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591A -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 Google Patents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591A
KR20220107591A KR1020210010382A KR20210010382A KR20220107591A KR 20220107591 A KR20220107591 A KR 20220107591A KR 1020210010382 A KR1020210010382 A KR 1020210010382A KR 20210010382 A KR20210010382 A KR 20210010382A KR 20220107591 A KR20220107591 A KR 20220107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ight bulb
light
bulb socket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일동
Original Assignee
배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일동 filed Critical 배일동
Priority to KR102021001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7591A/ko
Publication of KR2022010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종래에는 화제 감지기 혹은 지진 감지기와 비상등을 각각 설치해야 하고 화제 감지기 혹은 지진 감지기 와 비상등의 축전지는 일정 시간 지나면 소모되어 일정 주기로 계속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을 해결하고 또한 전등만 있고 콘센트가 없는 곳에서 전기기구를 사용 해야할 때 콘센트가 있는 곳에서 별도의 연장케이블을 이용해야 하고, 전기기구나 조명을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무선동작 가능한 등기구나 별도로 고가의 전원 제어기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서, 기존 전구 소켓에 결합할 수 있는 전구 숫나사와 전구를 삽입할 수 있는 전구 암나사, 비상등 동작을 위한 LED 광원, 화제와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메인전기가 차단 되었을 때에도 비상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베터리와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이러한 충전 가능한 베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제어기판, 무선통신기기와 감지 수단을 내장하여 특정 이벤트를 동작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내장 하여 구성되어지고 외측면에 형성된 제어기에 연결된 제어 ON/OFF 스위치, 다른 외측면에 형성된 제어기로 제어 가능한 멀티 콘센트, 다양한 USB 기기 연결을 위한 USB를 연결할 수 있는 USB 전원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화제 감지센서 및 다양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측정한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원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 하여 조명의 ON/OFF 또는 밝기를 조절하고 상황에 따른 경보음 출력 및 감지된 센서의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조명제어가 이루어 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화제 지진 감지 센서, 인체 감지 센서, 온도 센서 IR 센서등으로 구성되어 감지신호 측정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부저를 통해 경보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 리모콘 혹은 스마트기기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송수신하여 그에 따라 동작을 설정 하는 동작 설정부,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제어 신호와 상태 신호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각 회로와 소자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를 받아 ON/OFF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고 PWM 신호를 이용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전원 제어부, 블루투스,지그비,RF모듈,IR모듈,WIFI모듈 중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을 선택하여 제어기판과 원격리모콘 혹은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 지고,화제 감지기 혹은 지진 감지기와 비상등을 각각 설치해야 하고 화제 감지기 혹은 지진 감지기 와 비상등의 베터리는 상시 전원 공급시 상시 충전하여 일정 시간 지나면 소모되어 일정 주기로 계속 교체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해결된다.

