지지부(12)는 삽입부(11)의 상측에 설치되되 중앙연결체(B5)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상기중계기지지부(12)는 삽입부(11)가 삽입 될 때 중앙연결체(B5)의 상측에 맞닿을 수 있도록 하며, 전,후,좌,우측파티션벽체(B1~B4)의 상단에 밀착되어 중계기장치(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측고정부(13)는 상하로 개구된 고정체고정볼트홀(13a)을 구비하여, 중계기지지부(12)의 후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후측고정부(13)는 중계기장치(30)의 후측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ㄱ'자 형상의 우측고정부(14)는 후측고정부(13)의 상단 우측에 구비되되 후측고정부(13)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우측고정부(14)는 'ㄱ'자 형상을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ㄱ'자 형상의 좌측고정부(15)는 후측고정부(13)의 상단 좌측에 구비되되 우측고정부(14)와 대향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좌측고정부(15)는 'ㄱ'자 형상을 예시로 들었으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우측회전부(16)는 우측회전부(16)의 우단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우측파티션고정홀(16a)을 구비하여, 중계기지지부(12)의 상단 우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우측회전부(16)는 중계기장치(30)의 후측우면을 지지한다.
상기 좌측회전부(17)는 좌측회전부(17)의 좌단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좌측파티션고정홀(17a)을 구비하여, 공유지지부(12)의 상단 좌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좌측회전부(17)는 중계기장치(30)의 후측좌면을 지지한다.
상기 케이블고정체(20)는 케이블고정부(21) 및 케이블지지부(22)를 갖추고서, 각각의 케이블지지부(22) 사이에 LTE 통신라인이 각각 배치된다.
상기 패널 형상의 케이블고정부(21)는 중계기지지부(12)의 전단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케이블고정부(21)는 사각패널형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에 대한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케이블지지부(22)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케이블고정부(21)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케이블지지부(22)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LTE 통신라인이 삽입 설치되도록 4개가 설치된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대한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계기장치(30)는 중계기본체부(31), 중계기우측날개부(32), 중계기좌측날개부(33) 및 통신라인접속부(3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중계기장치(30)는 IP 공유기 타입의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계기본체부(31)는 중계기본체부(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우측고정부(14)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탈되는 'ㄱ'자 형상의 우측날개홈(31a)과, 우측날개홈(31a)과 대향되게 중계기본체부(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좌측고정부(15)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탈되는 'ㄱ'자 형상의 좌측날개홈(31b)을 갖추고서, 중계기고정체(1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우측날개홈(31a) 및 좌측날개홈(31b)은 'ㄱ'자 형상을 예시로 도시되었으나, 우측고정부(14) 및 좌측고정부(15)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어 형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예시로써, 중계기본체부(31)는 공유 기능을 위한 다양한 모듈이 내장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중계 기능을 위한 다양한 중계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중계기우측날개부(32)는 상하로 개구되고 중계기본체부(31)가 우측회전부(16)에 안착될 시 우측파티션고정홀(16a)과 연통되는 중계기우측날개홀(32a)을 갖추고서, 중계기본체부(31)의 우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우측회전부(16)에 중계기우측날개부(32)가 안착될 시 제1체결부재(50)에 의해 중계기우측날개부(32)가 우측회전부(16)에 위치고정된다.
상기 중계기좌측날개부(33)는 상하로 개구되고 중계기본체부(31)가 좌측회전부(17)에 안착될 시 좌측파티션고정홀(17a)과 연통되는 중계기좌측날개홀(33a)을 갖추고서, 중계기본체부(31)의 좌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좌측회전부(17)에 중계기좌측날개부(33)가 안착될 시 제2체결부재(70)에 의해 중계기좌측날개부(32)가 좌측회전부(17)에 위치고정된다.
상기 통신라인접속부(34)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되고, 케이블고정체(20)를 통과한 적어도 2개이상의 LTE 통신라인이 접속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통신라인접속부(34)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LTE 통신라인이 삽입 설치되도록 3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를 들었으나, 이에 대한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체고정볼트(40)는 고정체고정볼트홀(13a)을 관통하되 후측파티션벽체(B2)에 나사산 체결되어, 중계기고정체(10)를 후측파티션벽체(B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한다. 본 발명은 고정체고정볼트(40)가 후측파티션벽체(B2)에 구비된 나사홀에 나사산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고정체고정볼트(40)가 후측파티션벽체(B2)에 직접 박혀 나사산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50)는 우측회전부(16)의 우측파티션고정홀(16a)과 중계기우측날개부(32)의 중계기우측날개홀(32a)에 삽입되어, 중계기우측날개부(32)를 우측회전부(16)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체결부재(50)는 우측회전부(16)의 우측파티션고정홀(16a)과 중계기우측날개부(32)의 중계기우측날개홀(32a)에 나사산 체결되어 중계기우측날개부(32)를 우측회전부(16)에 위치고정한다.
