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733B1 -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733B1
KR102276733B1 KR1020200184523A KR20200184523A KR102276733B1 KR 102276733 B1 KR102276733 B1 KR 102276733B1 KR 1020200184523 A KR1020200184523 A KR 1020200184523A KR 20200184523 A KR20200184523 A KR 20200184523A KR 102276733 B1 KR102276733 B1 KR 102276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display unit
fire
direction displa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원
Original Assignee
신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원 filed Critical 신호원
Priority to KR1020200184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으로 인해 피난 중인 사람들에게 피난 방향과 경로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순차적 점멸을 기반으로 한 입체적 방향 표시 기능을 통해 제공하여 피난용 정보의 보다 정확한 표시 및 이에 대한 사람들의 보다 용이한 확인이 가능토록 하고, 이에 더하여 피난 방향과 경로 등에 대한 피난 정보를 안내음성을 송출하는 방식으로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순차적 점멸 기반의 입체적 표시 구성이 화재 시의 연기로 인해 잘 보이지 않게 되더라도 피난 중인 사람들에게 피난용 정보가 청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은, 화재시 피난 경로를 대피 방향 표시유닛들의 순차적인 점멸 방식을 통해 시각적으로 알리는 피난 방향 표시부와, 화재시 피난용 정보를 음성정보의 출력을 통해 청각적으로 알리는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난 방향 표시부는 상기 대피 방향 표시유닛들이 각각 LED를 이용한 화살표의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Evacuation guide light system in case of fire}
본 발명은 화재 발생으로 인해 피난 중인 사람들에게 피난 방향과 경로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순차적 점멸을 기반으로 한 입체적 방향 표시 기능을 통해 제공하여 피난용 정보의 보다 정확한 표시 및 이에 대한 사람들의 보다 용이한 확인이 가능토록 하고, 이에 더하여 피난 방향과 경로 등에 대한 피난 정보를 안내음성을 송출하는 방식으로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순차적 점멸 기반의 입체적 표시 구성이 화재 시의 연기로 인해 잘 보이지 않게 되더라도 피난 중인 사람들에게 피난용 정보가 청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상가 건물, 기업 건물, 학교 등 각종 건물에는 화재 발생시 해당 건물의 입주자 내지 이용자 등 재실자가 대피할 수 있는 비상구 내지 비상 대피소 등이 마련된다.(이하 비상구를 예로 설명함)
그리고 이러한 비상구를 통해 보다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실자들을 비상구로 안내하는 비상구 유도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센서,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전자기기 기술 및 유·무선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비상구 유도등은 기존의 형태 및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비상구 유도등이 건물 내 재실자들의 신속한 대피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상황이 종종 발생된다. 부연 설명하면, 화재 발생시 건물 내 복도에는 연기가 차게 되고, 이때 기존의 단순한 비상구 유도등은 비교적 옅은 연기에도 대피 중인 재실자들의 육안에 잘 확인되지 않음에 따라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화재 발생시 연기는 유독 가스를 다량 함유하여 대피 중인 재실자의 시각 기능을 마비시키므로, 시각적인 표시 기능만을 발휘하는 기존 비상구 유도등의 경우 재실자의 대피 안내에 한계점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또한, 비상구 유도등은 화재 발생시 건물 내 재실자들을 보다 신속하게 비상구로 안내하는 매우 중요한 시설물이고, 평상시에도 재실자에게 비상구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키는 하지만, 이러한 본래 기능 외에 어떠한 다른 기능도 갖지 못함에 따라, 그 부피 및 그로 인한 공간 점유에 비해 지나치게 제한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 측면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4915호(2017.01.10.공고),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한국 등록특허 제10-1803812호(2018.01.10.공고), “비상등”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재 발생으로 인해 피난 중인 사람들에게 피난 방향과 경로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순차적 점멸을 기반으로 한 입체적 방향 표시 기능을 통해 제공하여 피난용 정보의 보다 정확한 표시 및 이에 대한 사람들의 보다 용이한 확인이 가능토록 하고, 이에 더하여 피난 방향과 경로 등에 대한 피난 정보를 안내음성을 송출하는 방식으로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순차적 점멸 기반의 입체적 표시 구성이 화재 시의 연기로 인해 잘 보이지 않게 되더라도 피난 중인 사람들에게 피난용 정보가 청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건축물 내에서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의 갈림길 내지 사거리에서 필요에 따라 목적지로의 올바른 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음에 따라, 해당 목적지를 찾는 과정이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비스 하는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은, 화재시 피난 경로를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의 