Description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Multi-Concent plugged into a bulb socket with remote controllable emergency lights}
본 발명은 화제와 같은 전기가 차단된 상황에서 사용자의 원활한 시야 확보에 관한것으로서 별도의 소켓만 추가하여 전기가
차단된 상황에서도 소켓에 장착된 비상등이 동작하여 시야확보에 편리하고 연결된 전구와 전자기기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에 관한 것이다.
화재, 자진등과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전원공급이 차단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각종 건물이나 지하시설 등에는 비상등을 설치하게 된다. 통상 비상등은 AC전원이 공급되는 상시에는 축전지에 충전 하였다가 정전시 DC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한다. 또한 축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가격이 고가로 되고 수명이 다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없이 교체가 힘들다. 근래 지진동의 천재지변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특히 지진 발생대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비상등이 가정에서도 필수 안전설비로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 가정 에서 관리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될 뿐 아니라 관리에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에는
화제 감지기 혹은 지진 감지기와 비상등을 각각 설치해야 하고 화제 감지기 혹은 지진 감지기 와 비상등의 베터리는 일정 시간 지나면 소모되어 일정 주기로 계속 교체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등만 있고 콘센트가 없는 곳에서 전기기구를
사용 해야할 때 콘센트가 있는곳에서 별도의 연장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기기를 사용하거나 원격으로 멀티콘센트에 연결된
전기기구나 조명을 원격제어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무선동작 가능한 등기구나 별도로 고가의 전원 제어기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동록번호 10-0810499 등록번호 20-0491270 등록번호 20-0433738 등록번호 10-0923603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전구소켓에 연결하수있는 전구용 숫나사 소켓을 이용하여 설치, 점검작업, 1처전지의 교체 및 관리가 극히 용이 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설치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화제감지센서 혹은 지진감지센서를 내장하여 별도의 비상등 없이 비상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상기과제를 해결하기위한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은 기존 전구소켓에 결합할 수 있는 전구 숫나사와 일반전구를
삽입할 수 있는 전구 암나사, 비상등 동작을 하기 위한 LED 광원, 화제와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메인전기가 차단 되었을 때에도 비상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베터리와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이러한 충전 가능한 베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제어기판, 무선통신기기와 감지 수단을 내장하여 특정 이벤트를 동작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내장 하여 구성되어지고 외측면에 형성된
제어기에 연결된 제어 ON/OFF 스위치, 다른 외측면에 형성된 제어기로 제어 가능한 멀티 콘센트, 다양한 USB 기기 연결을 위한 USB를 연결할 수 있는 USB 전원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화제 감지센서 및 다양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측정한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원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 하여 조명의 ON/OFF 또는 밝기를 조절하고 상황에 따른 경보음 출력 및 감지된 센서의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조명제어가 이루어 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화제 지진 감지 센서, 인체 감지 센서, 온도 센서 IR 센서등으로 구성되어 감지신후 측정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부저를 통해 경보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 리모콘 혹은 스마트기기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송수신하여
그에 따라 동작을 설정 하는 동작 설정부,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제어 신호와 상태 신호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각 회로와 소자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를 받아 ON/OFF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고 PWM 신호를 이용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전원 제어부, 블루투스,지그비,RF모듈,IR모듈,WIFI모듈 중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을 선택하여 제어기판과 원격리모콘 혹은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바에 의한 본 발명의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에 따르면 화제 감지기 혹은 지진 감지기와 비상등을 각각 설치해야 하고 화제 감지기 혹은 지진 감지기 와 비상등의 베터리는 상시 충전 가능한 베터리를 사용하여 일정 시간 지나면 소모되어 일정 주기로 계속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전등만 있고 콘센트가 없는 곳에서 전기기구를 사용 해야할 때 별도의 연장케이블을 이용하여야 하고 전기기구나 조명을 원격 제어 하고 현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무선동작 가능한 등기구나 별도로 고가의 전원 제어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백열등 소켓에 장착하는 종래의 콘센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의 제어기판 내부구성도,
본 발명의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다만 첨부도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것이며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더라도 공지기숭에 속하거나, 종래기술로 부터 통상의 가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수 있는 구성에 대하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은 일반적인 백열 전구 소켓에 연결되는 숫나사(10) 와 일반 백열전구를 연결할수 있는 암나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1에와 같이 본체(20)에는 콘센트를 열결할수있도록 멀티콘센트와 ON/OFF 제어 스위치와 USB 단자가 있다 본체 아래쪽에는 비상등 LED(30)가 있어서 비상단전시 정해진 순서로 비상등 LED가 켜진다.
도3의 내부 구성도에서 보면 충전가능한 충전지(50)와 충전지 충전 제어부(60) 그리고 동작 제어부(70)가 있다. 동작 제어부(70)는 무선통신모듈(72)과 각종 감지센서(73)와 모드설정부,음향구동부,전원부, 전원제어부,베터리충전부등 제어대상(75)을 포함하는 제어수단(71)으로 구성된다.
각종 감지센서부 (73)에서 입력된 신호를 제어수단(71)에서 분석하여 단전시 비상등 LED제어 모듈(74)에 미리 설정된 동작 을 수행하여 비상상황임을 알린다.
무선통신모듈로는 센서에서 입력된 감지값을 스마트기기등에서 센서값을 확인하고 암나사부(40) 에 연결된 전구를 원격 ON/OFF 혹은 디밍 제어 하거나 본체 (20)에 장착된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원을 ON/OFF 제어할수 있다.
10 - 기존 전구 소켓에 연결부
20 - 측면본체
30 - 비상동작 표시부
40 - 다른전구 연결구
50 - 충전가능한 충전지
60 - 충전제어부
70 - 제어부
71 - 제어기판내의 제어 프로세서
72 - 무선통신모듈 (WIFI 등..)
73 - 각종 센서
74 - 비상등 제어 모듈 (자체 비상등 동작 모듈)
75 - 제어대상