상기 제2체결부재(70)은, 좌측회전부(17)의 좌측파티션고정홀(17a)과 중계기좌측날개부(33)의 중계기좌측날개홀(33a)에 삽입되어, 중계기좌측날개부(33)를 좌측회전부(17)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체결부재(50)는 좌측회전부(17)의 좌측파티션고정홀(17a)과 중계기좌측날개부(33)의 중계기좌측날개홀(33a)에 나사산 체결되어 중계기좌측날개부(33)를 좌측회전부(17)에 위치고정한다.
상기 식별유닛(60)은 코드식별부(61), 출력부(62) 및 제어부(63)를 갖춘다.
상기 코드식별부(61)는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고, 코드가 부여된 LTE 통신라인이 통신라인접속부(34)에 각각 접속되면, 접속된 LTE 통신라인의 코드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코드식별부(61)는 3개의 LTE 통신라인에 대해 코드 식별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 코드식별부(61)가 LTE 통신라인의 코드를 식별하는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LTE 통신라인의 단부에 통신라인접속부(34)와 접속되는 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해당 LTE 통신라인을 나타내는 코드표식체가 구비된다. 이때 통신라인접속부(34)에 상기 연결부가 접속되면, 코드식별부(61)가 상기 코드표식체를 감지하여 해당 LTE 통신라인의 코드를 식별한 후, 해당 코드에 따른 코드식별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코드는 해당 LTE 통신라인에 부여된 번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표식체는 LTE 통신라인마다 그 크기가 다르게 구비되고, 코드식별부(61)는 크기가 다른 각각의 코드표식체를 감지함으로서 LTE 통신라인의 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표식체는 바코드 타입일 수 있으며, 이때 코드식별부(61)가 코드표식체를 읽어 LTE 통식라인의 코드가 식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코드가 부여된 LTE 통신라인이 통신라인접속부(34)에 접속될 시 상기 LTE 통신라인의 코드를 식별할 수 있으면, 이미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62)는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출력부(62)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LTE 통신라인이 3개의 통신라인접속부(34)와 접촉되어 3개의 출력부(62)가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예시를 들었으나, 이에 대한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출력부(62)는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대한 위치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출력부(62)는 제어부(63)에서 구동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되는 LTE 통신라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위치마다 다른 색으로 설정하여 발산하도록 한다. 예시로써, 첫번째 출력부(62)는 빨간색으로, 두번째 출력부(62)는 파란색으로, 세번째 출력부(62)는 노란색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색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63)는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어 코드식별부(61) 및 출력부(62)를 작동제어하고, 코드식별부(61)로부터의 코드식별신호에 따라 출력부(62)에 LTE 통신라인의 접속 상태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제어부(63)는 코드식별부(61)에서 코드식별신호를 전송받고, 코드식별신호를 기초로 출력부(62)를 발산시켜 사용자가 사용되는 LTE 통신라인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63)는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대한 위치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누전감지센서(80)는 중계기본체부(31)에 내설되어, 중계기본체부(31) 내의 누전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누전감지센서(80)는 감지된 누전감지신호를 누전차단유닛(90)과 누전표시등(100)에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누전감지센서(80)는, 중계기본체부(31)에 내설된 각 전기 구성간을 연결하는 통신케이블에 누전이 발생할 시, 이를 감지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누전차단유닛(90)은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중계기본체부(3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누전차단유닛(90)은 중계기본체부(31)의 전원접속구(미도시)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신호를 받으면 전원접속구에 흐르는 전기를 차단한다.
상기 누전표시등(100)은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누전표시등(100)은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된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대한 위치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누전표시등(100)은 색상으로도 표시가 가능하되, 출력부(62)의 색상과 혼동되지 않도록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누전표시등(100)은, 중계기장치(30)에 내설되는 별도의 내장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누전차단유닛(90)이 구동될 시 상기 내장배터리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점등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10)는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화재감지센서(110)는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된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대한 위치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화재감지센서(110)는 감지된 화재감지신호를 송신기(120) 및 경보기(130)에 전송한다.
