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812B1 - 비상등 - Google Patents

비상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812B1
KR101803812B1 KR1020160086134A KR20160086134A KR101803812B1 KR 101803812 B1 KR101803812 B1 KR 101803812B1 KR 1020160086134 A KR1020160086134 A KR 1020160086134A KR 20160086134 A KR20160086134 A KR 20160086134A KR 101803812 B1 KR101803812 B1 KR 10180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disaster
signal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균
Original Assignee
코리아 시스템 에프 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 시스템 에프 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 시스템 에프 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05B37/0227
    • H05B37/029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고정본체에 램프가 장착되어 상용전원에서 변환된 저전력 동작전원(예 : DC 5V)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고, 정전과 같은 시설재해 또는 화재, 누수, 선박 침수와 같은 인적재해 또는 지진ㆍ해일ㆍ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와 같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각 재난 상태를 외부에 시청각적으로 표시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본체에서 램프를 탈리시켜 휴대한 상태에서 재난 위치를 벗어나거나 구조요청(위치 표시 포함)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고정본체로부터 램프로 이어지는 충전 경로를 통해 각 재난 상태에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램프가 동작하도록 된 비상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등{Emergency light}
본 발명은 비상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고정본체에 램프가 장착되어 상용전원에서 변환된 저전력 동작전원(예 : DC 5V)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고, 정전과 같은 시설재해 또는 화재, 누수, 선박 침수와 같은 인적재해 또는 지진ㆍ해일ㆍ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와 같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각 재난 상태를 외부에 시청각적으로 표시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본체에서 램프를 탈리시켜 휴대한 상태에서 재난 위치를 벗어나거나 구조요청(위치 표시 포함)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고정본체로부터 램프로 이어지는 충전 경로를 통해 각 재난 상태에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램프가 동작하도록 된 비상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등(非常燈)은 아주 긴급하거나 위급할 때에 다른 사람에게 그것을 알리기 위하여 켜는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건물과 같은 시설물이나 자동차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비상등은 거치대와 비상등 부분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전기를 받지 않고 단순히 건전지를 이용하여 건물 등의 벽면에 설치되며, 비상 유도등은 비상상황에서 전기가 끊기더라고 점등될 수 있는 충전 수단이 구비되어 건물 등에 설치된다.
종래의 비상유도등과 휴대용 비상등은 별개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충전이 되고 사용될 때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된다.
이러한 비상등 내지 비상 유도등의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6212호(비상등 ; 출원일 : 2010년 03월 02일자)는 벽면(1)에 매입 또는 고정설치되는 비상등고정수단(10)과, 상기 비상등고정수단(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비상등본체(20)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등본체(20)에는 램프(24)와, 상기 램프(24)에 연결된 배터리(26)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비상등본체(20)를 비상등고정수단(10)으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배터리(26)에 의해 램프(24)가 점등되어 비상등본체(20)를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비상등고정수단(10)에는 보조등(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이다.
상기한 비상등을 포함한 종래 비상등은 비상 유도등과 별도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상시 사용자가 두 장치를 모두 발견하여 비상구를 찾기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며, 충전기능이 구비되지 않고 단순히 건전지로 작동되므로 비상시에는 건전지의 노후로 인하여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0061호(휴대용 비상등을 구비한 비상유도등 ; 출원일 : 2012년 10월 19일자)는 휴대용 비상등을 구비한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비상유도등부(10)를 둘러싸고 있고 한쪽에는 휴대용 비상등(30)이 들어가는 보관함(21)과, 상기 보관함(21)의 안쪽에 위치하는 돌출가이드레일(25)과, 상기 돌출가이드레일(25)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충전단자1(26)로 이루어진 보관부(20)와; 상기 보관부(20)에서 비상유도등부(10)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에 비상유도등부(10)와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결합돌출단(28)과; 비상등본체(35)의 양 측면에 부착된 요입가이드레일(31)과 상기 요입가이드레일(31)의 외측에 부착된 충전단자2(32)를 구비한 비상등본체(35) 및 상기 비상등본체(35)의 상부에 구비된 헤드부(34)로 이루어진 상기 돌출가이드레일(25)을 따라 탈착 가능한 휴대용 비상등(30);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비상등을 구비한 비상유도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선된 종래 기술은 정전시에만 점등되어 대피를 유도하고, 화재나 지진 또는 침수와 같은 여타 재난에는 동작 내지 재난 발생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기능 제한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설재해 또는 화재, 누수, 선박 침수와 같은 인적재해 또는 지진ㆍ해일ㆍ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와 같은 각종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각 재난별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재난 위치를 벗어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비상등이 요구되고 있다.