순차적인 점멸 방식을 통해 시각적으로 알리는 피난 방향 표시부(100)와, 화재시 피난용 정보를 음성정보의 출력을 통해 청각적으로 알리는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피난 방향 표시부(100)는 상기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이 각각 LED를 이용한 화살표의 형태로 형성되고, 대피 안내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최후방의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이 점등되는 것을 시작으로 전방을 향해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식으로 점멸 작동하여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의 점멸되는 방향만으로도 피난 경로의 시각적 확인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200)는 그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 대피 방향, 최종 대피 목적지 또는 중간 대피 목적지에 대한 거리를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재 발생으로 인해 피난 중인 사람들에게 피난 방향과 경로에 대한 시각적 정보가 순차적 점멸을 기반으로 한 입체적 방향 표시 기능을 통해 제공되어 피난용 정보의 보다 정확한 표시 및 이에 대한 사람들의 보다 용이한 확인이 가능해 지고, 또한 피난 방향과 경로 등에 대한 피난 정보가 안내음성을 송출하는 방식으로도 제공됨에 따라, 순차적 점멸 기반의 입체적 표시 구성이 화재 시의 연기로 인해 잘 보이지 않게 되더라도 피난 중인 사람들에게 피난용 정보가 청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건축물 내에서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의 갈림길 내지 사거리에서 필요에 따라 목적지로의 올바른 방향을 안내받을 수 있어, 해당 목적지를 찾는 과정이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을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에서 표시부 높이조절부를 그 케이스가 절단된 상태로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에서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이하,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이라 약칭함)은 피난 방향 표시부(100) 및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난 방향 표시부(100)는 화재시 피난 경로를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의 순차적인 점멸 방식을 통해 시각적으로 알리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피난 방향 표시부(100)의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은 LED를 이용한 화살표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피난 방향 표시부(100)는 대피 안내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최후방의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이 점등되는 것을 시작으로 전방을 향해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식으로 점멸 작동하며, 이에 따라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의 점멸되는 방향만으로도 피난 경로의 시각적 확인이 가능토록 한다.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200)는 화재시 피난용 정보를 음성정보의 출력을 통해 청각적으로 알리는 기능을 한다. 이때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200)를 통해 출력되는 피난용 정보에는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20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한 현재 위치, 대피 방향, 최종 대피 목적지 또는 중간 대피 목적지에 대한 거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이 플레이트 형태의 얇은 케이스(300, 이하 “플레이트형 케이스”라 함)를 포함하여 이러한 플레이트형 케이스(300)를 토대로 피난 방향 표시부(100) 및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200)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이 그 케이스로써 박스 형태의 케이스를 포함하거나, 피난 방향 표시부가 LED를 이용하는 전광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이러한 전광판 구조의 피난 방향 표시부가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의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화재 발생시 피난 방향 표시부(100)가 화살표 형태의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면서 비상구, 비상계단, 비상 대피소 등에 대한 피난 경로를 안내함에 따라, 이의 도움을 받아 피난하려는 사람들이 피난 방향, 경로 등에 대한 시각적인 안내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피난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피난 중인 사람들이 화재시 발생된 연기로 인해 시야가 흐려져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의 화살표 방향이 잘 확인되지 않더라도,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의 점멸 방향만을 통해서 피난 방향, 경로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 및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피난 안내방송 송출부(200)가 화재 발생시 피난용 정보를 음성정보로 출력하게 되므로, 피난 중인 사람들이 화재시 발생된 연기로 인해 시야가 흐려져 피난 방향 표시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게 되더라도 피난 안내방송 송출부의 음성 안내를 통해 피난 방향, 경로 등을 청각적으로 안내받으면서 피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는 시각장애인에게도 매우 효과적인 피난 정보가 될 것이다.
