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546B1 -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546B1
KR102180546B1 KR1020200058034A KR20200058034A KR102180546B1 KR 102180546 B1 KR102180546 B1 KR 102180546B1 KR 1020200058034 A KR1020200058034 A KR 1020200058034A KR 20200058034 A KR20200058034 A KR 20200058034A KR 102180546 B1 KR102180546 B1 KR 102180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mmunication cable
cable
wa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수
Original Assignee
(주)선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선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5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건축물의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으며, 배선되는 통신케이블의 직경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배선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선공을 중심으로 한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되며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한 쌍의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을 연결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된 결합판으로 구성되어 벽체의 선택된 부위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고정홈을 갖는 돌출구가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과 고정홈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삽입공에 일단이 관통 결합되어 너트로 고정되고, 타단에는 통신케이블의 상면을 덮는 케이블안착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서 배선되는 통신케이블의 상,하측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바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건축물의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으며, 배선되는 통신케이블의 직경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하여 각종 케이블의 배선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벽체에 고정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연결하는 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용하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는 아파트나 빌라와 같이, 공동 거주구역에 주로 설치되어 많은 양의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로 구성되는 것이며, 별도의 거치기구 등을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한 사용도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공동 거주구역과 같은 곳에서는 많은 양의 전력, 통신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예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문헌(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정에 부착된 상태에서 많은 양의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도록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들은 건축물의 천정 하닥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만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건축물의 외벽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들은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케이블의 직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2003-00960(2003.01.0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통신케이블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건축물의 외벽에 통신케이블을 배선하거나, 배선이 이루어진 통신케이블의 교체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통신케이블의 직경 변화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재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불필요한 케이블 트레이 교체과정에서 발생되는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배선이 이루어진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을 조절하여 건축물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을 조절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가 건축물의 진동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통하여 배선된 통신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배선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선공을 중심으로 한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되며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한 쌍의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을 연결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된 결합판으로 구성되어 벽체의 선택된 부위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고정홈을 갖는 돌출구가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과 고정홈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삽입공에 일단이 관통 결합되어 너트로 고정되고, 타단에는 통신케이블의 상면을 덮는 케이블안착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서 배선되는 통신케이블의 상,하측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바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바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는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바를 연결하도록 연결바가 더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는 상기 고정바의 단부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공이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로 고정바와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안착구는 상기 고정바의 단부에 설치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선되는 통신케이블의 상면 또는 하면이 밀착되는 반원형상의 배선홈과, 상기 배선홈의 양측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배선홈을 따라 배선되는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이 변경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의 단부에 구비되는 탄성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에는 통신케이블이 삽입되는 벽체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벽체공에는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안내하는 케이블지지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지지구는 내측에 통신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홈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벽체공의 내경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하여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둘째,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통신케이블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통신케이블의 배선을 이룰 수 있다.