참고로, 상기 종래 기술 설명에 기재된 도면 부호는 각 기술의 공보에 기재된 도면부호로서 이들과 본 발명의 도면부호가 중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설명에만 적용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내지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 평상시에는 고정본체에 램프가 장착되어 상용전원에서 변환된 저전력 동작전원(예 : DC 5V)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고, 정전과 같은 시설재해 또는 화재, 누수, 선박 침수와 같은 인적재해 또는 지진ㆍ해일ㆍ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와 같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각 재난 상태를 외부에 시청각적으로 표시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본체에서 램프를 탈리시켜 휴대한 상태에서 재난 위치를 벗어나거나 구조요청(위치 표시 포함)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고정본체로부터 램프로 이어지는 충전 경로를 통해 각 재난 상태에 대응되는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램프가 동작하도록 된 비상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설치대상에 고정되는 고정본체(10); 상기 고정본체(10)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재난발생시에 탈리시켜 휴대사용이 가능한 램프(20);를 포함하는 비상등(1)에 있어서, 상기 램프(20)의 양단을 가압 파지하여 양자 간 접속되는 충전경로(C)를 통해 전원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고정체로서,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을 재난감지부(11)가 감지하여, 재난상황별로 사전에 설정 저장된 식별신호 또는 모든 재난에 대한 동일한 점등신호를 출력하여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 측으로 제공하는 한편, 자체적으로 재난상황 표출신호를 재난표시부(13)로 제공하여 재난별 상태를 표출시키는 고정본체(10); 평상 시에는 상기 고정본체(10)에 장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고, 재난 시에는 고정본체(10)에서 제공하는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에 따라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점등패턴으로 점등하여, 고정본체(10)에 고정된 상태 또는 탈리하여 휴대한 상태로 사용 가능한 램프(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들을 모두 감지하여, 재난 발생시에 설치대상에 고정된 고정본체(10)에서 재난 발생을 표출시킴과 동시에 램프(20)에서도 재난 발생을 표출시킴으로써, 재난에 대한 식별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필요한 경우 램프(20)를 고정본체(10)에서 탈리시켜 휴대한 상태에서 재난 지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성 확대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들을 모두 감지하여, 각 재난별로 표출 동작을 달리하여 외부로 알림으로써, 현재 어떠한 재난이 발생하였는지 명확히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식별력 확대 및 정확하고 신속한 재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20)의 점등을 위한 충전 경로와 별도로 점등 동작과 관련된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의 전송경로를 마련하지 않고, 충전경로(C)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재난 발생에 대한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등(1) 전체 구조와 배선을 간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회로적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외형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고정본체와 램프의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내지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램프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중 램프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재난 상황별 식별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부분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기 회로적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그 밖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기 회로적 블록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비상등(1)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상에 고정되는 고정본체(10); 상기 고정본체(10)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재난발생시에 탈리시켜 휴대사용이 가능한 램프(20);를 포함하는 비상등(1)에 있어서, 상기 램프(20)의 양단을 가압 파지하여 양자 간 접속되는 충전경로(C)를 통해 전원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고정체로서,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을 재난감지부(11)가 감지하여, 재난상황별로 사전에 설정 저장된 식별신호 또는 모든 재난에 대한 동일한 점등신호를 출력하여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 측으로 제공하는 한편, 자체적으로 재난상황 표출신호를 재난표시부(13)로 제공하여 재난별 상태를 표출시키는 고정본체(10); 평상 시에는 상기 