상기 송신기(12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화재감지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송신기(120)는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된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대한 위치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송신기(120)는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관리자의 휴대용단말기(200)에 송신한다. 참고로 여기서 언급되는 관리자의 휴대용단말기(200)는 소방대원 등 본 발명에서 원거리에 있는 소방대응본부에 있는 기기이고, 송신기(120)로부터 송신된 화재감지신호를 받으면 이를 화면에 출력하여 소방대원 및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송신기(12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중계기장치(30)에 내설된 별도의 내장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서 구동된다.
상기 경보기(130)는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발산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써, 경보기(130)는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된 것을 예시로 들었으나, 이에 대한 위치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경보기(130)는 사전에 설정된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청각적으로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경보기(13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중계기장치(30)에 내설된 별도의 내장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서 구동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누전감지센서(80), 누전차단유닛(90), 누전표시등(100), 화재감지센서(110), 송신기(120), 경보기(130)는 별도의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거나, 식별유닛(60)의 제어부(63)에 의해 작동제어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화재가 감지된 중계기장치의 식별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재감지 및 화재알림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장치(30)가 중계기고정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같이 화재감지센서(110)가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감지신호를 출력하고, 화재감지센서(110)가 출력된 화재감지신호를 송신기(120) 및 경보기(13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송신기(12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받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화재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소방대원 및 관리자들은 송신기(120)로부터 수신한 휴대용단말기(200)에 출력된 화면을 인식하고, 중계기장치(30) 주변에 화재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송신기(12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중계기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된 내장배터리로 구동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송신기(12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받은 소방대원 및 관리자들은, 중계기장치(30)에 화재가 발생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화재진압하도록 출동할 수 있다.
한편, 경보기(13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받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되어 본 발명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가 감지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본 발명의 경보기(130)는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중계기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된 내장배터리로 구동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중계기장치(30)에 근접한 사람들은, 중계기장치(30)에 화재가 발생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피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11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기(130)를 매개로 본 발명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고, 송신기(120)를 매개로 본 발명에서 원거리에 존재하는 소방대원 및 관리자들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어,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하면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계기본체(30)의 설치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B)이 설치된 상태에서, 중계기고정체(10)의 삽입부(11)를 중앙연결체(B5)의 삽입홀(B5a)에 삽입시킨다(도 7 참조). 이때, 사용자는 후측고정부(13)를 후측파티션벽체(B2) 방향으로, 케이블고정체(20)를 전측파티션벽체(B1) 방향으로 한 뒤 설치시킨다.
이어서,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중계기고정체(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우측고정부(14) 및 좌측고정부(15)에 중계기장치(30)를 슬라이드 삽입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우측회전부(16)를 우측으로 회전 및 고정시키고, 좌측회전부(17)를 좌측으로 회전 및 고정시켜서 우측회전부(16)와 대향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우측고정부(14) 및 좌측고정부(15)에 중계기장치(30)를 후측에서 전측으로 슬라이드 삽입시키면서 우측날개홈(31a) 및 좌측날개홈(31b)이 우측파티션고정홀(16a) 및 좌측파티션고정홀(17a)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중계기장치(30)가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체고정볼트(40)를 고정체고정볼트홀(13a)에 관통시키고, 제1체결부재(50)를 우측날개홈(31a) 및 우측파티션고정홀(16a)에 관통시키며, 제2체결부재(70)를 좌측날개홈(31b) 및 좌측파티션고정홀(17a)에 관통시킨다. 이때, 본 발명은 고정체고정볼트(40)를 후측파티션벽체(B2)의 상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시켜 중계기고정체(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체결부재(50)를 매개로 중계기장치(30)의 우측을 중계기고정체(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제2체결부재(70)를 매개로 중계기장치(30)의 좌측을 중계기고정체(10)에 고정시킬 수 있어, 중계기장치(30)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도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LTE 통신라인의 설치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중계기장치(30)가 설치되면, 도 10과 같이 사용자가 케이블고정체(20)의 케이블지지부(22) 마디마다 각각 다수의 LTE 통신라인을 배치시킨다. 이때, LTE 통신라인의 단부에는 통신라인접속부(34)에 접속되는 접속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다수의 LTE 통신라인을 통신라인접속부(34)에 접속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파티션(B)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실내(사무실)에 구비되는 파티션(B)에 설치됨으로서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하면서 안정적 통신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누전이 감지된 중계기장치의 식별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누전감지, 누전차단 및 누전알림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장치(30)가 중계기고정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누전감지센서(80)에서 누전을 감지하면, 감지된 누전감지신호를 누전차단유닛(90) 및 누전표시등(100)에 전송한다. 이때, 누전차단유닛(90)은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받으면, 중계기본체부(31)로의 전원인가를 차단하여, 더 이상 누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누전표시등(100)은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받으면, 점등되어 본 발명에 근접한 사용자에게 누전이 감지되었음을 알린다. 예시로써, 누전표시등(100)은 사전에 설정된 색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누전이 발생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누전표시등(100)은 누전차단유닛(90)이 구동되면, 중계기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된 내장베터리로 구동된다.
