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195B1 -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3195B1 KR102083195B1 KR1020190112505A KR20190112505A KR102083195B1 KR 102083195 B1 KR102083195 B1 KR 102083195B1 KR 1020190112505 A KR1020190112505 A KR 1020190112505A KR 20190112505 A KR20190112505 A KR 20190112505A KR 102083195 B1 KR102083195 B1 KR 1020831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plate
- fixing plate
- wall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벽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전기 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배선이 이루어지는 전기 케이블의 설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건축물의 벽체 일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벽체와 대향되는 내측면 수직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벽체고정판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단부에 구비되고, 건축물의 천정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의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삽입돌기와 대향되는 상판의 단부에서 하향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측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고정판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배열 배치되어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통하여 상기 벽체고정판과 설치프레임의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고정판의 하단부와 인접한 벽체에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에는 상기 벽체고정판과 설치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이 더 설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지지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체결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절곡이 이루어지는 모서리 상단에는 상기 벽체고정판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과 이격되는 상단에는 상기 설치프레임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공구박스가 구비된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내벽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전기 케이블의 배선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배선이 이루어지는 전기 케이블의 설치 위치를 상, 하 방향으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란, 건축물의 내, 외측에 설치되어 건축물에 각종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는 대개,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어 천정의 하단으로 케이블의 배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예로,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하여 건축물 내측에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각종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구조들은, 천정의 하단에 설치되는 경우에 본연의 기능은 이룰 수 있으나, 건축물의 벽체와 인접한 위치에는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설치가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 외측에 케이블의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에도, 케이블이 배선된 형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만 사용되어 건축물의 실내 환경 변화에 따라 케이블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설치를 이루기 어렵고, 건축물의 실내 공간 형태가 직선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설치하여 케이블의 배선을 이루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건축물에 배선된 케이블이 하중으로 인하여 처지는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여 케이블의 배선 상태를 조절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천정 모서리 부위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건축물의 내부 형상에 따라 케이블의 배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에도 케이블의 배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건축물의 천정 모서리 부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배선이 이루어지는 케이블의 무게로 인하여 결합이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케이블의 설치 방향에 따라 케이블의 배선 위치를 조절하며 배선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재설치 비용의 증가 없이도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배선이 이루어진 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벽체고정판과 설치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대의 설치 방향을 변경하는 간단한 변경만으로도 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변경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일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벽체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벽체와 대향되는 내측면 수직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벽체고정판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단부에 구비되고, 건축물의 천정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의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판과, 상기 삽입돌기와 대향되는 상판의 단부에서 하향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측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고정판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배열 배치되어 상기 체결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통하여 상기 벽체고정판과 설치프레임의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고정판의 하단부와 인접한 벽체에는 복수개의 지지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에는 상기 벽체고정판과 설치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이 더 설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은 상기 지지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체결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절곡이 이루어지는 모서리 상단에는 상기 벽체고정판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과 이격되는 상단에는 상기 설치프레임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공구박스가 구비된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정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프레임과 연결되어 받침프레임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장치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장치는 판 형상으로, 상기 천정과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천정공이 형성된 천정판과, 상기 천정판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모터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판의 상단에 결합되는 와이어와,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지지판의 수평 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센와, 상기 회전모터 및 수평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지판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판의 체결홈 및 설치프레임의 관통공은 상기 케이블지지대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케이블지지대의 전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와, 상기 케이블지지대의 후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제1고정돌기가 삽입된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삽입된 제1체결볼트와, 상기 제2고정돌기가 삽입된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삽입된 제2체결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지지대는 상기 벽체고정판과 설치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될 시, 상기 체결홈 및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 제2고정돌기, 제1체결볼트, 제2체결볼트의 결합 위치 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며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의 천정 모서리 부위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건축물의 내부 형상에 따라 케이블의 배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에도 케이블의 배선을 이룰 수 있다.
