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3686A -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3686A
KR20220033686A KR1020200115855A KR20200115855A KR20220033686A KR 20220033686 A KR20220033686 A KR 20220033686A KR 1020200115855 A KR1020200115855 A KR 1020200115855A KR 20200115855 A KR20200115855 A KR 20200115855A KR 20220033686 A KR20220033686 A KR 20220033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aster relief
control signal
control unit
coordin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기동
이태혁
Original Assignee
(주)프로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맥스 filed Critical (주)프로맥스
Priority to KR102020011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3686A/ko
Publication of KR2022003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 화재, 지진, 태풍, 홍수, 붕괴 등이 포함되는 각종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생존자의 위치정보를 정말한 좌표정보로 외부에 알려주고 어두운 장소에서 조난자에게 주변을 확인하도록 조명하여 안정감을 주며, 과다한 먼지 또는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조난자의 안전한 호흡을 위하여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피에스 인공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50 센티미터 이내의 오차범위에 의한 정밀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정밀지피에스부; 정밀지피에스부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의 정밀좌표정보를 입력받고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의 전체 운용을 감시하며 각 구성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각 구성부 사이의 해당 신호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며 사용자 신상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재난구조제어부; 재난구조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6 개 이상의 다수로 이루어지는 5 와트급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백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엘이디조명부; 재난구조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입력하며 태양광 조사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5.1 볼트의 정전압과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태양광발전부; 재난구조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용전원을 입력하고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상용전원부; 재난구조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태양광발전부 또는 상용전원부로부터 인가되는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입력하여 충전하는 비상충방전부; 재난구조제어부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 공기를 분석하여 유해가스가 포함된 것으로 검출되면 음이온을 발생하여 배출하는 음이온발생부를 포함하는 특징에 의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충방전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재난발생 상황을 국제공용 조난구조신호로 출력하면서 사이렌, SOS와 다수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므로 재난상황을 주변에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하며, 조난자의 호흡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Apparatus of emergency lamp for disaster rescue}
본 발명은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 화재, 지진, 태풍, 홍수, 해일, 붕괴 등이 포함되는 각종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생존자의 위치정보를 정밀한 좌표정보로 외부에 알려주고 어두운 장소에서 조난자에게 주변을 확인하도록 조명하여 안정감을 주며, 구조신호를 다수 통신경로로 전송하여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과다한 먼지 또는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조난자의 안전한 호흡을 위하여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상등(非常燈)은 긴급하거나 위급할 때 다른 사람에게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켜는 등(lamp)을 총칭하고 가정, 건물, 각종 시설물 등에 별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상등은 거치대와 비상등 부분으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전기 공급이 없어도 내장된 건전지를 이용하여 조명하는 구성이며 건물의 벽면 등에 탈부착 상태로 설치되고, 비상 유도등은 건물 또는 시설물 등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전기 공급이 차단되는 비상상황에 자동 점등되도록 충전 수단이 구비되는 구성이다.
종래의 비상등과 비상유도등은 눈에 잘 보이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충전되고 사용할 때는 충전된 전기를 이용한다.
이러한 필요성을 일부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03812호(2017. 11. 27.)에 의한 것으로 ‘비상등’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비상등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건물의 벽면에 고정된 고정본체(10)에 마련된 전원공급부(12)를 통해 상용전원이 저전력 동작전압인 DC 5V로 변환되고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하여 충전경로(C)를 통해 램프(20)의 충전부(25)로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정전에 의한 재난이 발생된 경우 정전감지수단(11a)이 정전 감지신호를 제어부1(14)에 인가하면, 제어부1(14)은 사전 설정 저장된 점등식별신호를 충전경로(C)를 통해 제어부2(27)로 전달한다. 한편, 화재와 지진과 침수가 포함된 재난을 각각 감지하여 각 재난별 특정된 신호를 각각 출력하여 외부에 알림으로써, 현재 어떠한 종류의 재난이 발생하였는지 식별되도록 하고, 정확하며 신속한 재난 대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종래기술은 발생된 재난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도록 하므로 구조의 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으나 각종 재난을 각각 검출하는 구성이 비교적 매우 복잡하며 전력소모가 크고, 효율성이 떨어지며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재난 발생 상황에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운용시간이 극히 제한적이며, 빛 신호로만 재난 상태를 표출하므로 재난이 발생된 주변의 다양한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고 빛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재난지역에서는 조난자의 위치식별이 매우 어렵고, 재난 발생 지역에서 외부의 소식을 확인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조난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정밀한 좌표정보로 제공하면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충전하고, 국제규격에 의한 조난신호를 출력하면서 소리(sound)와 무선으로 조난신호를 출력하며, 외부의 상황을 확인하면서 주변 환경으로부터 조난자의 호흡을 보호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03812호(2017. 11. 