그리고 피난 방향 표시부(100) 및 피난 안내방송 송출부(200)를 통한 피난 방향, 경로 등의 안내는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들 간을 중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피난 중인 사람들이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들을 따라 피난 방향 및 경로를 순차적으로 안내받으면서 대피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에서 표시부 높이조절부를 그 케이스가 절단된 상태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에서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를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이하,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이라 약칭함)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의 차이점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을 참조한 실시 예는 플레이트형 케이스(300)를 포함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실시 예는 사각의 박스형 하우징(1300)을 포함하고, 또한 본 실시 예는 연기센서모듈(400), 표시부 높이조절부(500),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 제어부(900) 및 길안내 정보 저장부(950)를 더 포함하며, 피난 방향 표시부(1100)가 표시부 높이조절부(500)를 통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박스형 하우징(1300)에 대해 완전하게 독립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은 도 1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다.
먼저 피난 방향 표시부(11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피난 방향 표시부(1100)는 대피 방향 표시유닛(11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대피 방향 표시유닛(1110) 및 그에 따른 피난 방향 표시부(1100)의 작용은 도 1을 참조한 실시 예의 피난 방향 표시부(100)와 동일하므로, 도 1을 참조한 실시 예의 설명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피난 방향 표시부(1100)는 상술한 것처럼 박스형 하우징(1300)에 대해 완전히 독립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하향 이동되는 것이므로, 대피 방향 표시유닛(1110)에 대한 전원 공급이 이차전지(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지고, 따라서 피난 방향 표시부(1100)는 이차전지의 충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표시부(1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1200)는 피난 방향 표시부(110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따라서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1200)에 대한 전원 공급 역시 상술한 이차전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1200)의 작용은 도 1을 참조한 실시 예의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200)와 동일하므로, 도 1을 참조한 실시 예의 설명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다.
다음은 본 실시 예에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요소들인 사각의 박스형 하우징, 연기센서모듈(400), 표시부 높이조절부(500),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 제어부(900) 및 길안내 정보 저장부(950)에 대해 차례로 설명한다.
박스형 하우징(130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이며, 따라서 후술되는 연기센서모듈(400), 표시부 높이조절부(500),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 제어부(900) 및 길안내 정보 저장부(950)는 박스형 하우징(1300)을 모체로 설치된다.
연기센서모듈(400)은 화재 발생에 따른 연기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연기센서모듈(400)은 그 설치 높이를 기준으로 유사한 높이의 수평 구간에 대해 연기 농도를 실시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연기센서모듈(400)이 한국 등록특허 제10-1310752호에 기재된 연기센서모듈의 형태로써, 연기 농도에 따른 적외선 입사량에 따라 선형적으로 가변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기센서모듈(400)은 화재 발생에 따른 연기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 높이조절부(500)는 필요 시 피난 방향 표시부(1100)의 설치 높이를 아래쪽으로 낮추는 기능을 하며, 이는 화재시 발생된 연기가 건축물의 천장을 향해 올라가는 현상으로 인해 피난 방향 표시부(1100)가 가려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려는 의도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부 높이조절부(500)는 케이스(510), 정역회전모터(520), 구동풀리(530), 종동풀리(540), 제1 와이어(550), 제2 와이어(560), 제1 와이어 비틀림 방지돌기(570) 및 제2 와이어 비틀림 방지돌기(5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510)는 일면이 박스형 하우징(1300)의 외면에 결합되며, 이러한 케이스(510)에 정역회전모터(520), 구동풀리(530), 종동풀리(540), 제1 와이어(550), 제2 와이어(560)가 내장된다. 그리고 케이스(510)는 하면에 제1 와이어(550)의 인출 및 인입을 위한 제1 와이어 통행홀(511) 그리고 제2 와이어(560)의 인출 및 인입을 위한 제2 와이어 통행홀(512)이 각각 형성된다.