고정본체(10)에 장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고, 재난 시에는 고정본체(10)에서 제공하는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에 따라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점등패턴으로 점등하거나 점등 후 조작에 따라 점등하여, 고정본체(10)에 고정된 상태 또는 탈리하여 휴대한 상태로 사용 가능한 램프(2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고정본체(10)는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을 감지하는 재난감지부(11);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DC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 시청각적인 외부 표출이 가능한 재난표시부(13); 상기 재난감지부(11)에서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식별신호 또는 모든 재난에 대한 동일한 점등신호를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로 제공함과 동시에, 사전에 설정된 재난상황 표출신호를 재난표시부(13)로 제공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전원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로 제공하는 한편, 다른 전기적 구성요소로 제공하는 제어부1(14); 일측 단은 상기 램프(20)와 전기적 접속을 통해 충전 및 신호 전송경로를 형성하고, 타측 단은 램프(20)를 일측 단 방향으로 가압하여 기구적 단속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부(1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재난감지부(11)는 상용전원의 공급/중단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14)로 전달하는 정전감지회로를 포함한 정전감지수단(11a); 화재에 의한 불꽃 또는 연무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14)로 전달 하는 화재감지기를 포함한 화재감지수단(11b); 설치대상을 통해 전달되는 지진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14)로 전달하는 지진감지기를 포함한 지진감지수단(11c); 물의 유입으로 인해 습도의 급격한 변화 또는 플로팅 스위치의 위치 변화로 침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14)로 전달하는 침수감지기를 포함한 침수감지수단(11d)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감지수단은 각각의 회로 또는 기기 이외에 부가적인 이산회로를 포함한 부가회로 또는/및 제어부1(14)과의 접속수단이 추가로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정전감지수단(11a), 화재감지수단(11b) 및 지진감지수단(11c)은 고정본체(10) 내에 마련되고, 상기 침수감지수단(11d)은 고정본체(10)로부터 이격진 바닥면(예 : 건물의 지면)에 근접한 부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전원공급부(12)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상용전원(예 : AC 220V)을 저전력 동작전원(예 : DC 5V)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예 : SMPS)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4)에 의해 감시와 제어를 받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제어부1(14)에 의한 감시는 정전감지수단(11a)과 별도로 정전상태에 대한 감시일 수 있으며, 정격전원을 유지하는지 여부에 대한 감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상태에 대한 감시는 전원공급부(12)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Down 되는지 여부에 대한 감시일 수 있으며, 정격전원을 유지하는지 여부에 대한 감시는 정격전원으로 설정된 범위 이상 또는 이하로 변화하는지에 대한 감시일 수 있다.
또 한편, 상기한 재난표시부(13)는 고정본체(10)의 내측 또는 외부에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시키는 청각적표출수단(13a); 고정본체(10)의 정면 상단 부분에 마련되어 각 재난을 표시하는 다수의 식별 가능한 표시등(램프 또는 LED와 같은 광원)으로 이루어진 시각적표출수단(13b);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청각적표출수단(13a)은 스피커 또는/및 부저일 수 있고, 시각적표출수단(13b)은 빛을 발산하는 램프 또는/및 LED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각적표출수단(13b)은 고정본체(10)에 설치되는 부위의 외부를 차단하는 색상창에 의해 색상별로 재난 상황을 표출할 수도 있고, LED의 점등 색상에 의해 재난 상황을 표출할 수도 있으며, 차단창 표면에 기재된 재난 상황 문자에 의해 재난 상황을 표출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한 제어부1(14)은 재난감지부(11)에서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식별신호 또는 모든 재난에 대한 동일한 점등신호를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로 제공함과 동시에, 사전에 설정된 재난상황 표출신호를 재난표시부(13)로 제공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전원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로 제공하는 한편, 다른 전기적 구성요소로 제공하는 프로그램 및 논리회로가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일 수 있다.
상기에서 사전에 설정된 식별신호는 제어부1(14)을 구성하는 펄스발생기를 통해 재난별로 달리 발생되는 펄스일 수 있으며, 제어부1(14)을 구성하는 내장 배터리(보조 배터리) 또는 상기 전원공급부(12)의 잔류 전원(정전 시 전원이 차단되어 전원공급부가 셧다운되는 상황에서 잔류 전원)을 ON-OFF시키는 횟수(펄스의 주기와 동일시 취급)의 차이에 의한 식별신호일 수 있다.