셋째, 건축물의 천정 모서리 부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중에도 배선이 이루어지는 케이블의 무게로 인하여 결합이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넷째, 배선을 이루고자 하는 케이블의 설치 방향에 따라 케이블의 배선 위치를 조절하며 배선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재설치 비용의 증가 없이도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다섯째, 배선이 이루어진 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벽체고정판과 설치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대의 설치 방향을 변경하는 간단한 변경만으로도 케이블의 배선 방향을 변경하며 용이한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3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의 벽체고정판과 케이블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도 3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의 벽체고정판과 케이블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1) 일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면에는 체결홈(12)이 형성되며, 상기 벽체(1)와 대향되는 내측면 수직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착홈(13)이 형성된 벽체고정판(10)과,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1a)가 단부에 구비되고, 건축물의 천정(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공(21b)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2)의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판(21)과, 상기 삽입돌기(21a)와 대향되는 상판(21)의 단부에서 하향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체결홈(1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a)이 형성된 측판(22)으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고정판(1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설치프레임(20)과,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1)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관통공(22a)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32)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케이블(3)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33)이 배열 배치되어 상기 체결볼트(32)에 결합되는 너트(N)를 통하여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대(3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고정판(10)의 하단부와 인접한 벽체(1)에는 복수개의 지지공(1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1a)에는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4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40)은 상기 지지공(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P)가 체결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삽입공(41a)이 형성된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절곡이 이루어지는 모서리 상단에는 상기 벽체고정판(10)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1안착홈(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42a)과 이격되는 상단에는 상기 설치프레임(20)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42b)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공구박스(42c)가 구비된 지지판(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체고정판(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1)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벽체(1)에 일면이 밀착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판(10)은 결합공(11)에 체결되는 볼트(P)가 건축물의 벽체(1) 내측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판(10)의 안착홈(13)은 도 2 및 도 3애서와 같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케이블지지대(30)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20)은 상기 벽체고정판(1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0)은 상기 벽체고정판(10)의 상면 단부에 일단이 밀착되고 상면이 건축물의 천정(2)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판(21)과, 상기 상판(21)의 단부에서 하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21)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벽체고정판(10)에 형성된 체결홈(12) 일측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단부에는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1a)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돌기(21a)가 체결홈(12)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21)은 천정(2)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체결공(21b)으로 볼트(P)가 체결되어 천정(2)의 하단과 밀착되게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판(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1)의 일단에서 하향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벽체고정판(10)의 내측면을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측판(22)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체결홈(1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a)이 형성됨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케이블지지대(30)가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지지대(30)는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면에 케이블(3)이 안착될 수 있는 복수개의 안착홈(33)이 배열 배치되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상기 벽체고정판(10)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벽체고정판(10)의 체결홈(12)에 안착 삽입되는 고정돌기(31)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1)와 대향되는 타단에는 상기 설치프레임(20)의 측판(22)에 형성된 관통공(22a)에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체결볼트(3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블지지대(3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블지지대(30)의 고정돌기(31)가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볼트(32)가 안착홈(33)을 관통하도록 결합하여,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 케이블지지대(30)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안착홈(33)을 관통한 체결볼트(32)에 너트(N)를 결합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0)과 