본 발명은 누전감지센서(80)에 의해 누전이 감지되면, 누전차단유닛(90)을 매개로 중계기장치(30)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여 사용자가 누전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전표시등(100)을 매개로 중계기장치(30)의 누전발생을 알릴 수 있어, 사용자가 누전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코드가 부여된 통신라인의 식별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코드식별 예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계기장치(30)가 중계기고정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LTE 통신라인이 통신라인접속부(34)에 접속되면, 코드식별부(61)는 해당 LTE 통신라인의 코드를 식별하여 코드식별신호를 출력하고, 코드식별신호를 수신한 제어부(63)는 도 12와 같이 해당 LTE 통신라인의 접속상태를 출력부(62)에 출력(표시)한다. 예시로써,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LTE 통신라인이 통신라인접속부(34)에 접속되면, 코드식별부(61)가 코드를 식별하여 코드식별신호를 출력 및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63)가 접속된 LTE 통신라인의 출력부(62)에 출력을 구동하며, 2개의 출력부(62)가 사전에 설정된 색상이 표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중계기장치(30)에 어느 LTE 통신라인이 접속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해당 LTE 통신라인에 매칭되는 사용 공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별유닛(60)을 매개로 다수개의 LTE 통신라인이 중계기장치(30)에 연결된 것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LTE 통신라인이 접속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해당 LTE 통신라인에 매칭되는 사용 공간을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계기는 제1실시예의 우측고정부(14), 좌측고정부(15), 우측회전부(16), 좌측회전부(17), 제1체결부재(50) 및 제2체결부재(70)가 변형실시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상기 우측고정부(14)는 상단 우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우측회전고정홀(14a)을 갖춘다.
또한, 상기 좌측고정부(15)는 상단 좌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좌측회전고정홀(15a)을 갖춘다.
또한, 제1체결부재(50)는 우측회전부(16)의 우측파티션고정홀(16a)이 우측고정부(14)의 우측회전고정홀(14a)의 하측에 위치할 시 우측회전부(16)와 우측고정부(14)를 체결하거나, 우측회전부(16)의 우측파티션고정홀(16a)이 중계기우측날개부(32)의 중계기우측날개홀(32a)의 하측에 위치할 시 우측회전부(16)와 중계기우측날개부(32)을 체결한다.
또한, 제2체결부재(70)는 좌측회전부(17)의 좌측파티션고정홀(17a)이 좌측고정부(15)의 좌측회전고정홀(15a)의 하측에 위치할 시 좌측회전부(17)와 좌측고정부(15)를 체결하거나, 좌측회전부(17)의 좌측파티션고정홀(17a)이 중계기좌측날개부(33)의 중계기좌측날개홀(33a)의 하측에 위치할 시 좌측회전부(17)와 중계기좌측날개부(33)을 체결한다.
