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028B1 - 소화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소화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028B1
KR102016028B1 KR1020190027483A KR20190027483A KR102016028B1 KR 102016028 B1 KR102016028 B1 KR 102016028B1 KR 1020190027483 A KR1020190027483 A KR 1020190027483A KR 20190027483 A KR20190027483 A KR 20190027483A KR 102016028 B1 KR102016028 B1 KR 10201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er
unit
bent portion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가영
윤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에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에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에스코
Priority to KR102019002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3Signalling to neighbouring hou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소화기 위치를 알려주어 화재를 신속하게 초기 진압할 수 있게 하며, 평상시에는 미세먼지 정보를 표시하는 소화기 거치대를 제안한다. 이러한 소화기 거치대는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화재 감지에 필요한 최소전원만을 공급받으면서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램프 및 소리를 통해 화재발생사실 및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주는 점등부 및 스피커;, 화재발생이 미감지되는 평상시에는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정보를 표시하는 미세먼지 표시부,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전원 충전식 또는 장착된 배터리를 통해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소화기 거치대{Fire extinguisher cradle}
본 발명은 소화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소화기 위치를 알려주어 화재를 신속하게 초기 진압할 수 있게 하며, 평상시에는 미세먼지 정보등을 표시하는 소화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는 건물 내/외부의 규정된 장소와 거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를 비치해놓도록 되어 있고, 아울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도 필요한 곳에 소화기가 비치된다. 소화기는 소화 약제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1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때 사용되며 개인적으로 손으로 들고서 불을 향해 소화 약제를 분사하여 불을 소화할 수 있는 기구이다.
현재 이러한 소화기를 거치하는 거치장치는 소화기에 맞게 제작되기 때문에 특별한 기능 없이 단순 거치용으로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소화기의 놓여진 위치를 알 수 없어 초기 대응이 쉽지 않았다.
소화기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방안으로 한국등록특허 10-1731709호(선행문헌)를 통해 소화기용 거치대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화재시 소화기를 사용하거나 도난을 위해 소화기를 가져갈 경우 비상벨이 울리는 구조이고, 이러한 비상벨의 작동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화재가 발생한 후 소화기가 파지대의 수용 홈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한하여 외부에 화재 또는 도난을 통보하는 것이다. 이는 다시 말해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는 소화기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당황하여 늘 비치되어 있는 소화기의 위치를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화재 발생을 초기에 인지하더라도 초기 진압을 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한다. 특히 소화기의 위치를 평소에 인지하더라도 화재가 발생하면 전기 차단으로 인해 어둠 및 연기로 인하여 소화기를 찾지 못하여 화재 진압을 할 수 없어 큰 피해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소화기의 중요성은 인지하나 안전 불감증과 공간의 미적인 인테리어로 인하여 소화기를 정해진 위치가 아닌 보이지 않는 장소에 비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역시 화재 발생시 초기 대응을 하지 못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시점에 소화기의 위치를 불특정 다수에게 알려줄 수 있는 소화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화기의 단순 거치용인 아닌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평상시에도 사용의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소화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화재 감지에 필요한 최소전원만을 공급받으면서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램프 및 소리를 통해 화재발생사실 및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주는 점등부 및 스피커; 화재발생이 미감지되는 평상시에는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정보를 표시하는 미세먼지 표시부; 상기 감지부, 점등부, 스피커, 미세먼지 표시부,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전원 충전식 또는 장착된 배터리를 통해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시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화재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소화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거치대는, 지면에 지지되며 소화기가 설치되게 상기 안착부가 요홈 형성되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소화기 거치대를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에 상기 감지부, 점등부, 스피커, 미세먼지 표시부, 제어부,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거치대는, 소화기 안착부가 형성되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일단에서 연속해서 절곡 형성된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와 제1 절곡부,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가 각각 연결된 단부는 회동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의 절곡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화기 거치대는 상기 제어부가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이웃하는 소화기 거치대로 전송하여, 해당하는 소화기 거치대가 화재발생사실과 소화기 위치를 알려주도록 자신의 점등부 및 스피커를 구동시키도록 하며, 다른 이웃하는 소화기 거치대로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소화기 거치대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발생사실을 경보함과 더불어 불특정 다수가 소화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며, 평상시에는 미세정보를 표시하고 있어, 소화기 거치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화재 발생시 소화기 거치대는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화재발생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고 있어, 적극적인 화재진압과 대피가 가능한 재난안전시스템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소화기 거치대는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이웃하는 소화기 거치대로 전송하는 스마트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화재발생공간이 넓더라도 화재발생사실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거치대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소화기 거치대의 사용 예를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웃하는 소화기 거치대와 협업하여 화재발생 사실을 경보하는 예를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면 불특정 다수가 소화기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하고, 평상시에는 미세먼지 정보를 표시하는 소화기 거치대를 제안하는 것이고,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거치대(100)는 지면에 지지되는 소정 형상의 본체부(101) 및 본체부(10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소화기 거치대를 잡고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103)가 일체로 구성된다.