27.) ‘비상등’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재난 발생 환경에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충방전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재난발생 상황을 국제공용 조난구조신호로 출력하면서 사이렌, SOS와 다수 통신경로를 경유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발생 환경이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공기를 정화시켜 공급하므로 조난자의 생명을 연장시키고 조난자의 위치를 정밀한 좌표정보로 제공하여 구조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는 지피에스 인공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50 센티미터 이내의 오차범위에 의한 정밀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정밀지피에스부(1010); 상기 정밀지피에스부(101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의 정밀좌표정보를 입력받고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의 전체 운용을 감시하며 각 구성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각 구성부 사이의 해당 신호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며 사용자 신상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재난구조제어부(102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6 개 이상의 다수로 이루어지는 5 와트급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백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엘이디조명부(103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입력하며 태양광 조사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5.1 볼트의 정전압과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태양광발전부(104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용전원을 입력하고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상용전원부(105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태양광발전부(1040) 또는 상기 상용전원부(1050)로부터 인가되는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입력하여 충전하는 비상충방전부(106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 공기를 분석하여 유해가스가 포함된 것으로 검출되면 음이온을 발생하여 배출하는 음이온발생부(107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상충방전부(1060)로부터 5 볼트의 동작전원을 인가받고 AM 또는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AM-FM수신출력부(108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이렌 소리를 120 데시벨 이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사이렌부(109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정밀좌표정보를 지정된 하나 이상 다수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주변에 방송하며 피호출에 응답하는 다중채널통신부(110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기준에 의한 위치기반서비스 신호를 수신하고 25 센티미터 이내의 오차범위에 의한 엘비에스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111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동 회전력으로 발전된 전력을 5.1 볼트의 정전압과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수동발전부(112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채널통신부(1100)는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지인과 재난구조센터와 소방서와 경찰서의 지정 호출번호를 호출하고 접속하여 정밀좌표정보와 엘비에스좌표정보를 전송하면서 신상정보와 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부(1101);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에 상기 정밀지피에스부(1010)가 추출한 정밀좌표정보와 상기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1110)가 추출한 엘비에스좌표정보를 전송하면서 신상정보와 구조요청신호를 와이파이 무선통신 방식으로 방송하는 와이파이무선통신부(1102);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에 상기 정밀지피에스부(1010)가 추출한 정밀좌표정보와 상기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1110)가 추출한 엘비에스좌표정보를 전송하면서 신상정보와 구조요청신호를 블루투스 무선통신 방식으로 방송하는 블루투스무선통신부(1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발생부(1070)는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의 공기를 분석하여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검출하는 유해가스검출부(1071);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상충방전부(1060)로부터 5 볼트의 동작전원을 인가받고 음이온이 발생되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전압생성부(1072); 상기 음이온발생전압생성부(1072)로부터 음이온이 발생되는 고전압을 인가받고 주변의 강제 유입된 주변의 공기로부터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음이온생성부(1073);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의 공기를 상기 음이온생성부(1073)의 일측부에 유입시켜 타측부로 순환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순환팬부(10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소가스를 연료로 하며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수소발전부(1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재난 발생 환경에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충방전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재난발생 상황을 국제공용 조난구조신호로 출력하면서 사이렌, SOS와 다수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므로 재난상황을 주변에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재난 발생 환경이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공기를 정화시켜 공급하므로 조난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조난자의 위치를 정밀한 좌표정보로 제공하여 구조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비상등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용방식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의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음이온발생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중채널통신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점등, 발광, 조명은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운용방식 설명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의 기능 구성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음이온발생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다중채널통신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100)는 정전, 화재, 지진, 태풍, 홍수, 붕괴 등이 포함되는 각종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생존자의 위치정보를 정말한 좌표정보로 외부에 알려주고 어두운 장소에서 조난자에게 주변을 확인하도록 조명하여 안정감을 주며, 과다한 먼지 또는 유해가스 등으로부터 조난자의 안전한 호흡을 위하여 정화된 공기를 제공한다.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100)는 정밀지피에스부(1010)와 재난구조제어부(1020)와 엘이디조명부(1030)와 태양광발전부(1040)와 상용전원부(1050)와 비상충방전부(1060)와 음이온발생부(1070)와 AM-FM수신출력부(1080)와 사이렌부(1090)와 다중채널통신부(1100)와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1110)와 수동발전부(1120)와 수소발전부(1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정밀지피에스부(1010)는 지피에스 인공위성(600)이 방송하는 지피에스 신호를 무선 수신하고 현재 위치의 해발, 경도, 위도 값을 연산하여 추출하는 과정을 3 회 이상 반복하고 각 결과 값을 산술평균 연산하여 50 센티미터 이내의 오차범위에 의한 정밀좌표정보를 연산 추출한다. 지피에스 인공위성(600) 시스템과 그 운용방식에 대하여는 상세히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연산되어 추출되는 오차 범위를 줄이는 방식은 다수의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알려진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재난구조제어부(1020)는 정밀지피에스부(101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의 정밀좌표정보를 입력받고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100)의 전체 운용을 감시하며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각 구성부 사이의 해당 신호가 전송되는 경로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칭 기능을 하며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입력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 관리한다.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구체적인 기능은 이하에서 필요한 경우에 각각 더 설명하기로 한다.