정역회전모터(520)는 후술되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한다.
구동풀리(530)는 정역회전모터(52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정역회전모터(520)의 작동 시 연동하여 작동된다.
종동풀리(540)는 구동풀리(530)에 축 결합되며, 이에 따라 종동풀리(540)는 구동풀리(530)의 회전 동작 시 연동하여 회전 동작한다.
부연 설명하면, 정역회전모터(520)의 작동에 따라 구동풀리(530) 및 종동풀리(540)가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 동작한다.
제1 와이어(550)는 구동풀리(530)에 권취되며, 이러한 제1 와이어(550)는 구동풀리(530)의 회전 동작 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구동풀리(530)에 권취되거나 구동풀리(530)로부터 해리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와이어(550)의 길이 방향 일단이 피난 방향 표시부(1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2 와이어(560)는 종동풀리(540)에 권취되며, 이러한 제2 와이어(560)는 종동풀리(540)의 회전 동작 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종동풀리(540)에 권취되거나 종동풀리(540)로부터 해리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와이어(560)의 길이 방향 일단이 피난 방향 표시부(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1 와이어 비틀림 방지돌기(57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제1 와이어 통행홀(511)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하나씩 위치되며, 이러한 한쌍의 제1 와이어 비틀림 방지돌기(570)는 제1 와이어(550)가 제1 와이어 통행홀(511)을 통해 케이스(510) 내외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제2 와이어 비틀림 방지돌기(58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제2 와이어 통행홀(512)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하나씩 위치되며, 이러한 한쌍의 제2 와이어 비틀림 방지돌기(580)는 제2 와이어(560)가 제2 와이어 통행홀(512)을 통해 케이스(510) 내외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비틀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은 외부에서 전송되는 길안내 요청신호를 수신 후 이를 후술되는 제어부(9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이 설치된 건축물에서 보행 중이던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의 갈림길 내지 사거리에서 나아갈 방향을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길안내를 받기 위해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에 길안내 요청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길안내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사용자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식일 수 있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는 후술되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는 길안내를 받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해당 안내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용도이다.
그리고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는 모터(710), 풀리(720), 와이어(730), 음성정보 수신장치(740) 및 통신모듈(7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710)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며, 이러한 모터(710)는 정역 회전하는 정역회전모터의 구성이다.
풀리(720)는 모터(71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모터(710) 작동 시 연동하여 회전 동작한다.
와이어(730)는 풀리(720)에 권취되며, 이러한 와이어(730)는 모터(710) 작동에 따른 풀리(720)의 회전 동작 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풀리(720)에 권취되거나 풀리(720)로부터 해리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박스형 하우징(1300)의 하면에는 와이어(73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와이어 통행홀(1310)이 형성되며, 이때 와이어 통행홀(1310)의 지름은 후술되는 음성정보 수신장치(740)의 박스형 하우징(1300)에 대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음성정보 수신장치(740)는 길안내를 받기 위한 사용자가 자신이 현재 찾고 있는 장소의 상호명 또는 호수를 음성정보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써 음성정보 수신장치(740)는 마이크의 구성이면 될 것이다.
통신모듈(750)은 음성정보 수신장치(7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후술되는 제어부(9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는 길안내를 받으려는 사용자에게 음성정보 수신장치(740)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의 길안내 요청용 음성정보를 제어부(900)에 전송한다.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는 건축물 내의 갈림길 내지 사거리에서 목적지로의 보행 방향을 안내 받으려는 사용자에게 보행 방향을 알려주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는 박스형 하우징(1300)의 외면에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는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를 통해 사용자의 길안내 요청용 음성정보를 수신한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해당 사용자에게 목적지로의 보행 방향을 안내한다. 그리고 이러한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는 전후좌우 방향을 표시하는 점멸형 방향표시기(810)들이 박스형 하우징(1300)의 일면에 전후좌우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배치 형태로 설치된 구성이다.
