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191B1 -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 Google Patents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191B1
KR101184191B1 KR1020120062733A KR20120062733A KR101184191B1 KR 101184191 B1 KR101184191 B1 KR 101184191B1 KR 1020120062733 A KR1020120062733 A KR 1020120062733A KR 20120062733 A KR20120062733 A KR 20120062733A KR 101184191 B1 KR101184191 B1 KR 10118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circular plat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선
Original Assignee
율삼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삼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율삼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2006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용 지중송전 접속 브래킷(100)에 있어서, 지중에 고정되는 받침대(110)와, 송전용 지중전선을 고정하고 받침대(110)에 안착시키는 전선 고정대(120)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송전 접속 브래킷을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은 송전용 지중전선을 손쉽게 지중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 능률을 높이고, 완충 수단을 가지고 있어 송전용 지중전선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Description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UNDERGROUND LINE CONNECTION BRACKET}
본 발명은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전용 지중전선을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로를 통해 수용가에게 보내 주게 된다.
변전소는 지상에 설비되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의 경우 고압의 전류를 이송시켜 주어야 하는바 고압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외부로 노출된 고압전선은 외부간섭으로 인한 누전 및 합선이 유발되기 쉬우며, 어지럽게 가설된 고압전선으로 인해 주변의 경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지중에 고압전선을 설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고압전선을 매설하는 경우 콘크리트 재질의 터널을 지중에 매설하고 지중배전선을 안치할 수 있도록 터널의 내부에 선반을 설치하여 선반의 상측으로 지중배전선을 고정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종래 지중전선의 설비구조를 보면, 단순히 선반 위에 지중전선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외부충격으로부터 지중전선을 보호할 수 없었다. 또한,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한 선반에 모든 지중전선을 고정하다 보니 작업자가 지중전선을 관리할 때 불편함을 가졌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용 지중전선을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전용 지중전선을 용이하게 지중에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높이는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전용 지중전선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 보수가 용이한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송전용 지중송전 접속 브래킷에 있어서, 지중에 고정되는 받침대와, 송전용 지중전선을 고정하고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전선 고정대를 포함하되,
전선 고정대는,
앞쪽, 뒤쪽 및 위쪽이 개방된 유자형(U-shaped)으로 송전용 지중전선을 안착시키고,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완충 부재를 내면에 설치하는 전선 안착부와, 전선 안착부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으로 전선 안착부에서 개폐되고,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완충 부재를 내면에 설치하는 덮개와, 전선 안착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원형 플레이트와, 전선 안착부와 원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병목 형상의 연결목 및 상기 덮개에서부터 전선 안착부까지 연장된 볼트 결합용 홀을 포함하고,
받침대는,
전선 고정대의 원형 플레이트와 연결목을 끼워 맞춤하여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면 바닥에 전선 고정대의 원형 플레이트을 안착시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원형 홈을 형성하고, 연장된 바닥에 볼트 결합용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은 송전용 지중전선을 손쉽게 지중에 고정할 수 있게 하므로 작업 능률을 높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은 완충 수단을 가지고 있어 송전용 지중전선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100)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10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100)은 지중에 고정되는 받침대(110)와, 송전용 지중전선을 고정하고 받침대(110)에 안착시키는 전선 고정대(120)를 가진다.
전선 고정대(120)는 전선 안착부(121), 덮개(122), 원형 플레이트(124) 및 연결목(123)을 포함한다. 전선 안착부(121)는 앞쪽과 뒤쪽 및 위쪽이 개방된 유자형(U-shaped)으로 송전용 지중전선을 안착시키고, 덮개(122)는 전선 안착부(12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고 전선 안착부(121)에서 개폐된다. 원형 플레이트(124)는 받침대(110)의 원형 홈(113)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전선 안착부(121)의 하부에 설치되고, 연결목(123)은 전선 안착부(121)와 원형 플레이트(124)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전선 안착부(121)와 원형 플레이트(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병목 형상이다.
전선 안착부(121)에는 안착된 전선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125)가 설치되며, 완충 부재(125)는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다. 이러한 완충 부재(125)는 탄성 부재를 아우르는 개념이며, 고무, 스폰지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는 탄성 반발력으로 전선을 지지하고, 덮개(122)가 닫힌 경우 탄성 부재는 전선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전선을 브래캣(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덮개(122)의 내면에도 이와 같은 완충 부재(126)가 설치되며, 완충 부재(126)는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다. 완충부재(125, 126)를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전선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하고 가운데 부분에 놓이게 유도하여 완충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더욱이, 완충 부재(125,126)는 전선 고정대(120)로부터 탈착이 용이(예컨대, 양면테잎 부착, 벨크로 테이프 부착 등)하여 완충 성능 열화에 대비한 완충 부재의 주기적인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전선 고정대(120)가 파손된 경우 새로운 전선 고정대만을 준비하여 기존 받침대에 교체 장착할 수 있으므로, 관리 유지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 고정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관통형 사각형상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관통형 형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덮개(122)는 가요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전선 안착부(121)의 공간에 모두 수용하기 다소 어려운 다수의 전선들이 수용되더라도 덮개(122)는 늘어나므로 충분히 이들을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덮개(122)에서부터 전선 안착부(121)까지 연장된 홀(127)이 설치되며, 이 홀(127)에 볼트가 결합되고 덮개(122)는 전선 안착부(121)에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받침대(110)는 전선 고정대(120)의 원형 플레이트(124)와 연결목(123)을 끼워 맞춤하여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111)을 형성한다. 또한, 받침대(110)는 내면 바닥에 전선 고정대(120)의 원형 플레이트(124)가 안착될 수 있는 원형 홈(113)을 형성한다. 전선 고정대(120)의 원형 플레이트(124)는 받침대(110)의 원형 홈(113)에 안착되고, 회전은 가능하지만 미끄럼 이동은 제한받는다.