엘이디조명부(103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6 개 이상의 다수로 이루어지는 5 와트(W)급 엘이디(LED)를 선택적으로 백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 엘이디조명부(103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백색으로 점등 또는 점멸하거나 적색으로 점등 또는 점멸한다. 엘이디조명부(1030)는 6개 이상 다수가 구비되며 많이 구비될수록 조명을 밝게 할 수 있으나 전력소모가 커지므로 6개로 구성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엘이디조명부(103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백색과 적색 이외에 다른 색상으로도 발광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엘이디조명부(103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SOS 신호인 경우에 3 번은 비교적 짧게 점멸되어 S 를 의미하고 3 번은 비교적 길게 점멸되어 O 를 의미하고, 다시 3 번은 비교적 짧게 점멸되어 S 를 의미한다. SOS는 모르스부호에 의한 구조요청 신호이다.
한편, 엘이디조명부(103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국제공용조난구조신호를 발광한다. 국제공용조난구조신호는 1분에 6번 점멸하고 다음 1분은 휴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신호이다.
재난구조제어부(1020)는 SOS 신호를 3 회 출력되도록 제어한 후, 국제공용조난구조신호를 3 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필요에 의하여 각 신호가 출력되는 회수를 가감할 수 있다.
백색광 신호는 미세먼지 또는 연기 입자 또는 안개가 형성된 환경에서는 난반사에 의하여 멀리 전달 또는 투과되지 못하고, 백색광 신호 보다 파장이 긴 적색광 신호는 미세먼지 또는 연기 입자 또는 안개가 많은 환경에서도 상대적으로 멀리 전달 또는 투과된다. 그러므로 미세먼지 또는 연기 입자 또는 안개 등이 심한 환경에서는 적색이 발광되도록 제어하여 SOS 조난 신호 및 국제공용조난구조신호를 발광시키거나 출력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장시간 점등시켜 조명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시야확보를 위하여 동일한 조건이 적용된다.
엘이디조명부(1030)의 빛 신호가 출력되어 진행되는 방향을 따라 앞 부분에는 각 엘이디 소자로부터 발광되는 빛 신호가 멀리 진행하도록 집광을 위한 집광부(lens)가 더 포함된다.
태양광발전부(104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입력하며 태양광 조사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5.1 볼트의 정전압과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한다. 5.1 볼트의 정전압으로 출력하는 것은 비상충방전부(1060)가 5 볼트를 충전하고 출력하는 구성이므로 충전전압을 약간 높게 설정하여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정전류로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은 필요에 의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이하 각 발전부와 상용전원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용전원부(105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용전원을 입력하고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한다.
비상충방전부(106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태양광발전부(1040) 또는 상용전원부(1050)로부터 인가되는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입력하여 5 볼트의 전압으로 충전하며 방전에 의하여 5 볼트의 전압을 출력한다. 비상충방전부(1060)는 충전하는 용량이 5,000 내지 15,000 mA 범위인 것으로 설명한다.
음이온발생부(107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 공기를 분석하여 유해가스가 포함된 것으로 검출되면 음이온을 발생하여 배출한다.
음이온발생부(1070)는 유해가스검출부(1071)와 음이온발생전압생성부(1072)와 음이온생성부(1073)와 공기순환팬부(107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유해가스검출부(1071)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의 공기를 분석하여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을 검출한다.
음이온발생전압생성부(1072)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상충방전부(1060)로부터 5 볼트의 동작전원을 인가받고 음이온이 발생되는 고전압을 발생한다. 음이온발생전압생성부(1072)에서 발생되어 출력되는 전압은 1200 볼트 내지 2200 볼트 범위이며, 필요에 의하여 더 가감될 수 있다.
