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602Y1 - 유도조명등 - Google Patents

유도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602Y1
KR200406602Y1 KR2020050031103U KR20050031103U KR200406602Y1 KR 200406602 Y1 KR200406602 Y1 KR 200406602Y1 KR 2020050031103 U KR2020050031103 U KR 2020050031103U KR 20050031103 U KR20050031103 U KR 20050031103U KR 200406602 Y1 KR200406602 Y1 KR 200406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duction
power supply
emergency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주)인세이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세이프테크 filed Critical (주)인세이프테크
Priority to KR2020050031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6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유도조명등은 주전원 및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설치된 장소의 비상사태의 발생 유무를 온도 및 조도를 통하여 감지하는 감지부와; 이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내장된 램프를 밝혀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출력부와; 주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보조전원의 공급 상태를 점검하도록 별도의 리모콘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전원부, 감지부, 출력부 및 입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도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유도조명등에 따르면, 리모콘을 이용함으로써 예비 전원의 공급 이상 여부에 대한 점검을 더욱 용이하게 하며, 더욱이 점검 시간을 설정하여 그 편리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유도조명등, 리모콘, 라디오, 구조버튼

Description

유도조명등{Emergency guide lamp}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조명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도조명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표시창
3 : 화재감지기 4 : LED
5 : 스피커 6 : 구조버튼
100 : 유도등 제어부 110 : 중앙처리부
120 : 전원제어부 130 : 감지제어부
140 : 출력제어부 150 : 입력제어부
200 : 전원부 210 : 주전원
220 : 보조전원 300 : 감지부
310 : 온도감지장치 320 : 조도감지장치
400 : 출력부 410 : 표시창
420 : 라디오 500 : 입력부
510 : 리모콘 520 : 구조버튼
본 고안은 유도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내에 화재나 정전 등의 비상사태 발생시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유도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조명등이라 함은 화재발생 또는 정전 등의 긴급사태 발생시 인명의 도피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으로 유도조명등을 점등시키거나 유도조명등을 점등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밧데리 충전회로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예비전원을 충전시키고 비상시 교류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는 예비전원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이상 유도조명등을 점등시켜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유도조명등의 예비전원의 정상충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풀스위치나 리미트스위치를 실장하여 풀스위치의 끈을 잡아당기거나 누르면 스위치가 떨어져서 교류전원이 차단되어 예비전원의 이상 유무를 확인 점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점검 방법은 유도조명등의 설치 위치가 천정등과 같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풀스위치나 리미트스위치를 작동할 수 없어 사다리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야만 점검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점검자가 점검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어서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점검자는 점검을 하지 않고 방치하여 두는 경우가 많아 비상사태 발생시 유도조명등이 제대로 들어오지 않아 비상구로의 대피자를 빠른 시간 내에 안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예비 전원의 공급 이상 여부에 관한 점검이 용이한 유도조명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대피자의 구조 기능을 향상시킨 유도조명등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전원 및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설치된 장소의 비상사태의 발생 유무를 온도 및 조도를 통하여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내장된 램프를 밝혀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출력부와; 상기 주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보조전원의 공급 상태를 점검하도록 별도의 리모콘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전원부, 감지부, 출력부 및 입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도등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은 점검 시간을 설정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스피커를 통하여 설정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을 출력하는 라디오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유도등 제어부는 비상 사태 발생 유무 등의 정보를 건물을 전체 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입력부는 구조버튼을 더 구비하여 비상사태 발생시 구조신호를 유도등 제어부를 통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조명등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도조명등(10)은 후방이 벽면에 설치 가능하며 금속재로 제작된 케이스(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케이스(11)에는 표시창(12), 화재감지기(13), 전원의 인가 유무를 표시하는 LED(14), 라디오 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15) 및 구조버튼(16)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창(12)은 전원에 의하여 점등되는 램프가 내장되어 간단한 그림 또는 기호 등을 이용하여 비상구의 위치를 알리며, 화재 등에 대비하여 내열 성 유리 커버로 그 외측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화재감지기(13)는 열을 감지하는 온도감지장치와 빛을 감지하는 조도감지장치가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 외에도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장치 등이 쓰이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유도조명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도조명등은 주전원(210) 및 예비전원(220)을 공급하는 전원부(200)와; 설치된 장소의 비상사태의 발생 유무를 온도 및 조도를 통하여 감지하는 감지부(300)와; 상기 감지부(300)의 신호에 따라 내장된 램프를 밝혀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창(410)을 구비하는 출력부(400)와; 상기 주전원(210)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보조전원(220)의 공급 상태를 점검하도록 별도의 리모콘(510)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500); 및 상기 전원부(200), 감지부(300), 출력부(400) 및 입력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도등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200)의 주전원(210)은 상시 전원을 공급하고, 예비전원(220)은 비상시 주전원(210)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에도 전원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300)는 온도감지장치(310)와 조도감지장치(320)를 구비하여 설치 장소의 온도와 조도를 감지하여 상기 유도등 제어부(100)로 하여금 비상사태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400)는 표시창(410)과 더불어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스피커(15)를 통하여 설정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을 출력하는 라디오(420)를 더 구비한다. 이 라디오(420) 청취를 통하여 대피자는 건물 또는 그에 상응하는 공간에 고립되었을 시에 외부의 상황을 청취하여 안정감을 갖고 스스로 탈출 경로를 모색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00)의 리모콘(510)은 한 번의 조작으로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다수의 유도조명등을 동시에 점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모콘(510)은 점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으며,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일반적인 시계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등 제어부(100)는 비상 사태 발생 유무 등의 정보를 건물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부(610)로 전송하며, 상기 입력부(500)는 구조버튼(620)을 더 구비하여 비상사태 발생시 구조신호를 유도등 제어부(100)를 통하여 중앙제어부(61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대피자는 고립되었을 시에 이 구조버튼(620)을 눌러 위치를 외부에 알려 신속히 구조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중앙제어부(610)는 건물 전체를 관리하는 중앙관리부(600)에 설치되며, 유도등 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중앙출력부(620)를 구비하여 건물 내 대피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도등 제어부(100)는 중앙처리부(110)와, 전원부(200), 감지부(300), 출력부(300) 및 입력부(400)를 각각 제어하는 전원제어부(120), 감지제어부(130), 출력제어부(140) 및 입력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유도조명등에 따르면, 리모콘을 이용함으로써 예비 전원의 공급 이상 여부에 대한 점검을 더욱 용이하게 하며, 더욱이 점검 시간을 설정하여 그 편리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 사태 발생시 라디오 방송을 통하여 외부의 상태를 파악하고, 구조버튼을 이용하여 대피자의 위치 정보 등을 외부로 알림으로써 구조 기능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주전원 및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설치된 장소의 비상사태의 발생 유무를 온도 및 조도를 통하여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내장된 램프를 밝혀 비상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구비하는 출력부와;
    상기 주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보조전원의 공급 상태를 점검하도록 별도의 리모콘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전원부, 감지부, 출력부 및 입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도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조명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점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조명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스피커를 통하여 설정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을 출력하는 라디오를 더 구비하는 유도조명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등 제어부는 비상 사태 발생 유무 등의 정보를 건물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입력부는 구조버튼을 더 구비하여 비상사태 발생시 구조신호를 유도등 제어부를 통하여 중앙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조명등.
KR2020050031103U 2005-11-02 2005-11-02 유도조명등 KR200406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03U KR200406602Y1 (ko) 2005-11-02 2005-11-02 유도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03U KR200406602Y1 (ko) 2005-11-02 2005-11-02 유도조명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388A Division KR100690402B1 (ko) 2005-11-02 2005-11-02 알에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점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602Y1 true KR200406602Y1 (ko) 2006-01-23

