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915B1 -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915B1
KR101694915B1 KR1020150104293A KR20150104293A KR101694915B1 KR 101694915 B1 KR101694915 B1 KR 101694915B1 KR 1020150104293 A KR1020150104293 A KR 1020150104293A KR 20150104293 A KR20150104293 A KR 20150104293A KR 101694915 B1 KR101694915 B1 KR 10169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output terminal
connection
exit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최중덕
이동기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15010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05B37/022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비상구 상측 벽면에 설치되어지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가 하측에 형성되는 제1몸체부;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접속단자가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해 발광될 수 있는 유도등을 포함하는 제2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에 상기 제2몸체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영역에 발생하는 연기의 존재 유무 및 농도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연기감지부 및 높이조절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부을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전달받아 화재의 발생이 판단되어지면 상기 제2몸체부가 하강 이동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SMART EMERGENCY EXIT DISPLAY LAMP}
본 발명은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비상구(Emergency exit, 非常口)는 화재나 지진 등의 갑작스러운 사고가 발생한 경우 건물 내부에 있던 사람들이 외부로 급히 대피할 수 있도록 마련한 출입구로써, 이러한 비상구의 일측에는 비상구의 위치를 대피자들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대피자들을 신속하게 안전한 장소로 유도하는 비상구 유도등이 설치되어 진다.
비상구 유도등을 좀 더 멀리서, 좀 더 쉽게 대피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최근에는 비상구 유도등의 내부에서 발광되어지는 빛의 세기 또는 양을 개선시키거나, 비상구 유도등이 발광하는 형태 또는 패턴 등에 많은 변화를 부여하여 비상구 유도등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작업들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상구 유도등에 빛의 조도 차이에 따른 발광 패턴의 제어를 통한 방향성 표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비상구 위치 및 대피 방향을 대피자에게 명확하게 표시해주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7929 호의 "비상구 유도등"(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일반적인 비상구 유도등은 멀리서도 대피자들이 비상구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비상구 유도등을 인식함에 있어서 사각지대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구 상측에 설치되어진다.
하지만,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여 사람들의 대피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들은 밑으로 가라앉지 않고 공간의 상측으로 이동되어져 비상구 유도등의 시인성을 상당부분 저해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비상구 유도등은 유도등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유도등의 발광과 관련된 다양한 구성에 대한 설계 변형을 통해 광의 출력량 또는 출력형태만을 제어하여 실질적으로 화재에 의해 연기들이 다량으로 발생하여 공간의 상측에 자리 잡게 되면 비상구 유도등이 연기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대피자들이 비상구 유도등을 용이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구역의 상측에 위치하는 연기에 의해 비상구 유도등이 가려지지 않고, 높은 수준의 시인성을 갖추어 대피자들이 용이하게 비상구의 위치를 인식하고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은, 비상구 상측 벽면에 설치되어지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가 하측에 형성되는 제1몸체부;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접속단자가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해 발광될 수 있는 유도등을 포함하는 제2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에 상기 제2몸체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영역에 발생하는 연기의 존재 유무 및 농도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연기감지부 및 높이조절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부을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전달받아 화재의 발생이 판단되어지면 상기 제2몸체부가 하강 이동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일부를 축전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부 내 유도등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해 발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접속단자와 상기 제1몸체부의 출력단자 간의 접속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결과에 따라 상기 유도등에 이용되어질 전원의 출력 대상을 달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접속단자가 상기 제1몸체부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짐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2몸체부의 유도등이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해 발광되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접속단자가 상기 제1몸체부의 출력단자에 접속 해제됨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2몸체부의 유도등이 상기 배터리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해 발광되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높이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결와이어; 상기 연결와이어들의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려지는 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결와이어 드럼; 및 상기 연결와이어 드럼들 각각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해 구동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은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에 상기 제2몸체부의 상측이 접하여 상기 출력단자에 상기 접속단자가 접속되도록 상기 연결와이어 드럼들에 각각의 상기 연결와이어가 감겨져 있는 상태를 기본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부을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기반으로 화재의 발생이 판단되어질 경우, 상기 연결와이어 드럼들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연결와이어 드럼들에 감겨져 있는 각각의 상기 연결와이어가 일정하게 풀려지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재에 의해 연기가 발생하여 비상구 유도등이 설치된 지역의 상측에 연기들이 자리 잡고 있더라도 화재의 발생을 인지하여 하강되어진 비상구 유도등에 의해 대피자들은 지속적으로 비상구 위치에 대한 정보 제공받고 신속히 화재 지역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다.