케이블지지대(3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대(30)의 안착홈(33)으로 복수개의 케이블(3)을 배선하는 경우에도 케이블지지대(30)가 처지거나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부(10)의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받침프레임(40)은 상기 벽체(1)에 복수개의 지지공(1a)을 형성한 후, 상기 지지공(1a)에 받침프레임(40)의 일단이 볼트(P)를 통하여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받침프레임(40)은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하단에 설치되어 벽체고정판(10), 설치프레임(20), 케이블지지대(30)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받침프레임(4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프레임(40)은 상기 지지공(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P)가 체결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삽입공(41a)이 형성된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절곡이 이루어지는 모서리 상단에는 상기 벽체고정판(10)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1안착홈(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42a)과 이격되는 상단에는 상기 설치프레임(20)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42b)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공구박스(42c)가 구비된 지지판(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41)은 지지공(1a)이 형성된 벽체(1)의 일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공(41a)으로 체결되는 볼트(P)가 상기 지지공(1a)에 체결되게 구성하여, 벽체(1)의 일면에 고정판(41)이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42)은 상기 고정판(41)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판(41)과 연결되는 부위 즉, 상기 고정판(41)의 절곡된 모서리 상단에 형성되는 제1안착홈(42a)으로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벽체고정판(10)의 하단이 삽입되게 구성되고, 상면에 형성된 제2안착홈(42b)으로는 설치프레임(20)의 하단이 삽입되게 구성되어,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42)의 하단에 구비된 공구박스(42c)로는 작업자의 공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특성상 건축물의 천정 부위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이루는 경우, 공구를 사용하기 위해 작업자가 작업위치에서 자주 벗어나야 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천정(2)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프레임(40)과 연결되어 받침프레임(4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장치(50)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장치(50)는 판 형상으로, 상기 천정(2)과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천정공(51a)이 형성된 천정판(51)과, 상기 천정판(51)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모터(52)와, 상기 모터(5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판(42)의 상단에 결합되는 와이어(53)와, 상기 지지판(42)에 구비되어 지지판(42)의 수평 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센(54)와, 상기 회전모터(52) 및 수평감지센서(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지판(42)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5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기(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천정판(51)은 천정공(51a)에 삽입되는 볼트(P)를 통하여 천정(2)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모터(52)는 상기 천정판(51)의 하단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모터(52)는 건축물에 배선된 전기선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배터리를 사용하여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모터(5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공급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53)는 일단이 상기 모터(5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판(42)의 상단에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52)가 회전을 이루는 경우, 지지판(42)을 천정(2) 방향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감지센서(54)는 상기 지지판(42)의 수평이 틀어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기(55)는 상기 수평감지센서(54)로부터 지지판(42)의 수평이 틀어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회전모터(52)로 신호를 전달하여 회전모터(52)가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장치(50)의 와이어(53) 구성을 통하여 받침프레임(40)의 일단이 지면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받침프레임(40)이 기우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감지센서(5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기(55)로 알리고, 상기 제어기(55)로 수신되는 수평감지센서(54)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52)를 작동시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모터(52)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53)를 천정(2) 방향으로 당겨, 상기 회전모터(52)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53)가 지지판(42)을 천정(2)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지지판(42)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른, 상기 벽체고정판(10), 설치프레임(20), 케이블지지대(30), 받침프레임(40)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벽체고정판(10)의 체결홈(12) 및 설치프레임(20)의 관통공(22a)은 상기 케이블지지대(30)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1)는 상기 케이블지지대(30)의 전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31a)와, 상기 케이블지지대(30)의 후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31b)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32)는 상기 제1고정돌기(31a)가 삽입된 체결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22a)에 삽입된 제1체결볼트(32a)와, 상기 제2고정돌기(31b)가 삽입된 체결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22a)에 삽입된 제2체결볼트(32b)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지지대(30)는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될 시, 상기 체결홈(12) 및 관통공(22a)에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31a), 제2고정돌기(31b), 제1체결볼트(32a), 제2체결볼트(32b)의 