셋째, 건축물의 외벽에 통신케이블을 배선하거나, 배선이 이루어진 통신케이블의 교체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통신케이블의 직경 변화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를 재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불필요한 케이블 트레이 교체과정에서 발생되는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배선이 이루어진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을 조절하여 건축물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을 조절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가 건축물의 진동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통하여 배선된 통신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의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벽체에서 고정프레임의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전면이라 명명하고, 고정프레임에서 벽체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부위를 후면이라고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배선공(11b)이 형성되며, 상기 배선공(11b)을 중심으로 한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홈(11c)이 형성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의 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되며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안착홈(12a)이 형성된 한 쌍의 연장판(12)과, 상기 연장판(12)을 연결하도록 상기 고정판(11)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1c)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연결공(13a)이 형성된 결합판(13)으로 구성되어 벽체(1)의 선택된 부위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홈(11c)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공(13a)에 삽입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고정홈(22a)을 갖는 돌출구(22)가 상기 안착홈(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12a)과 고정홈(22a)에 스프링(23)을 개재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바(20)와, 상기 삽입공(21)에 일단이 관통 결합되어 너트(N)로 고정되고, 타단에는 통신케이블의 상면을 덮는 케이블안착구(31)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서 배선되는 통신케이블(2)의 상,하측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바(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체(1)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외벽을 말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신케이블(2)이 건축물의 내,외부로 배선될 수 있는 벽체공(1a)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상기 벽체(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a)으로 볼트(P)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면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상기 벽체(1)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의 상, 하측 부위에서 수평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 구비되는 한 쌍의 연장판(12)과, 상기 연장판(12)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결합판(13)으로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고정판(11), 연장판(12), 결합판(13)을 일체로 구성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1)은 장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중심부에는 배선되는 통신케이블(2)이 벽체(1)의 벽체공(1a)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는 배선공(11b)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결합판(13)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기 배선공(11b)을 중심으로 한 양측부로 복수개의 가이드홈(11c)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서 배선이 이루어진 통신케이블(2)을 벽체(1)의 벽체공(1a) 방향으로 안내하여 건축물의 내측으로 통신케이블(2)이 배선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고정바(20)의 일단이 가이드홈(11c)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판(12)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마주보는 내측면으로 복수개의 안착홈(12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판(12)은 상기 가이드홈(11c)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연결공(13a)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a)에 일단이 삽입된 고정바(20)의 타단이 상기 연결공(13a)에 관통 결합되게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상기 벽체(10)의 전면으로 고정프레임(10)을 견고하게 설치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 공간으로 건축물의 외측에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통신케이블(2)이 배선되도록 하여, 통신케이블(2)을 보호하며 건축물의 외측에 배선을 이루면서도, 배선이 이루어진 통신케이블(2)을 건축물의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며 배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바(20)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며,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1c)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공(13a)에 삽입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20)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삽입공(21)이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케이블지지바(30)의 단부가 상기 삽입공(21)에 삽입된 후 너트(N)를 통하여 고정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바(20)의 상면에는 고정홈(22a)을 갖는 복수개의 돌출구(22)가 상기 연장판(12)의 안착홈(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20)를 결합판(13)의 연결공(13a)에 삽입하여 고정바(20)의 단부가 고정판(11)의 가이드홈(11a)에 삽입되게 결합한 후에 상기 연장판(12)의 안착홈(12a)과 고정바(20)의 돌출구(22)에 형성된 고정홈(22a)으로 스프링(23)이 위치되도록 결합하여, 고정바(20)가 가이드홈(11c)과 연결공(13a)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연장판(12)과 고정바(20)가 스프링(23)을 통하여 탄성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바(20)의 삽입공(21)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케이블지지바(30)의 단부가 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바(20)가 상기 가이드홈(11c)과 연결공(13a)에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지지바(30)가 고정바(20)의 이동에 대응되는 이동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케이블지지바(30)의 구성을 통하여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서 배선되는 통신케이블(2)을 지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바(20)의 이동에 따라 케이블지지바(30)가 이동되게 구성됨으로써, 고정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연장판(12)과 