제어부(900)는 연기센서모듈(4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표시부 높이조절부(500)의 작동을 제어하고,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 및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의 연계 작동을 통해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로부터 전송되는 길안내 요청용 음성정보에 따라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900)는 표시부 높이조절부(5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임계 농도값이 사전에 설정됨으로써, 연기센서모듈(400)을 통해 실시간 전송되는 감지 신호가 상기 임계 농도값을 초과할 시 피난 방향 표시부(1100)가 아래쪽으로 하향 이동되도록 표시부 높이조절부(500)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900)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 및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의 연계 작동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길안내 요청용 음성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길안내 요청용 음성정보에 따른 올바른 보행 방향을 해당 사용자에게 안내하도록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를 작동시킨다. 다시 말해 제어부(900)는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의 전후좌우 네 점멸형 방향표시기(810) 중 해당 사용자를 목적지로 향하게 하는 올바른 방향의 점멸형 방향표시기(810)가 점멸 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길안내 정보 저장부(950)가 설치되는 것으로써, 길안내 정보 저장부(950)는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건축물 내 상점, 사무실 등의 상호명과 호수 및 이에 대한 점멸형 방향표시기(810)들 중 작동되어야 하는 점멸형 방향표시기(810)에 대한 정보가 서로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900)는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의 길안내 요청용 음성정보에 따라 길안내 정보 저장부(950)에서 해당되는 상점 내지 사무실의 점멸형 방향표시기(810) 작동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되는 점멸형 방향표시기(810)를 점멸 방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화재시 연기가 건축물의 천장으로 향하면서 피난 방향 표시부의 대피 방향 표시유닛이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게 될 경우, 피난 방향 표시부가 자동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천장 주변을 포함한 상측의 연기들로부터 벗어나 피난 중인 사람들의 시야를 통해 확인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부가적인 기능을 위해 설치된 건축물 내 길안내 구성 및 작용을 통해서 사용자가 건축물 내 목적지의 상점 내지 사무실 등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건축물 내에서 상점이나 사무실 등 목적지에 대한 방향을 잃게 되면 매우 헤매게 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데, 이때 좌우 방향으로의 갈림길 내지 사거리 등에서의 방향만 제대로 잡더라도 해당 목적지를 찾는 과정이 훨씬 용이해 질 수 있고, 본 실시 예의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이 그 역할을 서비스 기능으로써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1100 : 피난 방향 표시부 110,1110 : 대피 방향 표시유닛
1120 : 배터리 충전 표시부 200,1200 :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
300 : 플레이트형 케이스 400 : 연기센서모듈
500 : 표시부 높이조절부 510 : 케이스
511 : 제1 와이어 통행홀 512 : 제2 와이어 통행홀
520 : 정역회전모터 530 : 구동풀리
540 : 종동풀리 550 : 제1 와이어
560 : 제2 와이어 570 : 제1 와이어 비틀림 방지돌기
580 : 제2 와이어 비틀림 방지돌기 600 :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700 :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 710 : 모터
720 : 풀리 730 : 와이어
740 : 음성정보 수신장치 750 : 무선통신모듈
800 : 길안내 방향 표시부 810 : 점멸형 방향표시기
900 : 제어부 950 : 길안내 정보 저장부
1300 : 박스형 하우징 1310 : 와이어 통행홀

Claims (1)

  1. 박스형 하우징(1300);
    상기 박스형 하우징과 독립된 구성이며, 화재시 피난 경로를 대피 방향 표시유닛(1110)들의 순차적인 점멸 방식을 통해 시각적으로 알리고, 상기 대피 방향 표시유닛(1110)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이차전지의 충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표시부(1120)를 포함하는 피난 방향 표시부(1100);
    상기 피난 방향 표시부(110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차전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화재시 피난용 정보를 음성정보의 출력을 통해 청각적으로 알리는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1200);
    상기 박스형 하우징(1300)에 설치되며, 설치 높이를 기준으로 유사한 높이의 수평 구간에 대해 연기 농도를 실시간 감지하는 기능의 연기센서모듈(400);