결합 위치 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며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벽체고정판(10)의 체결홈(12)으로 케이블지지대(30)의 제1고정돌기(31a)와 제2고정돌기(31b)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벽체고정판(10)의 관통공(22a)으로 케이블지지대(30)의 제1체결볼트(32a)와 제2체결볼트(32b)가 각각 결합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로 케이블지지대(30)가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하여 케이블(3)의 배선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벽체고정판(10)의 체결홈(12)으로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31a), 제2고정돌기(31b)와, 설치프레임(20)의 관통공(22a)으로 삽입되는 제1체결볼트(32a), 제2체결볼트(32b)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대(30)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선이 이루어지는 케이블(3)의 설치 방향을 변경하며 케이블(3)의 배선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벽체 2: 천정
10: 벽체고정판 11: 결합공
12: 체결홈 13: 안착홈
20: 설치프레임 21: 상판
21a: 삽입돌기 21b: 체결공
22: 측판 22a: 관통공
30: 케이블지지대 31: 고정돌기
31a: 제1고정돌기 31b: 제2고정돌기
32: 체결볼트 32a: 제1체결볼트
32b: 제2체결볼트 33: 안착홈
40: 받침프레임 41: 고정판
41a: 삽입공 42: 지지판
42a: 제1안착홈 42b: 제안착홈
42c: 공고박스 50: 지지장치
51: 천정판 51a: 천정공
52: 회전모터 53: 와이어
54: 수평감지센서 55: 제어기
10: 벽체고정판 11: 결합공
12: 체결홈 13: 안착홈
20: 설치프레임 21: 상판
21a: 삽입돌기 21b: 체결공
22: 측판 22a: 관통공
30: 케이블지지대 31: 고정돌기
31a: 제1고정돌기 31b: 제2고정돌기
32: 체결볼트 32a: 제1체결볼트
32b: 제2체결볼트 33: 안착홈
40: 받침프레임 41: 고정판
41a: 삽입공 42: 지지판
42a: 제1안착홈 42b: 제안착홈
42c: 공고박스 50: 지지장치
51: 천정판 51a: 천정공
52: 회전모터 53: 와이어
54: 수평감지센서 55: 제어기
Claims (3)
- 건축물의 벽체(1) 일면에 밀착되는 판 형상으로, 상기 벽체(1)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결합공(11)이 형성되고, 상단 내측면에는 체결홈(12)이 형성되며, 상기 벽체(1)와 대향되는 내측면 수직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안착홈(13)이 형성된 벽체고정판(10)과,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1a)가 단부에 구비되고, 건축물의 천정(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공(21b)이 형성되어 상기 천정(2)의 하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상판(21)과, 상기 삽입돌기(21a)와 대향되는 상판(21)의 단부에서 하향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체결홈(1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2a)이 형성된 측판(22)으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고정판(1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설치프레임(20)과,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1)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관통공(22a)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32)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케이블(3)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33)이 배열 배치되어 상기 체결볼트(32)에 결합되는 너트(N)를 통하여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는 케이블지지대(30)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고정판(10)의 하단부와 인접한 벽체(1)에는 복수개의 지지공(1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1a)에는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4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받침프레임(40)은 상기 지지공(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P)가 체결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삽입공(41a)이 형성된 고정판(41)과,
상기 고정판(41)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절곡이 이루어지는 모서리 상단에는 상기 벽체고정판(10)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1안착홈(4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42a)과 이격되는 상단에는 상기 설치프레임(20)의 하단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42b)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공구박스(42c)가 구비된 지지판(42)을 포함하되,
상기 천정(2)의 하단에는
상기 받침프레임(40)과 연결되어 받침프레임(4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장치(5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지지장치(50)는
판 형상으로, 상기 천정(2)과 대응되는 부위에 볼트(P)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천정공(51a)이 형성된 천정판(51)과,
상기 천정판(51)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모터(52)와,
상기 회전모터(5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판(42)의 상단에 결합되는 와이어(53)와,
상기 지지판(42)에 구비되어 지지판(42)의 수평 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센(54)와,
상기 회전모터(52) 및 수평감지센서(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지판(42)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52)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제어기(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고정판(10)의 체결홈(12) 및 설치프레임(20)의 관통공(22a)은 상기 케이블지지대(30)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31)는 상기 케이블지지대(30)의 전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31a)와, 상기 케이블지지대(30)의 후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31b)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볼트(32)는 상기 제1고정돌기(31a)가 삽입된 체결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22a)에 삽입된 제1체결볼트(32a)와, 상기 제2고정돌기(31b)가 삽입된 체결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22a)에 삽입된 제2체결볼트(32b)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지지대(30)는 상기 벽체고정판(10)과 설치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될 시,
상기 체결홈(12) 및 관통공(22a)에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31a), 제2고정돌기(31b), 제1체결볼트(32a), 제2체결볼트(32b)의 결합 위치 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505A KR102083195B1 (ko) | 2019-09-11 | 2019-09-11 |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505A KR102083195B1 (ko) | 2019-09-11 | 2019-09-11 |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3195B1 true KR102083195B1 (ko) | 2020-05-26 |