본체부(101)는 소화기의 사이즈에 따라 소화기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소화기의 저면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110)가 요홈 형성된다. 안착부(110)는 소화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도록 해야 하며 화재 발생시에는 사용자가 쉽게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체부(101) 및 손잡이부(103)의 적어도 하나에는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111)가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이러한 감지부(111)가 1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후술하는 다양한 센서들이 복수 개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부(101)에 감지부(111)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감지부(111)는 화재의 초기 진압을 위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초기에 빠르게 감지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감지수단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불꽃 또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가 본체부(101)의 외면에 설치된다. 또는 화재 발생시 실내/외의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이러한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감지센서도 설치될 수 있다. 즉 화재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나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감지부(111)가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불특정 다수가 소화기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어둡거나 연기로 인한 조건에서도 쉽게 소화기를 찾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소화기 거치대(100)의 본체부(101)에는 불빛을 점등하는 점등부(112) 및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14)가 마련된다. 점등부(112)는 불빛이 계속 점등되거나 소정 시간 주기로 하여 점멸되게 할 수 있고, 스피커(114) 역시 경보음이 지속적으로 출력되거나 싸이렌과 같이 경보음이 출력되게 한다. 이러한 점등부(112) 및 스피커(114)의 기능에 따라서 불특정 다수는 소화기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화재발생에 대한 빠른 대응 및 대피가 가능하게 됨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소화기 거치대(100)는 평상시 미세정보 및 온도/습도 정보와 같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은 불특정 다수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120)가 본체부(101)에 마련된다. 표시부(120)는 미세먼지 정보의 정도를 다단계로 표시할 수 있도록 LCD 장치나 LED 램프가 채용되며, 온도/습도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LCD 장치로 구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만, 제1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거치대에는 도면과 같이 LED 램프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정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부(101)의 일 측에는 전원공급부(118)가 마련된다. 전원공급부(118)는 충전식 또는 배터리 장착형 모두 가능하다. 충전식인 경우 주기적으로 충전이 필요하며, 배터리 장착형은 일반 배터리 또는 충전식 배터리 모두 사용 가능하다. 배터리 장착을 위해 본체부(101)에는 배터리 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되며, 배터리 안착부에는 덮개가 설치된다. 아울러 충전상태 및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표시하는 잔량 표시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잔량 표시부는 상기한 LED 램프나 LCD 장치와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전원공급부(118)의 전원은 상기 불꽃감지센서 및 연기감지센서와 같은 감지부(111)에는 상시 전원이 공급되되, 감지부(111)의 감지 기능을 위한 최소 전원만이 공급되게 하고, 점등부(112) 및 스피커(114)에는 화재가 발생한 시점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동작은 후술하는 제어부가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본체부(101)의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도면부호를 부여하지는 않았다.
