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125B1 -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125B1
KR102132125B1 KR1020190125581A KR20190125581A KR102132125B1 KR 102132125 B1 KR102132125 B1 KR 102132125B1 KR 1020190125581 A KR1020190125581 A KR 1020190125581A KR 20190125581 A KR20190125581 A KR 20190125581A KR 102132125 B1 KR102132125 B1 KR 102132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location
terminal
firefighting
suppl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저스티스
주식회사 엘에스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저스티스, 주식회사 엘에스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저스티스
Priority to KR102019012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예를 들어, 대피자, 인근 주민, 관리자, 소방업무 담당자, 소방대원 등)에게 소화기나 손전등, 방호용 마스크 등의 소방용품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내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전자적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시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P2P 네트워크를 통해 신속한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를 감지하고 소방용품을 알려주는 구성들을 설치함에 있어,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구성들을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건물마다 서로 다른 형태로 구축된 다양한 소방설비에 쉽게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 분야 및 소방 용품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Firefighting goods location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예를 들어, 대피자, 인근 주민, 관리자, 소방업무 담당자, 소방대원 등)에게 소화기나 손전등, 방호용 마스크 등의 소방용품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내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전자적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시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P2P통신으로 신속한 정보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대규모의 재해 중 하나이지만, 지진 등과 같은 재해와는 다르게 초기의 대응에 따라 그 규모가 달라지므로, 화재 발생시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부분의 건물 등에는 일정 구역마다 소화기를 구비하고 있거나, 옥내소화전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발생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로 등에 소화기나 옥내소화전이 있는 곳을 표시하는 표지판 등이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화재발생시 화염과 더불어 연기와 유독성 가스가 발생되는데, 대피시 연기와 유독성 가스를 피해 최대한 몸을 낮춰서 대피하게 되며, 이러한 상황에서 벽 등에 부착된 표지판을 확인하여 소화기나 옥내소화전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힘든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소화기나 옥내소화전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513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9940호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는, 다양한 전자식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광학정보나 음성정보 등을 이용하여,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발생하는 연기나 유독가스 등으로 인해 시야확보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광학정보를 통해 소화기의 위치를 찾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며, 많은 사람들이 대피하는 속에서 음성정보를 듣는 것 또한 매우 어려운 일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선행기술들은 전자식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화염이나 연기발생, 온도변화 등의 주위환경을 측정하는 전자식센서는 그 특성상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온도, 습도 등의 외부환경요인과 통행자 등에 의한 외부충격 등으로 인해 손상되거나 파손, 고장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평상시 외적요인(예를 들어, 실내인테리어 작업시 용접 등에 따른 연기나 불꽃, 온도상승 등)이나 화재시 연기나 고온의 화염 등으로 인해 오동작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9513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9940호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예를 들어, 대피자, 인근 주민, 관리자, 소방업무 담당자, 소방대원 등)에게 소화기나 손전등, 방호용 마스크 등의 소방용품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내해 줄 수 있는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전자적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설치시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P2P통신으로 신속한 정보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대피로의 바닥에 소방용품의 종류와 위치를 알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연기나 유독성 가스를 피해 대피하는 사람들이, 허리를 굽혀 자세를 낮춘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원하는 소방용품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은,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소화전의 경보동작을 감지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하는 감지단말기; 및 소방용품에 구성되거나 소방용품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용품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위치알림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단말기는, 상기 소화전에 구성된 경종의 경고음, 경종의 진동 및 상기 화재감지신호의 수신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화재확인조건에 기초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전은 건물 내부에 복수 개가 구성되고, 상기 감지단말기는, 복수 개의 소화전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IoT기반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감지단말기가 IoT기반의 센세네트워크를 통해, 각 소화전이 비치된 위치에 따라 해당 소화전 별로 설정된 화재확인조건을 확인하고, 복수 개의 감지단말기 중 일정 개수 이상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전은 건물 내부에 복수 개가 구성되고, 상기 감지단말기는, 복수 개의 소화전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IoT기반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감지단말기가 IoT기반의 센세네트워크를 통해, 복수 개의 감지단말기 중 일정 개수 이상이 경보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단말기는, 상기 소화전에 구성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종의 진동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압전소자; 및 평상시 슬립모드로 대기하는 상태에서,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알림단말기는, 평상시 슬립모드로 대기하는 상태에서, 상기 