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513B1 -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513B1
KR101089513B1 KR1020110056009A KR20110056009A KR101089513B1 KR 101089513 B1 KR101089513 B1 KR 101089513B1 KR 1020110056009 A KR1020110056009 A KR 1020110056009A KR 20110056009 A KR20110056009 A KR 20110056009A KR 101089513 B1 KR101089513 B1 KR 101089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ire extinguisher
smoke
hea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제욱
Original Assignee
손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제욱 filed Critical 손제욱
Priority to KR102011005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이나 전등의 빛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이를 통해 다각도로 화재를 감지한 후 대응하도록 하는 장치를 소화기 본체에 구현함으로써, 화재의 초기에 적극적인 진압이 가능하게 하고 또한 태양이나 전등의 빛을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저탄소녹색 정책에도 기여할 수 있는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는, 태양이나 전등의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10)와;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센서부, 제어부 및 경보발생부로 공급하는 충전용배터리(20)와; 상기 충전용배터리의 전압이 정격전압이상으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회로 및 상기 충전용배터리의 전압이 정격전압이하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방전방지회로를 구비한 충방전제어회로(30)와; 화재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센서부(50)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LED 빛 또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발생부(60)와; 상기 센서부 및 경보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은 센서부(50)의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이 감지될 경우, 해당 신호를 바탕으로 LED표시수단(61)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LED표시수단(61)이 온된 이후, 상기 센서부(50)의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될 경우, 경보음발생수단(62)을 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태양 또는 전등의 불빛을 전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저탄소 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고, 초기 화재시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기 때문에 화재 진압을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를 소화기 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해 정전이나 연기로 인해 시야가 방해를 받는 상황에서도 소화기가 어느 위치에 있든 상관없이 초기 진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이나 전등의 빛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이를 통해 다각도로 화재를 감지한 후 대응하도록 하는 장치를 소화기 본체에 구현함으로써, 화재의 초기에 적극적인 진압이 가능하게 하고 또한 태양이나 전등의 빛을 전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저탄소 녹색 정책에도 기여할 수 있는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초기에 발견하여 제때 대응해야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화재가 최초로 발화한 후에는 시간이 경과될 수록 그 양상이 엄청나게 달라진다. 초기에는 소화기로 간단하게 제압할 수 있지만, 5분만 경과하면 소화기로는 제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엄청난 유독가스와 연기로 인해 대피하기가 힘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아파트 등에는 화재 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화기의 비치가 필수적이다. 초기 화재를 진압할 때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소화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화기 설치 장소에는 소화기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장치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도1은 종래의 축광도료를 이용한 소화기의 위치 알림 표지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상기 도1의 종래 소화기 위치 알림 표지기는 일정크기의 판넬에 축광도료가 도포된 '소화기' 문자를 통해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소화기 위치 알림 표지기의 경우, 화재 발생에 의해 정전이 되거나, 연기로 인해 시야가 방해를 받을 경우 그 위치를 제대로 알려주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또한 소화기가 위치 알림 표지기 아래의 위치에 있지 아니할 경우 소화기를 제때에 사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내등록실용신안 20-0396586호는 소화기 손잡이 내에 건전지를 이용한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나, 화재시 정전 및 연기로 인해 소화기 자체를 식별해 내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그 사용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장시간 미사용시에는 건전지가 방전되어 실질적으로 필요시에는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20-0400920호는 교류 전원을 이용한 위치 표시 장치를 벽면에 고정설치하여 화재시 빛과 음향을 이용하여 소화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위치 표시 장치를 항시 구동함으로 인해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비를 유발하게 되고, 소화기가 위치 표시 장치 아래에 있지 아니하고 다른 곳에 위치할 경우 화재시 소화기의 사용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태양 또는 전등의 불빛을 전원으로 변환하여 활용함으로써 저탄소 정책에 이바지하고, 소화기 본체에 부착한 위치 알림 장치를 통해 초기 화재시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를 감지한 후 이를 LED 빛과 경보음으로 알려줌으로써, 소화기가 어디에 위치하든 상관없이 초기에 화재의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는, 태양이나 전등의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10)와;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센서부(50), 제어부(40) 및 경보발생부(60)로 공급하는 충전용배터리(20)와; 상기 충전용배터리(20)의 전압이 충전전압이상으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회로 및 상기 충전용배터리의 전압이 충전전압이하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방전방지회로를 구비한 충방전제어회로(30)와; 화재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전송하는 