둘째, 유도등이 설치된 제2몸체부가 하강되어 제1몸체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더라도 평소 전원을 축전해 두었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지속적으로 유도등이 발광되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의 화재 발생 시 하강되어진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의 기본적 전원 공급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의 화재 발생 시 전원 공급형태 및 높이조절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의 구성요소 및 작동형태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100)은 제1몸체부(110); 제2몸체부(120); 높이조절부(130); 연기감지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제1몸체부(11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E)의 상측 벽면에 설치되어지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접속되어지는 단자에 출력시키기 위한 출력단자(111)가 제1몸체부(110)의 하측에 형성되어진다.
제2몸체부(1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제공받아 발광되어 비상구(E)의 위치를 표시하여 화재 장소로부터 사람들의 대피를 유도하는 유도등(122)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소의 경우, 기본적으로 제1몸체부(110)의 아래에 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몸체부(120)의 상측에는 접속단자(121)가 형성되어지는데, 이러한 접속단자(121)의 형성 위치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몸체부(120)가 제1몸체부(110)의 아래에 접하도록 위치할 경우 출력단자(111)와 접속단자(121)가 상호 접점을 형성하며 접속되어 전기적 연결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2몸체부(120)의 상측 중 제1몸체부(110)의 출력단자(111)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몸체부(120) 내부에는 인가되는 전원을 축전시키기 위한 배터리(123)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지는데, 이러한 배터리(123)는 제1몸체부(110)의 출력단자(111)에 접속되어진 접속단자(121)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내부에 저장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 기본적으로 제1몸체부(110)에 제2몸체부(120)가 접하도록 위치하여 출력단자(111)와 접속단자(1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지고 나면, 출력단자(111)를 통해 출력되어지는 전원은 접속단자(121)를 통해 제2몸체부(120)의 내부로 전달되어진 뒤 일부는 유도등(122)의 발광에 사용되어지고, 일부는 배터리(123)에 축전되어진다.
높이조절부(130)는 제2몸체부(120)를 제1몸체부(110)에 연결시키고, 제2몸체부(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높이조절부(130)를 통해 제2몸체부(120)는 제1몸체부(110)의 하측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어 진다.
이를 위해 높이조절부(130)는 연결와이어(131), 연결와이어(131)가 감겨진 연결와이어 드럼(132) 및 연결와이어 드럼(132)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33)로 이루어진 하나의 높이조절 집합체가 적어도 둘 이상 마련되어 진다.
여기서, 높이조절부(130)의 연결와이어(131), 연결와이어 드럼(132) 및 구동 모터(133)로 이루어진 높이조절 집합체들은 제2몸체부(120)의 균형적 상하이동을 위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120)의 양 측면에 각각 동일한 높이로 대응되게 설치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연결와이어(131)는 일단이 제1몸체부(110)의 하측에 고정되어 연결되어지며, 타단은 연결와이어 드럼(13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감겨진 형태로 연결되어 있어, 연결와이어 드럼(132)의 외주면에 감겨진 연결와이어(131)의 양이 많아지면 제2몸체부(120)가 제1몸체부(110)에 가까워지고 연결와이어 드럼(132)의 외주면에 감겨진 연결와이어(131)의 양이 적어지면 제2몸체부(120)가 제1몸체부(11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와이어 드럼(132)은 연결와이어(131)가 감기거나 풀려지는 축으로써 역할을 하고, 이와 같은 연결와이어 드럼(132)은 구동 모터(133)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게 되어 연결와이어(131)의 감김 또는 풀림을 유도한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높이조절부(130)를 이루는 연결와이어(131), 연결와이어 드럼(132) 및 구동 모터(133)의 작동 형태는 높이조절 집합체 각각이 모두 동일하게 작동되어져 제2몸체부(120)의 높이가 균형적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100)은 제2몸체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진 적어도 둘 이상의 연결와이어(131), 연결와이어 드럼(132) 및 구동 모터(133) 각각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연결와이어(131)가 없을 정도로 연결와이어 드럼(132)에 연결와이어(131)의 대부분이 감겨져 출력단자(111)와 접속단자(1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지도록 제1몸체부(110)의 하측에 제2몸체부(120)의 상측이 접하여진 상태를 기본으로 한다.