또한, 받침대(110)는 연장된 바닥에 홈(114)을 형성하고, 홈(114)에 볼트가 결합되어 지중에 고정된다.
이러한 받침대(110)는 콘크리트 벽에 고정되거나 매설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대(110)의 원형 홈(113)에 안착된 전선 고정대(120)는 미끄럼 회전 가능하며, 이는 전선이 배치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송전용 지중송전 접속 브래킷(100)에 있어서,
    지중에 고정되는 받침대(110);
    송전용 지중전선을 고정하고 받침대(110)에 안착시키는 전선 고정대(120)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 고정대(120)는,
    앞쪽, 뒤쪽 및 위쪽이 개방된 유자형(U-shaped)으로 송전용 지중전선을 안착시키고,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완충 부재(125)를 내면에 설치하는 전선 안착부(121);
    상기 전선 안착부(121)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으로 상기 전선 안착부(121)에서 개폐되고, 중앙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완충 부재(126)를 내면에 설치하는 덮개(122);
    상기 전선 안착부(121)의 하부에 설치되는 원형 플레이트(124);
    상기 전선 안착부(121)와 원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병목 형상의 연결목(123); 및
    상기 덮개(122)에서부터 상기 전선 안착부(121)까지 연장된 볼트 결합용 홀(127)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10)는,
    상기 전선 고정대(120)의 원형 플레이트(124)와 연결목(123)을 끼워 맞춤하여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111)을 형성하고,
    내면 바닥에 상기 전선 고정대(120)의 원형 플레이트(124)을 안착시켜 미끄럼 이동은 제한하나 회전은 가능하게 하는 원형 홈(113)을 형성하고,
    연장된 바닥에 볼트 결합용 홈(1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용 지중송전 접속 브래킷.
KR1020120062733A 2012-06-12 2012-06-12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184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33A KR101184191B1 (ko) 2012-06-12 2012-06-12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33A KR101184191B1 (ko) 2012-06-12 2012-06-12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4191B1 true KR101184191B1 (ko) 2012-09-19

Family

ID=4711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733A KR101184191B1 (ko) 2012-06-12 2012-06-12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1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49B1 (ko) 2014-02-17 2014-04-04 경남전설감리(주) 지중배전선로의 위치고정 브래킷
KR101438491B1 (ko) 2014-03-12 2014-09-12 김순자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2177561B1 (ko) 2020-06-17 2020-11-11 윤은수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KR102177555B1 (ko) 2020-06-18 2020-11-12 윤은수 지중송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안전성 향상 연결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12-30 오대영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101016410B1 (ko) 2010-09-06 2011-02-21 주식회사 에이스기술단 절연기능이 향상된 특고압 송전용 선로의 애자커넥터
KR101091122B1 (ko) 2010-06-25 2011-12-09 한국전력공사 스터드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69B1 (ko) 2009-09-01 2009-12-30 오대영 변전용 특고압 인입전선 커넥터
KR101091122B1 (ko) 2010-06-25 2011-12-09 한국전력공사 스터드 커넥터
KR101016410B1 (ko) 2010-09-06 2011-02-21 주식회사 에이스기술단 절연기능이 향상된 특고압 송전용 선로의 애자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49B1 (ko) 2014-02-17 2014-04-04 경남전설감리(주) 지중배전선로의 위치고정 브래킷
KR101438491B1 (ko) 2014-03-12 2014-09-12 김순자 배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2177561B1 (ko) 2020-06-17 2020-11-11 윤은수 다양한 지중송전선 연결각도를 갖는 지중송전용 커넥팅 기구
KR102177555B1 (ko) 2020-06-18 2020-11-12 윤은수 지중송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안전성 향상 연결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191B1 (ko) 송전용 지중전선 접속 브래킷
KR101456680B1 (ko) 공동주택 전기 통신 케이블의 천정형 옥내 배선 장치
CN104919349B (zh) 地坪平面封围罩转换组件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KR101817574B1 (ko) 전력장치의 배전반용 배전함
KR101091183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20160121052A (ko) 모니터 거치장치
KR102256155B1 (ko)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087912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CN205677772U (zh) 风力发电机组的电缆保护装置、塔筒及风力发电机组
KR101104868B1 (ko) 변압기 인출형 변전라인의 배전 플레이트
KR20080096291A (ko) 광고장치
KR102180546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CN107181183A (zh) 一种小型抗震配电柜
JP6319685B2 (ja) 高欄照明器具
KR20090095324A (ko) 방폭형 배전함
CN207897106U (zh) 一种新型音响固定摆放架
JP2018104118A (ja) エレベーターのインジケーター設置器具
JP7079136B2 (ja) 配線ダクト取付型ディスプレイ
ES2343057T3 (es) Sistema modular de instalacion rapida para disposisitivos electricos.
KR102444519B1 (ko) 완충기능을 갖춘 건축물용 배전선 보호기구
US10215372B2 (en) Catenary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6058569A (ja) 電気機器収納用箱
CN207743663U (zh) 一种走线结构以及空调器
GB2378325A (en) Flexible container for excess wire at floo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