고정바(20)의 탄성되는 구성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지지바(3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바(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판(1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바(20)에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케이블지지바(3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지지바(30)의 밀착 부위로 통신케이블이 위치되어 배선된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지지바(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바(20)의 삽입공(21)에 일단이 관통 결합된 후 너트(N)로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삽입공(21)과 대향되는 부위에는 통신케이블(2)의 상, 하측을 감쌀 수 있는 케이블안착구(3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지지바(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서 상, 하 방향으로 마주보게 설치된 고정바(20)에 각각 설치되어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내측 중심 방향으로 케이블지지바(30)의 케이블안착구(31)가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이며, 특히, 상기 케이블안착구(31)는 고정프레임(10)의 내측 중심 부위에서 밀착을 이루는 경우, 그 밀착부위에 통신케이블(2)이 배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블안착구(31)는 상기 고정바(20)의 단부에 설치되는 안착판(31a)과, 상기 안착판(31a)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선되는 통신케이블(2)의 상면 또는 하면이 밀착되는 반원형상의 배선홈(31b)과, 상기 배선홈(31b)의 양측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배선홈(31b)을 따라 배선되는 통신케이블(2)의 배선방향이 변경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31c)과, 상기 안내홈(31c)의 단부에 구비되는 탄성판(31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으로 통신케이블(2)을 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안착구(31)의 배선홈(31b)으로 통신케이블이 위치되도록 한 후, 작업자가 고정바(20)와 케이블지지바(3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통신케이블(2)이 도 2, 도 3, 도 4,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내측 중심 방향을 향하여 마주보게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바(30)의 케이블안착구(31) 사이에 위치되어 견고하게 배선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통신케이블(2)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판(12)의 안착홈(12a)과 돌출구(22)의 고정홈(22a)에 삽입된 스프링(23)의 탄성을 통하여 고정바(20)와 케이블지지바(3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케이블지지바(30)에 구비된 케이블안착구(31)로 통신케이블(2)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공(13a)에 삽입되는 고정바(20)의 단부에는 나사산(20a)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나사산(20a)에는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바(20)를 연결하도록 연결바(4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바(40)는 상기 고정바(20)의 단부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공(41)이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20a)에 체결되는 너트(N)로 고정바와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된 고정바(20)를 상기 연결바(40)로 연결하게 구성하여, 고정바(20)의 설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판(13)의 연결공(13a)에 관통 결합된 고정바(20)의 단부가 연결바(40)의 관통공(41)으로 돌출되게 결합한 후에, 상기 고정바(20)의 나사산(20a)으로 너트(N)를 체결하여, 고정바(20)와 연결바(40)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공(1a)에는 통신케이블(2)의 배선을 안내하는 케이블지지구(5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지지구(50)는 내측에 통신케이블(2)이 삽입되는 케이블홈(51)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벽체공(1a)의 내경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돌기(5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케이블안착구(31) 구성을 통하여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 통신케이블(2)을 배선하고, 케이블안착구(31)에 형성된 안내홈(31c)을 따라 도 3, 도 4, 도 5에서와 같이, 통신케이블(2)의 배선 방향을 변경하여 벽체(1)의 벽체공(1a)으로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지지구(50)가 벽체공(1a)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지지구(50)의 케이블홈(51)으로 통신케이블(2)이 배선되게 구성함으로써, 벽체공(1a)에 삽입되는 통신케이블(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지지구(50)의 외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밀착돌기(52)가 벽체공(1a)의 내경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벽체공(1a)을 통하여 배선되는 통신케이블(2)이 흔들려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지지구(50)는 상기 벽체공(1a)의 내경에 밀착되어 통신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며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견고하면서도 탄성을 갖는 고무재, 플라스틱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2: 통신케이블
10: 고정프레임 11: 고정판
11a: 결합공 11b: 배선공
11c: 가이드홈 12: 연장판
12a: 안착홈 13: 결합판
13a: 연결공 20: 고정바
20a: 나사산 21: 삽입공
22: 돌출구 22a: 고정홈
23: 스프링 30: 케이블지지바
31: 케이블안착구 31a: 안착판
31b: 배선홈 31c: 안내홈
31d: 탄성판 40: 연결바
41: 관통공 50: 케이블지지구
51: 케이블홈 52: 밀착돌기
N: 너트 P: 볼트

Claims (4)

  1.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a)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배선공(11b)이 형성되며, 상기 배선공(11b)을 중심으로 한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홈(11c)이 형성된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의 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게 돌출되며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안착홈(12a)이 형성된 한 쌍의 연장판(12)과, 상기 연장판(12)을 연결하도록 상기 고정판(11)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1c)과 대응되는 부위에 복수개의 연결공(13a)이 형성된 결합판(13)으로 구성되어 벽체(1)의 선택된 부위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홈(11c)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공(13a)에 삽입되는 막대 형상으로, 길이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삽입공(2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고정홈(22a)을 갖는 돌출구(22)가 상기 안착홈(12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안착홈(12a)과 고정홈(22a)에 스프링(23)을 개재하여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바(20)와,