또 한편, 상기한 고정부(15)는 ']'자 형상으로 된 고정본체(10)의 전방 상단과 하단의 돌출 부위 중, 상단 돌출부위의 하부면에 돌출 마련되는 한 쌍의 접속단자(15a)와 하단 돌출부위에서 스프링에 의해 상단 돌출부위 방향으로 탄발하는 가압부재(15b)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본체(10)에는 재난을 감지하는 다른 감지수단의 전기적 접속이기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포트 또는 접속잭과 같은 접속수단 및 고정본체(10)에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부재가 마련된 기능확장부(16)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램프(20)는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에 각각의 차단체(22)(23)가 끼워져 기밀이 유지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관체(21); 상기 투명관체(21) 내부에 인서트 고정되는 전기회로기판(24)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본체(10)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25); 상기 전기회로기판(24)에 배치되어,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점등하는 점등부(26); 상기 전기회로기판(24)에 배치되어, 충전부(25)의 충전 상태를 단속하는 한편, 고정본체(10) 측에서 출력되는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에 따라 상기 점등부(26)의 점등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7);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상기한 상단 차단체(22)는 고정본체(10)의 접속단자(15a)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접속편(22b)이 상단부에 마련되고, 일측 단이 상기 투명관체(21)에 인서트되고 타측 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차단캡(22a)과, 상기 차단캡(22a) 외경과 고정본체(10) 내경 사이에 끼워져 가압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차단캡(22a)과 투명관체(21)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한편, 고정력을 제공하는 방수 및 고정수단(22c)과, 상기 차단캡(22a)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나선 결합되는 너트(22d)에 의해 밀리면서 방수 및 고정수단(22c)을 가압하는 압착수단(22e)을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하단 차단체(23)는 투명관체(21) 하단의 기밀을 유지시키면서 투명관체(21)에 인서트되어질 전기회로기판(24)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차단캡 형태이면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20)의 점등을 위한 충전 경로와 별도로 점등 동작과 관련된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의 전송경로를 마련하지 않고, 충전경로(C)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재난 발생에 대한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등(1) 전체 구조와 배선을 간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한편, 상기한 충전부(24)는 충전배터리를 포함한 충전회로일 수 있다.
또 한편, 상기한 점등부(26)는 전기회로기판(24)에 직렬 또는 병렬 또는 직/병렬로 배치되는 LED일 수 있다.
또 한편, 상기한 제어부2(27)는 충전부(25)가 사전에 설정된 용량과 레벨 이상으로 충전되는지를 감지하여 과충전 시 충전을 차단하고, 고정본체(10) 측에서 출력되는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값으로 제어신호와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점등부(26)의 점등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 논리회로가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어회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7)는 충전부(25)로 인가되는 전원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상(예 : 1분 ~ 5분) 차단되면, 자체적으로 정전상태로 판단하여 점등부(26)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더 탑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시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설치대상에 고정되는 고정본체(10); 상기 고정본체(10)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재난발생시에 탈리시켜 휴대사용이 가능한 램프(20);를 포함하는 비상등(1)에 있어서, 상기 램프(20)의 양단을 가압 파지하여 양자 간 접속되는 충전경로(C)를 통해 전원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고정체로서,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을 재난감지부(11)가 감지하여, 재난상황별로 사전에 설정 저장된 식별신호 또는 모든 재난에 대한 동일한 점등신호를 출력하여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 측으로 제공하는 한편, 자체적으로 재난상황 표출신호를 재난표시부(13)로 제공하여 재난별 상태를 표출시키는 고정본체(10); 평상 시에는 상기 고정본체(10)에 장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고, 재난 시에는 고정본체(10)에서 제공하는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에 따라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점등패턴으로 점등하여, 고정본체(10)에 고정된 상태 또는 탈리하여 휴대한 상태로 사용 가능한 램프(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에 설치대상 예컨대, 건물의 벽면에 고정된 고정본체(10)에 램프(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동작전압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본체(10)에 마련된 전원공급부(12)를 통해 상용전원이 저전력 동작전압인 DC 5V로 변환되어 공급되고, 이와 같은 동작전압을 제어부1(14)이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의 충전부(25)로 공급하여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2(27)가 사전에 설정된 범위의 용량과 레벨과 충전 상태를 비교하여, 충전량 이상이 되면 최저 충전량 이하가 될 때까지 충전을 정지하고, 최저 충전량 미만이 되면 다시 충전을 하면서 과충전과 불필요한 충전에 의한 전력소비를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평상시에 충전이 이루어지다가, 재난이 발생 예컨대,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정전감지수단(11a)이 정전상태신호를 제어부1(14)의 데이터 입력단측에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1(14)은 사전에 설정저장된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를 출력하여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의 제어부2(27)로 전달한다.