감지단말기로부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액티브모드로 전환되어,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는 능동형 RF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알림단말기는, 복수 개의 소방용품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가 IoT기반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복수 개의 위치알림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알림단말기에 구성된 능동형 RFID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이웃하는 위치알림단말기에 구성된 능동형 RFDI와 P2P통신을 수행하여, 화재발생상황을 순차적으로 전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알림단말기와 연동되며, 상기 알림요청신호를 수신한 위치알림단말기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소방용품이 위치하는 방향을 바닥에 디스플레이하는 빔프로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프로젝터는, 화재발생시 해당 지역 또는 건물에서의 대피방향을 포함하는 대피정보를 바닥에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알림단말기는, 화재가 발생한 지역 또는 건물을 고위험영역과 저위험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고위험영역에 위치한 소방용품은 소방대원이 휴대한 단말기로 안내하고, 저위험영역에 위치한 소방용품은 음성정보, 시각정보, 일반인이 휴대한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일반인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알림단말기는, 인접한 상용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상용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최근 일정기간동안 해당 기지국에 접속된 일일평균접속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인 휴대단말기에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해당 기지국에 요청하거나, 최근 일정기간동안 해당 시간대에 해당 기지국에 접속된 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인 휴대단말기에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해당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해당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예를 들어, 대피자, 인근 주민, 관리자, 소방업무 담당자, 소방대원 등)에게 소화기나 손전등, 방호용 마스크 등의 소방용품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내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소방용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용품사용자에게 시각정보 및 소리정보에 의한 안내와 더불어, 용품사용자가 휴대한 휴대단말기에 디지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장 상황의 악조건 속에서도 정확한 정보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종의 경고음 및 진동, 경종을 동작시키는 전원의 공급 감지이나 경종을 동작시키는 화재감지신호의 수신감지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복합적인 방법을 통해 화재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정확한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감지단말기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되도록 하여, 통신망의 음영지역을 최소화함으로써, 신뢰성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화염이나 연기발생, 온도변화 등의 주위환경을 측정하는 전자적 센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실내인테리어 작업시 용접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나 불꽃, 온도의 상승 등을 화재로 인식하는 오류 등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를 감지하고 소방용품을 알려주는 구성들을 설치함에 있어,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구성들을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건물마다 서로 다른 형태로 구축된 다양한 소방설비에 쉽게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소화전의 경종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에드온 방식으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외부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용품에 구성되는 위치알림단말기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P2P통신으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해 상용통신망에 음영지역이 발생하더라도 P2P 네트워크를 통해 신속한 정보전달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대피로의 바닥에 소방용품의 종류와 위치를 알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연기나 유독성 가스를 피해 대피하는 사람들이, 허리를 굽혀 자세를 낮춘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원하는 소방용품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소방 분야 및 소방 용품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은 감지단말기(100) 및 위치알림단말기(200)를 포함한다.
감지단말기(100)는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소화전(300)의 경보동작을 감지하면,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한다. 다시 말해, 감지단말기(100)는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소화전의 경보동작을 감지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소화전(300)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옥내에 설치되는 소화전(300)은 내부에 소방호스가 보관되어 있는 함형태의 설비이며, 경종, 소화전표시등, 가압송수펌프 기동용 푸시버튼 스위치 등이 구성되어 있으며, 화재 발생시 함에 설치된 버튼이나 별도의 화재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해당 버튼이나 스위치로부터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고, 그에 따라 경종이 동작되어 경보음(경보동작)이 울리게 된다.
이에 감지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소화전(300)에 설치된 경종(310)이 동작되면 이를 감지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감지단말기(100)가 경종(310)의 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경종(310)에서 발생되는 경고음을 감지하는 방법, 경종(310)의 진동을 감지하는 방법, 경종(310)을 동작시키는 전원의 공급을 감지하는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지단말기(100)는 경종(310)에서 발생되는 경고음을 감지하는 마이크(101), 경종(310)의 진동을 감지하는 압전소자(110), 그리고 경종(310)을 동작시키는 전원공급부인 구동모듈(311)이 경종(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어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제어모듈(120)은 마이크(101) 및 압전소자(110)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경종(310)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종(310)을 동작시키기 위한 화재감지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감지단말기(100)는 온도센서, 연기센서, 광센서 등과 같이 화염이나 연기발생, 온도변화 등의 주위환경을 측정하는 전자적센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화재의 발생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내인테리어 작업시 용접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나 불꽃, 온도의 상승 등을 화재로 인식하는 오류 등도 방지할 수 있다.
