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651B1 -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651B1
KR101454651B1 KR1020130018529A KR20130018529A KR101454651B1 KR 101454651 B1 KR101454651 B1 KR 101454651B1 KR 1020130018529 A KR1020130018529 A KR 1020130018529A KR 20130018529 A KR20130018529 A KR 20130018529A KR 101454651 B1 KR101454651 B1 KR 10145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mergency
laser
fir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4712A (ko
Inventor
배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앤에스
Priority to KR102013001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6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문 및 피난구의 비상문 표시장치는, 평소에는 건물 벽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고, 화재시에는 건물의 벽면에서 이탈되어 방화구획을 형성하며, 방화구획 형성시 맞닿는 벽면 또는 문틀에 위치하는 폐쇄감지센서가 폐쇄를 감지하는 대상인 감지대상이 구비되고, 감지대상은 폐쇄상태가 되었을 때 폐쇄감지센서의 감지범위 이내에 위치하며, 일부분에 비상문이 위치하는 방화문; 방화문의 상부에 위치하는 벽면 또는 문틀에 설치되어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LED를 통해 발광되고, LED의 전면에는 투명 반사판이 결합되는 LED 비상 유도등; 비상문의 상단과 투명 반사판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를 레이저로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수단; 폐쇄감지센서를 통해 살기 방화문의 폐쇄가 감지될 경우, 비상문에 비상문과 동일한 형상의 레이저가 조사되고, 비상문 상단 및 LED 비상 유도등의 투명 반사판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레이저로 조사되도록 레이저 조사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문 및 피난구의 비상문 표시장치{Exit Dysplay Apparatus for Fire door and Evacuation door with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문 및 피난구의 비상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구획을 형성하는 비상문의 작동을 감지할 경우 연기에 의해 빛이 반사되지 않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방화문에 구비된 비상구의 위치를 조사하고, 동시에 방화문의 상부 또는 문틀에 투명 반사판이 결합된 LED 비상 유도등을 설치하여 LED 비상 유도등의 투명 반사판에도 비상구를 알리는 문구가 레이저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화재시 연기로 인해 시야확보가 힘든 경우에도 대피자가 방화문의 비상구 위치와 투명 반사판을 통해 반사되는 비상구 문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문 및 피난구의 비상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문 및 피난구의 비상문 표시장치는 비상문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비가 구비되지 않거나, 단순한 조명수단을 이용하여 방화문에 형성된 비상문의 위치를 표시한다. 그러나, 화재시에는 연기 때문에 시야확보가 쉽지 않고, 일반적인 조명수단에서 조사되는 빛은 연기에 반사되어 대피자가 방화문에 형성된 비상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화문 또는 방화문의 비상구 주변에 설치된 비상구 문구도 일반적인 조명수단을 사용하는 관계로, 비상문 문구를 조사하는 빛이 화재시 연기 때문에 반사되어 대피자가 확인하기 쉽지 않고, 화재시 정전이 발생할 경우 비상구 문구를 조사하는 조명수단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대피자가 비상구 문구를 확인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3-0087843호는 보안 겸용의 비상문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2003-0087843호에는 화재시 비상문을 알리는 경광등 및 조명 제공용 라이트를 일반조명으로 사용하여 화재 발생시 연기로 인해 빛이 반사되어 대피자가 비상문의 위치를 찾기 힘들고 정정시에는 경광등 및 조명 제공용 라이트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문이 방화구획을 형성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연기에 의해 빛이 반사되지 않는 레이저를 통해 방화문의 비상구 위치를 조사함으로써, 화재시 연기로 인해 시야확보가 힘들 경우에도 레이저가 연기에 방해받지 않고 방화구획에 비상구의 위치가 선명하게 조사되어 대피자가 방화문의 비상구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문의 상부 또는 문틀에 투명 반사판이 결합된 LED 비상 유도등을 설치하여 LED 비상 유도등의 투명 반사판에도 레이저를 이용하여 비상구를 알리는 문구를 조사함으로써, 화재시 연기로 인해 시야확보가 힘들 경우에도 대피자가 방화문의 비상구 위치와 투명 반사판을 통해 반사되는 