이때, 식별신호는 예컨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4)에 포함된 펄스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서로 다른 주기의 펄스이다. 즉, 정전감지수단(11a)에서 정전 감지가 있는 경우에는 1주기의 펄스를 출력하고, 지진감지수단(11b)에서 지진 감지가 있는 경우에는 3주기의 펄스를 출력하고, 화재감지수단(11c)에서 화재 감지가 있는 경우에는 5주기의 펄스를 출력하고, 침수감지수단(11d)에서 침수 감지가 있는 경우에는 7주기의 펄스를 출력하여, 각 재난별 식별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식별신호는 제어부1(14)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 또는 전원공급부(12)의 전원(정전시에는 셧다운되는 상황에서의 잔류 전원)을 ON/OFF시키는 횟수를 상기 펄스의 주기와 같은 횟수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점등신호는 재난과 관계없이 동일한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램프의 제어신호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식별신호가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의 제어부2(27)로 인가되면, 제어부2(27)는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점등 레벨과 패턴으로 점등부(26)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들을 모두 감지하여, 재난 발생시에 설치대상에 고정된 고정본체(10)에서 재난 발생을 표출시킴과 동시에 램프(20)에서도 재난 발생을 표출시킴으로써, 재난에 대한 식별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필요한 경우 램프(20)를 고정본체(10)에서 탈리시켜 휴대한 상태에서 재난 지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성을 확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들을 모두 감지하여, 각 재난별로 표출 동작을 달리하여 외부로 알림으로써, 현재 어떠한 재난이 발생하였는지 명확히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식별력 확대 및 정확하고 신속한 재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20)의 점등을 위한 충전 경로와 별도로 점등 동작과 관련된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의 전송경로를 마련하지 않고, 충전경로(C)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재난 발생에 대한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를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등(1) 전체 구조와 배선을 간소화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본체(10)에 재난을 감지하는 다른 감지수단의 전기적 접속이기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포트 또는 접속잭과 같은 접속수단 및 고정본체(10)에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부재가 마련된 기능확장부(16)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고정본체(10)에 별도의 재난별 감지수단을 추가로 장착하여, 다양한 재난을 감지하고 표출시키는 기능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20)에 무선신호 송출이 가능한 신호송출부(28)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2(27)의 무선신호발생기에서 발생시키는 신호를 외부로 송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재난 발생 시 램프(20)를 휴대한 상태에서 매몰되거나 고립되었을 때, 램프(20)의 신호송출부(28)에서 무선신호를 송출하면 외부의 신호수신부(30)가 이를 수신하여 위치를 탐지함으로써, 신속한 구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램프(20)에는 점등부(26)의 광량(조도)과 ON/OF 스위치를 포함한 조작부(29)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통상적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본체(10)에 원격지의 원격관리부(4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한 통신부(19)를 더 포함하여, 원격관리부(40)에서 원격적으로 제어부1(14)에 제어동작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재난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재난감지부(11)가 동작하지 않았을 때, 재난감지에 의한 재난상황을 원격관리부(40)가 직접 원격적으로 제어부1(14)에 전송하여 전술한 제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 비상등 10 : 고정본체
11 : 재난감지부 11a : 정전감지수단
11b : 화재감지수단 11c : 지진감지수단
11d : 침수감지수단 12 : 전원공급부
13 : 재난표시부 13a : 청각적표출수단
13b : 시각적표출수단 14 : 제어부1
15 : 고정부 15a : 접속단자
15b : 가압부재 16 : 기능확장부
19 : 통신부 20 : 램프
21 : 투명관체 22 : 상단 차단체
22a : 차단캡 22b : 접속편
22c : 방수 및 고정수단 22d : 너트
22e : 압착수단 23 : 하단 차단체
24 : 전기회로기판 25 : 충전부
26 : 점등부 27 : 제어부2
28 : 신호송출부 30 : 신호수신부
40 : 원격관리부

Claims (8)