위치알림단말기(200)는 소방용품(400)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소방용품(400)에 인접한 위치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감지단말기(100)로부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소방용품(400)의 위치를 용품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예를 들어, 용품사용자는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는 대피자, 화재현장 인근 주민, 인근 상인, 지역관리자, 소방담당자, 화재발생에 의해 출동한 소방대원 중 적어도 한 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위치알림단말기(200)는 화재 발생시, 출력모듈(210)을 이용하여 음성정보, 시각정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으며, 화재현장에 있는 대피자, 주민, 상인 등에게 음성정보이나 시각정보로 직접 안내하거나, 지역관리자나 소방담당자, 소방대원 등의 휴대단말기(500)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어떤 종류의 소방용품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안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층별 또는 위치 별로 다수의 소화전(300)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소화전(300)마다 감지단말기(1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감지단말기(100)가 설치된 소화전(300)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을 하는 경우,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감지단말기(100)는 어느 하나의 소화전(300)에 구성된 경종(310)의 경고음, 경종의 진동, 그리고 화재감지신호 수신 및 이에 따른 전원공급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화재확인조건에 기초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단말기(1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소화전(300)이 비치된 위치에 따라 해당 소화전(300) 별로 설정된 화재확인조건을 확인하고, 복수 개 중 일정 개수 이상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단말기(100)는 보일러실과 같이 소음과 진동이 큰 장소에서는, 경종(310)의 경고음이나 진동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화재감지신호 수신 및 이에 따른 전원공급 여부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감지단말기(1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로 연동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감지단말기(100)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감지단말기(100)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전체 감지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고,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알림단말기(200)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211),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램프(212), 상용통신망을 통해 디지털정보를 제공하는 상용통신부(213)를 포함하는 출력모듈(210)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용통신망은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광역통신망과 더불어, 해당 건물이나 지역에서 운용하는 근거리무선통신망, WiFi,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위치알림단말기(200)는 화재 발생시, 출력모듈(210)을 이용하여 음성정보, 시각정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으며, 화재현장에 있는 대피자, 주민, 상인 등에게 음성정보이나 시각정보로 직접 안내하거나, 지역관리자나 소방담당자, 소방대원 등의 휴대단말기(500)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어떤 종류의 소방용품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감지단말기(100)가 설치된 소화전(300) 중 어느 하나가 오작동을 하는 경우,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용통신부(213)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근거리무선통신망을 통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감지단말기(100)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건물 내에 설치된 복수 개의 소화전(300)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구성된 감지단말기(100) 중 일정 개수 이상(예를 들어, 2개 이상)이 소화전(300)의 경보동작을 감지하면, 그때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오작동에 의한 허위경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감지단말기(10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로 연동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감지단말기(100)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감지단말기(100)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전체 감지단말기(100)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화재여부를 판단하고,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알림단말기(200)는 상용통신부(213)를 통해 용품사용자의 휴대단말기(500)에 소방용품에 대한 정보(어떤 종류의 소방용품이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용품사용자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는 불특정 다수를 선택하게 되면 오히려 혼란만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화재의 초기진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미리 결정되어 등록되어있는 지역관리자나, 소방담당자, 소방대원 등에게만 소방용품(예를 들어, 소화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용품사용자가 미리 결정되어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지역 또는 위치에 자주 머무르는 사람이나, 해당 시간에 자주 방문하는 사람을 선택하여 소방용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위치알림단말기(200)는 인접한 상용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상용통신부(213)를 통해, 해당 기지국의 접속정보에 기초하여 용품사용자를 선택하도록 기지국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알림단말기(200)는 감지단말기(100)로부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최근 일정기간동안 해당 기지국에 접속된 일일평균접속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인 휴대단말기에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해당 기지국에 요청함으로써, 해당 지역에 매일 평균적으로 오랫동안 머무르는 사람에게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치알림단말기(200)는 감지단말기(100)로부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최근 일정기간동안 해당 시간대에 해당 기지국에 접속된 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인 휴대단말기에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해당 기지국에 요청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시간대에 자주 방문한 사람에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용품을 사용하게 될 용품사용자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화재발생시 신속한 초기진화나 