Family
ID=7091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2505A KR102083195B1 (ko) | 2019-09-11 | 2019-09-11 |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3195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0546B1 (ko) * | 2020-05-15 | 2020-11-18 | (주)선경엔지니어링 |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
KR102201489B1 (ko) * | 2020-06-10 | 2021-01-12 |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
KR102225871B1 (ko) * | 2020-06-18 | 2021-03-11 | (주)이음엔지니어링 |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
KR102225865B1 (ko) * | 2020-04-14 | 2021-03-11 | (주)이음엔지니어링 |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KR102273242B1 (ko) * | 2020-10-13 | 2021-07-06 |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
KR102404307B1 (ko) * | 2021-07-13 | 2022-06-07 | 배인영 |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KR102624440B1 (ko) * | 2023-01-12 | 2024-01-15 | (주)건축사사무소케이아이씨 |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KR102724245B1 (ko) * | 2023-07-14 | 2024-10-31 | (주)미성지엘비 |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81136A (ja) * | 2004-12-28 | 2006-07-13 | Manone:Kk | 収納ユニット及び収納ユニット用棚受け部 |
KR100708288B1 (ko) | 2006-12-29 | 2007-04-16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레일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
KR101781916B1 (ko) * | 2017-07-12 | 2017-09-26 |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의 배선 트레이 |
KR102015855B1 (ko) * | 2019-02-19 | 2019-08-29 | (주)하나종합테크 |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
KR102020266B1 (ko) * | 2019-06-21 | 2019-09-10 | 이경미 |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
-
2019
- 2019-09-11 KR KR1020190112505A patent/KR102083195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81136A (ja) * | 2004-12-28 | 2006-07-13 | Manone:Kk | 収納ユニット及び収納ユニット用棚受け部 |
KR100708288B1 (ko) | 2006-12-29 | 2007-04-16 |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레일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
KR101781916B1 (ko) * | 2017-07-12 | 2017-09-26 |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의 배선 트레이 |
KR102015855B1 (ko) * | 2019-02-19 | 2019-08-29 | (주)하나종합테크 |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
KR102020266B1 (ko) * | 2019-06-21 | 2019-09-10 | 이경미 |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5865B1 (ko) * | 2020-04-14 | 2021-03-11 | (주)이음엔지니어링 |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KR102180546B1 (ko) * | 2020-05-15 | 2020-11-18 | (주)선경엔지니어링 |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
KR102201489B1 (ko) * | 2020-06-10 | 2021-01-12 | 주식회사 라인엔지니어링 |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
KR102225871B1 (ko) * | 2020-06-18 | 2021-03-11 | (주)이음엔지니어링 |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
KR102273242B1 (ko) * | 2020-10-13 | 2021-07-06 |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
KR102404307B1 (ko) * | 2021-07-13 | 2022-06-07 | 배인영 |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KR102624440B1 (ko) * | 2023-01-12 | 2024-01-15 | (주)건축사사무소케이아이씨 |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KR102724245B1 (ko) * | 2023-07-14 | 2024-10-31 | (주)미성지엘비 |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3195B1 (ko) | 건축용 다단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 |
KR102020266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 |
KR102159105B1 (ko) | 건축물의 외부 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 |
KR102133703B1 (ko) | 건축물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 |
KR102133704B1 (ko) |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 |
KR101993607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케이블 트레이 안전장치 | |
KR101985204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 |
KR102156232B1 (ko) |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 |
KR102313572B1 (ko) | 건축용 다단식 케이블 트레이 | |
KR102104832B1 (ko) |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 |
KR102249951B1 (ko) | 건축용 발코니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
KR102256155B1 (ko) | 건축용 지중배전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 |
KR102184897B1 (ko) | 건축용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 |
KR102526408B1 (ko) | 건축물 외벽설치용 통신케이블 배선용 덕트 구조 | |
KR102404307B1 (ko) |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
KR102225865B1 (ko) |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 |
KR102526420B1 (ko) |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 |
KR102225871B1 (ko) | 건축물 외부설치형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구조 | |
KR102201489B1 (ko) |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 |
KR102180546B1 (ko) |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 |
KR101961047B1 (ko) | 각도와 높이조절이 용이한 마루 받침 조절장치 | |
JP2014105543A (ja) | 天窓構造 | |
JP4793130B2 (ja) | 配線ダクト | |
KR100758534B1 (ko) | 에어컨 실외기용 조립식 거치대 | |
KR102624440B1 (ko) | 건축용 다단식 배전 케이블 트레이 |