본체부(101)에는 통신부(116)가 내장된다. 통신부(116)는 일반 보드 형태로 본체부(101) 내부에 구비되나, 도면과 같이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통신부(116)는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받고, 또한 화재가 발생하면 미리 저장된 개소(예를 들면 소방서 및 관리자 등)로 화재발생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그리고 통신부(116)는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되, 바람직하게는 무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사용자 위치정보는 블루투스 기능으로 제공받고, 와이파이망을 통해서는 API 통신으로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받거나 화재발생 알림메시지를 제공한다. 물론 이러한 통신방식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미세먼지 정보나 화재발생 알림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최적의 통신방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통신부(116)는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111)의 감지결과를 이웃하는 소화기 거치대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이는 화재발생된 장소의 모든 소화기 거치대를 통해 화재발생사실을 신속하게 알리는 스마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화재발생시 소정 개소에 설치된 모든 소화기 거치대가 동시에 감지하지 못한다. 또는 일부 소화기 거치대의 감지부가 정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어느 하나의 소화기 거치대만 점등부 및 스피커를 구동할 것이고, 이는 장소가 넓거나 장애물 등으로 화재발생지점과 차단된 경우 화재발생 사실을 불특정 다수가 인지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소화기 거치대(100)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이웃하거나 인접하는 소화기 거치대로 감지결과를 전송하고 그 소화기 거치대가 자신의 점등부 및 스피커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감지결과를 전송받은 다른 소화기 거치대는 이웃하는 또 다른 소화기 거치대로 순차적이고 연속적으로 감지결과를 전송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화재 발생한 장소에 설치된 모든 또는 대부분의 소화기 거치대가 화재발생사실을 알릴 수 있게 함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된다. 제어부는 감지부(111)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점등부(112)와 스피커(114)를 구동시키면서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화재발생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웃하는 소화기 거치대로 화재발생 감지사실을 전송하며, 평상시에는 미세먼지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거치대(200)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소화기 거치대(200) 역시 상술한 제1 실시 예의 소화기 거치대(100)와 마찬가지로 화재가 발생하면 불특정 다수가 소화기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하고, 평상시에는 미세먼지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들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구성들은 중복되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의 소화기 거치대(200)는 저면부(201), 저면부(20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202), 수직부(202)의 일단에서 연속해서 절곡 형성된 제1 절곡부(203) 및 제2 절곡부(204)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저면부(201)에 소화기 안착부(210)가 형성되며, 수직부(202)에 점등부(212) 및 스피커(2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부(202)에는 경우에 따라서 감지센서들이 설치된다.
제1 절곡부(203)에는 미세먼지정보를 표시하는 LCD 장치인 표시부(220)가 마련되며,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부(216)도 마련된다. 또한 내부에는 전원공급부(218)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 절곡부(204)는 작업자가 소화기 거치대를 파지한 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미도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거나 상부에서 낙하할 수 있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절곡부(203) 및 제2 절곡부(204)는 절곡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수직부(202)와 제1 절곡부(203), 제1 절곡부(203)와 제2 절곡부(204)가 각각 연결되고 있는 단부가 각각 회동구조로 구성되어, 제1 절곡부(203)를 수직부(202)와 같이 수직하게 세우거나 소정 각도로 변경할 수 있고, 제2 절곡부(204)를 제1 절곡부(204)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회동구조는 힌지 결합이나 기어 결합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각도 조절기능으로 말미암아 소화기 거치대(200)를 설치장소에 따라서 다양한 모양으로 적절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것이다.
이러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서 제공하는 소화기 거치대(100, 200)는 스탠드형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벽면 등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벽걸이형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제1 실시 예에서는 손잡이부(103)를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고, 제2 실시 예 역시 제2 절곡부(204)를 체결수단으로 벽면 등에 고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수직부(202)를 벽멱에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제안하는 소화기 거치대(100, 200)는 거치 될 위치에 따라 스탠드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화기 거치대(100, 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상태(S100)이지만 제1단계(S101)의 화재발생감지 결과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미세먼지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S103). 그리고 미세먼지 정보는 제어부가 셋팅한 시간주기에 따라 통신부(116, 216)를 통해 전송받고 표시하게 된다.
감지부(111,211)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점등부(112,212) 및 스피커(114, 214)를 구동시켜 불빛을 점등하고 경보음을 출력하여 주위의 불특정 다수에게 화재발생사실을 경보함과 아울러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준다(S105). 그리고 동시에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등록 연락처로 화재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106).
따라서, 소화기 거치대(100, 200)의 경보를 통해 불특정 다수는 소화기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1차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하고, 아울러 소방서 등은 화재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어 1차적 초기 대응이 어렵더라도 추가적인 화재진압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소화기 거치대는 이웃하는 다른 소화기 거치대와 협력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화재발생 사실을 경보하고 소화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발생을 감지한 소화기 거치대(100, 200)는(S110), 점등부(112, 212) 및 스피커(114, 214)를 구동시키는데(S112), 이와 동시에 이웃하는 소화기 거치대로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전송한다(S114). 그리고 감지정보를 전송받은 다른 소화기 거치대는 자신의 점등부 및 스피커를 구동시킨다(S116).