안전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지단말기(100)는 압전소자(110) 및 제어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소자(110)는 진동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소자로서, 소화전(300)에 구성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종(310)의 진동을 이용하여 발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120)은 평상시 슬립모드로 대기하는 상태에서, 압전소자(11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화재발생시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감지단말기(100)는 에드온(Add on) 방식으로 간단히 부착하기만 하면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소방설비에 쉽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치알림단말기(200)는 능동형 RFID(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능동형 RFID(220)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배터리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수동형 RFID와 구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능동형 RFID(220)는, 평상시 슬립모드로 대기하는 상태에서 감지단말기(100)로부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액티브모드로 전환되어,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소방용품별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위치알림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의 위치알림단말기(200)에 구성된 능동형 RFID(220)가 이웃하는 위치알림단말기(200)에 구성된 능동형 RFID(220)와 P2P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화재발생상황을 순차적으로 전파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능동형 RFID(220)가 슬립모드에서 액티브모드로 전환되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능동형 RFID(220)는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능동형 RFID(220)들을 액티브모드로 활성화시키면서, 전체의 능동형 RFID(220)들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어느 하나의 능동형 RFID(220)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능동형 RFID(220)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화재발생상황을 순차적으로 전파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로 인해 상용통신망이 차단되어 감지단말기(100)의 상용통신부(213)가 동작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위치알림단말기(200)들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P2P 통신으로 신속한 안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치알림단말기(200)는 빔프로젝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나 유독성 가스가 발생되는바, 대피자들은 상체를 구부리거나 낮춘 상태에서 대피하게 되며, 이 경우 벽이나 천장 등에 부착된 표시들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대피자들은 주로 바닥을 보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소방용품에 대한 정보를 바닥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별도의 장치나 모듈을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선공사 등과 같이 설치 자체에도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서 돌출된 방식은 평상시 통행에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매립형의 경우에는 바닥의 일부를 뜯어내는 등의 과도한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230)를 이용하여 대피로의 바닥에 소방용품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빔프로젝터(230)는 위치알림단말기(200)와 연동되도록 구성되며, 알림요청신호를 수신한 위치알림단말기(200)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소방용품이 위치하는 방향을 바닥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빔프로젝터(230)는 소방용품이 위치하는 방향과 더불어, 해당 소방용품의 종류도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원하는 소방용품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빔프로젝터(230)는 소방용품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화재발생시 해당 지역 또는 건물에서의 대피방향을 포함하는 대피정보를 바닥에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건물들은 일반인이 쉽게 출입할 수 있는 지역과, 특정인이 출입하는 지역(예를 들어, 보일러실이나 발전실 등) 등이 구분되어 있으며, 특히 보일러실이나 발전실의 경우 기름이나 휘발류 등의 가연성 물질이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초기라 하더라도 일반인이 해당 지역에 접근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위치알림단말기(200)는 화재가 발생한 지역 또는 건물을 고위험영역과 저위험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고위험영역에 위치한 소방용품은 소방대원이 휴대한 단말기로 안내하고, 저위험영역에 위치한 소방용품은 음성정보, 시각정보, 일반인이 휴대한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일반인에게 안내함으로써, 화재진압에 대한 비전문가가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단말기(100)와 위치알림단말기(200)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로 연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감지단말기 101 : 마이크
110 : 압전소자 120 : 제어모듈
200 : 위치알림단말기
210 : 출력모듈 211 : 스피커
212 : 램프 213 : 상용통신부
220 : 능동형 RFID 230 : 빔프로젝터
300 : 소화전 310 : 경종
311 : 구동모듈
400 : 소방용품
500 : 휴대단말기

Claims (10)

  1.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소화전의 경보동작을 감지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하는 감지단말기; 및
    소방용품에 구성되거나 소방용품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용품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위치알림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단말기는,
    상기 소화전에 구성된 경종을 동작시키는 전원공급부인 구동모듈이 경종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화재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소화전은 건물 내부에 복수 개가 구성되고,
    상기 감지단말기는 상기 복수 개의 소화전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IoT기반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감지단말기가 IoT기반의 센세네트워크를 통해, 각 소화전이 비치된 위치에 따라 해당 소화전 별로 설정된 화재확인조건을 확인하고, 복수 개의 감지단말기 중 일정 개수 이상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소화전의 경보동작을 감지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하는 감지단말기; 및
    소방용품에 구성되거나 소방용품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용품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위치알림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단말기는,