한편, 연기감지부(140)는 제2몸체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영역에 발생하는 연기의 존재 유무 및 농도 등을 감지하여 화재에 의한 연기 발생 상태를 실시간을 확인한다.
여기서, 연기감지부(140)는 제2몸체부(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금 더 빠른 연기 발생 상태에 대한 감지를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 화재에 의해 연기가 발생 할 경우 연기감지부(140)는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에 기반이 되어지는 연기의 발생 상태에 대한 감지값을 형성한다.
제어부(150)는 제2몸체부(120)의 유도등(122) 발광과 연관되어진 전원 공급에 대한 제어, 연기감지부(140)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의 수신 및 높이조절부(130)의 동작 상태 제어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50)가 연기감지부(140)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전달받아 이를 분석한 뒤 화재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음이 판단될 경우, 제어부(150)는 높이조절부(130) 및 제2몸체부(120)의 유도등(122)의 발광을 위한 전원 출력 대상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2몸체부(120)의 하강이동과 지속적인 유도등(122)의 발광을 유도한다.
우선, 제어부(150)는 연기감지부(140)을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기반으로 화재의 발생이 판단되어질 경우, 높이조절부(130)의 연결와이어 드럼(132)들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와이어 드럼(132)들에 감겨져 있는 각각의 연결와이어(131)가 일정하게 풀려지도록 구동 모터(133)의 구동상태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연결와이어(131)들의 타단측이 풀려져 제2몸체부(120)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10)의 하측에서부터 점점 아래로 하강이동 되게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의 높이조절부(13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1몸체부(110)와 접하지 않고 아래로 이동되어진 제2몸체부(120)는 더 이상 출력단자(111)와 접속단자(112)가 접점을 형성하여 전기적 연결 상태를 이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출력 대상이 요구되어 진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제2몸체부(120)의 접속단자(121)와 제1몸체부(110)의 출력단자(111) 간의 접속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결과에 따라 제2몸체부(120) 내 유도등(122)의 발광에 이용되어질 전원의 출력 대상을 달리한다. 이는 제어부(150)에 의해 구동되어지는 구동 모터(133)에 이용되어질 전원의 출력 대상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몸체부(120)의 접속단자(121)와 제1몸체부(110)의 출력단자(111) 간의 접속이 제어부(150)의 높이조절부(130)에 대한 제어를 통한 제2몸체부(120)의 하강이동에 의해 해제되었음이 제어부(150)에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23)에 축전되어져 있던 전원을 출력시켜 유도등(122)의 발광에 이용한다.
또한, 연기감지부(140)을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기반으로 화재의 발생이 판단되어질 경우 역시 제어부(150)는 높이조절부(130)의 구동 모터(133)가 제2몸체부(120)의 하강이동의 시작이 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질 수 있도록 배터리(123)에 축전되어져 있던 전원을 출력시켜 구동 모터(133)의 구동 제어에 이용한다.
이에 비해, 화재가 발생하지 않아 연기가 연기감지부(140)을 통해 감지되지 않는 평소 기본 상태에서 제1몸체부(110)에 제2몸체부(120)가 접하도록 위치하여 출력단자(111)와 접속단자(1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져 있음이 제어부(150)에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단자(111)로부터 출력되어지는 전원을 접속단자(121)를 통해 인가받아 유도등(122)의 발광에 이용한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100)은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유도등(122)이 설치된 제2몸체부(120)의 위치를 제1몸체부(110)로부터 하강 이동시킴으로써, 화재의 발생에 의해 비상구(E) 주변 상측에 자리 잡은 연기들이 유도등(122)을 가려 대피자의 비상구(E) 위치에 대한 시인성이 저해되어질 수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내부에 마련된 별도의 배터리(123)를 이용해 하강 이동이 이루어진 후에도 유도등(122)의 발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110 : 제1몸체부
111 : 출력단자
120 : 제2몸체부
121 : 접속단자
122 : 유도등
123 : 배터리
130 : 높이조절부
131 : 연결와이어
132 : 연결와이어 드럼
133 : 구동 모터
140 : 연기감지부
150 : 제어부
E : 비상구

Claims (7)

  1. 비상구 상측 벽면에 설치되어지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가 하측에 형성되는 제1몸체부;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접속단자가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해 발광될 수 있는 유도등을 포함하는 제2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에 상기 제2몸체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영역에 발생하는 연기의 존재 유무 및 농도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 및
    상기 제2몸체부, 연기감지부 및 높이조절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부을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전달받아 화재의 발생이 판단되어지면 상기 제2몸체부가 하강 이동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출력단자에 접속된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일부를 축전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부 내 유도등은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해 발광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접속단자와 상기 제1몸체부의 출력단자 간의 접속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결과에 따라 상기 유도등에 이용되어질 전원의 출력 대상을 달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접속단자가 상기 제1몸체부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짐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2몸체부의 유도등이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해 발광되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접속단자가 상기 제1몸체부의 출력단자에 접속 해제됨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2몸체부의 유도등이 상기 배터리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해 발광되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높이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결와이어;