    상기 박스형 하우징(1300)에 설치되며, 구동풀리(530) 및 상기 구동풀리(530)에 축 결합되는 종동풀리(540)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530)에 권취되고 길이 방향의 일단이 상기 피난 방향 표시부(1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와이어(550) 및 상기 종동풀리(540)에 권취되고 길이 방향의 일단이 상기 피난 방향 표시부(1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560)를 포함하고, 필요 시 상기 피난 방향 표시부(1100)의 설치 높이를 아래쪽으로 낮추는 기능을 하는 표시부 높이조절부(500);
    상기 박스형 하우징(1300)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전송되는 길안내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900)에 전송하는 기능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
    상기 박스형 하우징(130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고, 길안내를 받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해당 안내 장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의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
    상기 박스형 하우징(1300)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건축물 내의 갈림길 내지 사거리에서 목적지로의 보행 방향을 안내 받으려는 사용자에게 보행 방향을 알려주는 기능을 하고, 전후좌우 방향을 표시하는 점멸형 방향표시기(810)들이 상기 박스형 하우징(1300)의 일면에 전후좌우 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배치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
    상기 박스형 하우징(1300)에 설치되며, 상기 표시부 높이조절부(5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임계 농도값이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연기센서모듈(400)을 통해 실시간 전송되는 감지 신호가 상기 임계 농도값을 초과할 시 상기 피난 방향 표시부(1100)가 아래쪽으로 하향 이동되도록 표시부 높이조절부(500)를 작동시키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600) 및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의 연계 작동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길안내 요청용 음성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길안내 요청용 음성정보에 따른 올바른 보행 방향을 해당 사용자에게 안내하도록 길안내 방향 표시부(800)의 전후좌우 네 점멸형 방향표시기(810) 중 해당 사용자를 목적지로 향하게 하는 올바른 방향의 점멸형 방향표시기(810)가 점멸 작동되도록 하는 상기 제어부(900); 및
    상기 박스형 하우징(1300)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건축물 내 상점, 사무실 등의 상호명과 호수 및 이에 대한 상기 점멸형 방향표시기(810)들 중 작동되어야 하는 점멸형 방향표시기(810)에 대한 정보가 서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길안내 정보 저장부(950)를 포함하며,
    상기 길안내 요청정보 수신부(700)는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는 정역회전모터(710)와, 상기 정역회전모터(71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정역회전모터(710)의 작동 시 연동하여 회전 동작하는 풀리(720)와, 상기 풀리(720)에 권취되며, 상기 정역회전모터(710) 작동에 따른 상기 풀리(720)의 회전 동작 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풀리(720)에 권취되거나 풀리(720)로부터 해리되고, 상기 박스형 하우징(1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와이어 통행홀을 통해 상기 박스형 하우징 내외로 인입 및 인출되는 와이어(730)와, 상기 와이어(730)에 결합되며, 길안내를 받기 위한 사용자가 자신이 현재 찾고 있는 장소의 상호명 또는 호수를 음성정보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의 음성정보 수신장치(740)와, 상기 음성정보 수신장치(7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제어부(900)에 전송하는 통신모듈(750)을 포함하고,
    상기 피난 방향 표시부(100)는 상기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이 각각 LED를 이용한 화살표의 형태로 형성되고, 대피 안내 방향을 전방으로 정할 때 최후방의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이 점등되는 것을 시작으로 전방을 향해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식으로 점멸 작동하여 대피 방향 표시유닛(110)들의 점멸되는 방향만으로도 피난 경로의 시각적 확인이 가능토록 하며,
    상기 피난 안내음성 송출부(200)는 그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 대피 방향, 최종 대피 목적지 또는 중간 대피 목적지에 대한 거리를 음성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KR1020200184523A 2020-12-28 2020-12-28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KR102276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23A KR102276733B1 (ko) 2020-12-28 2020-12-28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523A KR102276733B1 (ko) 2020-12-28 2020-12-28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733B1 true KR102276733B1 (ko) 2021-07-13