    상기 소화전에 구성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종의 진동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압전소자; 및
    평상시 슬립모드로 대기하는 상태에서,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알림단말기는,
    평상시 슬립모드로 대기하는 상태에서, 상기 감지단말기로부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액티브모드로 전환되어,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는 능동형 RF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알림단말기는,
    복수 개의 소방용품별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가 IoT기반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복수 개의 위치알림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위치알림단말기에 구성된 능동형 RFID가 IoT기반의 센서네트워크를 통해, 이웃하는 위치알림단말기에 구성된 능동형 RFDI와 P2P통신을 수행하여, 화재발생상황을 순차적으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알림단말기와 연동되며, 상기 알림요청신호를 수신한 위치알림단말기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소방용품이 위치하는 방향을 바닥에 디스플레이하는 빔프로젝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빔프로젝터는,
    화재발생시 해당 지역 또는 건물에서의 대피방향을 포함하는 대피정보를 바닥에 더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알림단말기는,
    화재가 발생한 지역 또는 건물을 고위험영역과 저위험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하고, 고위험영역에 위치한 소방용품은 소방대원이 휴대한 단말기로 안내하고, 저위험영역에 위치한 소방용품은 음성정보, 시각정보, 일반인이 휴대한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일반인에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10. 화재감지신호를 수신하거나 소화전의 경보동작을 감지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알림요청신호를 송출하는 감지단말기; 및
    소방용품에 구성되거나 소방용품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용품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위치알림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알림단말기는,
    인접한 상용통신망의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상용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최근 일정기간동안 해당 기지국에 접속된 일일평균접속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인 휴대단말기에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해당 기지국에 요청하거나,
    최근 일정기간동안 해당 시간대에 해당 기지국에 접속된 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인 휴대단말기에 해당 소방용품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해당 기지국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KR1020190125581A 2019-10-10 2019-10-10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KR10213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581A KR102132125B1 (ko) 2019-10-10 2019-10-10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581A KR102132125B1 (ko) 2019-10-10 2019-10-10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125B1 true KR102132125B1 (ko) 2020-07-10

Family

ID=7160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581A KR102132125B1 (ko) 2019-10-10 2019-10-10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79B1 (ko) * 2021-04-30 2022-03-04 주식회사 대성티엠씨 도로 터널의 소화전 표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585A (ja) * 2001-08-24 2003-10-31 Akiji Matoba 災害警報装置
JP2005316533A (ja) * 2004-04-27 2005-11-10 Hitachi Ltd 災害検知および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034387B1 (ko) * 2010-09-28 2011-05-1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9513B1 (ko) 2011-06-10 2011-12-08 손제욱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669940B1 (ko) 2015-08-20 2016-10-27 박세용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
KR101845433B1 (ko) * 2017-07-28 2018-04-04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소방 안내 시스템 및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585A (ja) * 2001-08-24 2003-10-31 Akiji Matoba 災害警報装置
JP2005316533A (ja) * 2004-04-27 2005-11-10 Hitachi Ltd 災害検知および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034387B1 (ko) * 2010-09-28 2011-05-16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9513B1 (ko) 2011-06-10 2011-12-08 손제욱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669940B1 (ko) 2015-08-20 2016-10-27 박세용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
KR101845433B1 (ko) * 2017-07-28 2018-04-04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소방 안내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79B1 (ko) * 2021-04-30 2022-03-04 주식회사 대성티엠씨 도로 터널의 소화전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753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KR101049796B1 (ko)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JP4381767B2 (ja) 防災総合システム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6440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JP2017068685A (ja) 支援システム
KR102212753B1 (ko) 건축물 실내전기의 안정화된 전원공급장치
KR101185405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7851368A (zh) 安全自动化系统和操作方法
KR102302316B1 (ko) 건물의 화재장소와 소방기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제공시스템
CN111815922A (zh) 一种智慧消防疏散方法以及实现该方法的系统
CN213049122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消防控制系统
KR102132125B1 (ko)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CN109741563B (zh) 一种灾情监控方法及灾情监控装置
JP5153206B2 (ja) 家庭用セキュリティ機器及びその端末
KR20220108344A (ko) 디지털트윈을 통한 화재나 재난시 안전한 피난동선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트윈 피난 플랫폼
US20200168059A1 (en) Integrated fire an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JP7149746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JP2005115797A (ja) 火災報知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