비상구 문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전력이 적은 레이저를 이용함으로써, 레이저 조사 수단의 구동에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레이저 조사 수단으로 인하여 화재로 인한 정전시에도 방화문의 비상구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문 및 피난구의 비상문 표시장치는, 평소에는 건물 벽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고, 화재시에는 건물의 벽면에서 이탈되어 방화구획을 형성하며, 방화구획 형성시 맞닿는 벽면 또는 문틀에 위치하는 폐쇄감지센서가 폐쇄를 감지하는 대상인 감지대상이 구비되고, 상기 감지대상은 폐쇄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폐쇄감지센서의 감지범위 이내에 위치하며, 일부분에 비상문이 위치하는 방화문; 상기 방화문의 상부에 위치하는 벽면 또는 문틀에 설치되어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LED를 통해 발광되고, 상기 LED의 전면에는 투명 반사판이 결합되는 LED 비상 유도등; 상기 비상문의 상단과 상기 투명 반사판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를 레이저로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수단; 상기 폐쇄감지센서를 통해 살기 방화문의 폐쇄가 감지될 경우, 상기 비상문에 상기 비상문과 동일한 형상의 레이저가 조사되고, 상기 비상문 상단 및 상기 LED 비상 유도등의 상기 투명 반사판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레이저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은, 일부분에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센서에서 연기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동안 상기 폐쇄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방화문의 방화구획 형성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비상문에 상기 비상문과 동일한 형상의 레이저가 조사되고 상기 비상문 상단 및 상기 LED 비상 유도등의 투명 반사판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레이저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LED 비상 유도등의 바탕색은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색과 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이 방화구획을 형성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연기에 의해 빛이 반사되지 않는 레이저를 통해 방화문의 비상구 위치를 조사함으로써, 화재시 연기로 인해 시야확보가 힘들 경우에도 레이저가 연기에 방해받지 않고 방화구획에 비상구의 위치가 선명하게 조사되어 대피자가 방화문의 비상구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문의 상부 또는 문틀에 투명 반사판이 결합된 LED 비상 유도등을 설치하여 LED 비상 유도등의 투명 반사판에도 레이저를 이용하여 비상구를 알리는 문구를 조사함으로써, 화재시 연기로 인해 시야확보가 힘들 경우에도 대피자가 방화문의 비상구 위치와 투명 반사판을 통해 반사되는 비상구 문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전력이 적은 레이저를 이용함으로써, 레이저 조사 수단의 구동에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레이저 조사 수단으로 인하여 화재로 인한 정전시에도 방화문의 비상구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의 방화문이 여닫이 방식일 경우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의 LED 비상 유도등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의 방화문이 여닫이 방식일 경우에 작동되는 순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의 방화문이 미닫이 방식일 경우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의 방화문이 미닫이 방식일 경우에 작동되는 순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발명의 명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문 및 피난구의 비상문 표시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100), LED 비상 유도등(200), 레이저 조사 수단(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방화문(100)은 평소에는 건물 벽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고, 화재시에는 건물의 벽면에서 이탈되어 방화구획을 형성하며, 방화구획 형성시 맞닿는 벽면 또는 문틀에 위치하는 폐쇄감지센서(110)가 폐쇄를 감지하는 대상인 감지대상(120)이 구비되고, 감지대상(120)은 폐쇄상태가 되었을 때 폐쇄감지센서(110)의 감지범위 이내에 위치하며, 일부분에 비상문(130)이 위치한다.
여기서, 방화문(100)의 형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물 벽면의 외부에 위치하는 여닫이 방식의 방화문(100)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물 벽면의 내부에 위치하는 미닫이 방식의 방화문(100)이 포함된다.