음이온생성부(1073)는 음이온발생전압생성부(1072)로부터 음이온이 발생되는 고전압을 인가받고 주변의 강제 유입된 주변의 공기로부터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공기순환팬부(1074)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의 공기를 상기 음이온생성부(1073)의 일측부에 유입시켜 발생된 음이온을 타측부로 순환 배출되도록 한다. 공기순환팬부(1074)는 배출된 음이온이 사용자의 호흡기관이 위치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주름관(ZP)을 더 구비한다.
AM-FM수신출력부(108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비상충방전부(1060)로부터 5 볼트의 동작전원을 인가받고 AM 또는 FM 라디오 방송을 선택하고 수신하여 출력한다. AM-FM수신출력부(1080)는 AM 또는 FM 라디오 방송의 채널을 선택하는 튜너손잡이 또는 튜너버튼을 더 구비함은 매우 당연하다.
사이렌부(109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이렌 소리를 120 데시벨 이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사이렌부(109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급 신호의 주파수는 8,000 내지 14,000 헤르츠(Hz) 범위 중에서 가변된다.
다중채널통신부(110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정밀좌표정보를 지정된 하나 이상 다수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주변에 방송하며 피호출에 응답한다.
다중채널통신부(1100)는 이동통신부(1101)와 와이파이무선통신부(1102)와 블루투스무선통신부(1103)와 적외선무선통신부(110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111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기준에 의한 위치기반서비스(LBS) 신호를 수신하고 25 센티미터 이내의 오차범위에 의한 엘비에스좌표정보를 추출한다.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는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이용자에게 여러가지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나 서비스이다. 위치기반서비스(LBS) 기술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측위기술과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반기술을 제공하는 LBS 플랫폼 기술, 다양한 LB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LBS 서비스 공동기술과 LBS 단말 및 응용 서비스 기술로 구성된다. 측위기술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로서, 통신망의 기지국 수신신호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신호 기반(network-signal based) 측위방식, GPS 등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위성신호 기반 측위방식, 유비쿼터스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측위방식, 이런 방식이 혼합된 혼합 측위방식으로 분류된다. LBS로 얻을수 있는 정보에는 위치 확인, 물류, 관제, 주변정보(날씨·생활정보 등), 엔터테인먼트, 교통, 항법, 안전 및 구난, 광고 서비스 등이 있다. LBS의 활용사례는 버스운행 안내 시스템, 해양안전 종합정보 시스템, 119 이동전화 위치정보 시스템, 감염성 폐기물 실시간 관리 시스템 등에 활용된다.
재난구조제어부(1020)는 정밀지피에스부(1010)가 출력하는 정밀좌표정보와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1110)가 출력하는 엘비에스좌표정보를 각각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하면서, 산술평균 연산 처리한 평균좌표정보를 출력하여 지정된 상대방에게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감시한다.
수동발전부(112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동 회전력으로 발전된 전력을 5.1 볼트의 정전압과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한다. 수동발전부(1120)는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회전시키므로 발전된 전력을 출력하는 구성이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소발전부(1130)는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소가스를 연료로 하며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한다. 수소발전부(1130)는 수소가스 저장부(HS)를 더 구비하고, 수소가스저장부로부터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배출되는 수소가스를 연료로 하여 발전하는 구성이며,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재난 발생 환경에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충방전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재난발생 상황을 국제공용 조난구조신호로 출력하면서 사이렌, SOS와 다수의 통신경로를 통하여 구조요청 신호를 지인, 해당 관공서 등에 자신의 정밀한 좌표정보를 제공하므로 재난상황을 주변에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재난 발생 환경이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면 주변공기를 정화시켜 공급하므로 조난자의 생명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200 : 지정된 지인
300 : 재난구조센터 400 : 소방서
500 : 경찰서 1010 : 정밀지피에스부
1020 : 재난구조제어부 1030 : 엘이디조명부
1040 : 태양광발전부 1050 : 상용전원부
1060 : 비상충방전부 1070 : 음이온발생부
1071 : 유해가스검출부 1072 : 음이온발생전압생성부
1073 : 음이온생성부 1074 : 공기순환팬부
1080 : AM-FM수신출력부 1090 : 사이렌부
1100 : 다중채널통신부 1101 : 이동통신부
1102 : 와이파이무선통신부 1103 : 블루투스무선통신부
1110 :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 1120 : 수동발전부

Claims (2)

  1. 지피에스 인공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50 센티미터 이내의 오차범위에 의한 정밀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정밀지피에스부(1010);