Family

ID=7685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523A KR102276733B1 (ko) 2020-12-28 2020-12-28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7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649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웰릭스 IoT 센서 데이터 시분할 송신용 화재 유도등 단말
KR102560195B1 (ko) * 2023-02-06 2023-07-27 주식회사 해밀엔지니어링종합건설 소방 비상구 유도표시판
KR102630514B1 (ko) * 2023-05-30 2024-01-29 명화지리정보(주) 항공확보이미지의 영상을 3차원으로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123Y1 (ko) * 2003-07-08 2003-11-05 (주)다산방재산업 통로 유도등
KR20050075326A (ko) * 2005-02-02 2005-07-20 오재학 비상구 유도등
KR101645220B1 (ko) * 2015-06-19 2016-08-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대피경로 알림시스템
KR101694915B1 (ko) 2015-07-23 2017-01-10 주식회사 맥스포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KR20170053910A (ko) * 2015-11-09 2017-05-17 김재홍 재난유도장치
KR101803812B1 (ko) 2016-07-07 2018-01-10 코리아 시스템 에프 에이 주식회사 비상등
KR20200053945A (ko) * 2018-11-09 2020-05-19 김정집 레이저와 소리를 이용한 비상탈출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123Y1 (ko) * 2003-07-08 2003-11-05 (주)다산방재산업 통로 유도등
KR20050075326A (ko) * 2005-02-02 2005-07-20 오재학 비상구 유도등
KR101645220B1 (ko) * 2015-06-19 2016-08-0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대피경로 알림시스템
KR101694915B1 (ko) 2015-07-23 2017-01-10 주식회사 맥스포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KR20170053910A (ko) * 2015-11-09 2017-05-17 김재홍 재난유도장치
KR101803812B1 (ko) 2016-07-07 2018-01-10 코리아 시스템 에프 에이 주식회사 비상등
KR20200053945A (ko) * 2018-11-09 2020-05-19 김정집 레이저와 소리를 이용한 비상탈출 유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649A (ko)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웰릭스 IoT 센서 데이터 시분할 송신용 화재 유도등 단말
KR102560195B1 (ko) * 2023-02-06 2023-07-27 주식회사 해밀엔지니어링종합건설 소방 비상구 유도표시판
KR102630514B1 (ko) * 2023-05-30 2024-01-29 명화지리정보(주) 항공확보이미지의 영상을 3차원으로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733B1 (ko)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US7026947B2 (en) Building emergency path finding systems and method
JP6485994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
US4754266A (en) Traffic director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200472941Y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른 최적의 대피 경로를 방향표시, 문자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비상구 표시 장치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20110059161A (ko) 지능형 피난 레이저 유도 시스템
KR20190026503A (ko) 피난 가이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피난 가이드 시스템
US20020149491A1 (en) Egress system
KR20210010703A (ko)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KR20150014326A (ko) 피난구 유도등
KR102471645B1 (ko) 지능형 비상구 표시등 관리시스템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0998997B1 (ko) 동적방향을 지시하는 유도등 제어시스템
JP2013242687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2202150B1 (ko) 긴급상황파악 및 긴급차량접근 알림 시스템, 그 작동방법
JPH10179774A (ja) トンネル内避難誘導装置および避難誘導システム
KR20110008331U (ko) 피난구 유도등
JP6174333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20210082580A (ko) 레이저피난유도장치 및 방법
KR101980088B1 (ko) 모바일 시스템을 이용한 소방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JP2006277382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CN111351484A (zh) 室内紧急疏散导航系统
KR20210080145A (ko) 지능형 화재 대응 장치 및 그를 위한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