    상기 삽입공(21)에 일단이 관통 결합되어 너트(N)로 고정되고, 타단에는 통신케이블의 상면을 덮는 케이블안착구(31)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서 배선되는 통신케이블(2)의 상,하측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바(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바(3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공(13a)에 삽입되는 고정바(20)의 단부에는 나사산(20a)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20a)에는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바(20)를 연결하도록 연결바(4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40)는
    상기 고정바(20)의 단부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관통공(41)이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20a)에 체결되는 너트(N)로 고정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안착구(31)는
    상기 고정바(20)의 단부에 설치되는 안착판(31a)과,
    상기 안착판(31a)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선되는 통신케이블(2)의 상면 또는 하면이 밀착되는 반원형상의 배선홈(31b)과,
    상기 배선홈(31b)의 양측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배선홈(31b)을 따라 배선되는 통신케이블(2)의 배선방향이 변경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31c)과,
    상기 안내홈(31c)의 단부에 구비되는 탄성판(31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1)에는 통신케이블(2)이 삽입되는 벽체공(1a)이 더 형성되고,
    상기 벽체공(1a)에는 통신케이블(2)의 배선을 안내하는 케이블지지구(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지지구(50)는
    내측에 통신케이블(2)이 삽입되는 케이블홈(51)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벽체공(1a)의 내경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밀착돌기(5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20200058034A 2020-05-15 2020-05-15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2180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34A KR102180546B1 (ko) 2020-05-15 2020-05-15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34A KR102180546B1 (ko) 2020-05-15 2020-05-15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546B1 true KR102180546B1 (ko) 2020-11-18

Family

ID=7369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034A KR102180546B1 (ko) 2020-05-15 2020-05-15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127B1 (ko) * 2021-06-15 2021-12-29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트레이 커넥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21B1 (ko) * 2008-10-29 2009-02-05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5855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28901B1 (ko) * 2019-02-19 2019-10-07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안전케이스
KR102091359B1 (ko) * 2019-10-15 2020-03-19 한정화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케이블 포설방법
KR102101825B1 (ko) * 2019-11-20 2020-04-2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101822B1 (ko) * 2019-11-20 2020-04-2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KR102083195B1 (ko) * 2019-09-11 2020-05-26 (주)한길엔지니어링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133703B1 (ko) * 2020-03-04 2020-07-14 (주)건일엠이씨 건축물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21B1 (ko) * 2008-10-29 2009-02-05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송전선로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5855B1 (ko) * 2019-02-19 2019-08-29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28901B1 (ko) * 2019-02-19 2019-10-07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안전케이스
KR102083195B1 (ko) * 2019-09-11 2020-05-26 (주)한길엔지니어링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91359B1 (ko) * 2019-10-15 2020-03-19 한정화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케이블 포설방법
KR102101825B1 (ko) * 2019-11-20 2020-04-2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101822B1 (ko) * 2019-11-20 2020-04-2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KR102133703B1 (ko) * 2020-03-04 2020-07-14 (주)건일엠이씨 건축물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127B1 (ko) * 2021-06-15 2021-12-29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트레이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85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101822B1 (ko) 공동주택용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KR102020266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8520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156232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1705240B1 (ko) 클린룸의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켓
KR102083194B1 (ko) 건축용 지중선로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404333B1 (ko)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KR102240222B1 (ko)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KR102234816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085574B1 (ko) 건축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1426506B1 (ko)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KR102180546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KR100982474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2256155B1 (ko)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KR102083191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0444767Y1 (ko) 창틀 지지대
KR102225871B1 (ko)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KR102551468B1 (ko)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KR102510130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2434464B1 (ko) 건축구조물 전기케이블 배선용 플로어덕트 설비
KR102273244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EP2270941B1 (en) Snap assembly for flush mount fixture
KR102221243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