    상기 연결와이어들의 타단이 각각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려지는 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연결와이어 드럼; 및
    상기 연결와이어 드럼들 각각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해 구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은 상기 제1몸체부의 하측에 상기 제2몸체부의 상측이 접하여 상기 출력단자에 상기 접속단자가 접속되도록 상기 연결와이어 드럼들에 각각의 상기 연결와이어가 감겨져 있는 상태를 기본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부을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기반으로 화재의 발생이 판단되어질 경우, 상기 연결와이어 드럼들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연결와이어 드럼들에 감겨져 있는 각각의 상기 연결와이어가 일정하게 풀려지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KR1020150104293A 2015-07-23 2015-07-23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KR10169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293A KR101694915B1 (ko) 2015-07-23 2015-07-23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293A KR101694915B1 (ko) 2015-07-23 2015-07-23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915B1 true KR101694915B1 (ko) 2017-01-10

Family

ID=5781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293A KR101694915B1 (ko) 2015-07-23 2015-07-23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9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89B1 (ko) 2018-11-16 2019-06-07 신호원 스마트 비상등
KR20190084197A (ko) 2018-01-06 2019-07-16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KR102121203B1 (ko) * 2020-01-21 2020-06-10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2143555B1 (ko) * 2019-12-19 2020-08-12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안전 유도 장치
KR20200114565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102276733B1 (ko) 2020-12-28 2021-07-13 신호원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7903A (ja) * 1985-08-27 1987-03-0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昇降形非常用照明装置
JPH06155109A (ja) * 1992-11-25 1994-06-03 Hitachi Tool Eng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980009758A (ko) * 1996-07-01 1998-04-30 최성열 방화 및 방범용 셔터
KR20100005499A (ko) * 2008-07-07 2010-01-15 김권영 분리형 비상조명등 점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7903A (ja) * 1985-08-27 1987-03-0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昇降形非常用照明装置
JPH06155109A (ja) * 1992-11-25 1994-06-03 Hitachi Tool Eng Ltd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KR980009758A (ko) * 1996-07-01 1998-04-30 최성열 방화 및 방범용 셔터
KR20100005499A (ko) * 2008-07-07 2010-01-15 김권영 분리형 비상조명등 점등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197A (ko) 2018-01-06 2019-07-16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스마트 피난구 유도등
KR101986489B1 (ko) 2018-11-16 2019-06-07 신호원 스마트 비상등
KR20200114565A (ko) * 2019-03-29 2020-10-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102224389B1 (ko) * 2019-03-29 2021-03-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102143555B1 (ko) * 2019-12-19 2020-08-12 (주)한양이엔씨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안전 유도 장치
KR102121203B1 (ko) * 2020-01-21 2020-06-10 주식회사 삼진탑엔지니어링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KR102276733B1 (ko) 2020-12-28 2021-07-13 신호원 화재 발생시 소방 피난 유도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4915B1 (ko) 스마트 비상구 유도등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1559569B1 (ko) 비상 피난 유도용 조명 장치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KR101261448B1 (ko)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5115B1 (ko) 지능형 레이저 유도등
KR20170068185A (ko)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279263B1 (ko) 화재경보장치
KR101827410B1 (ko) 피난유도등에 결합되는 연기감지 자동 눈높이 승하강 리프트 장치
KR101896540B1 (ko) 화재안전 엘이디조명 시스템
KR101618605B1 (ko) 비상구 위치로 유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사운드 기반의 비상유도장치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200089194A (ko) 비상상황에서의 대피유도시스템
KR101454651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KR20170010346A (ko) 대피안내 겸용 조명장치
JP6256628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102143555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 안전 유도 장치
KR100971376B1 (ko) 비상조명등
KR101034384B1 (ko) 비상용 방화 셔터
JP6438760B2 (ja) 開閉装置
KR102655868B1 (ko) Led 조명등
JP643437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照明装置
KR20210057601A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