Claims (3)

  1. 기존 전구소켓에 결합할 수 있는 전구 숫나사, 전구를 삽입할 수 있는 전구 암나사, 비상등 동작을 위한 LED 광원, 화제와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메인전기가 차단 되었을 때에도 비상등에 전원을 공급 하는 충전 가능한 베터리와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이러한 충전 가능한 베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제어기판,무선통신기기와 감지 센서를 내장하여 특정 이벤트를 동작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내장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측면에 형성된 제어기에 연결된 제어ON/OFF 스위치, 다른 외측면에 형성된 제어기로 제어 가능한 멀티 콘센트, 다양한 USB 기기 연결을 위한 USB를 연결할 수 있는 USB 전원 포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은 화제 감지 센서 , 지진 감지 센서 및 다양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측정한 후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띠라 전원 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조명의 ON/OFF 또는 밝기를 조절하고 상황에 따른 경보음 출력 및 감지된 센서의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조명제어가 이루어 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화제 감지 센서, 지진 감지 센서 인체 감지 센서, 온도 센서 IR 센서등으로 구성되어 감지신호 측정부,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부저를 통해 경보을 출력하는 경보음출력부, 리모콘 혹은 스마트기기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송수신하여 그에 따라 동작을 설정 하는 동작 설정부,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제어신호와 상태신호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각 회로와 소자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를 받아 ON/OFF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고 PWM 신호를 이용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전원 제어부,블루투스,지그비,RF모듈,IR모듈,WIFI모듈 중 하나 혹은 복수의 모듈을 선택하여 제어기판과 원격리모콘 혹은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 상호간에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KR1020210010382A 2021-01-25 2021-01-25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KR20220107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382A KR20220107591A (ko) 2021-01-25 2021-01-25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382A KR20220107591A (ko) 2021-01-25 2021-01-25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591A true KR20220107591A (ko) 2022-08-02

Family

ID=8284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382A KR20220107591A (ko) 2021-01-25 2021-01-25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759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738Y1 (ko) 2006-09-13 2006-12-12 (주) 피에스디테크 비상점등용 충전수단이 내장된 엘이디 조명등
KR100810499B1 (ko) 2007-07-27 2008-03-07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전구용 소켓에 설치되는 비상등
KR100923603B1 (ko) 2009-03-11 2009-10-23 김상식 다기능 전구소켓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KR200491270Y1 (ko) 2018-10-24 2020-03-11 최대순 전구소켓 접속형 멀티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738Y1 (ko) 2006-09-13 2006-12-12 (주) 피에스디테크 비상점등용 충전수단이 내장된 엘이디 조명등
KR100810499B1 (ko) 2007-07-27 2008-03-07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전구용 소켓에 설치되는 비상등
KR100923603B1 (ko) 2009-03-11 2009-10-23 김상식 다기능 전구소켓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KR200491270Y1 (ko) 2018-10-24 2020-03-11 최대순 전구소켓 접속형 멀티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7269B2 (en) Emergency lighting device
US8496342B2 (en) Configurable safety light receptacle
US9083126B2 (en) Configurable safety light receptacle
US9520671B2 (en) Configurable safety light receptacle
US7649472B1 (en) Integrated lighting and detector units
US97290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a wall socket
CN109691229B (zh) 从主电源和辅助电源供电的照明设备
US20140268697A1 (en) Dual AC-LED/DC-LED Lamp With Alternating Power Sources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CA2611040C (en) Intellectual lamp unit able to be installed on a conventional lamp socket controlled by a wall switch
US10483796B2 (en) Power control system
JP2014512647A5 (ko)
KR102275216B1 (ko) 수직형 멀티 콘센트
KR101803812B1 (ko) 비상등
KR20080088016A (ko)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US20190072250A1 (en) Emergency light bulb
KR20220107591A (ko)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KR20220090860A (ko) 비상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전구소켓
US7298098B2 (en) Intellectual lamp unit able to be installed on a conventional lamp socket controlled by a wall switch
KR20140082539A (ko) 정전시에도 작동되는 충전형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조명 시스템
KR101435908B1 (ko) 다기능 충전기를 갖는 무선 취침등
KR101178599B1 (ko) 외부기기 제어를 위한 콘센트
CN201274598Y (zh) 应急灯适配器
KR101012044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아웃렛
KR20140100233A (ko) 비상등 겸용 센서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