    상기 정밀지피에스부(101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의 정밀좌표정보를 입력받고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의 전체 운용을 감시하며 각 구성부에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고 각 구성부 사이의 해당 신호 전송경로를 스위칭하며 사용자 신상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재난구조제어부(102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6 개 이상의 다수로 이루어지는 5 와트급 엘이디를 선택적으로 백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엘이디조명부(103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입력하며 태양광 조사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을 5.1 볼트의 정전압과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태양광발전부(104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용전원을 입력하고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상용전원부(105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태양광발전부(1040) 또는 상기 상용전원부(1050)로부터 인가되는 5.1 볼트의 정전압을 정정류로 입력하여 충전하는 비상충방전부(106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 공기를 분석하여 유해가스가 포함된 것으로 검출되면 음이온을 발생하여 배출하는 음이온발생부(1070); 를 포함하는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비상충방전부(1060)로부터 5 볼트의 동작전원을 인가받고 AM 또는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AM-FM수신출력부(108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이렌 소리를 120 데시벨 이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사이렌부(109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현재 위치의 정밀좌표정보를 지정된 하나 이상 다수의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주변에 방송하며 피호출에 응답하는 다중채널통신부(110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기준에 의한 위치기반서비스 신호를 수신하고 25 센티미터 이내의 오차범위에 의한 엘비에스좌표정보를 추출하는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1110);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에 접속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수동 회전력으로 발전된 전력을 5.1 볼트의 정전압과 정정류로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수동발전부(112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중채널통신부(1100)는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된 지인과 재난구조센터와 소방서와 경찰서의 지정 호출번호를 호출하고 접속하여 정밀좌표정보와 엘비에스좌표정보를 전송하면서 신상정보와 구조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부(1101);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에 상기 정밀지피에스부(1010)가 추출한 정밀좌표정보와 상기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1110)가 추출한 엘비에스좌표정보를 전송하면서 신상정보와 구조요청신호를 와이파이 무선통신 방식으로 방송하는 와이파이무선통신부(1102);
    상기 재난구조제어부(102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주변에 상기 정밀지피에스부(1010)가 추출한 정밀좌표정보와 상기 정밀위치기반서비스부(1110)가 추출한 엘비에스좌표정보를 전송하면서 신상정보와 구조요청신호를 블루투스 무선통신 방식으로 방송하는 블루투스무선통신부(1103);를 포함하는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KR1020200115855A 2020-09-10 2020-09-10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KR20220033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55A KR20220033686A (ko) 2020-09-10 2020-09-10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855A KR20220033686A (ko) 2020-09-10 2020-09-10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686A true KR20220033686A (ko) 2022-03-17

Family

ID=8093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855A KR20220033686A (ko) 2020-09-10 2020-09-10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36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812B1 (ko) 2016-07-07 2018-01-10 코리아 시스템 에프 에이 주식회사 비상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812B1 (ko) 2016-07-07 2018-01-10 코리아 시스템 에프 에이 주식회사 비상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7266B2 (en) Luminaire communication, detection and/or location apparatus and system
CN204719438U (zh) 一种基于Zigbee的智能家居系统
US7567174B2 (en) Combination alarm device with enhanced wireless notification and position location features
KR102002068B1 (ko) 피난 가이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피난 가이드 시스템
KR102018988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CN108960521A (zh) 一种应用于火灾安全的人员疏散指示系统
KR20130034077A (ko) Led조명을 이용한 대피 유도 시스템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CN111399419A (zh) 基于智能应急疏散系统的应急救援定位系统
CN108087817A (zh) 基于可见光通信的消防应急灯、系统及方法
KR20110116569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재난탈출 중앙관제 시스템
KR20220033686A (ko) 재난 구조 비상등 장치
KR102063919B1 (ko)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CN107808476B (zh) 一种预测大楼中安全逃生通路的可见光火焰检测网络
KR101950743B1 (ko) 공동주택의 화재시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KR20200134034A (ko) 작업장 내 사고 예방 및 근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07756A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20130020166A (ko) 비상재해 및 다용도 레이저 유도등
CN108765855A (zh) 室内烟雾报警系统及其报警控制方法
CN108492514B (zh) 提供位置信息的烟感探测器及运作方法
KR20150046685A (ko) 산악 등대 장치
KR20160086295A (ko) 재난대비 비상조명등 및 그것을 이용한 재난경보시스템
CN205039898U (zh) 一种旅游山区紧急呼叫联系装置
KR101950745B1 (ko) 화재시 아파트의 비상 조명시스템 제어방법
CN108303074B (zh) 一种基于电力隧道环境的地下定位导航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