센서부(50)와;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LED 빛 또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발생부(60)와; 상기 센서부(50) 및 경보발생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상기 센서부(50)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공급하는 빛감지센서(51)와; 열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공급하는 열감지센서(52) 및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공급하는 연기감지센서(53)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발생부(60)는 빛을 발생시키는 LED표시수단(61); 및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수단(6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경보발생부(60)의 LED표시수단(61)을 우선 구동하여 빛을 발하게 하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추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경보발생부(60)의 경보음발생수단(62)을 구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신호 수신 후,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한 이상신호를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LED표시수단(61)의 빛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상기 제어부(40)는 정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발생부(60)의 경보음발생수단(62)을 우선 구동하며, 이후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LED표시수단(61)을 구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은 센서부(50)의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이 감지될 경우, 해당 신호를 바탕으로 LED표시수단(61)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LED표시수단(61)이 온된 이후, 상기 센서부(50)의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될 경우, 경보음발생수단(62)을 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은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LED표시수단(61)이 오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은 센서부의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경보음발생수단(62)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경보음발생수단이 온된 이후,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이 감지될 경우, LED표시수단(61)을 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태양 또는 전등의 불빛을 전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저탄소 정책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 화재시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기 때문에, 화재 진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를 소화기 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화재에 의한 정전이나 연기로 인해 시야가 방해를 받는 상황에서도 소화기가 어느 위치에 있든 상관없이 초기 진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 축광도료를 이용한 소화기 위치 알림 표지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블록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가 소화기 본체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가 소화기 받침대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가 종래 소화기 위치 알림 표지 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회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10)는 태양 또는 전등의 불빛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화기 본체가 원통형인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태양전지는 박막형태의 필름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용배터리(20)에 공급하여 충전시키게 된다. 상기 태양전지(10)는 태양에 의한 빛뿐만 아니라, 실내의 전등에 의해서도 충전이 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지하와 같이 태양 빛이 들어오지 않는 곳에서도 전등빛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여 충전용배터리(20)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배터리(20)는 상기 태양전지(10)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게 되며, 배터리의 전압이 충전전압 이상으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충전방지회로 및 배터리의 전압이 충전전압 이하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방전방지회로를 구비한 충방전제어회로(30)를 구비함으로써, 과충전에 의한 배터리의 파손을 막고 과방전에 의한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시간 배터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화재로 인한 정전시 배터리가 항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용배터리(20)의 전압은 제어부(40), 센서부(50) 및 경보발생부(60)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정도의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는 화재 발생 후 5분 내에 이루어지는 초기의 화재 진압을 유용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10분 ~ 20분 정도의 사용이 가능한 용량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충전용배터리(20)의 전압을 3V ~ 9V의 소형 경량으로 함으로써, 소화기 본체에 부착이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센서부(50)는 초기 화재 발생시 나타나는 이상신호를 감지하여 관련 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센서부(50)는 빛감지센서(51), 열감지센서(52) 및 연기감지센서(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빛감지센서(51)는 화재로 인한 정전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정전이 되면 정전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지게 되면, 제어부(40)는 상기 빛감지센서(51)의 신호를 받아 이에 의해 경보발생부(60)를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40)는 먼저 상기 경보발생부(60)의 LED표시수단(61)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LED표시수단(61)이 빛을 발하도록 한다. 정전의 경우는 소등과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정전 후에는 먼저 LED표시수단(61)이 구동되도록 하고, 이후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를 통해 다른 이상신호가 감지가 되면, 이후에는 경보음발생수단(62)을 함께 구동하여 경보음을 발하도록 한다.