이러한 과정은 화재발생 장소에 설치된 모든 소화기 거치대로 감지정보가 전송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되고, 결과적으로 화재발생 장소의 소화기 거치대 모두 점등부 및 스피커가 구동되기 때문에, 불특정 다수는 그만큼 화재발생사실을 더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불빛 램프와 소리를 통해 소화기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화재진압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화재발생 알림 메시지는 최초 화재발생을 감지한 소화기 거치대만 1회 이상 전송되도록 셋팅된다. 이는 모든 소화기 거치대가 화재발생사실을 소방서 등으로 전송할 경우 필요 이상의 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소화기 거치대
101: 본체부 103: 손잡이부
110, 210: 안착부 111, 211: 감지부
112, 212: 점등부 114, 214: 스피커
116, 216: 통신부 118, 218: 전원공급부
120, 220: 표시부
201: 저면부 202: 수직부
203: 제1 절곡부 204: 제2 절곡부

Claims (4)

  1.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210);
    화재 감지에 필요한 최소전원만을 공급받으면서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211);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의 제어동작에 따라 램프 및 소리를 통해 화재발생사실 및 상기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주는 점등부(212) 및 스피커(214);
    화재발생이 미감지되는 평상시에는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정보, 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220);
    상기 감지부(211), 점등부(212), 스피커(214), 표시부(220) 및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전원 충전식 또는 장착된 배터리를 통해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18)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218)는 충전상태 및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표시하는 잔량 표시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화재발생시 미리 등록된 연락처로 화재발생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소화기 안착부(210)가 형성되는 저면부(201);
    상기 저면부(20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202);
    상기 수직부(202)의 일단에서 연속해서 절곡 형성된 제1 절곡부(203) 및 제2 절곡부(20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202)와 제1 절곡부(203), 제1 절곡부(203)와 제2 절곡부(204)가 각각 연결된 단부는 힌지 결합의 회동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절곡부(203) 및 제2 절곡부(204)의 절곡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27483A 2019-03-11 2019-03-11 소화기 거치대 KR10201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483A KR102016028B1 (ko) 2019-03-11 2019-03-11 소화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483A KR102016028B1 (ko) 2019-03-11 2019-03-11 소화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028B1 true KR102016028B1 (ko) 2019-08-29

Family

ID=6777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483A KR102016028B1 (ko) 2019-03-11 2019-03-11 소화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0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765B1 (ko) * 2019-12-19 2020-03-06 (주) 천기화생활과학연구소 소화기 거치대와 소화기 분리 여부에 따른 긴급 알람 시스템
KR102522411B1 (ko) * 2022-03-31 2023-04-17 주식회사 다우기업 쥐 포획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80042U (zh) * 2014-12-13 2015-06-10 林建伟 一种改进的灭火器及灭火器箱子
JP3198682U (ja) * 2015-04-30 2015-07-16 株式会社ネクスコ・メンテナンス北海道 携行用消火器ホルダー
KR101669940B1 (ko) * 2015-08-20 2016-10-27 박세용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
KR101903692B1 (ko) * 2018-04-12 2018-10-02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스마트형 화재 감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80042U (zh) * 2014-12-13 2015-06-10 林建伟 一种改进的灭火器及灭火器箱子
JP3198682U (ja) * 2015-04-30 2015-07-16 株式会社ネクスコ・メンテナンス北海道 携行用消火器ホルダー
KR101669940B1 (ko) * 2015-08-20 2016-10-27 박세용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
KR101903692B1 (ko) * 2018-04-12 2018-10-02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스마트형 화재 감지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8682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765B1 (ko) * 2019-12-19 2020-03-06 (주) 천기화생활과학연구소 소화기 거치대와 소화기 분리 여부에 따른 긴급 알람 시스템
KR102522411B1 (ko) * 2022-03-31 2023-04-17 주식회사 다우기업 쥐 포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8642B1 (en)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KR101765524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멀티경보가 가능한 휴대용 소화기 거치대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US99908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egress and monitoring system
KR102016028B1 (ko) 소화기 거치대
CN109819676B (zh) 具有灾难警报及灾难训练功能的led照明灯系统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6440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JP2010012032A (ja) Led表示消火栓
KR101775770B1 (ko) 소방용 비상 경보장치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20160005641A (ko) 대피용 다목적 안전도구함
KR200378294Y1 (ko)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JP3147874U (ja) 警報器
JP2013073499A (ja) 災害表示システムおよび災害監視装置および災害表示装置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JP6396750B2 (ja) 火災感知器又は火災警報器
ES2426472T3 (es) Soporte para extintores de incendios
KR101925876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132125B1 (ko)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GB2559368A (en) Apparatus for use within a fire protection system
JP5944971B2 (ja) 非常時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