LED 비상 유도등(200)은 방화문(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벽면 또는 문틀에 설치되어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LED를 통해 발광되고, LED의 전면에는 투명 반사판(21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LED 비상 유도등(200)의 바탕색은 후술할 레이저 조사 수단(3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색과 대조되는 색으로 구성된다. 이는, 레이저 조사 수단(300)에서 레이저로 조사되는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대피자에게 더 잘 보이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LED 비상 유도등(200)의 투명 반사판(210)은 레이저 조사 수단(300)에서 레이저로 조사되는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더 멀리 선명하게 반사되도록 하여 대피자가 멀리서도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레이저 조사 수단(300)은 비상문(130)의 상단과 투명 반사판(210)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를 레이저로 조사한다.
이와 같은, 레이저 조사 수단(400)은 레이저로 비상문(110)과 동일한 형상의 레이저를 조사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해 연기가 발생할 경우에도 레이저가 연기에 반사되지 않고 목표지점까지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조사 수단(3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대피자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레이저가 조사되는 길이방향의 빔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문(100)에 조사되어 비상문(100) 형태로 나타난 형상을 보지 않더라도 길이방향의 빔을 통해 비상문(100)의 위치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재시 실내에 연기가 발생할 경우 연기로 인해 대피자의 시야에는 연기만 뿌옇게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선명한 빛의 레이저 빔이 연기를 관통하여 조사되면 대피자가 연기에 관통된 레이저 빔을 따라 쉽게 대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조사 수단(300)은 일반적인 조명수단보다 전력을 적게 사용하기 때문에 상시전원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으므로, 배터리를 내장시켜 상시전원 없이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조사 수단(300)에 배터리를 내장시킬 경우 화재로 인해 건물이 정전될 경우에도 작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이저 조사 수단(300)은 일부분에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310)가 더 구비되어, 화재가 발생 시 폐쇄감지센서(110)에서 방화문(100)의 방화구획 형성을 감지하지 못했을 경우에도 레이저 조사 수단(300)에서 비상문(100)에 비상문(100)과 동일한 형상의 레이저를 조사하고 비상문(100) 상단 및 LED 비상 유도등(200)의 투명 반사판(210)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를 레이저로 조사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제어과정은 후술할 제어부(400)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폐쇄감지센서(110)를 통해 살기 방화문(100)의 폐쇄가 감지될 경우, 비상문(130)에 비상문(130)과 동일한 형상의 레이저가 조사되고, 비상문 상단 및 LED 비상 유도등(200)의 투명 반사판(210)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레이저로 조사되도록 레이저 조사 수단(30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연기감지센서(310)에서 연기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동안 폐쇄감지센서(110)를 통해 방화문의 방화구획 형성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비상문(100)에 비상문(100)과 동일한 형상의 레이저가 조사되고 비상문(100) 상단 및 LED 비상 유도등(200)의 투명 반사판(210)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레이저로 조사되도록 레이저 조사 수단(300)을 제어한다. 이는, 화재 발생 시 폐쇄감지센서(110)가 방화문(100)의 방화구획 형성을 감지하지 못했을 경우에도 제어부(400)가 레이저 조사 수단(300)을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방화문 110 : 폐쇄감지센서
120 : 감지대상 130 : 비상문
200 : LED 비상 유도등 210 : 투명 반사판
300 : 레이저 조사 수단 310 : 연기감지센서
400 : 제어부

Claims (3)

  1. 평소에는 건물 벽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고, 화재시에는 건물의 벽면에서 이탈되어 방화구획을 형성하며, 방화구획 형성시 맞닿는 벽면 또는 문틀에 위치하는 폐쇄감지센서가 폐쇄를 감지하는 대상인 감지대상이 구비되고, 상기 감지대상은 폐쇄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폐쇄감지센서의 감지범위 이내에 위치하며, 일부분에 비상문이 위치하는 방화문;
    상기 방화문의 상부에 위치하는 벽면 또는 문틀에 설치되어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LED를 통해 발광되고, 상기 LED의 전면에는 투명 반사판이 결합되는 LED 비상 유도등;
    상기 비상문의 상단과 상기 투명 반사판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를 레이저로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수단;