상기 열감지센서(52)와 연기감지센서(53)는 각각 화재 발생에 의한 열과 연기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초기 화재 발생에 의해 감지되는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설정범위를 벗어난 이상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0)는 경보발생부(60)의 경보음발생수단(62)을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초기 화재 발생시 소화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50)의 각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경보발생부(60)로 전송하여 LED가 빛을 발하게 하거나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초기 화재 발생시 이를 신속히 알리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40)는 평상시에는 대기상태로 남아 있게 함으로써 충전용배터리(20)의 잔존전력을 높게 유지하고 또한 상기 충전용배터리(20)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보발생부(60)는 센서부(50)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화재에 의한 정전이 있게 되면 먼저 LED표시수단(61)의 빛을 발하게 하여 시각적으로 소화기의 위치를 알리게 되고, 연속적으로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가 되면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음발생수단(62)을 구동하여 경보음을 발하여 소화기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시야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초기 대응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LED는 정전 및 연기로 인해 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소화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고휘도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는 소화기 본체에 부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원통형의 소화기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박막형태로 제작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뒷면에 얇은 자석을 부착하여 소화기 본체에 부착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사시도로서, 태양전지(10) 및 이와 연결되는 제어부(40), 센서부(50) 및 경보발생부(60)가 연결부(7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충전용배터리(20)와 충방전제어회로(30)는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미도시되어 있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4를 참조하면, 화재 발생시 센서부(50)의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동작에 의해 정전이 감지될 경우, 해당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부(40)에 의해 LED표시수단(61)을 온시키게 된다. 이후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감지 동작에 의해 열 또는 연기로 인한 이상신호가 감지될 경우 경보음발생수단(62)을 추가로 동작시킴으로써 화재 및 소화기의 위치를 알리게 된다.
초기 화재의 경우 정전과 소등을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등시에도 빛감지센서(51)에 의한 감지신호에 의해 LED의 빛이 발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열 또는 연기감지 대기시간(td)이 5분 ~ 10분의 일정시간 경과됨에도 불구하고, 연속된 열감지신호 또는 연기감지신호가 센서부(50)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40)의 신호에 의해 LED표시수단(61)을 오프시키도록 함으로써, 잔존전력을 유지하여 소등 중 실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도 경보발생부(60)에 의해 LED표시수단(61)과 경보음발생수단(62)을 구동하여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를 참조하면, 화재발생 초기에는 정전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게 되는데, 정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센서부(50)의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될 경우, 제어부(40)에 의해 경보발생부(60)의 경보음발생수단(62)을 먼저 온시키고, 이후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0)를 통해 LED표시수단을 온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가 각각 다른 위치에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초기 화재시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하기 위해 도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화기 본체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도6b 또는 도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화기를 지지하는 받침대에 부착하거나, 소화기 위치를 알리는 종래의 축광도료 위에도 부착가능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 : 태양전지 20 : 충전용배터리
30 : 충방전제어회로 40 : 제어부
50 : 센서부 51 : 빛감지센서
52 : 열감지센서 53 : 연기감지센서
60 : 경보발생부 61 : LED표시수단
62 : 경보음발생수단 70 : 연결부

Claims (8)

  1. 삭제
  2.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에 있어서,
    태양이나 전등의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태양전지(10)와;
    상기 태양전지로(10)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센서부(50), 제어부(40) 및 경보발생부(60)로 공급하는 충전용배터리(20)와;
    상기 충전용배터리(20)의 전압이 충전전압이상으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충전방지회로 및 상기 충전용배터리의 전압이 충전전압이하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방전방지회로를 구비한 충방전제어회로(30)와;
    화재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전송하는 센서부(50)와;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LED 또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발생부(60)와;
    상기 센서부(50) 및 경보발생부(60)를 제어하는 제어부(40);
    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부(50)는
    빛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공급하는 빛감지센서(51)와;
    열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공급하는 열감지센서(52); 및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공급하는 연기감지센서(53);
    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보발생부(60)는
    빛을 발생시키는 LED표시수단(61); 및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수단(62);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경보발생부(60)의 LED표시수단(61)을 우선 구동하여 빛을 발하게 하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추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경보발생부(60)의 경보음발생수단(62)을 구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신호 수신 후,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한 이상신호를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LED표시수단(61)의 빛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정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발생부(60)의 경보음발생수단(62)을 우선 구동하며, 이후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LED표시수단(61)을 구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6.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에 있어서,
    센서부(50)의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이 감지될 경우, 해당 신호를 바탕으로 LED표시수단(61)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LED표시수단(61)이 온된 이후, 상기 센서부(50)의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될 경우, 경보음발생수단(62)을 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LED표시수단(61)이 오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
  8.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에 있어서,
    센서부의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열감지센서(52) 또는 연기감지센서(53)에 의해 열 또는 연기에 의한 이상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경보음발생수단(62)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경보음발생수단이 온된 이후,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빛감지센서(51)에 의해 정전이 감지될 경우, LED표시수단(61)을 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위치 알림 방법.