본 발명은,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를 각각 제1체결부재(50) 및 제2체결부재(70)를 매개로 우측고정부(14) 및 좌측고정부(15)에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중계기고정체(10)를 소지하여 이동하기 편리하면서도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가 멋대로 회전하여 손상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를 중계기장치(30)에 고정할 시에는 동일한 제1체결부재(50) 및 제2체결부재(70)를 매개로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에 중계기장치(30)를 고정시킬 수 있어, 제1체결부재(50) 및 제2체결부재(70)를 이용하여 우측고정부(14) 및 좌측고정부(15)와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의 고정작업 및, 중계기장치(30)와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의 고정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화재감지센서(11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기(130)를 매개로 본 발명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고, 송신기(120)를 매개로 본 발명에서 원거리에 존재하는 소방대원 및 관리자들에게 화재발생을 알릴 수 있어, 화재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하면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전감지센서(80)에 의해 누전이 감지되면, 누전차단유닛(90)을 매개로 중계기장치(30)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여 사용자가 누전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누전표시등(100)을 매개로 중계기장치(30)의 누전발생을 알릴 수 있어, 사용자가 누전발생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별유닛(60)을 매개로 다수개의 LTE 통신라인이 중계기장치(30)에 연결된 것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출력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어느 LTE 통신라인이 접속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해당 LTE 통신라인에 매칭되는 사용 공간을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파티션(B)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실내(사무실)에 구비되는 파티션(B)에 설치됨으로서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하면서 안정적 통신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시예를 더해, 하기의 이점이 부가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를 각각 제1체결부재(50) 및 제2체결부재(70)를 매개로 우측고정부(14) 및 좌측고정부(15)에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중계기고정체(10)를 소지하여 이동하기 편리하면서도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가 멋대로 회전하여 손상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를 중계기장치(30)에 고정할 시에는 동일한 제1체결부재(50) 및 제2체결부재(70)를 매개로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에 중계기장치(30)를 고정시킬 수 있어, 제1체결부재(50) 및 제2체결부재(70)를 이용하여 우측고정부(14) 및 좌측고정부(15)와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의 고정작업 및, 중계기장치(30)와 우측회전부(16) 및 좌측회전부(17)의 고정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UTP를 활용하여 LTE 통신라인이 접속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로 정의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중계기고정체 11: 삽입부
12: 중계기지지부 13: 후측고정부
14: 우측고정부 15: 좌측고정부
16: 우측회전부 17: 좌측회전부
20: 케이블고정체 21: 케이블고정부
22: 케이블지지부 30: 무선중계기
31: 중계기본체부 32: 중계기우측날개부
33: 중계기좌측날개부 34: 통신라인접속부
40: 고정체고정볼트 50: 제1체결부재
70: 제2체결부재 60: 식별유닛
61: 코드식별부 62: 출력부
63: 제어부 80: 누전감지센서
90: 누전차단유닛 100: 누전표시등
110: 화재감지센서 120: 송신기
130: 경보기

Claims (1)

  1.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홀(B5a)을 구비한 사각바 형상의 중앙연결체(B5)와, 중앙연결체(B5)의 둘레면에 각각 설치되는 사각패널 형상의 전,후,좌,우측파티션벽체(B1~B4)를 갖춘 파티션(B) 중앙연결체(B5)의 삽입홀(B5a)에 삽탈되는 삽입부(11); 삽입부(11)의 상측에 설치되되 중앙연결체(B5)보다 큰 크기를 갖는 중계기지지부(12); 상하로 개구된 고정체고정볼트홀(13a)을 구비하여, 중계기지지부(12)의 후측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후측고정부(13); 후측고정부(13)의 상단 우측에 구비되되 후측고정부(13)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구비되는 'ㄱ'자 형상의 우측고정부(14); 후측고정부(13)의 상단 좌측에 구비되되 우측고정부(14)와 대향되게 구비되는 'ㄱ'자 형상의 좌측고정부(15); 우측회전부(16)의 우단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우측파티션고정홀(16a)을 구비하여, 중계기지지부(12)의 상단 우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우측회전부(16); 좌측회전부(17)의 좌단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좌측파티션고정홀(17a)을 구비하여, 공유지지부(12)의 상단 좌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측회전부(17);를 갖춘 중계기고정체(10)와;
    중계기지지부(12)의 전단에 구비되는 패널 형상의 케이블고정부(21); 케이블고정부(21)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케이블지지부(22);를 갖추고, 각각의 케이블지지부(22) 사이에 LTE 통신라인이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고정체(20)와;