    상기 폐쇄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방화문의 폐쇄가 감지될 경우, 상기 비상문에 상기 비상문과 동일한 형상의 레이저가 조사되고, 상기 비상문 상단 및 상기 LED 비상 유도등의 상기 투명 반사판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레이저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은,
    일부분에 화재 발생시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센서에서 연기가 감지된 후, 일정시간동안 상기 폐쇄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방화문의 방화구획 형성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비상문에 상기 비상문과 동일한 형상의 레이저가 조사되고 상기 비상문 상단 및 상기 LED 비상 유도등의 투명 반사판에 비상문을 알리는 문구가 레이저로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LED 비상 유도등의 바탕색은 상기 레이저 조사 수단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색과 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30018529A 2013-02-21 2013-02-21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KR10145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529A KR101454651B1 (ko) 2013-02-21 2013-02-21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529A KR101454651B1 (ko) 2013-02-21 2013-02-21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712A KR20140104712A (ko) 2014-08-29
KR101454651B1 true KR101454651B1 (ko) 2014-11-03

Family

ID=5174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529A KR101454651B1 (ko) 2013-02-21 2013-02-21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65B1 (ko) * 2019-02-18 2020-04-29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화재 발생시 비상문 유도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816B1 (ko) * 2018-02-20 2018-09-10 조남준 다기능 유도등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67Y1 (ko) * 2000-02-12 2000-07-15 손재설 비상구 표시장치
JP2002245565A (ja) * 2001-02-13 2002-08-30 Tatsuaki Saito 火災災害予防総合保安装置
KR20090101034A (ko) * 2008-03-20 2009-09-24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비상구 안내장치
KR20100039142A (ko) * 2008-10-07 2010-04-15 (주)제이디옵틱 비상구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67Y1 (ko) * 2000-02-12 2000-07-15 손재설 비상구 표시장치
JP2002245565A (ja) * 2001-02-13 2002-08-30 Tatsuaki Saito 火災災害予防総合保安装置
KR20090101034A (ko) * 2008-03-20 2009-09-24 주식회사 하나아이엔씨 비상구 안내장치
KR20100039142A (ko) * 2008-10-07 2010-04-15 (주)제이디옵틱 비상구 안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65B1 (ko) * 2019-02-18 2020-04-29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화재 발생시 비상문 유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712A (ko) 2014-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973B1 (ko) 복합형 피난 유도장치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1485115B1 (ko) 지능형 레이저 유도등
KR101502483B1 (ko) 피난구 유도등
HK1109384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and particularly fingers, between the doors and the contiguous walls of an elevator car with glass doors, and elevator equipped therewith
KR101466036B1 (ko) 네방향 비상구 유도등
KR101454651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방화구획의 비상문 표시장치
KR101102280B1 (ko) 피난안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피난 유도등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KR20170006505A (ko) 장애물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스크린도어용 장애물감지 시스템
KR20160069059A (ko) 생명길 유도등
KR10210279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WO2010073387A1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20100132156A (ko) Led 비상 유도등
KR100971376B1 (ko) 비상조명등
CN110475738B (zh) 电梯的停电灯装置
KR20170050350A (ko) 비상 유도 및 통화 시스템
KR20160004745A (ko) 비상 대피로의 안내장치
KR102231288B1 (ko) 화재상황에서도 식별이 용이한 피난구 유도 장치
KR101293049B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 표시 장치
JP2006024542A (ja) 照明器具
JP2012247845A (ja) 誘導灯装置及び誘導灯システム
KR200469863Y1 (ko) 벽부형 진열장
KR20190001440U (ko) 피난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