KR1020110056009A 2011-06-10 2011-06-10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089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09A KR101089513B1 (ko) 2011-06-10 2011-06-10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09A KR101089513B1 (ko) 2011-06-10 2011-06-10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513B1 true KR101089513B1 (ko) 2011-12-08

Family

ID=4550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009A KR101089513B1 (ko) 2011-06-10 2011-06-10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51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828B1 (ko) 2015-11-12 2016-01-22 주식회사 신영아이씨티 소화기 위치 자동 표시 장치 및 시스템
KR101827250B1 (ko) 2017-06-28 2018-02-08 (주)한성기술단 자립형 화재경보기를 이용한 가정용 소화시스템
CN109448298A (zh) * 2018-12-08 2019-03-08 湖南金鹤科技有限公司 一种电气火灾预警监控设备
KR102132125B1 (ko) 2019-10-10 2020-07-10 주식회사 저스티스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KR102301794B1 (ko) * 2021-04-29 2021-09-14 (주)세종기술단 건물의 화재감지 자동신고시스템
KR102305173B1 (ko) * 2021-05-15 2021-09-27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건물 내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WO2024005893A1 (en) * 2022-06-29 2024-01-04 Rescue Air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of locating an emergency air fill station of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implemented in a structure for access of breathable air in low visibil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60Y1 (ko) * 2002-03-19 2002-06-24 정희윤 소화기용 지지대
JP2005000356A (ja) 2003-06-11 2005-01-06 Nec Tokin Corp 消火器設置場所表示装置
KR200442059Y1 (ko) * 2008-06-20 2008-10-08 홍성현 센서 복합식 무배선 다목적 화재감지기
KR101029554B1 (ko) 2009-07-02 2011-04-18 강윤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60Y1 (ko) * 2002-03-19 2002-06-24 정희윤 소화기용 지지대
JP2005000356A (ja) 2003-06-11 2005-01-06 Nec Tokin Corp 消火器設置場所表示装置
KR200442059Y1 (ko) * 2008-06-20 2008-10-08 홍성현 센서 복합식 무배선 다목적 화재감지기
KR101029554B1 (ko) 2009-07-02 2011-04-18 강윤범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828B1 (ko) 2015-11-12 2016-01-22 주식회사 신영아이씨티 소화기 위치 자동 표시 장치 및 시스템
KR101827250B1 (ko) 2017-06-28 2018-02-08 (주)한성기술단 자립형 화재경보기를 이용한 가정용 소화시스템
CN109448298A (zh) * 2018-12-08 2019-03-08 湖南金鹤科技有限公司 一种电气火灾预警监控设备
KR102132125B1 (ko) 2019-10-10 2020-07-10 주식회사 저스티스 소방용품 위치 알림 시스템
KR102301794B1 (ko) * 2021-04-29 2021-09-14 (주)세종기술단 건물의 화재감지 자동신고시스템
KR102305173B1 (ko) * 2021-05-15 2021-09-27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건물 내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WO2024005893A1 (en) * 2022-06-29 2024-01-04 Rescue Air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of locating an emergency air fill station of a firefighter air replenishment system implemented in a structure for access of breathable air in low visi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513B1 (ko)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WO2013191145A1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およびその点消灯モード切替方法
JP2012252832A (ja) 照明用電源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CN102257544B (zh) 在寿命终止时进行自动电池放电的生命安全装置
WO2015126984A2 (en) Multi-functional device having at least the ability to detect the presence of a substance
JP6708850B2 (ja) 地震時における切換スイッチ自動切断装置
CN205073577U (zh) 实时提示的消防疏散装置和消防器材
JP2011072138A (ja) 電動工具用の充電器
KR101803812B1 (ko) 비상등
CN206181430U (zh) 一种智能应急led灯
KR20150029116A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KR200402264Y1 (ko) 복합 비상유도장치
JP2014075906A (ja) 蓄電装置
KR20130034406A (ko) 태양전지 충전식 휴대용 엘이디 랜턴
JP5832333B2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CN102175009A (zh) 智能照明灯
KR100637334B1 (ko) 비상 조명장치
JP3180349U (ja) 地震用非常灯
CN108601183A (zh) 灯塔监测系统及方法
KR102177132B1 (ko) 배터리 보호기능이 구비된 전관방송시스템
JP2018170949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201584455U (zh) 备用电池
WO2003092025A2 (en) Consumer unit
KR200400920Y1 (ko) 소방용품 위치 복합표시장치
KR20030087133A (ko) 휴대용 비상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