Family

ID=4175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103U KR200406602Y1 (ko) 2005-11-02 2005-11-02 유도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6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43B1 (ko) 2006-02-14 2007-05-08 김강옥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KR100784175B1 (ko) 2007-06-04 2007-12-10 한국이미지시스템(주) 주차장용 멀티 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43B1 (ko) 2006-02-14 2007-05-08 김강옥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KR100784175B1 (ko) 2007-06-04 2007-12-10 한국이미지시스템(주) 주차장용 멀티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369B1 (ko) 스위치커버의 비상조명장치
KR200472941Y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EP3295438B1 (en) Lighting system with integrated smoke detector
KR101516879B1 (ko) 비상상황 안내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비상조명 등기구
KR100690402B1 (ko) 알에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점검 장치
KR101803812B1 (ko) 비상등
KR20080102559A (ko) 연기감지 및 제연기능이 포함된 비상조명등
KR200406602Y1 (ko) 유도조명등
KR20170046837A (ko)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KR101735264B1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JP2016152189A (ja) 照明装置
KR101222430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유도등 제어장치
KR200432454Y1 (ko) 휴대용 비상조명등 원격점검 시스템
KR101300099B1 (ko) 무전원 방향 유도등을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
KR200406603Y1 (ko) 비상조명등
KR20110037802A (ko) 비상시 유도기능을 갖는 엘이디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90403B1 (ko) 알에프 시스템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점검 장치
KR200432455Y1 (ko) 비상조명등 원격점검 시스템
JP5454912B2 (ja) 照明装置
JP2006222053A (ja) ネットワーク照明器具
KR100739873B1 (ko) 비상조명등 원격점검 시스템
KR100779737B1 (ko) 휴대용 비상조명등 원격점검 시스템
KR200429107Y1 (ko) 조명등의 교체시기 알림 시스템
ITMI20121852A1 (it) Apparecchio di illuminazione controllato da rilevatore di presenza
JP2008010332A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点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