  1. 설치대상에 고정되는 고정본체(10); 상기 고정본체(10)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재난발생시에 탈리시켜 휴대사용이 가능한 램프(20);를 포함하는 비상등(1)에 있어서,
    상기 램프(20)의 양단을 가압 파지하여 양자 간 접속되는 충전경로(C)를 통해 전원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충전되도록 하는 고정체로서,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을 재난감지부(11)가 감지하여, 재난상황별로 사전에 설정 저장된 식별신호 또는 모든 재난에 대한 동일한 점등신호를 출력하여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 측으로 제공하는 한편, 자체적으로 재난상황 표출신호를 재난표시부(13)로 제공하여 재난별 상태를 표출시키는 고정본체(10);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본체(10)에 장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고, 재난 시에는 고정본체(10)에서 제공하는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에 따라 사전에 설정 저장된 점등패턴으로 점등하거나 점등 후 조작에 따라 점등하여, 고정본체(10)에 고정된 상태 또는 탈리하여 휴대한 상태로 사용 가능한 램프(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램프(20)는 상단과 하단에 차단체(22)(23)가 끼워져 기밀이 유지되는 투명관체(21)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상단 차단체(22)는 고정본체(10)의 접속단자(15a)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접속편(22b)이 상단부에 마련되고, 일측 단이 상기 투명관체(21)에 인서트되고 타측 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차단캡(22a); 상기 차단캡(22a) 외경과 고정본체(10) 내경 사이에 끼워져 가압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차단캡(22a)과 투명관체(21)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한편, 고정력을 제공하는 방수 및 고정수단(22c); 상기 차단캡(22a)의 외경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나선 결합되는 너트(22d)에 의해 밀리면서 방수 및 고정수단(22c)을 가압하는 압착수단(22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10)는 정전ㆍ화재ㆍ지진ㆍ침수를 포함한 재난을 감지하는 재난감지부(11);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DC동작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 시청각적인 외부 표출이 가능한 재난표시부(13); 상기 재난감지부(11)에서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식별신호 또는 모든 재난에 대한 동일한 점등신호를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로 제공함과 동시에, 사전에 설정된 재난상황 표출신호를 재난표시부(13)로 제공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전원공급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로 제공하는 한편, 다른 전기적 구성요소로 제공하는 제어부1(14); 일측 단은 상기 램프(20)와 전기적 접속을 통해 충전 및 신호 전송경로를 형성하고, 타측 단은 램프(20)를 일측 단 방향으로 가압하여 기구적 단속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부(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사전에 설정된 식별신호는 제어부1(14)을 구성하는 펄스발생기를 통해 재난별로 발생되는 펄스의 수 또는 상기 제어부1(14)을 구성하는 내장 배터리 또는 상기 전원공급부(12)의 잔류 전원을 ON-OFF시키는 횟수에 따른 식별신호로서, 상기 펄스가 1주기 또는 전원 ON-OFF가 1회인 경우 정전감지상태이고, 상기 펄스가 3주기 또는 전원 ON-OFF가 3회인 경우 지진감지상태이고, 상기 펄스가 5주기 또는 전원 ON-OFF가 5회인 경우 화재감지상태이며, 상기 펄스가 7주기 또는 전원 ON-OFF가 7회인 경우 침수감지상태로 인식하도록 하는 식별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램프(2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의 차단체(22)(23)가 끼워져 기밀이 유지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관체(21); 상기 투명관체(21) 내부에 인서트 고정되는 전기회로기판(24)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본체(10)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충전시키는 충전부(25); 상기 전기회로기판(24)에 배치되어,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점등하는 점등부(26); 상기 전기회로기판(24)에 배치되어, 충전부(25)의 충전 상태를 단속하는 한편, 고정본체(10) 측에서 출력되는 식별신호 또는 점등신호에 따라 상기 점등부(26)의 점등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
  5. 삭제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10)에 재난을 감지하는 다른 감지수단의 전기적 접속이기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포트 또는 접속잭과 같은 접속수단 및 고정본체(10)에 다른 감지수단의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부재가 마련된 기능확장부(16)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