    중계기본체부(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우측고정부(14)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탈되는 'ㄱ'자 형상의 우측날개홈(31a)과, 우측날개홈(31a)과 대향되게 중계기본체부(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좌측고정부(15)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삽탈되는 'ㄱ'자 형상의 좌측날개홈(31b)을 갖추고서, 중계기고정체(1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계기본체부(31); 상하로 개구되고 중계기본체부(31)가 우측회전부(16)에 안착될 시 우측파티션고정홀(16a)과 연통되는 중계기우측날개홀(32a)을 갖추고서, 중계기본체부(31)의 우측에 구비되는 중계기우측날개부(32); 상하로 개구되고 중계기본체부(31)가 좌측회전부(17)에 안착될 시 좌측파티션고정홀(17a)과 연통되는 중계기좌측날개홀(33a)을 갖추고서, 중계기본체부(31)의 좌측에 구비되는 중계기좌측날개부(33);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되고, 케이블고정체(20)를 통과한 적어도 2개이상의 LTE 통신라인이 접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신라인접속부(34);를 갖춘 중계기장치(30)와;
    고정체고정볼트홀(13a)을 관통하되 후측파티션벽체(B2)에 나사산 체결되어, 중계기고정체(10)를 후측파티션(B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고정체고정볼트(40)와;
    우측회전부(16)의 우측파티션고정홀(16a)과 중계기우측날개부(32)의 중계기우측날개홀(32a)에 삽입되어, 중계기우측날개부(32)를 우측회전부(16)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체결부재(50)와;
    좌측회전부(17)의 좌측파티션고정홀(17a)과 중계기좌측날개부(33)의 중계기좌측날개홀(33a)에 삽입되어, 중계기좌측날개부(33)를 좌측회전부(17)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70)와;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고, 코드가 부여된 LTE 통신라인이 통신라인접속부(34)에 각각 접속되면, 접속된 LTE 통신라인의 코드를 식별하는 코드식별부(61);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출력부(62);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어 코드식별부(61) 및 출력부(62)를 작동제어하고, 코드식별부(61)로부터의 코드식별신호에 따라 출력부(62)에 LTE 통신라인의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63)를 갖춘 식별유닛(60)과;
    중계기본체부(31)에 내설되어, 중계기본체부(31) 내의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80)와;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중계기본체부(3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누전차단유닛(90)과;
    중계기본체부(31)에 설치되고, 누전감지센서(80)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점등되는 누전표시등(100)과;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되고,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10)와;
    중계기본체부(31)의 측면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외부로 화재감지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120)와;
    중계기본체부(31)의 상단에 설치되고, 화재감지센서(11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음을 발산하는 경보기(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KR1020210064854A 2021-05-20 2021-05-20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KR102318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54A KR102318593B1 (ko) 2021-05-20 2021-05-20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854A KR102318593B1 (ko) 2021-05-20 2021-05-20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593B1 true KR102318593B1 (ko) 2021-10-29

Family

ID=7823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854A KR102318593B1 (ko) 2021-05-20 2021-05-20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5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28B1 (ko) 2012-05-07 2013-11-07 (주)비트엠 공유기가 내장된 모니터
KR20190072703A (ko) * 2017-12-15 2019-06-26 진영배 재난사고 비상 신호의 전송 안전시스템 및 전송안전 관리방법
KR102214034B1 (ko) * 2019-11-01 2021-02-09 (주) 에이앤티에스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및 그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528B1 (ko) 2012-05-07 2013-11-07 (주)비트엠 공유기가 내장된 모니터
KR20190072703A (ko) * 2017-12-15 2019-06-26 진영배 재난사고 비상 신호의 전송 안전시스템 및 전송안전 관리방법
KR102214034B1 (ko) * 2019-11-01 2021-02-09 (주) 에이앤티에스 중계기 고정용 브라켓 및 그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3548B2 (en) Multi-function egress path device
KR102363430B1 (ko) 원격관리가 가능한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행거기구
KR101658734B1 (ko) 광산 및 지하 폐쇄지역에 적합한 통합 안전관리 장치
JP2010012032A (ja) Led表示消火栓
CA3092676A1 (en) Fire detection system
KR20160005641A (ko) 대피용 다목적 안전도구함
KR101909157B1 (ko) 소방배관 내 유수감지를 이용한 화재경보시스템
KR102318593B1 (ko) Lte 통신 접속가능형 utp 활용 중계기
KR20050045965A (ko) 비상탈출 유도장치
KR102318595B1 (ko) 옥내 통신 케이블 접속형 다용도 복합중계기
US20100201529A1 (en) Method of facilitating access to operator functions of hazardous condition alarm
KR102318590B1 (ko) 통신케이블 누전차단형 통신트레이
KR102054319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102016028B1 (ko) 소화기 거치대
KR102224167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200462003Y1 (ko) 대피 정보 안내 장치
KR20180000053A (ko) 다방향 불꽃감지기
CN106097633A (zh) 一种智能化火灾监测系统
KR20170071706A (ko) 소화기 위치 및 탈출경로 표시 시스템
JP4683214B2 (ja) 誘導灯装置
WO2014202321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potentially harmful events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JP7109614B2 (ja) 警報システムのグループ間移報装置
KR102318592B1 (ko) Lte 통신라인의 코드 식별 기능을 갖는 ip공유기
KR102347970B1 (ko) 통신 분선 인입 기능을 구비한 접속 커넥터
CN210776260U (zh) 一种可燃气体控制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