  7.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램프(20)에 무선신호 송출이 가능한 신호송출부(28)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2(27)의 무선신호발생기에서 발생시키는 신호를 외부로 송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
  8.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10)에 원격지의 원격관리부(4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한 통신부(19)를 더 포함하여, 원격관리부(40)에서 원격적으로 제어부1(14)에 제어동작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

KR1020160086134A 2016-07-07 2016-07-07 비상등 KR101803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134A KR101803812B1 (ko) 2016-07-07 2016-07-07 비상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134A KR101803812B1 (ko) 2016-07-07 2016-07-07 비상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812B1 true KR101803812B1 (ko) 2018-01-10

Family

ID=6099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134A KR101803812B1 (ko) 2016-07-07 2016-07-07 비상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8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89B1 (ko) 2018-11-16 2019-06-07 신호원 스마트 비상등
KR102276733B1 (ko) 2020-12-28 2021-07-13 신호원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KR20220033686A (ko) 2020-09-10 2022-03-17 (주)프로맥스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KR20230126789A (ko) 2022-02-24 2023-08-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명 점등 제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357B1 (ko) * 2012-11-06 2014-06-09 강태윤 휴대용비상랜턴
KR101506703B1 (ko) * 2014-10-29 2015-03-31 주식회사 녹스기어 엘이디 랜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357B1 (ko) * 2012-11-06 2014-06-09 강태윤 휴대용비상랜턴
KR101506703B1 (ko) * 2014-10-29 2015-03-31 주식회사 녹스기어 엘이디 랜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89B1 (ko) 2018-11-16 2019-06-07 신호원 스마트 비상등
KR20220033686A (ko) 2020-09-10 2022-03-17 (주)프로맥스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KR102276733B1 (ko) 2020-12-28 2021-07-13 신호원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KR20230126789A (ko) 2022-02-24 2023-08-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명 점등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812B1 (ko) 비상등
KR101516879B1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JP2011134512A (ja) 電源装置、それを用いた防災用照明器具および防災用照明システム
KR101089513B1 (ko)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402264Y1 (ko) 복합 비상유도장치
JP6458536B2 (ja) 照明装置
CN202165815U (zh) 应急照明设备
KR200322130Y1 (ko) 휴대용 비상 조명장치
JP3180349U (ja) 地震用非常灯
KR101458688B1 (ko) 정전시에도 작동되는 충전형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조명 시스템
KR20190100603A (ko) 화재 및 정전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휴대용 비상 조명등
CN212657635U (zh) 一种消防应急标志灯具
KR20130009362A (ko) 정전 또는 센서 감지시 자동으로 점등되고 부저를 구비한 비상등 시스템
KR100690402B1 (ko) 알에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점검 장치
TWI494021B (zh) 照明系統及照明驅動方法
KR200406602Y1 (ko) 유도조명등
KR20100005499A (ko) 분리형 비상조명등 점등 장치 및 방법
KR20160136864A (ko) 랜턴 겸용 다목적 비상상황 검출램프
KR200430723Y1 (ko) 온도 조절기
KR200415006Y1 (ko)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JP4315064B2 (ja) 非常用照明装置
KR20220107591A (ko)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JP4591496B2 (ja) バッテリ内蔵照明装置
KR200400920Y1 (ko) 소방용품 위치 복합표시장치
CN202901866U (zh) 一种应急消防手电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